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90B1 -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 Google Patents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90B1
KR102530090B1 KR1020180032770A KR20180032770A KR102530090B1 KR 102530090 B1 KR102530090 B1 KR 102530090B1 KR 1020180032770 A KR1020180032770 A KR 1020180032770A KR 20180032770 A KR20180032770 A KR 20180032770A KR 102530090 B1 KR102530090 B1 KR 10253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housing
terminal
coup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835A (ko
Inventor
정재길
이갑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심선; 및 상기 제1심선과 이격되는 제2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에서 연장되고 직선 형태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의 상기 제1영역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Connector and tuner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는 자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외부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는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제공받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케이블선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중 하나인 TV는 지상파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등과 같은 방송 신호를 케이블 선을 통해 수신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 선에 수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TV에 암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암 커넥터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방송 신호가 상기 TV로 원활히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원인 중 하나가 해당 전자 기기에 케이블 선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연결되더라도 접촉이 불량인 상태인 경우이다. 즉, 상기 케이블선의 수 커넥터가 상기 전자 기기의 암 커넥터에 삽입 연결되지 않았거나 불량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연결 상태의 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전자 기기의 동작 불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TV 제어 모듈의 경우,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연결 여부에 관계없이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을 가정하여 방송 채널을 검색하게 되므로, 작동 오류 발생으로 인해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신호 단자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심선; 및 상기 제1심선과 이격되는 제2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에서 연장되고 직선 형태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의 상기 제1영역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를 통해 신호 단자와 결합되는 심선 외에 추가 심선을 구비하여, 신호 단자의 결합에 따라 심선의 전압이 달라지므로, 신호 감지부가 용이하게 상기 신호 단자와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호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1심선을 통해 신호 단자의 입력 신호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품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커넥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이너 케이스 및 커버를 제외하고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100)는, 커넥터(101)와, 커넥터(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0, 도 4참조)을 포함하는 신호 감지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감지부(190)의 하면에는 다른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19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101)는 전자기기(일 예로 TV)의 외면에 배치되는 F-Jack 타입의 암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101)는 하우징(10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2)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의 일면에는 후술할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는 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103)을 통해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면 후술할 제1심선(130) 또는 제2심선(140)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단자에는 상기 하우징(102)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산 또는 나사홈(104)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단자는 홈에 상기 하우징(102)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101)와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상기 홀(103)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신호 단자와 상기 커넥터(101)가 결합 시, 상기 신호 단자의 내측에 상기 커넥터(10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1)는 하우징(102), 홀더(120), 제1심선(130), 제2심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상기 홀더(120), 상기 제1심선(130) 및 제2심선(14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10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120)는 단면이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홀더(120)의 내부(122)에는 상기 제1심선(130) 및 제2심선(1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홀더(120)는 외주면 단면적이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심선(130) 및 제2심선(140)의 위치가 상기 홀더(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130)은 상기 신호 단자의 핀과 접촉되어 상기 제2심선(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신호 단자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130)은 상기 신호 단자의 핀과 접촉되는 제1단자(132), 상기 제1단자(13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2)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신호 전달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32)는 단면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32)에는 상기 제2심선(140) 또는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는 제1결합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103)을 통해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로 삽입되면, 핀과 제1단자(132)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홀(103)과 마주하는 상기 제1단자(132)의 면을 전면이라 할 때,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은 상기 제1단자(13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은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인쇄회로기판(10)는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에 감지되는 전압량을 통해 상기 신호 단자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는 영역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정 크기 이상의 전압이 상기 제1심선(13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중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과 결합되는 영역에는 별도의 전원 제공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원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1심선(130)에는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공부는 직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140)은 상기 홀(103)을 통해 삽입되는 신호 단자의 핀과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140)은 제2단자(144), 제2단자(14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2)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신호 전달부(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14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결합홀(13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단자(144)는 상기 제1단자(132)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144)에는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끼워지는 제2결합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홀(142)은, 상기 제2단자(144)의 외면 중 상기 핀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상기 제2단자(144)에 접속되면 상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신호가 상기 제2심선(14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단자(144)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호 접촉되는 돌출부(14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3)는 상기 제2결합홀(1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핀이 상기 제2결합홀(142)에 결합 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돌출부(143)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이 상기 제2단자(144)에 결합 시, 상기 돌출부(143)가 상기 핀의 외면을 가압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143)가 상호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자(132)와 상기 제2단자(144)는, 전, 후 방향으로 오버랩(overlab)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 시, 상기 제1단자(132)와 상기 제2단자(144)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홀(103)과 마주하는 상기 제2단자(144)의 면을 전면이라 할 때, 상기 제2신호 전달부(146)은 상기 제2단자(14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신호 전달부(146)은 인쇄회로기판(1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신호 전달부(146)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너(100) 및 커넥터(101)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심선(130)과 상기 제2심선(140)의 각각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와 상기 제2신호 전달부(146)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13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사이에는 저항부(17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저항부(174)는 예를 들어 100k 옴(ohm)의 저항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심선(14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0) 사이에는 인덕터부(172)가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제2심선(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인터터부(250)는 예를 들어 서지 코일(surgecoil)일 수 있다.
