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198A - 승강 도어 - Google Patents

승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198A
KR20130080198A KR1020120000987A KR20120000987A KR20130080198A KR 20130080198 A KR20130080198 A KR 20130080198A KR 1020120000987 A KR1020120000987 A KR 1020120000987A KR 20120000987 A KR20120000987 A KR 20120000987A KR 20130080198 A KR20130080198 A KR 2013008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support panel
guide sho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591B1 (ko
Inventor
유병삼
배종곤
권은진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5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에 안내홈을 갖도록 구비된 도어레일과;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로 상기 안내홈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가이드슈; 및 상기 지지패널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된 가이드슈가 상기 도어레일의 안내홈 양측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 도어의 하부와 도어레일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승강 도어에 인위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레일에서 승강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구성 부품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 도어{LIFTING DOOR}
본 발명은 승강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패널의 하부로 형성된 지지패널과, 지지패널에 결합된 가이드슈가 도어레일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승강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한 소음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의 각 층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승강 장치로서,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케이블과 고정 도르래 장치를 사용해서 전동기로 움직인다.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에 승강장이 구비되고, 승강장에는 탑승 대기자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승강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도어는 승강 케이지가 해당 층에 정위치 되었을 때 승강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승강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도어 레일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에 의해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슈우는 승강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승강 도어가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직접 굉장히 큰 외력을 받게 되어 도어 레일에 수용되어 있는 슈우가 구부러지거나 슈우를 고정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헐거워져 망실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다.
승강 도어는 하단부에 가이드슈가 구비되어, 이러한 가이드슈 부분이 엘리베이터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옆으로 여닫히게 되는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장난으로 인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승강 도어의 대략 중간 부분이 안쪽 방향(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방향)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가이드슈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이탈되면서 승강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므로, 승객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등록 943458(2010.2.22)호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서는 실에 삽입되는 가이드슈와 이탈방지브라켓이 도어의 하부에 각각 별도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조립부품과 공정이 더 소요되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 122740(2009.12.1)호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장도어의 외측면 하부에 가이드홈지지부의 차단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판이 볼트로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체결작업시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내충격에 충분히 저항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899955(2009.5.22)호의 엘리베이터 승강 도어 이탈방지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실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슈가 브라켓과 볼트에 의하여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어지고, 레일홈의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브라켓이 볼트에 의하여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체결작업시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내충격에 충분히 저항치 못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개특허 83986(2011.7.21)호의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제안되었으나, 도어패널의 하부 양측에 가이드슈가 볼트결합되어지고, 가이드슈가 결합된 도어패널의 가운데 이탈방지브라켓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으로써, 체결작업시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내충격에 충분히 저항치 못하는 동일한 문제점과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승강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승강 도어의 하부와 도어레일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승강 도어에 인위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레일에서 승강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구성 부품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패널(10)과; 상기 도어패널(10)의 하부에 안내홈(21)을 갖도록 구비된 도어레일(20)과; 상기 도어패널(10)의 하부로 상기 안내홈(21)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패널(30)과; 상기 지지패널(30)에 결합된 가이드슈(40); 및 상기 지지패널(30)이 상기 안내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패널(30)에 결합된 가이드슈(40)가 상기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 양측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10)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전면부재(11)와; 상기 전면부재(11)의 양측으로 수직부재(121)가 찬넬형태를 갖도록 배면에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 사이드보강부(12); 및 상기 전면부재(11)의 상부에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배면에 일체로 절곡된 결합부재(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30)은 도어패널(10)의 하부에 배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수평지지패널(31)과; 상기 수평지지패널(31)의 끝에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지지패널(32)과; 상기 수평지지패널(31)과 수직지지패널(32)이 절곡된 절곡부(33)의 양측에 가이드슈 삽입구(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수평지지패널(31)에 형성된 수평삽입홀(341)과;상기 수평지지패널(31)이 절곡된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된 수직삽입홀(342)과; 상기 수평삽입홀(341)과 수직삽입홀(342)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삽입홀(342)의 하부에 가이드슈 지지부(343)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된 수직삽입홀(342)의 입구 양측에 가이드슈 걸림돌기(34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슈 걸림돌기(344)는 상부에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45)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삽입홀(342)의 폭(W) 보다 경사가이드(W')의 폭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4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슈(40)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411)이 형성된 가이드슈 몸체(41)의 장방향 양측으로 삽입가이드홈(4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은 결합홈(4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이 끝나는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가이드(41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슈(40)는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수직인 양측의 외측면에 배부른 