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943B1 -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943B1
KR102622943B1 KR1020160126779A KR20160126779A KR102622943B1 KR 102622943 B1 KR102622943 B1 KR 102622943B1 KR 1020160126779 A KR1020160126779 A KR 1020160126779A KR 20160126779 A KR20160126779 A KR 20160126779A KR 102622943 B1 KR102622943 B1 KR 10262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pin
connector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331A (ko
Inventor
박종식
장대현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6012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331A/ko
Priority to KR1020240001250A priority patent/KR2024000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수 커넥터와의 연결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커넥터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커넥터 모듈은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암 커넥터 몸통, 암 커넥터 몸통이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연결핀, 및 연결 단자가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되는 연결 접촉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와, 단자 연결핀 및 연결 접촉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회로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모듈은 커넥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회로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단자 연결핀 및 연결 접촉핀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삽입되어 연결될 때, 신호 처리 모듈이 이러한 연결 상태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FEMALE CONNECTOR, CONNECTOR MODULE HAVING THE FEMA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수 커넥터와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는 자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케이블 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중 하나인 TV는 지상파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등과 같은 방송 신호를 케이블 선을 통해 수신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 선에 수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TV에 암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암 커넥터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방송 신호가 상기 TV로 원활히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원인 중 하나가 해당 전자 기기에 케이블 선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연결되더라도 접촉이 불량인 상태인 경우이다. 즉, 상기 케이블 선의 수 커넥터가 상기 전자 기기의 암 커넥터에 삽입 연결되지 않았거나 불량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연결 상태의 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전자 기기의 동작 불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 커넥터와의 연결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 커넥터는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 커넥터 몸통, 단자 연결핀 및 연결 접촉핀을 포함한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핀은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은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된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연결 접촉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외부 몸통부 및 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통부는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제1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사이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갖는다.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을 고정시킨다.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핀은 상기 제1 개구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핀은 단자 결합부 및 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일측이 상기 단자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로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1 단자 결합핀, 및 상기 제1 단자 결합핀과 마주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제2 단자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는 상기 절개부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개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 고정부 측을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외곽 몸통부 및 상기 핀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 고정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단자 연결핀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된 내부 몸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모듈은 암 커넥터 및 커넥터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암 커넥터는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암 커넥터 몸통, 단자 연결핀 및 연결 접촉핀을 포함한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핀은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은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된다.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제1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할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신호 수신부,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전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저항부, 및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저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전압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신호 수신부,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는 그라운드부,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저항부, 및 직류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전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전압은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는 커넥터 모듈 및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암 커넥터 몸통,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되는 연결 접촉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와,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커넥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회로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전압 감지부, 표시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커넥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 접촉핀에 형성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는 광을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커넥터 회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제1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할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따르면, 수 커넥터의 연결 단자가 암 커넥터의 단자 연결핀에 결합될 때, 상기 암 커넥터의 연결 접촉핀이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 커넥터 몸통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에 형성되는 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전압 감지부가 상기 연결 접촉핀에 형성되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커넥터 연결 유무를 판단하면,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전압 감지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결과를 확인하여 커넥터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암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중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중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암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는 수 커넥터(10)와 결합되어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커넥터 모듈(CM), 및 상기 커넥터 모듈(C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를 처리하면서 상기 수 커넥터(10)와의 연결 유무를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모듈(S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는 일 예로, TV일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10)는 수 커넥터 몸통(12) 및 연결 단자(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는 일측이 오픈(open)된 원통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14)는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의 내측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고,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 및 상기 연결 단자(14)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 물질, 예를 들어 구리, 금, 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모듈(CM)은 암 커넥터(100) 및 커넥터 회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100)는 상기 전자 기기의 몸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 커넥터(10)와 결합되어 상기 수 커넥터(10)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 커넥터(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F-Jack 타입의 암 커넥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커넥터(100)는 암 커넥터 몸통(110), 단자 연결핀(120) 및 연결 접촉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연결 접촉핀(130)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 물질, 예를 들어 구리, 금, 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 몸통(110)은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연결 접촉핀(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 커넥터 몸통(110)은 외부 몸통부(112), 핀 고정부(114) 및 내부 몸통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통부(112)는 상기 연결 단자(14)가 삽입되는 제1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사이에 내부 공간(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몸통부(112)는 상기 내부 공간(112a)을 갖는 원통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은 상기 외부 몸통부(112)의 외곽을 감싸서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사선을 통해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몸통부(112)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12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핀 고정부(114)는 상기 내부 공간(112a)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연결 접촉핀(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핀 고정부(114)는 상기 내부 공간(112a)에서 상기 제2 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몸통부(116)는 상기 내부 공간(112a)에서 상기 제1 개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 고정부(114) 측을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외곽 몸통부(112) 및 상기 핀 고정부(11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 고정부(1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몸통부(116)는 상기 단자 연결핀(114)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몸통부(116)은 상기 수용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 상기 외부 몸통부(112)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연결핀(120)는 상기 내부 