상기 제2심선(140)은 그라운드부(17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심선(140)에는 그라운드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단자(5)가 상기 커넥터(101)에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 제공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신호 전달부(135)에 일정 크기 이상의 전압, 즉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단자(5)가 상기 커넥터(101)에 접속되면, 핀(4)이 상기 제1단자(132) 및 제2단자(144)에 동시에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단자(132)와 상기 제2단자(14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심선(140)과 연결된 상기 그라운드부(175)에 의해, 상기 제1심선(130)에도 그라운드 전압, 즉 로우(low) 레벨이 전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는 상기 제1심선(130)에 상기 로우 레벨의 전압이 감지 시, 상기 커넥터(101)에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심선(130)에 상기 하이 레벨의 전압이 감지 시, 상기 커넥터(101)에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단자(5)의 결합에 따라 상기 제1심선(130)의 전압이 달라지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0)는 용이하게 상기 신호 단자(5)의 결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2심선(140)을 통해 상기 신호 단자(5)의 입력 신호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품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튜너 및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커넥터의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이너 케이스 및 커버를 제외하고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커넥터의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있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튜너(100)는 커넥터(201)와, 상기 커넥터(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감지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감지부(29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타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단자(29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201)는 Din-Jack 타입의 암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201)는 하우징(20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2)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2)의 일면에는 신호 단자가 끼워지는 홈(20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01a)은 단면이 상기 신호 단자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호 단자가 상기 홈(201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201)와 상기 신호 단자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2)의 외면 중 상기 신호 단자가 결합되는 면을 상기 하우징(202)의 일면이라 하고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면을 타면이라할 때, 상기 하우징(202)의 일면에는 상기 홈(201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2)의 타면에는 홀(2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05)은 커버(280)가 결합되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2)의 내부에는 제1심선(230), 제2심선(240) 및 이너 케이스(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20)는 상기 하우징(202)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220)은 상기 하우징(20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2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이 탄성 변형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케이스(220)의 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복수의 가압돌기(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222)는 상기 이너 케이스(2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신호 단자가 결합 시 상기 신호 단자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돌기(222)는 내측을 향해 탄성력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의 결합 시 상기 가압돌기(222)는 상기 신호 단자를 상기 커넥터(101)내에 고정시키고, 상기 신호 단자가 상기 커넥터(101)로부터 이탈 시 상기 가압돌기(222)는 외측으로 이동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제1심선(230)은 상기 신호 단자의 핀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230) 중 상기 핀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핀이 결합되는 결합홀(2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09)은 상기 제1심선(230)의 일단이 상기 결합홀(209)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이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2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단면은 가상의 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의 원에는 상기 제2심선(240)이 배치되는 수용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33)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3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32)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신호 전달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234)는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한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234)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230)은 상기 결합홀(209)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신호 단자의 핀과 접촉되어,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신호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240)은 상기 제1심선(2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2심선(240)은 상기 제1심선(230)의 상기 수용홈(233)에 배치되는 단자부(242)와, 상기 단자부(24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2신호 전달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42)는 상기 수용홈(233)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42)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42)의 단부는 상기 제1심선(230)의 단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자부(242)의 단부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32)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242)의 단부는 상기 수용홈(233) 내에 배치되어 단면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32)의 단면과 가상의 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209)에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 시, 상기 핀은 상기 플레이트(232)뿐 만 아니라 상기 단자부(242)에도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심선(230)과 상기 제2심선(2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 예예 따른 커넥터의 회로 구성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회로 구성을 원용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심선(230)의 제1신호 전달부(23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제2신호 전달부(146)에 대응되고, 상기 제2심선(240)의 제2신호 전달부(24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신호 전달부(135)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미 결합 시, 상기 제2신호 전달부(244)에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 시 상기 제1심선(230)과 상기 제2심선(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1심선(230)의 그라운드 영역에 의해 상기 제2심선(240) 또한 로우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심선(240)의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커넥터의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있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튜너의 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301)는 하우징(302과, 상기 하우징(302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30)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심선(320) 