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738A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738A
KR20130080738A KR1020120001723A KR20120001723A KR20130080738A KR 20130080738 A KR20130080738 A KR 20130080738A KR 1020120001723 A KR1020120001723 A KR 1020120001723A KR 20120001723 A KR20120001723 A KR 20120001723A KR 20130080738 A KR20130080738 A KR 2013008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signal
pulse
remote control
tim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738A/ko
Priority to EP12199741.5A priority patent/EP2613300B1/en
Priority to US13/734,050 priority patent/US9064405B2/en
Publication of KR2013008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by varying pulse repeti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면, 리모콘)는 필수적인 장치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다. 최근에는 전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방향에서 벗어나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로 수신되는 신호가 노이즈에 영향을 받게 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에 간섭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에 미칠 수 있는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 상기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하는 펄스 정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답 신호의 진폭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며,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은, 상기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정보 검출 방법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검출 방법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답 신호의 진폭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며,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은, 상기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상기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한 간섭으로 발생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과 무관하게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 유무에 따른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 유무에 따른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에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서 정보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며, 본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RF(Radio Frequency) 통신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호 간에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키코드 값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키코드 값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된 키코드 값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매칭시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전자 장치(100)가 TV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전자 장치(100)는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이동 단말, 데스크 탑 PC 및 랩탑 PC 등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 기기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부(110), 송신부(120), 신호 처리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신호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데이터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각 버튼에 매칭된 키코드 신호 및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20)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양방향을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송신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특정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Ack 신호 및 특정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수신부(110) 및 송신부(120)는 RF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이득 제어부(131), 필터부(133) 및 펄스 정형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부(131)는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자동 이득 제어부(131)는 AGC(Auto Gain Control)를 포함하여,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큰 경우는 낮추어 주고 낮은 경우에는 높여주어,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133)는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33)는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진폭 조정이 이루어진 데이터 신호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펄스 정형부(135)는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펄스 정형부(135)는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적분기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펄스 구간을 갖는 펄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펄스 정형부(135)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를 오프 시키기 위한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키코드 값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키코드 값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신호 처리부(120)에서 변환된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50)는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edge)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가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이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수신부(110)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응답 신호의 진폭이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기 때문에 응답 신호가 데이터 신호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수신부(110)와 송신부(120)가 인접하게 마련된 경우, 송신부(120)에서 전송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보다 진폭이 큰 응답 신호가 수신부(110)로 함께 유입될 수 있다. 수신부(110)로 유입된 응답 신호는 신호 처리부(130)를 거치며,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이득 제어부(131)는 이득을 조정하여,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 또는 감쇠시켜 진폭이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조정한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이 큰 응답 신호(420)에 뒤이어 진폭이 작은 데이터 신호(410)가 자동 이득 제어부(131)에 입력된 경우, 데이터 신호의 진폭은 일정한 레벨로 조정될 수 없게 된다. 즉, 진폭이 큰 응답 신호가 진폭이 작은 데이터 신호에 간섭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 자동 이득 제어부(130)는 작은 이득(또는, 증폭 레벨)을 적용하여 응답 신호의 진폭을 낮춰, 응답 신호의 진폭이 기설정된 레벨이 되도록 한다.
이후, 자동 이득 제어부(130)는 응답 신호 이후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설정된 레벨이 되도록 증폭하여야 한다. 하지만,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 자동 이득 제어부(130)의 이득이 작아졌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레벨이 되도록 증폭할 수 없게 된다.
즉, 자동 이득 제어부(130)는 응답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작아진 이득을,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레벨로 증폭시키기 위한 이득으로 증가시킬 수 없어 데이터 신호의 진폭은 기설정된 레벨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펄스 정형부(135)에서 기설정된 레벨보다 작아진 진폭을 갖는 데이터 신호를 적분기 동작을 수행하여 펄스 형태로 변환하게 되므로, 변환된 펄스가 갖는 펄스 구간의 폭은 원 데이터 신호가 갖는 펄스 구간의 폭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하에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은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 신호이고, 도 5b는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받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 신호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도 5a의 점선 원(510) 내에 도시된 펄스 구간), 응답 신호에 의한 간섭을 받은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 구간(도 5b의 점선 원(520) 내에 도시된 펄스 구간)의 폭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처음 펄스 구간의 상승 에지에서 다음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이 1.93㎲에서 2.05㎲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응답 신호의 진폭이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기 때문에,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크기 차이로 인해 펄스 신호의 듀티가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한다. 한편, 수신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사실을 제어부(160)로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데이터 신호 및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펄스 신호에서, 응답 신호에 대한 펄스 신호를 필터링하고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변환된 펄스 신호만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a는 응답 신호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은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에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응답 신호로부터 간섭을 받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에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신호로부터 간섭을 받게 되면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생성된 펄스 구간의 폭은 감소되지만(도 6a의 점선 원(610) 및 도 6b의 점선 원(620) 내에 도시된 펄스 참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이는 2.14㎳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를 검출하고, 해당 시간 차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를 검출한다는 점에서,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이 하강 에지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은 상승 에지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펄스 구간의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특히, 저장부(140)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 각각에 코드 정보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가 2.14㎳이면 그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는 0x91이고, 시간 차가 2.24㎳이면 그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는 0xA1인 것을 나타내는 맵핑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검출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을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부(110), 송신부(120), 신호 처리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튜너부(160),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한다. 특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튜너부(160)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튜너부(160)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를 구비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A/V 처리부(17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70)는 수신된 컨텐츠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미도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오디오 디코더(미도시),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출력 레이트를 참조하여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미도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V 처리부(17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스플레이부(18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너(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신호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변환된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하는 코드 정보를 검출하고,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검출된 코드 정보가 0xA1인 경우, 제어부(15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키코드 값을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고, 키코드 값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송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키코드 값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각종 버튼에 매칭시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채널 변경 명령을 선택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채널 변경 명령에 매칭된 키코드 값을 갖는 데이터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튜너부(160)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을 선국하며, 선국된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80)를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서 정보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전자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S810).
