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858A -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9858A KR20130079858A KR1020120000604A KR20120000604A KR20130079858A KR 20130079858 A KR20130079858 A KR 20130079858A KR 1020120000604 A KR1020120000604 A KR 1020120000604A KR 20120000604 A KR20120000604 A KR 20120000604A KR 20130079858 A KR20130079858 A KR 20130079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verse osmosis
- porous support
- osmosis composite
- composite membrane
- 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 aromatic poly (acyl halide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0
- GHMLBKRAJCXXBS-UHFFFAOYSA-N resorcinol Chemical compound OC1=CC=CC(O)=C1 GHMLBKRAJCXXB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50000001266 acy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695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QIGBRXMKCJKVMJ-UHFFFAOYSA-N Hydroquinone Chemical compound OC1=CC=C(O)C=C1 QIGBRXMKCJKVM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UWCPYKQBIPYOLX-UHFFFAOYSA-N benzene-1,3,5-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l)=O)=CC(C(Cl)=O)=C1 UWCPYKQBIPYOL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JRNVQLOKVMWBFR-UHFFFAOYSA-N 1,2-benzenedithiol Chemical compound SC1=CC=CC=C1S JRNVQLOKVMWB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XMUZQOKACOLCSS-UHFFFAOYSA-N [2-(hydroxymethyl)phen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C=CC=C1CO XMUZQOKACOLCS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FDQSRULYDNDXQB-UHFFFAOYSA-N benzene-1,3-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Cl)=O)=C1 FDQSRULYDNDXQ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VCCBEIPGXKNHFW-UHFFFAOYSA-N biphenyl-4,4'-diol Chemical group C1=CC(O)=CC=C1C1=CC=C(O)C=C1 VCCBEIPGXKNHF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IMHDGJOMLMDPJN-UHFFFAOYSA-N dihydroxybiphenyl Natural products OC1=CC=CC=C1C1=CC=CC=C1O IMHDGJOMLMDPJ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LXEJRKJRKIFVNY-UHFFFAOYSA-N terephthalo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l)=O)C=C1 LXEJRKJRKIFVN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WLALWYNXFYRGW-UHFFFAOYSA-N 2-Ethyl-1,3-hexanediol Chemical compound CCCC(O)C(CC)CO RWLALWYNXFYRG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9093 NaOC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015975 1,2-hexanediol Drugs 0.000 description 2
- DLFVBJFMPXGRIB-UHFFFAOYSA-N 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N)=O DLFVBJFMPXGR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NUQCWPJISA-N 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14C](=O)CC[14C](O)=O KDYFGRWQOYBRFD-NUQCWPJI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HKSXSQHXQEMOK-UHFFFAOYSA-N hexane-1,2-diol Chemical compound CCCCC(O)CO FHKSXSQHXQEM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TYFQFVWCELRYAO-UHFFFAOYSA-N sube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O)=O TYFQFVWCELRY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RMUNVKIHCOMHV-UHFFFAOYSA-M tetrabutylam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CC[N+](CCCC)(CCCC)CCCC JRMUNVKIHCOMHV-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OPJNTWMNEORI-GMSGAONNSA-N (S)-camphor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S(O)(=O)=O)C(=O)C[C@@H]1C2(C)C MIOPJNTWMNEORI-GMSGAONNSA-N 0.000 description 1
- ZNQVEEAIQZEUHB-UHFFFAOYSA-N 2-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OCCO ZNQVEEAIQZEU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82 Polyethylene Glycol 6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5 aliphatic alk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10 chemical reaction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13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CCCMOQWYVYDOT-UHFFFAOYSA-N hex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CCC(O)O ACCCMOQWYVYD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847 polyethylene glycol 600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6—Membranes in the pores of a support, e.g. polymerized in the pores or vo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4—Chemically bonded layers, e.g. cross-lin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8—Poly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5—Use of additives
- B01D2323/218—Additive materials
- B01D2323/2182—Organic additives
- B01D2323/21823—Alcohols or hydroxydes, e.g. ethanol, glycerol or phen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19—Specific solvent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표면에 형성된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복합막은, 높은 투과도와 염 제거율을 지닌 동시에 내염소성이 우수하여, 해수담수화 공정에 사용되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분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 분리막은 해수담수화 과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해수에는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해수를 역삼투 분리막에 적용하기 전에 NaOCl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로 처리하여 미생물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사용된 NaOCl은 모두 제거되지 않고 일부 해수에 잔존하게 된다.