및 제2심선(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301)는 전자기기(일 예로 TV)의 외면에 배치되는 F-Jack 타입의 암 커넥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301)는 하우징(30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2)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2)의 일면에는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을 통해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면 후술할 제1심선(320) 및 제2심선(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3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단자에는 상기 하우징(302)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 또는 나사홈(304)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단자는 홈에 상기 하우징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30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의 핀이 상기 하우징(302)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2)의 일측에는 후술할 제2심선(33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30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07)은 상기 하우징(302)의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07)은 상기 하우징(302)의 단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30)이 배치되는 방향인 후방으로 소정거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제2심선(3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302)의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2)의 내부에는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제2심선(330)을 수용하여 상기 하우징(302)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홀더(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선(320)은 제1단자(324), 상기 제1단자(324)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302)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제1신호 전달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자(324)는 신호 단자의 핀이 끼워지는 제1결합홀(32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322)은 상기 핀이 끼워지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이 상기 제1결합홀(322)에 끼워져 상기 제1단자(324)와 접촉되면, 상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심선(320)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입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단자(324)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호 접촉되도록 돌출부(32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3)는 상기 제1결합홀(322)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핀이 상기 제1결합홀(322)에 결합 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돌출부(323)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이 상기 제1단자(324)에 결합 시, 상기 돌출부(323)가 상기 핀의 외면을 가압하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323)가 상호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단자가 결합 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 간격은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제2심선(330) 사이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326)는 상기 제1단자(324)의 단부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 전달부(326)는 상기 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결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1신호 전달부(32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330)은 상기 제1심선(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1심선(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330)은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영역(332)을 가진다. 상기 제1영역(332)은 축 형상을 가지는 제2영역(333)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영역(332)은 상기 상기 제2영역(333)의 일부가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2) 내에서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제2심선(330)은, 상기 제1영역(332)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영역(332)은 상기 하우징(30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제1영역(332)은 상기 하우징(302)의 관통홀(307)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30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가 결합 시, 후술할 상기 신호 단자의 커버와 접촉되어 상기 제2심선(330)은 그라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 방향의 상기 제2심선(330)의 후단부에는 제2신호 전달부(334)가 배치된다. 상기 제2신호 전달부(334)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전원 제공부(미도시)로부터 직류 전원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가 미 결합 시, 상기 제2심선(330)에는 하이 레벨이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튜너 및 커넥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튜너의 회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튜너(300) 및 상기 커넥터(301)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심선(32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신호 단자의 신호를 통해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신호 감지부로도 이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제2심선(330)은 각각 상기 제1신호 전달부(326)와 상기 제2신호 전달부(334)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33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사이에는 저항부(370)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신호 전달부(33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1심선(3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사이에는 인덕터부(360)가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상기 제1심선(3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인덕터부(360) 및 상기 저항부(37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저항부(174) 및 인덕터부(172)에 관한 기능을 원용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심선(320)은 또한 그라운드부(36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심선(320)에는 그라운드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1)에 결합되는 상기 신호 단자(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과, 상기 케이블(2)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버(3) 및 상기 커버(3)의 내측에 형성되는 핀(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4)이 상기 하우징(302)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302)의 내부로 삽입 시, 상기 제1심선(320)의 제1결합홀(322)로 삽입되어 상기 제1심선(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호 단자(5)의 신호가 상기 제1심선(320)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 튜너가 TV일 경우, 입력되는 신호는 방송신호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는 그라운드 영역의 전압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3)는 상기 하우징(30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304)에 내주면이 나사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핀(4)이 상기 하우징(30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3)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302)의 외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302)의 외면, 즉 상기 관통홀(30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1영역(332)은 상기 커버(3)의 내면에 접촉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영역(332)은 상기 