KR20130081820A -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820A
KR20130081820A KR1020120002850A KR20120002850A KR20130081820A KR 20130081820 A KR20130081820 A KR 20130081820A KR 1020120002850 A KR1020120002850 A KR 1020120002850A KR 20120002850 A KR20120002850 A KR 20120002850A KR 20130081820 A KR20130081820 A KR 2013008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ensor unit
light emitting
unit
detec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519B1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09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자는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Probe holder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특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비침습적으로 얻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X선 진단장치,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ic Resonance Image; MRI),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X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수납하는 본체와,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프로브와, 프로브를 거치하기 위한 프로브 홀더, 초음파 진단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키 등을 구비한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과,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사체에 초음파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검사자는 한 손에 프로브를 쥐고 피검사체의 체표에 프로브를 접촉시켜 이동시키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컨트롤패널을 조작하여 초음파 진단을 수행한다. 이처럼 수행된 초음파 진단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다수의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검사자는 피검사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에 앞서, 다수의 프로브 중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를 선택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초음파 진단 장치는 단순히 프로브 홀더에 프로브를 거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검사자가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느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느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브 홀더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잇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진단 장치는 케이블을 통해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제공받은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상기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프로브;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을 나타내는 프로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검사자가 상기 프로브 목록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데 필요한 프로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키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다수의 프로브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각 프로브 홀더는 상기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자는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각각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들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 제어부, 및 발광부를 프로브가 아닌 프로브 홀더에 구비함으로써, 프로브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도, 검사자가 선택한 프로브가 어떤 프로브 홀더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거치된 프로브들 중에서 소정 프로브를 선택하기 이전의 컨트롤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에 거치된 프로브들 중에서 소정 프로브를 선택한 이후의 컨트롤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는 본체(100), 다수의 프로브(500), 컨트롤 패널(3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의 주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송신 신호 생성부(미도시)를 수납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구비된 다수의 프로브(500)들 중에서 검사자가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는 경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송신 신호는 전압(Voltage), 버스트(Burst), 주파수(Frequenc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일측에는 다수의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암 커넥터(110)에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연결될 수 있다. 송신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110)와 연결된 수 커넥터(510) 및 케이블(520)을 거쳐 프로브(500)로 전송될 수 있다.
프로브(500)는 피검사체의 체표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브(500)는 본체(10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 신호 즉,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로브(500)에는 케이블(520)의 일단이 연결되는데, 이 케이블(520)의 타단에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 5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520)의 수 커넥터(510)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110)와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0)에는 검사자가 초음파 진단 장치(10)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각종 스위치 및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각종 스위치 및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아이콘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300)은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300)의 가장 자리에는 프로브(500)를 거치하기 위한 프로브 홀더(20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는 프로브(50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검사자는 평상 시에 프로브 홀더(200)에 프로브(500)를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 홀더(200)는 해당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컨트롤 패널(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수의 프로브(500)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미도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현재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면, 검사자는 컨트롤 패널(300)의 스위치 또는 키를 조작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검사자가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성을 도시할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20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발광부(23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된다. 그러면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해당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예를 들어, 전류 센서(current 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되고,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해당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전압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예를 들어, 전압 센서(voltage 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된 프로브 목록에서 소정 프로브(500)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브(50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표시되고, 검사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검사자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에서는 송신 신호가 생성되며, 이 송신 신호는 케이블(520)을 통해 해당 프로브(500)로 제공된다. 그 결과, 프로브(500)에서는 송신 신호에 의해 초음파가 조사되는데,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프로브(500)의 선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21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 검사자에 의해 해당 프로브(500)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해당 프로브(500)가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한다.