이후,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한다(S820).
구체적으로,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며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GC(Auto Gain Control)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높은 경우는 낮추어 주고, 낮은 경우에는 높여주어, 데이터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한다(S830). 이 경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S830 단계는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응답 신호의 진폭이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클 수 있다.
여기에서, 응답 신호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 신호 또는 특정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따른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펄스 신호의 듀티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크기 차이로 인해 펄스 신호의 듀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S830 단계는, 기저장된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들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200 : 원격 제어 장치
110 : 수신부 120 : 송신부
130 : 신호 처리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60 : 튜너부
170 : A/V 처리부 18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
    상기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하는 펄스 정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의 진폭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며,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은, 상기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원격 제어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정보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펄스 구간의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 차 또는 상승 에지 사이의 시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기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를 펄스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의 진폭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진폭보다 크며,
    상기 펄스 신호의 듀티 변경은, 상기 응답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진폭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상기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따른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신호에서 연속하는 펄스 구간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 방법.
KR1020120001723A 2012-01-05 2012-01-05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KR20130080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23A KR20130080738A (ko) 2012-01-05 2012-01-05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EP12199741.5A EP2613300B1 (en) 2012-01-05 2012-12-28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13/734,050 US9064405B2 (en) 2012-01-05 2013-01-04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23A KR20130080738A (ko) 2012-01-05 2012-01-05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38A true KR20130080738A (ko) 2013-07-15

Family

ID=4742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723A KR20130080738A (ko) 2012-01-05 2012-01-05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4405B2 (ko)
EP (1) EP2613300B1 (ko)
KR (1) KR201300807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3250B2 (en) * 2014-12-30 2016-06-21 Smk Electronics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having one shot automatic mapping of learned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8562A1 (de) * 1985-03-11 1986-09-11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uebertragung von informationen
EP0421471A1 (de) * 1989-10-06 1991-04-10 Mütec Mikrotechnik Und Überwachungssysteme Gmbh Kommunikationsverfahren für eine Schaltungsanordnung, die aus einer Zentrale und mehreren Peripherieeinheiten besteht
DK0469174T3 (da) * 1990-08-02 1995-10-16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fjernstyring af et høreapparat
US6147719A (en) * 1996-12-30 2000-11-1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Pulse position modulation protocol
JP2002016621A (ja) * 2000-06-30 2002-01-18 Haamorinku:Kk 制御・監視信号伝送システム
US8060910B2 (en) * 2006-12-21 2011-11-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t top box apparatus hav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and an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3300B1 (en) 2017-03-08
US20130176117A1 (en) 2013-07-11
US9064405B2 (en) 2015-06-23
EP2613300A2 (en) 2013-07-10
EP2613300A3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16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US8542320B2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US8687130B2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gital television
US8189120B2 (en) Non-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system and method
KR20150071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JP2012248257A (ja) 映像音声機器、及びそれを備える映像音声システム
EP2028849A2 (en) Wireless video system controlled according to control command of external device, wireless video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video system
US10721433B2 (en)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70018482A (ko)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음향제어장치 및 그 무선 헤드폰
JP2004343174A (ja) テレビ受像機、及び電気機器の制御方法
KR20130080738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검출 방법
KR101729895B1 (ko) 외부 기기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
US20180070125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13929A (ja) 遠隔制御遠隔制御装置、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遠隔制御方法
JP6377948B2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ーへの入力フィード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13097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507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77983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50081856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14645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32153A (ko) 외부 기기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송 송신 장치.
KR100762558B1 (ko) 아이알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외부장치 제어 방법
JP5323230B1 (ja) 電子機器、フィルタ調整装置、フィルタ調整方法、及びフィルタ調整プログラム
KR201901058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67055A (ja) 映像音声信号出力装置、映像音声信号提供装置、映像音声信号出力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信号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