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072B1 -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072B1
KR102245072B1 KR1020190112003A KR20190112003A KR102245072B1 KR 102245072 B1 KR102245072 B1 KR 102245072B1 KR 1020190112003 A KR1020190112003 A KR 1020190112003A KR 20190112003 A KR20190112003 A KR 20190112003A KR 102245072 B1 KR102245072 B1 KR 10224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control unit
absence
gai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638A (ko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072B1/ko
Priority to PCT/KR2020/000349 priority patent/WO2021049722A1/ko
Priority to US17/642,040 priority patent/US11974065B2/en
Publication of KR2021003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RF 신호의 입력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RF 자동이득제어부, 및 게인값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에 따라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을 검색에 관한 것이다.
방송 신호는 주파수 사용 대역이 국가별로 다르거나, 채널에 따른 중심 주파수 등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초기화 과정에서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
채널 검색은, 전체 채널을 차례대로 탐색하면서 신호가 들어오는 채널을 확인 및 등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케이블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현재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 어떤 형태로 방송 신호가 입력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채널 검색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채널 검색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며, 그 중 하나로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방송 신호를 선택 받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가 잘못 선택할 경우 채널 검색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거나, 방송 신호가 입력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채널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는 방안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6331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신호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송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RF 신호의 입력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RF 자동이득제어부, 및 게인값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에 따라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이득제어의 TOP(Take Over Point)를 변경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 유무를 검출할 때의 TOP를 신호 유무를 검출하지 않을 때의 TOP 보다 작게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 유무를 검출한 후에는 TOP를 변경 이전으로 재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게인값이 일정하면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고, 게인값이 변화하면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는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제어부는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VHF 및 UHF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주파수 대역별로 게인값의 변화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채널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RF 신호의 입력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RF 자동이득제어부, 및 게인값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에 따라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방송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채널 검색을 수행하므로, 검색 시간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정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너의 상세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 자동이득제어부가 RF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TOP(Take Over Point)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너의 상세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튜너(131)는 저잡음 증폭기(11), 이미지 제거 필터(12), RF 자동이득제어부(13), RF 하향변환 믹서(15), RF 국부발진기(16), 채널 선택 필터(18) 및 IF 자동이득제어부(1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잡음 증폭기(11)는 외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11)는 R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잡음 증폭기(11)는 외부에서 입력된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잡음 증폭기(11)는 비선형 소자이기 때문에 저잡음 증폭기(11)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에는 하모닉스(harmonics)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하모닉스 성분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원래 신호가 증폭되도록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제거 필터(12)는 저잡음 증폭기(11)에서 증폭된 신호 중 영상 주파수(image frequency)가 RF 하향변환 믹서(15)로 전달되지 않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RF 신호의 크기가 소정 크기를 유지하도록 증폭시킬 수 있다.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RF 신호 전체에 대해 게인값을 적용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
한편,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RF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되, 하모닉스 성분들의 증폭이 최소화되도록 게인값을 조절할 수 있다.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RF 신호의 입력 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 자동이득제어부가 RF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시 그래프의 가로축은 RF 신호의 입력 크기(파워)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게인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TOP(Take-over Point)는 최대 증폭 구간과 입력 크기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구간을 구분하는 경계 지점일 수 있다. TOP는 복조부(132)의 필요 SN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OP는 RF TOP와 IF TOP를 포함할 수 있다.
RF TOP는 낮은 입력 신호 레벨에서 사용되는 최대 게인값 구간과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게인값이 제어되는 구간의 경계 지점일 수 있다.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RF 신호의 게인값이 제어되는 구간은 도 3에 도시된 RF AGC control region일 수 있다.
따라서, RF 신호의 크기가 TOP의 크기 보다 작으면 최대 게인값에 따라 증폭되고, RF 신호의 크기가 TOP의 크기 보다 크면 입력 크기에 따른 게인값으로 증폭될 수 있다.
IF TOP는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게인값이 제어되는 구간과 높은 입력 신호 레벨에서 사용되는 최대 게인값 구의 경계 지점일 수 있다.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IF 신호의 게인값이 제어되는 구간은 도 3에 도시된 IF AGC control region일 수 있다.