형태의 유선부(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패널의 하부로 형성된 지지패널에 결합된 가이드슈가 도어레일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승강 도어가 도어레일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되어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슈가 도어패널의 하부에 일체로 절곡된 지지패널에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구성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강도를 높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승강 도어에 인위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도어레일에서 승강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성 부품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도어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도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도어의 요부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도어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10), 도어레일(20), 지지패널(30) 및 가이드슈(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 도어는 엘리베이터 승강 케이지가 정지하는 승강장 입구측에 설치되어 탑승 대기자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도어는 안내로울러(71)를 갖는 연결판(70)에 의하여 안내레일(72)에 걸쳐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70)에 와이어(73)의 일측이 고정되어있다. 상기 와이어(73)의 타측이 안내레일(72)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방향전환 로울러(74)를 통해 타측의 다른 연결판(70)에 고정되게 구성됨으로써, 미도시한 구동부에 의하여 두개의 승강 도어가 동시에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패널(10)은 금속판이 절단 및 절곡된 것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갖는 전면부재(11)의 양측으로 사이드보강부재(12)가 형성되어 도어패널(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2)는 전면부재(11)의 양측으로 찬넬형태를 갖는 수직부재(121)가 배면방향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패널(10)의 전면부재(11) 상부에는 결합공(131)이 형성된 결합부재(13)가 배면에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3)는 안내레일(72)에 걸쳐진 안내로울러(71)를 갖는 연결판(70)의 하부에 맞대어져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도어레일(20)은 엘리베이터 승강 케이지가 정지하는 승강장 입구측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패널(10)이 안정되게 열리고 닫히게 되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레일(20)은 길이방향으로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 상부에 도어패널(10)의 하부가 위치된다.
상기 지지패널(30)은 도어패널(10)의 하부에 가이드슈(40)가 안정되게 결합되어지는 가운데 강도를 높여 외부로부터 상기 승강 도어에 인위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도어레일(20)에서 승강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패널(30)은 도어패널(10)의 하부에 수평지지패널(30)이 배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되고, 절곡된 상기 수평지지패널(31)의 끝에 수직지지패널(32)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수평지지패널(31)과 수직지지패널(32)이 절곡된 절곡부(33)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슈(40)가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슈 삽입구(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가이드슈(4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지는 공간을 갖는 수평삽입홀(341)이 수평지지패널(3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홀(341)에 연통되는 수직삽입홀(342)이 상기 수평지지패널(31)이 절곡된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삽입홀(341)에 연통된 수직삽입홀(34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슈(40)의 결합홈(41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이드슈 지지부(3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가이드슈(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지고,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된 수직삽입홀(342)의 입구측 양측에 가이드슈 걸림돌기(344)가 마주보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슈 걸림돌기(344)는 상부에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45)가 형성되어 가이드슈(40)의 삽입가이드홈(412)을 통해 결합홈(411)이 가이드슈 지지부(343)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삽입홀(342)의 폭(W) 보다 경사가이드(W')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가이드슈(40)가 가이드슈 삽입구(34)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슈 걸림돌기(344)의 하부가 가이드슈 몸체(41)의 상부에 맞대어져 역방향으로 가이드슈 몸체(41)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 된다.
상기 가이드슈(40)는 도어패널(10)이 좌,우로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지지패널(30)에 형성된 수직지지패널(32)이 도어레일(20)에 형성된 안내홈(21)의 내측벽에 맞대어져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가운데 도어패널(1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슈(4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슈(40)는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수직인 양측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배부른 형태인 유선부(42)를 갖는 가이드슈 몸체(41)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슈 몸체(41)는 하부에 결합홈(4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결합홈(411)이 형성된 장방향 양측에 삽입가이드홈(4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411)은 지지패널(30)의 수직삽입홀(342)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슈 지지부(343)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슈 몸체(41)의 장방향 양측에는 결합홈(411)과 연결되는 삽입가이드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은 결합홈(4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411)은 수직삽입홀(342)의 입구측에 형성된 가이드슈 걸림돌기(344)를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삽입 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이 끝나는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가이드(4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413)는 가이드슈 몸체(41)가 도어레일(20)에 형성된 안내홈(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패널(30)과 가이드슈(40)는 지지패널(30)이 도어레일(20)에 형성된 안내홈(21)에 삽입되어짐으로써, 지지패널(30)에 결합된 가이드슈(40)가 상기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 양측벽 사이에 위치 된다.
이와 같은 승강 도어는 먼저, 수평지지패널(30)과 수직지지패널(32)의 절곡부(33)에 연통되게 형성된 가이드슈 삽입구(34)의 수평삽입홀(341)에 가이드슈(40)를 삽입한다.
다음, 가이드슈 몸체(41)에 형성된 삽입가이드홈(412)이 수직삽입홀(342)의 입구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슈 걸림돌기(344) 사이를 지나는 과정에서 가이드슈 몸체(41)가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어느 정도 폭이 좁아져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슈 몸체(4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411)의 하부가 수직삽입홀(342)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슈 지지부(343)에 일치하게 되고, 이상태에서 가이드슈 몸체(41)가 더 하부로 삽입시키면 가이드슈 걸림돌기(344)의 하부가 가이드슈 몸체(41)의 상부에 일치됨과 동시에 복원되어짐으로써, 가이드슈(40)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가이드슈(40)가 조립 또는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패널(10)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패널(30)이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에서 이동하여 분리되려고 하나, 이때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 사이에 가이드슈 몸체(41)가 삽입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그 이동이 제한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10:도어패널 11:전면부재
12:사이드보강부 13:결합부재
20:도어레일 21:안내홈
30:지지패널 31:수평지지패널
32:수직지지패널 33:절곡된 절곡부
34:가이드슈 삽입구 40:가이드슈
41:가이드슈 몸체 42:유선부
121:수직부재 131:결합공
341:수평삽입홀 342:수직삽입홀
343:가이드슈 지지부 344:가이드슈 걸림돌기
345:삽입가이드 411:결합홈
412:삽입가이드홈 413:경사가이드

