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782A -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782A
KR20130079782A KR1020120000485A KR20120000485A KR20130079782A KR 20130079782 A KR20130079782 A KR 20130079782A KR 1020120000485 A KR1020120000485 A KR 1020120000485A KR 20120000485 A KR20120000485 A KR 20120000485A KR 20130079782 A KR20130079782 A KR 2013007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film
layer
nail art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영
Original Assignee
안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영 filed Critical 안수영
Priority to KR102012000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9782A/ko
Publication of KR2013007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네일아트용 필름은 액체투과성의 제1 기재층, 액체투과성의 제2 기재층 및 액체비투과성의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재층들을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고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다.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은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사이에 개재된다.
크리스탈색, 오색, 황금색, 갈색, 흑진주색 등 여러 가지의 색을 구비한 재료를 장미 형상, 열대어 형상, 단풍잎 형상, 은행잎 형상, 별 형상 등의 여러모양으로 형성하여 손톱 또는 발톱, 인조 손톱 또는 발톱과 휴대 전화 등에 부착할수 있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손톱에 부착하는 장식부재가 쉽게 변색 및 손상되거나 용이하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손톱 문형이 형성된 하부 금형을 마련하는 스텝, 하부 금형의 소정의 부위에 글리터를 투입하는 스텝, 글리터상에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재료를 투입하는 스텝, 리퀴드와 아크릴릭 파우더를 혼합하여 비드를 형성해서 부재를 투입하는 스텝, 손톱문형에 대응하여 오목형상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압하는 스텝과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분리 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 빠른 방법으로 아트를 완성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네일아트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손톱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손톱의 곡면에 부착되기 쉽도록 장신구 후면을 곡면으로 사출성형 한 후, 장신구 후면의 가운데 부분에 음각부를 넣어 착탈 방지용 해칭을 가한 후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써, 손톱의 곡선을 충분히 살릴뿐 아니라 탈·부착이 자유로운 손톱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식부재는 네일아트용 장식부재 여러가지 색상과 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부착시, 상기 장식부재가 부착 대상체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장식부재에는 그의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 부재와 상기 재료는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는 천연손톱, 발톱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식부재의 제조방법은 네일아트용 장식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손톱 문형이 형성된 하부 금형을 마련하는 스텝, [b] 상기 하부 금형의 소정의 부위에 글리터를 투입
하는 스텝, [c] 상기 글리터상에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를 투입하는 스텝, [d] 리퀴드와 아크릴릭 파우더를 혼합하여 비드를 형성해서 상기 자개 및 글리터상에 투입하는 스텝, [e] 상기 [d]스텝 후, 상기 손톱문형에 대응하여 오목형상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압하는 스텝과 [f]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을 분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리퀴드와 상기 아크릴릭 파우더의 혼합비율은 1 : 1. 5이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용한 장식부재의 사용방법은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여러 모양으로 형성된 재료들을 네일아트용 장식부재의 사용방법으로서, [a] 장식부재를 손톱 및 발톱, 인조손톱 및 인조발톱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는 스텝, [b]브러시로 리퀴드와 파우더를 찍어 비드를 형성하는 스텝, [c] 상기 재료와 함께 손톱 및 발톱, 인조손톱 및 인조발톱 위에까지 브러시로 비드를 펴 바르는 스텝, [d] 상기 [c]스텝 후 상기 장식부재가 굳어 원하는 모양이 형성되면, 그릿파일로 면을 고르게 하고 버핑하여 광을 내는 스텝과 [e] 투명폴리쉬로 마무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재에는 그의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있어서는 장식부재의 형상이 장미형상, 열대어형상, 단풍잎형상, 은행잎형상, 별형상과 같이 가늘고 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크기의 단위가 mm단위이므로 장식부재를 평탄한 모양으로 제조하여 볼록 형상의 손톱부위에 부착할 때, 그 형상의 일부가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식부재의 일부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장식부재에 미세한 홈을 형성하면, 손톱 부위의 부착시 홈 부분이 밴딩기능을 가지므로 장식부재가 손톱 부위에 자연스럽게 부착되게 된다.
다음에 두께 0.05mm정도로 슬러쉬(slush) 커팅 후 다시 색상부위별로 선별한다.
그 후, 색상부위별로 선별 절삭된 판에 아교풀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른색상의 판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10장 정도 탑재하여 개체를 형성한 후, 개체를 고형화하기 위해 개체의 상부의 표면과 하부의 표면에 석고를 바르고, 석고가 발라진 개체의 상부의 표면에 원하는 형상이 마련된 폭 5mm 정도의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도안지를 부착한다.