현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처리용 역삼투 복합막은 대부분 폴리아마이드계 복합막으로서,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가교된 폴리아마이드 층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 복합막은 우수한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아마이드 결합이 염소 이온의 공격에 매우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NaOCl과 같은 강한 산화제에 쉽게 분해되므로 내염소성이 저조하여, 장기간 사용시 분리막의 투과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분리막의 활용도를 높이고 경제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내염소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해수담수화용 역삼투막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염소성이 우수한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표면에 형성된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복합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체 상에서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을 계면중합(interfacial polymerization) 반응시켜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은 높은 투과도와 염 제거율을 지닌 동시에 내염소성이 우수하여, 해수담수화 공정에 사용되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역삼투 복합막의 활성층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표면에 형성된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활성층은 방향족 다가 알콜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가 가교 중합되어 형성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들이 다공성 지지체 상에서 계면중합을 통해 형성된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은 레조시놀, 하이드로퀴논, 벤젠디메탄올, 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 벤젠디티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 레조시놀 또는 하이드로퀴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는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삼투막에서의 폴리에스터계 활성층은 방향족 다가 알콜, 및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외에도 지방족 다가 알콜 및/또는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등의 추가적인 단량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및 2-에틸-1,3-헥산디올(EHD)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콜 성분과,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등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에 사용되는 다공성 지지체는 분리막이 필요로 하는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투과액이 투과할 때 투과저항을 최소화하기에 적합한 다공성 구조로서, 지상 구조와 스폰지 구조를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성 기재 위에 폴리설폰, 폴리이써설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의 용액을 캐스팅한 후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얻어진 다공성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한외여과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지지체는 분획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0 g/mol 인 기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 g/mol 인 것이 좋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도는 60 내지 90 % 일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투과도 및 염 제거율 면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부직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의 재질의 부직포일 수 있으며, 이 중 폴리에스터계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고, 나노섬유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은 분획분자량이 400 g/mol 이하인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고, 20 내지 60 %의 기공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에서 폴리에스터 활성층의 두께는 5 내지 500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은, 비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활성층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아마이드계 고분자 활성층을 구비한 역삼투막에 비해 내염소성이 우수하다. 또한, 운전압력이 증가할수록 구동력(driving force)이 증가하여 투수량이 증가하고, 용질의 투과도가 압력과 상관없이 일정한 반면에 투수량이 증가하여 운전압력이 증가할수록 투과수 내의 용질함량이 감소하여 제거율이 증가하여, 높은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나타내므로, 효율적인 해수담수화 분리막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은 계면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성 기재에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한 뒤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기공을 형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폴리설폰, 폴리이써설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의 용액일 수 있으며, 해당 고분자를 고분자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고분자와 용매 외에도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기공형성제, 친수성 고분자 등을 고분자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용액의 조성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제조되는 다공성 지지체가 적절한 크기의 기공을 지닐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 제조를 위한 캐스팅 공정 및 상전이 공법은 각각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는 기공의 수축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기 전까지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며 사용하기 전에 다시 충분한 증류수로 씻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폴리에스터 활성층의 형성
다음으로, 다공성 지지체를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에 침지시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으로 채운 후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존재하는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을 제거한 다음, 그 결과 얻은 다공성 지지체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에 침지시켜 방향족 다가 알콜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를 계면중합 반응시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은 0.5 내지 10.0 중량%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매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NaOH, 글리세롤, 알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은 0.1 내지 5.0 중량%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매로는 탄소수 8~12개의 알칸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노르말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 탄소수 8~12개의 알칸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환경문제를 고려하고 및 비등점으로 인한 화재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 및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이 상기의 바람직한 조성을 갖출 때, 추후 계면중합법에 의하여 합성되는 폴리에스터 활성층이 리지앤밸리(ridge and valley)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 및/또는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에는, 지방족 다가 알콜 및/또는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계면중합 보조제로서 글리세롤과 같은 알킬계 알콜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고, 또한 제막을 용이하게 하고 생성된 역삼투막의 투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캠포설폰산, 라우릴황산나트륨, 헥산디올,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방향족 다가 알콜로 채우는 방법으로서 침지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이 남아있지 않도록 제거시키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롤러를 적당한 압력으로 눌러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방향족 다가 알콜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가 계면중합하는 반응의 일례를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계면중합 반응은 5초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10초 내지 2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일 때, 합성되는 폴리에스터 활성층의 두께가 보다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중합법을 이용함으로써,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얇은 두께의 가교된 고분자 층을 쉽게 형성할 있고 제조된 중합층이 높은 가교도를 가지게 되어매우 높은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단량체의 당량비를 정확히 맞추지 않고도 높은 분자량을 지닌 고분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고분자의 형성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복합막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분리막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3) 후처리 단계
폴리에스터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는 후처리 공정으로서 열처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처리 공정을 통해, 반응 용매가 모두 제거될 수 있고 형성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이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소수성-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서 잘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역삼투 복합막의 물리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조된 역삼투 복합막은 다시 증류수에 적신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폴리이써설폰 코팅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이써설폰(PES, Solvay사) 18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600(PEG600, 삼천사) 10중량%, 및 에톡시에탄올(Aldrich사) 20중량%를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Junsei사)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기재인 부직포 위에 상기 제조한 용액을 150㎛의 두께로 캐스팅한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여 분획분자량이 한외여과막 수준의 50,000g/mol 정도인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상전이가 끝난 한외여과막을 4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남아있는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뒤,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50% 에탄올 용액에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남아 있는 용액을 완전히 제거시켰다.