따라서, IF 신호의 크기가 TOP의 크기 보다 크면 최대 게인값에 따라 증폭되고, IF 신호의 크기가 TOP의 크기 보다 작으면 입력 크기에 따른 게인값으로 증폭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RF 하향변환 믹서(15)는 자동이득제어된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RF 하향변환 믹서(15)는 자동이득제어된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I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RF 국부발진기(16)는 RF 하향변환 믹서(15)에서 주파수 합성을 위한 기준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RF 국부발진기(16)는 RF 신호가 IF 신호로 변환되도록 RF 하향변환 믹서(15)에 기준 주파수를 공급할 수 있다. RF 국부발진기(16)는 Local Oscillator일 수 있다.
채널 선택 필터(18)는 IF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들 중 특정 채널만을 대역통과필터링할 수 있다.
IF 자동이득제어부(19)는 채널 선택 필터(18)에서 필터링된 I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IF 자동이득제어부(19)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F 신호의 입력 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적용하여 I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즉, RF 자동이득제어부(13)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해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고, IF 자동이득제어부(19)는 채널 선택 필터(18)를 통해 필터링한 특정 채널에 대해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튜너(131)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튜너(131)와 튜너(13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튜너(131)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튜너(131)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가 방송 수신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는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RF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수신 장치의 설치 환경, 전파 환경 등에 의해 방송 수신 장치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고, 방송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검색은 불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RF 신호는 VHF 대역과 UHF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VHF 대역은 54MHz ~ 216 MHz로 2번 채널부터 17번 채널을 포함하고, UHF 대역은 470MHz ~ 890MHz로 14번 채널부터 59번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 장치가 UHF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UHF 대역에 대한 채널 검색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는 자동이득제어의 게인값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채널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초기화할 때 채널 검색 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등을 통해 채널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는 중 언제든지 채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채널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 검색 명령을 수신하면 TOP(Take Over Point)를 변경할 수 있다(S13).
제어부(170)는 RF 신호에 대한 자동이득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의 TOP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RF TOP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동이득제어의 TOP를 변경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유무를 검출할 때의 TOP를 신호 유무를 검출하지 않을 때의 TOP 보다 작게 변경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크기가 작은 RF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도 게인값이 변경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가 TOP(Take Over Point)를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TOP를 제1 TOP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TOP는 복조부(132)의 필요 SNR에 따라 결정된 RF 신호의 입력 크기(파워)일 수 있다. 제1 TOP는 복조부(132)에서이 SNR이 최대가 되는 지점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TOP가 제1 TOP인 상태에서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TOP를 제1 TOP에서 제2 TOP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TOP는 제1 TOP 보다 RF 신호의 입력 크기가 작은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TOP는 -3dBm이고, 제2 TOP는 -10dB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제1 커브(C1)는 TOP가 제1 TOP일 때 자동이득제어의 게인값을 나타내고, 제2 커브(C2)는 TOP가 제2 TOP일 때 자동이득제어이 게인값을 나타낸다.
TOP가 제1 TOP일 때에는, -3dBm 이상의 파워를 갖는 신호가 입력될 때 게인값의 변화가 나타난다. 반면에, TOP가 제2 TOP일 때에는, -10dBm 이상의 파워를 갖는 신호가 입력될 때 게인값의 변화가 나타난다. 즉, TOP가 제1 TOP일 때 게인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감도는 TOP가 제2 TOP일 때 게인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감도 보다 낮다. 특히, 파워가 낮은 RF 신호가 입력될 때 게인값의 변화 검출 감도는 TOP가 제1 TOP일 때보다 TOP가 제2 TOP일 때 더 높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TOP를 낮춤으로써 게인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감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워가 낮게 입력되는 RF 신호까지 보다 정확하게 검출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이 복수개인 경우 TOP를 변경한 후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신호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인 경우, 제어부(170)는 TOP를 변경한 후 제1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주파수 대역은 VHF 대역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UHF 대역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주파수 대역 각각에 신호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 게인값을 획득할 수 있다(S15).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 게인값을 RF 자동이득제어부(14)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1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RF 신호에 대한 제1 게인값과, 제2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RF 신호에 대한 제2 게인값을 RF 자동이득제어부(14)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게인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획득할 수 있다(S17).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로 게인값에 변화 여부를 획득함으로써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게인값이 일정하면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하고, 게인값이 변화하면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획득한 후 TOP를 변경 이전으로 재변경할 수 있다(S18).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신호 유무를 획득하기 위해 TOP를 제1 TOP에서 제2 TOP로 변경하였다면, 신호 유무를 획득한 후에는 TOP를 제2 TOP에서 제1 TOP로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검출할 때에만 TOP를 일시적으로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 유무를 검출한 후에는 TOP를 변경 이전으로 재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TOP를 변경 이전으로 재변경한 후, 신호가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의 존재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19).