공간(112a)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14)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14)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 연결핀(120)는 상기 제1 개구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114)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단자 연결핀(120)은 단자 결합부(122) 및 신호 전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122)는 상기 내부 몸통부(116)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단자(14)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14)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 결합부(122)는 상기 내부 몸통부(116)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단자 결합핀(122a), 및 상기 제1 단자 결합핀(122a)과 마주하도록 상기 내부 몸통부(116)의 내부에 배치된 제2 단자 결합핀(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단자(14)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은 상기 연결 단자(14)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 간의 거리가 증가되고, 상기 연결 단자(14)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로부터 제거될 때, 결전의 원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은 상기 연결 단자(14)가 삽입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이 되는 굴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부(124)는 일측이 상기 단자 결합부(122)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 고정부(114)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122)로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커넥터 회로(2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전달부(124)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122a, 122b)의 일단과 결합되어 고정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130)은 상기 내부 공간(112a)에 상기 단자 연결핀(12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접촉핀(130)는 상기 절개부(112b)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114)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촉핀(130)의 일단은 상기 연결 단자(14)가 상기 단자 연결핀(120)과 결합될 때,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 회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회로(200)는 상기 단자 연결핀(120)의 신호 전달부(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자 연결핀(120)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회로(20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 및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 사이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되는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되는 전압을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과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제1 전압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과 접촉할 때,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 회로(200)는 신호 수신부(210), 전원부(220), 제1 저항부(230), 그라운드부(240) 및 인덕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부(210)는 상기 단자 연결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120)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수신부(210)는 상기 단자 연결핀(12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신호를 그대로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로 제공할 수도 있지만, 상기 입력 신호의 레벨 또는 형태를 변경하여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류 전압, 예를 들어 3.3V의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부(23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 및 상기 전원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접촉핀(130) 및 상기 전원부(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부(230)는 예를 들어 100k 옴(ohm)의 저항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그라운드부(240)는 상기 단자 연결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덕터부(250)는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그라운드부(2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그라운드부(2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인터터부(250)는 예를 들어 서지 코일(surge coil)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상기 전원부(220)의 직류 전압에 의해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면,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상기 그라운드부(240)의 그라운드 전압에 의해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은 상기 커넥터 회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회로(200)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연결핀(120) 및 상기 연결 접촉핀(130) 사이의 접촉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모듈(SM)은 전압 감지부(300), 표시부(400) 및 신호 처리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지부(300)는 상기 커넥터 회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감지부(300)는 상기 커넥터 회로(200)를 통해 상기 연결 접촉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지부(30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5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감지부(30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상기 제1 전압이 형성되어 있다고 감지하면, 상기 수 커넥터(10)가 상기 암 커넥터(100)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상기 제2 전압이 형성되어 있다고 감지하면, 상기 수 커넥터(10)가 상기 암 커넥터(100)에 제대로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신호 처리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광을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500)는 상기 커넥터 회로(200)의 신호 수신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이렇게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처리하여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500)는 상기 전압 감지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이렇게 제공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0)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표시부(420)는 LED로 구성된 발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의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암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광을 출력하지 않고 있다가,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암 커넥터에 연결된 경우, 계속 또는 일정 시간만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신호 처리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중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는 커넥터 회로(200)에서 전원부(220) 및 그라운드부(24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전자 기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전원부(220) 및 그라운드부(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라운드부(240)는 상기 제1 저항부(230)를 통해 상기 연결 접촉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 접촉핀(130)으로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20)는 상기 인덕터부(250)를 통해 상기 단자 연결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120)으로 직류 전압, 예를 들어 3.3V의 직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상기 그라운드부(240)의 그라운드 전압에 의해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면, 상기 전원부(220)의 직류 전압에 의해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 중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커넥터 모듈에서,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와 연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는 커넥터 회로(200)에서 제2 저항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전자 기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 저항부(2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겠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회로(200)는 상기 연결 접촉핀(130) 및 상기 그라운드부(2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저항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는 상기 전원부(220)의 직류 전압에 의해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된 전압은, 상기 전원부(220)의 직류 전압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부들(230, 260)의 총 저항 중 상기 제2 전원부(260)의 저항만큼의 전압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에 접촉하면, 상기 그라운드부(240)의 그라운드 전압에 의해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연결 단자(14)가 상기 단자 연결핀(12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접촉핀(130)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12)과 접촉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되는 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압 감지부(300)가 상기 연결 접촉핀(130)에 형성되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커넥터 연결 유무를 판단하면, 상기 신호 처리부(500)가 상기 전압 감지부(41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400)에서 표시되는 결과를 확인하여 커넥터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M : 커넥터 모듈 100 : 암 커넥터
110 : 암 커넥터 몸통 112 : 외부 몸통부
112a : 내부 공간 112b : 절개부
114 : 핀 고정부 116 : 내부 몸통부
120 : 단자 연결핀 122 : 단자 결합부
122a : 제1 단자 결합핀 122b : 제2 단자 결합핀
124 : 신호 전달부 130 : 연결 접촉핀
200 : 커넥터 회로 210 : 신호 수신부
220 : 전원부 230 : 제1 저항부
240 : 그라운드부 250 : 인덕터부
260 : 제2 저항부 SM : 신호 처리 모듈
300 : 전압 감지부 400 : 표시부
500 : 신호 처리부

Claims (22)

  1.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암 커넥터 몸통;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되는 연결 접촉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연결 접촉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제1 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구들 사이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갖는 외부 몸통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을 고정시키는 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개구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핀는
    상기 제1 개구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핀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단자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단자 결합부로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결합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제1 단자 결합핀; 및
    상기 제1 단자 결합핀과 마주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제2 단자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결합핀들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촉핀는
    상기 절개부 측에서부터 상기 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개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핀 고정부 측을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외부 몸통부 및 상기 핀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 고정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단자 연결핀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된 내부 몸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커넥터.