제조예 2: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코팅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이써설폰 18중량%를 N-메틸피롤리돈(NMP, Junsei사) 용매에 녹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기재인 부직포 위에 상기 제조한 용액을 150㎛의 두께로 캐스팅한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여 분획분자량이 한외여과막 수준의 50,000g/mol 정도인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상전이가 끝난 한외여과막을 4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남아있는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뒤,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0℃에서 0.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1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0.1M의 염산 용액에서 1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남아 있는 용액을 완전히 제거시켰다.
실시예 1: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폴리에스터 활성층의 제조를 위해,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레조시놀(Aldrich사) 3.0중량% 및 수산화나트륨(NaOH, Junsei사) 1.2중량%를 포함하는 레조시놀 수용액을 제조한 뒤, 여기에 앞서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다공성 지지체를 1분간 담그었다가 꺼내어 표면에 남아있는 용액을 고무롤러로 제거하였다.
이 후,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TMC, Aldrich사)가 0.2중량%로 유기용매(Isol-C, SK Chem사)에 용해된 용액에 1분간 담그어 계면중합 반응시킨 뒤, 꺼내어 42℃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시켜 역삼투 복합막을 얻었다.
실시예 2: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상기 레조시놀 수용액에 라우릴황산나트륨(Aldrich사) 0.15중량%, 이소프로필알콜(Aldrich사) 5.0중량%, 및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Aldrich사) 0.11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상기 레조시놀 수용액에 추가적으로 1,2-헥산디올(Aldrich사), 1,6-헥산디올(Aldrich사), 및 2-에틸-1,3-헥산디올(EHD, Aldrich사)와 같은 지방족 디올을 각각 0.3중량%씩 첨가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상기 레조시놀 수용액에 추가적으로 숙신산, 아디프산 및 수베르산을 각각 0.3중량%씩 첨가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레조시놀 대신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레조시놀 대신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다공성 지지체로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다공성 지지체로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다공성 지지체로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절차로 수행하되, 다공성 지지체로서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역삼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표면의 SEM 관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역삼투 복합막의 활성층 표면의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활성층 표면이 리지앤벨리(ridge and valley) 구조를 나타냄으로써 표면의 거칠기(roughness)를 증가시키고 막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켜 역삼투 복합막의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험예 2: 투과 성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역삼투 복합막을 이용하여 1,000ppm의 NaCl 수용액을 상온에서 투과시켜 평가하였으며, 투과유량은 1.4LPM이었고, 800psi에서 2시간 동안 압밀화시킨 후 압력을 낮추면서 각각의 압력에서 30분간 운전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운전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와 배제율은 증가하여 역삼투막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9에서 얻은 역삼투 복합막을 이용하여 1,000ppm의 NaCl 수용액을 상온 및 400 psi 조건에서 투과시켜 분리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 투과도 (㎥/㎡day) | NaCl 배제율 (%) |
1 | 1.5 | 95.9 |
2 | 1.7 | 96.7 |
3 | 1.8 | 99.5 |
4 | 1.6 | 96.9 |
5 | 1.6 | 97.3 |
6 | 1.7 | 98.4 |
7 | 1.8 | 97.9 |
8 | 1.9 | 99.8 |
9 | 1.7 | 97.1 |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역삼투 복합막은 투과도 및 염 배제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내염소성 평가
역삼투 복합막의 내염소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및 5의 역삼투 복합막의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1%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에 500mg씩 넣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후 진공 건조하였다. 염소 이온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폴리에스터의 Tg 값의 변화를 시차주사열량측정법(DSC)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 처리전 Tg (℃) | 처리후 Tg (℃) |
실시예 1의 폴리에스터 활성층 | 176.95 | 175.79 |
실시예 5의 폴리에스터 활성층 | 146.04 | 145.67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염소 노출 전후의 Tg 값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염소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0)
-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표면에 형성된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포함하는 역삼투 복합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이 방향족 다가 알콜 및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가 가교 중합된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이 레조시놀, 하이드로퀴논, 벤젠디메탄올, 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 벤젠디티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가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설폰, 폴리이써설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 층이 다공성 기재 상에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
- 다공성 지지체 상에서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을 계면중합 반응시켜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가교된 폴리에스터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중합 반응이,