Claims (8)

  1. 도어패널(10)과;
    상기 도어패널(10)의 하부에 안내홈(21)을 갖도록 구비된 도어레일(20)과;
    상기 도어패널(10)의 하부로 상기 안내홈(21)을 향하여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패널(30)과;
    상기 지지패널(30)에 결합된 가이드슈(40); 및
    상기 지지패널(30)이 상기 안내홈(2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패널(30)에 결합된 가이드슈(40)가 상기 도어레일(20)의 안내홈(21) 양측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0)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전면부재(11)와;
    상기 전면부재(11)의 양측으로 수직부재(121)가 찬넬형태를 갖도록 배면에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 사이드보강부(12); 및
    상기 전면부재(11)의 상부에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배면에 일체로 절곡된 결합부재(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30)은 도어패널(10)의 하부에 배면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수평지지패널(31)과;
    상기 수평지지패널(31)의 끝에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지지패널(32)과;
    상기 수평지지패널(31)과 수직지지패널(32)이 절곡된 절곡부(33)의 양측에 가이드슈 삽입구(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수평지지패널(31)에 형성된 수평삽입홀(341)과;
    상기 수평지지패널(31)이 절곡된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된 수직삽입홀(342)과;
    상기 수평삽입홀(341)과 수직삽입홀(342)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삽입홀(342)의 하부에 가이드슈 지지부(343)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 삽입구(34)는 수직지지패널(32)에 형성된 수직삽입홀(342)의 입구 양측에 가이드슈 걸림돌기(344)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슈 걸림돌기(344)는 상부에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가이드(345)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삽입홀(342)의 폭(W) 보다 경사가이드(W')의 폭이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4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40)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411)이 형성된 가이드슈 몸체(41)의 장방향 양측으로 삽입가이드홈(4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은 결합홈(4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가이드홈(412)이 끝나는 모서리에 경사진 경사가이드(41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슈(40)는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수직인 양측의 외측면에 배부른 형태의 유선부(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도어.
KR1020120000987A 2012-01-04 2012-01-04 승강 도어 KR10128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987A KR101285591B1 (ko) 2012-01-04 2012-01-04 승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987A KR101285591B1 (ko) 2012-01-04 2012-01-04 승강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198A true KR20130080198A (ko) 2013-07-12
KR101285591B1 KR101285591B1 (ko) 2013-07-15

Family

ID=4899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87A KR101285591B1 (ko) 2012-01-04 2012-01-04 승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59B1 (ko) 2014-05-02 2014-07-07 세화정공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071A (ko) * 2007-03-21 2008-09-25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200443973Y1 (ko) * 2007-07-26 2009-03-31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00101411A (ko)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591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201708836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094345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101453994B1 (ko) 이탈방지판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KR101977184B1 (ko) 탑승 안전 유도형 엘리베이터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20029698A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0410575Y1 (ko) 안전브러시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KR20240034501A (ko) 승장 도어 이탈 방지 장치
KR20130006343U (ko)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