  10.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암 커넥터 몸통,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되는 연결 접촉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및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회로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제1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할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신호 수신부;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전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저항부; 및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저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전압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연결핀으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신호 수신부;
    그라운드 전압을 제공하는 그라운드부;
    상기 연결 접촉핀 및 상기 그라운드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저항부; 및
    직류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단자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회로는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전원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고,
    상기 제2 전압은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
  19. 수 커넥터 몸통 및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암 커넥터 몸통,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암 커넥터 몸통의 내부에 상기 단자 연결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연결핀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되는 연결 접촉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와,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회로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및
    상기 커넥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회로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연결핀 및 상기 연결 접촉핀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커넥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 접촉핀에 형성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광을 출력시킬 수 있는 표시부; 및
    상기 커넥터 회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넥터 연결 유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커넥터 연결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하지 않을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제1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접촉핀이 상기 수 커넥터 몸통과 접촉할 때, 상기 연결 접촉핀에는 상기 제1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60126779A 2016-09-30 2016-09-30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62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779A KR102622943B1 (ko) 2016-09-30 2016-09-30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0240001250A KR20240007307A (ko) 2016-09-30 2024-01-04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779A KR102622943B1 (ko) 2016-09-30 2016-09-30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250A Division KR20240007307A (ko) 2016-09-30 2024-01-04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31A KR20180036331A (ko) 2018-04-09
KR102622943B1 true KR102622943B1 (ko) 2024-01-10

Family

ID=61978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779A KR102622943B1 (ko) 2016-09-30 2016-09-30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0240001250A KR20240007307A (ko) 2016-09-30 2024-01-04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250A KR20240007307A (ko) 2016-09-30 2024-01-04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2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90B1 (ko) * 2018-03-21 2023-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KR102245072B1 (ko) 2019-09-10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669A (ja) 2004-12-06 2006-06-22 Sony Corp コネクタ、接続検出システム、入力切換システム
JP2008263330A (ja) 2007-04-11 2008-10-30 Sony Corp 受信装置、コネクタおよび通知方法
JP2010277724A (ja) 2009-05-26 2010-12-09 Tempearl Ind Co Ltd 電源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468A (ja) * 1993-03-17 1994-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終端回路とその収納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669A (ja) 2004-12-06 2006-06-22 Sony Corp コネクタ、接続検出システム、入力切換システム
JP2008263330A (ja) 2007-04-11 2008-10-30 Sony Corp 受信装置、コネクタおよび通知方法
JP2010277724A (ja) 2009-05-26 2010-12-09 Tempearl Ind Co Ltd 電源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31A (ko) 2018-04-09
KR20240007307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950B1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20240007307A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US7746090B1 (en) System for testing connections of two connectors
US7928738B2 (en)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connection of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same
US20090286427A1 (en) Connector arrangement having multiple independent connectors
EP1930807A2 (en) Video cabl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puter
US838251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803251B1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US7477159B2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70147059A1 (en) Portable electronic systems
US2014000962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82292B2 (en) Status detec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060105604A1 (en) Connector test device
EP0786832A1 (en) Branching device
US2022032172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688333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JP6823729B2 (ja) 映像機器および接続判定方法
US9529764B1 (en) Near-to-eye display hot shoe communication line
US9274166B2 (en) Pin ver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20160103557A1 (en) Touch detection device for touchscreen
JP2005285043A (ja) センサ用ケーブル
KR102530090B1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JPH08190963A (ja) コネクタシステム
KR101573018B1 (ko) 복합커넥터
US20230047240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