제어부(170)는 단계 S17에서 주파수 대역별 신호 유무를 획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가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신호 유무를 획득한 경우,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가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검색을 완료할 수 있다(S25).
즉, 제어부(170)는 신호가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이 없는 경우에는 채널 검색을 즉시 완료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70)는 신호가 검출되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면,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을 획득할 수 있다(S21).
제어부(170)는 신호가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검출되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주파수 대역만을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주파수 대역만을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주파수 대역을 획득한 후, 획득된 주파수 대역에서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S23).
즉, 제어부(170)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채널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중 제1 주파수 대역에만 신호가 존재하면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만 신호가 존재하면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채널 하나하나를 검색하는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한 후, 채널 검색을 완료할 수 있다(S25).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하지 않고,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TOP 변경 상태에서 자동이득제어의 게인값 변화에 기초하여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회로 등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줄이며,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RF 신호의 입력크기에 따라 게인값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RF 자동이득제어부; 및
    상기 게인값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의 TOP(Take Over Point)를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 유무를 검출할 때의 TOP를 상기 신호 유무를 검출하지 않을 때의 TOP 보다 작게 변경하고,
    상기 신호 유무를 검출한 후에는 TOP를 변경 이전으로 재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중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채널 검색을 수행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인값이 일정하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게인값이 변화하면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존재하는 상태로 검출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VHF 및 UHF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파수 대역별로 상기 게인값의 변화 여부를 획득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채널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1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12003A 2019-09-10 2019-09-10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03A KR102245072B1 (ko) 2019-09-10 2019-09-10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00349 WO2021049722A1 (ko) 2019-09-10 2020-01-08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642,040 US11974065B2 (en) 2019-09-10 2020-01-08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03A KR102245072B1 (ko) 2019-09-10 2019-09-10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38A KR20210030638A (ko) 2021-03-18
KR102245072B1 true KR102245072B1 (ko) 2021-04-28

Family

ID=748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03A KR102245072B1 (ko) 2019-09-10 2019-09-10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74065B2 (ko)
KR (1) KR102245072B1 (ko)
WO (1) WO20210497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070A (ja) * 2006-03-23 2007-10-04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9130600A (ja) * 2007-11-22 2009-06-11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990A1 (en) * 2005-01-28 2006-08-03 Nxp B.V.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both analogue and digital televisio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JP2007158493A (ja)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ューナとこれを用いた高周波受信装置
KR101472384B1 (ko) * 2008-08-20 2014-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검색 방법
CN103210654B (zh) * 2011-01-20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数字接收机及其提供实时收视率的方法
KR102094291B1 (ko) * 2013-04-23 2020-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채널 탐색 방법
KR20150077768A (ko) * 2013-12-30 2015-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채널 검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KR102622943B1 (ko) 2016-09-30 2024-01-10 주식회사 솔루엠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JP7039254B2 (ja) * 2017-10-3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該レンズ制御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及びレン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070A (ja) * 2006-03-23 2007-10-04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9130600A (ja) * 2007-11-22 2009-06-11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722A1 (ko) 2021-03-18
US20220417465A1 (en) 2022-12-29
US11974065B2 (en) 2024-04-30
KR20210030638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480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20245722A1 (en) Portable terminal, pair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US20120202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4507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0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7775A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17714B2 (en) Display device for managing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luetooth-connected external device
US2022005900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20217436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20220157345A1 (en) Display device
EP3971888A1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722038B1 (ko) 무선 음향 송수신 시스템 및 무선 음향 송수신 방법
US2023042183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184499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0077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30389089A1 (en) Terminal and system for facilitating bluetooth connections
US1014268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0727120B1 (ko) 영상신호의 오프셋과 게인의 자동 처리를 위한 텔레비젼수상기 및 방법
US20220150654A1 (en) Display device and surround sound system
KR20200084187A (ko) 튜너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38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
US20220415322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