만약, 센서부(210)의 감지 결과, 검사자에 의해 해당 프로브(500)가 선택된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해당 프로브(500)가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점등시킨 후,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초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점멸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 유지 시간이나 점멸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마다 구비될 수도 있지만, 특정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 본체(100)의 내부, 또는 초음파 진단 장치(10) 내의 다른 위치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에는 다수의 센서부(210) 및 다수의 발광부(2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부(210) 및 발광부(230)로 이루어진 하나의 쌍(pair)은 각 프로브 홀더(200)마다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ed: LED), 반도체 레이저, 네온램프(neon lamp) 등과 같은 발광 소자(luminous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0)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요소들 즉, 센서부(210), 제어부(220), 발광부(230)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브 홀더(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프로브(500)가 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250)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밑면의 지름은 프로브(500)의 지름보다 작은 것인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250)의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그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개방부의 폭은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개방부의 폭은 케이블(520)의 지름보다 1.5배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 중에서 개방부의 반대측 부분은 컨트롤 패널(3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의 위치보다 높게 든 상태에서,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이 프로브 홀더(200)의 개방부를 통과하여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프로브(500)를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브 홀더(200)의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의 내측에는 제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230)는 몸체(250)의 윗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250)의 밑면의 내측 둘레 중 일부에 배치되거나, 밑면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210)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250) 내부의 빈 공간에는 제어부(220)와 발광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250)의 밑면의 내측 둘레에는 센서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210)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홀더(200)의 몸체(250)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25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빈 공간에는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230)는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이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센서부(210)는 몸체(25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몸체(250)의 윗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210)의 위치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250)의 내측면에 위치하되, 몸체(250)의 밑면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210)는 마이크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부(21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된 프로브(500)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프로브(500)에서 발생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의 프로브 위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다수의 프로브(500a 내지 500f)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200a 내지 200f)에 각각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7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들(500a 내지 500f) 중에서 소정 프로브(500d)를 선택하기 이전의 컨트롤 패널(300)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검사자가 다수의 프로브들(500a 내지 500f) 중에서 소정 프로브(500d)를 선택한 이후의 컨트롤 패널(300)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브(500a 내지 500f)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200a 내지 200f)에 각각 거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면, 현재 초음파 진단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의 목록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610).
이 후 검사자는 컨트롤 패널(300)의 스위치나 키를 조작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프로브 목록 중에서 검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d)를 선택할 수 있다(S620).
그러면,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는 선택된 프로브(500d)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프로브(500d)로 전송한다(S630). 이 때, 송신 신호는 전압, 버스트,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는 본체(100)의 암 커넥터, 암 커넥터와 연결된 수 커넥터, 및 수 커넥터와 연결된 케이블을 거쳐 프로브(500d)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프로브 홀더(200)의 센서부(210)는 해당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d)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브 홀더(200)의 센서부(210)는 프로브(500d)와 연결된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프로브(500d)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프로브(500d)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10)는 이 감지 결과를 제어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가 없다면(S640, 아니오), 제어부(220)는 프로브 홀더(200)의 발광부(230)를 소등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S660).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결과가 있다면(S640, 예), 즉, 프로브(500)와 연결된 케이블(52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가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되었거나, 프로브(500)를 통해 조사되는 초음파나, 프로브(500)에서 발생되는 미세음이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되었다면, 제어부(220)는 발광부(230)를 점등시킬 수 있다(S650). 이 때, 제어부(220)는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사전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20)는 발광부(230)의 점등 상태를 3초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발광부(230)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210)에 의한 감지 결과의 유무를 판단할 때,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감지 결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10)가 프로브(500)에서 조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다면,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이상이라면,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프로브 홀더(200)는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 프로브(500)가 검사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가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브(500)가 다수의 프로브 홀더들 중에서 어떤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한 눈에 알 수 있으며, 이로써 검사가자 프로브(50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 제어부(220), 및 발광부(230)를 프로브(500)가 아닌 프로브 홀더(200)에 구비함으로써, 프로브(50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도, 다수의 프로브(500)들 중에서 검사자가 선택한 프로브(500)가 어떤 프로브 홀더(200)에 거치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10: 초음파 진단 장치
100: 본체
110: 암 커넥터
200: 프로브 홀더
210: 센서부
220: 제어부
230: 발광부
240: 전원 공급부
300: 컨트롤 패널
400: 제1 디스플레이 장치
500: 프로브
510: 수 커넥터
520: 케이블
600: 제2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22)

  1. 초음파 진단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브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프로브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프로브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프로브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프로브 홀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프로브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프로브 홀더.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프로브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프로브 홀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프로브 홀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는, 프로브 홀더.