다공성 지지체를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에 침지시켜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으로 채운 후,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존재하는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을 제거한 다음,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에 침지시켜 방향족 다가 알콜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를 5초 내지 10분 동안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과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 중 적어도 하나에 중합 보조제로서 알킬계 알콜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다가 알콜 용액은 0.5 내지 10.0 중량%의 농도를 가지고,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고, NaOH, 글리세롤 또는 알콜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다가 아실할라이드 용액은 0.1 내지 5.0 중량%의 농도를 가지고, 용매로서 탄소수 8~12개의 알칸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또는 노르말헥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다공성 기재 상에 폴리설폰, 폴리이써설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수지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의 용액을 캐스팅한 뒤 상전이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복합막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604A KR101334924B1 (ko) | 2012-01-03 | 2012-01-03 |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604A KR101334924B1 (ko) | 2012-01-03 | 2012-01-03 |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858A true KR20130079858A (ko) | 2013-07-11 |
KR101334924B1 KR101334924B1 (ko) | 2013-12-02 |
Family
ID=4899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604A KR101334924B1 (ko) | 2012-01-03 | 2012-01-03 |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92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17536A (zh) * | 2019-12-30 | 2021-07-16 | 滁州学院 | 一种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516003A (zh) * | 2020-06-01 | 2022-12-23 | 韩国商东丽先端素材株式会社 | 有机溶剂可溶性共聚聚酯、包含其的超滤膜形成用组合物及由其制备的高透水性反渗透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3370B1 (ko) * | 1995-07-07 | 1999-04-15 | 김은영 |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활성층을 갖는 역삼투용 복합막 |
KR20000037215A (ko) * | 2000-04-12 | 2000-07-05 | 김태열 | 폴리아마이드계의 역삼투복합막 제조 방법 |
KR101103384B1 (ko) | 2009-11-23 | 2012-01-06 | 한국화학연구원 | 친수성 및 내염소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2
- 2012-01-03 KR KR1020120000604A patent/KR10133492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17536A (zh) * | 2019-12-30 | 2021-07-16 | 滁州学院 | 一种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3117536B (zh) * | 2019-12-30 | 2024-04-09 | 滁州学院 | 一种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516003A (zh) * | 2020-06-01 | 2022-12-23 | 韩国商东丽先端素材株式会社 | 有机溶剂可溶性共聚聚酯、包含其的超滤膜形成用组合物及由其制备的高透水性反渗透膜 |
CN115516003B (zh) * | 2020-06-01 | 2024-03-19 | 韩国商东丽先端素材股份有限公司 | 有机溶剂可溶性共聚聚酯、包含其的超滤膜形成用组合物及由其制备的高透水性反渗透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4924B1 (ko) | 2013-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36438B2 (ja)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JP6295949B2 (ja) | 複合半透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978998B2 (ja) | 複合半透膜、複合半透膜エレメントおよび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JP6197649B2 (ja) | 複合半透膜 | |
KR101374279B1 (ko) | 탄소나노튜브가 결합된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3635242A (zh) | 嵌入分子笼型化合物的薄膜复合膜 | |
JP6237232B2 (ja) | 複合半透膜 | |
KR101522681B1 (ko) | 그래핀 옥사이드가 함침된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나노복합막 | |
KR101114668B1 (ko) |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 | |
JPWO2014133133A1 (ja) | 複合半透膜 | |
KR20150084503A (ko) | 내유기용매성 나노여과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여과막 | |
KR101374273B1 (ko) | 탄소나노튜브로 코팅된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34924B1 (ko) | 폴리에스터계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87764B1 (ko) | 폴리아미드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나노복합막 | |
WO2021126085A1 (en) | A smooth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 |
CN111036094B (zh) | 一种耐氯型复合反渗透膜及制备方法与应用 | |
JP2013223861A (ja) | 複合半透膜 | |
KR20210033278A (ko) |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7213501A (ja) | 複合半透膜および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JP4793978B2 (ja)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WO2017002699A1 (ja)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4042593A1 (en) |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 |
WO2024162434A1 (ja) | 複合半透膜、複合半透膜モジュール、流体分離装置及び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Askarizadeh et al. | The new method for making polyamide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 |
KR101143935B1 (ko) | 역삼투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내구성 역삼투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