커버(3)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302)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커버(3)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선(330)은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 즉 상기 제1영역(332)이 상기 관통홀(307)을 통해 상기 하우징(302)의 외부를 향하는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신호 단자(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커버(3)의 내면에 상기 제1영역(332)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심선(330)은 그라운드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의 전원 제공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제2심선(330)에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이 되면, 상기 제1영역(332)과 상기 커버(3)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심선(330)에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 즉 신호 감지부는 상기 제2심선(330)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감지 시, 상기 커넥터(301)에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제2심선(330)에 로우 레벨의 전압이 감지 시, 상기 커넥터(301)에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단자(5)의 결합에 따라 상기 제2심선(330)의 전압이 달라지므로, 신호 감지부는 용이하게 상기 신호 단자(5)의 결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단자(5)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심선(320)을 통해 상기 신호 단자(5)의 입력 신호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품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심선; 및
    상기 제1심선과 이격되는 제2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영역과 제1영역에서 연장되고 직선 형태를 갖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의 상기 제1영역은 절곡된 형상이고,
    상기 관통홀은 신호 단자가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제2심선과의 이격 거리 중 상기 제2심선의 절곡된 부분에서 상기 제1심선까지의 이격 거리가 가장 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제2심선의 각각 단부가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심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그라운드 영역과 결합되는 인덕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심선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저항이 배치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의 일부가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심선은 외부 신호 단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심선은 상기 외부 신호 단자의 미 결합 시 하이(High) 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신호 단자의 결합 시 로우(low) 전압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 신호 단자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커넥터.
  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홀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심선; 및
    상기 제1심선과 이격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2심선;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심선은 단면이 링(Ring) 형상이고 상기 홀더 내 배치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신호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은 전면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 내 배치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2단자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자는 사이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홀에 핀이 결합 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1단자의 내면에 접촉되는 커넥터.
  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심선; 및
    상기 이너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심선에는 상기 제2심선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심선은 상기 수용홈 내 배치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단부면과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기 제1심선의 단부면은 가상의 원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의 원의 내측에 신호 단자의 핀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원주 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제1심선의 단부면의 원주 방향 길이 보다 작은 커넥터.
  8.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심선;
    상기 제1심선과 이격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는 제2심선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상기 제1심선의 일단 및 상기 제2심선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심선의 상기 제1영역은 절곡된 형상이고,
    상기 관통홀은 신호 단자가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튜너.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32770A 2018-03-21 2018-03-21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KR10253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70A KR102530090B1 (ko) 2018-03-21 2018-03-21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70A KR102530090B1 (ko) 2018-03-21 2018-03-21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35A KR20190110835A (ko) 2019-10-01
KR102530090B1 true KR102530090B1 (ko) 2023-05-09

Family

ID=6820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770A KR102530090B1 (ko) 2018-03-21 2018-03-21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51B1 (ko) * 2016-06-29 2017-11-30 주식회사 솔루엠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950B1 (ko) * 2016-07-08 2018-03-14 주식회사 솔루엠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622943B1 (ko) * 2016-09-30 2024-01-10 주식회사 솔루엠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51B1 (ko) * 2016-06-29 2017-11-30 주식회사 솔루엠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35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7957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internally concealed grounding pin
US7635280B1 (en) Type A USB receptacle with plug detection
US10290978B2 (en) Female connector, connector module having the fema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nnector module
CN104362451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US20040043651A1 (en) AC adapter connector assembly
US20120252279A1 (en) Connector An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CN107078445A (zh) 用于电容性传输数据的插拔式连接器
WO2020217615A1 (ja) 電子ペン
KR102588118B1 (ko)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KR2022000423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40007307A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530090B1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US8746990B2 (en) Universal modular connector
US7806734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1803251B1 (ko) 암 커넥터, 이를 갖는 커넥터 모듈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US10211576B2 (en) Connector with self-powered mating detection
KR102626408B1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튜너
KR101688333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JP2009259553A (ja) コネクタ
CN111883956B (zh) 输入连接装置
US11122699B2 (en) Input connection device
CN113013684B (zh) 双接头存储器装置以及传输控制电路
US10992082B2 (en) Impedance-matching connection device
US20040048496A1 (en) Electrical device connection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