  12. 케이블을 통해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제공받은 초음파를 피검사체의 체내로 조사하고, 상기 피검사체의 체내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프로브;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프로브들을 나타내는 프로브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검사자가 상기 프로브 목록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검사하는데 필요한 프로브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키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다수의 프로브를 각각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각 프로브 홀더는
    상기 프로브가 거치되며,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윗면의 둘레 중에서 소정 지점에서부터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밑면의 지점까지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하고 상기 윗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와 연결된 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의 내측 둘레에 배치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 또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에 상기 윗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브가 선택되어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신 신호에 의해 상기 프로브에서 조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거나 상기 프로브에서 발생하는 미세음을 감지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초음파 진단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등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있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소정 시간 동안 점멸시키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1020120002850A 2012-01-10 2012-01-10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10197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ko) 2012-01-10 2012-01-10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ko) 2012-01-10 2012-01-10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20A true KR20130081820A (ko) 2013-07-18
KR101972519B1 KR101972519B1 (ko) 2019-04-26

Family

ID=4899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50A KR101972519B1 (ko) 2012-01-10 2012-01-10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5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496A1 (en) * 2013-08-12 2015-03-04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64226A (ko) * 2015-12-01 2017-06-0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홀더 어셈블리,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제어방법
US10004480B2 (en) 2013-08-12 2018-06-26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80106555A (ko) * 2017-03-21 2018-10-0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025B2 (ja) * 1999-05-28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ホルダ
KR100674513B1 (ko) * 2004-12-29 2007-01-26 주식회사 메디슨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초음파 진단 시스템 및방법
JP2010263958A (ja) * 2009-05-12 2010-11-25 Toshiba Corp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2011036302A (ja) * 2009-08-07 2011-02-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用のプローブケーブル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025B2 (ja) * 1999-05-28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ホルダ
KR100674513B1 (ko) * 2004-12-29 2007-01-26 주식회사 메디슨 프로브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초음파 진단 시스템 및방법
JP2010263958A (ja) * 2009-05-12 2010-11-25 Toshiba Corp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2011036302A (ja) * 2009-08-07 2011-02-2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用のプローブケーブル収納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496A1 (en) * 2013-08-12 2015-03-04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610065B2 (en) 2013-08-12 2017-04-04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004480B2 (en) 2013-08-12 2018-06-26 Samsung Medison Co., Ltd. Prob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64226A (ko) * 2015-12-01 2017-06-0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홀더 어셈블리,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06555A (ko) * 2017-03-21 2018-10-0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519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519B1 (ko) 프로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JP5342924B2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5842810B2 (ja)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システム
CN109069121B (zh) 用于ctg超声换能器的定位支持和胎儿心率配准支持
US201003054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ultrasound probe orientation and activation status
JPH05161626A (ja) 磁気共鳴検査装置
JP2003093365A (ja) 超音波検査兼用電気インピーダンス・スキャナ
CN103974664A (zh) 具有多个超声换能器的检查系统
KR20130086704A (ko) 캐스터 상태 표시 장치
EP3138499A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having low power mode and method for performing same
CN110974417A (zh) 一种集成导航智能消融系统及其方法
JP2003245243A (ja) 内視鏡形状検出装置
KR102578072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533033A (zh) 探测受检者体内异物的方法和探测装置
JP2018051126A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支援プログラム
US20240016470A1 (en) Ultrasound probe
JP2009077847A (ja) 超音波診断装置
JPH0484948A (ja) 穿刺用超音波探触子
KR101510679B1 (ko) 초음파 프로브
JP2011072532A (ja) 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
JP5332060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7006370A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070029366A (ko) 분리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갖는 초음파 진단 시스템 및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3002849A1 (ja) 血管穿刺支援装置
JP2014104110A (ja) 超音波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