그 후, 다이아몬드 실톱이 장착된 절삭기를 이용하여 재료들을 도안지의 형상에 따라 절삭한다.
다음에, 절삭된 개체를 약 80℃의 물로 끓인 후, 찬물을 넣어 세척한다.
이 과정을 3∼5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재료판 사이에 부착된 아교풀이 녹으면서 도안지의 형상과 일치된 장식부재만 남게 된다.
상기에 따른 세척후, 개체에서 분리된 각각의 장식부재를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재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장식부재를 네일아트 필름에 사용하기 위한 네일팁(nail tip)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손톱 문형과 동일한 볼록 형상이 형성된 하부 금형을 마련하고, 이 하부금형의 볼록 형상 부위에 빤짝이 가루의 일종인 글리터(glitter)를 투입하고, 투입된 글리터 상에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개체를 투입한다.
또는, 개체을 먼저 투입하고 글리터를 나중에 투입하여도 관계없다.
다음에 리퀴드 탱크와 아크릴릭 파우더 탱크에서 공급된 각각의 리퀴드와 아크릴릭 파우더를 소정량씩 혼합하여 비드를 형성해서 개체과 글리터가 투입된 하부 금형상에 투입한다.
이때, 리퀴드와 아크릴릭 파우더의 혼합비율은 경화 시간 및 강도의 면에서 1 : 1. 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비드은 리퀴드에 의해 하부 금형의 전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된다.
또한, 비드는 상온에서 자연 경화되므로 종래와 같이 가열을 위한 별도의 가열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음에, 비드의 공급 개시에서 약 10∼20초 후 손톱문형에 대응하여 오목형상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을 향해 압압하고, 약 30초∼1분후,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네일팁이 완성된다.

Description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Process for nail art film attached decoration subsidiary materials}
본 발명은 기술은 장식 부재, 실크인쇄지, 코팅층, 접착제를 이용한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으로 손톱에 각종 문양이나 색상을 넣는 네일아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네일아트를 위한 작업은 사람의 손톱을 다듬고 새로운 색상을 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네일 아티스트는 사람의 손톱에 칠해진 기존의 매니큐어를 지우고 새로운 매니큐어를 칠할 수 있다.
작업 과정 중에 손톱, 아세톤 및/또는 매니큐어와 같은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일 아티스트는 이러한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사람의 손목 아래에 수건 또는 종이 타월을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수건은 부산물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 하고 세척으로 인한 비용 증가가 발생하며, 종이 타월은 쉽게 찢어지거나 아세톤 또는 매니큐어와 같은 부산물로 인하여 종이 타월 아래에 놓인 작업대가 오염될 수 있다. 즉, 수건 또는 종이 타월은 위생 및/또는 비용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크리스탈색, 오색, 황금색, 갈색, 흑진주색 등 여러 가지의 색을 구비한 자개를 장미 형상, 열대어 형상, 단풍잎 형상, 은행잎 형상, 별 형상 등의 여러 모양으로 형성한 부재가 네일필름위에 부착되어 손톱 또는 발톱, 인조 손톱 또는 발톱에 부착할 수 있는 장식부재를 부착한 네일아트 필름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미용산업의 발달과 함께 미국을 중심으로 손톱미용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 및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국가에서도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종래의 인조손톱은 단순히 여성의 아름다움의 표현, 깨끗한 이미지의 표현 혹은 에티켓의 표현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네일아트의 사용자가 확산되면서 10대와 20대의 젊은 연령층을 위주로 하는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이들 신세대들에게는 기존의 인조손톱이 아닌 좀더 다양하고 입체감과 생동감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는 네일아트 필름가 점차 부각되고 있다. 즉, 단순한 손톱미용의 개념이 아닌 패션 혹은 유행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개시된 기술은 수분 등을 잘 흡수하면서도 완전히 투과되지 않고 상단의 부재가 분리되지 않으며 질긴 네일아트용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조손톱을 사용하는 기술은 접착제에 의해 천연손톱에 인조손톱을 부착하므로, 부착된 상태가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미적 효과가 미비하고 또한 네일아트가 용이하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톱의 곡면에 부착되기 쉽도록 장신구 후면을 곡면으로 사출성형한 후, 장신구 후면의 가운데 부분에 음각부를 넣어 착탈 방지용 해칭을 가한 후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써, 손톱및 네일아트 필름의 곡선을 충분히 살릴뿐 아니라 탈·부착이 자유로운 손톱용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실크인쇄지, 코팅층 및 접착제가 네일아트 필름상에 마련되고 이를 천연손톱에 부착하는 구조이지만, 이 실크인쇄지 부분이 쉽게 변색 및 손상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부재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므로, 소비자는 전문적인 뷰티살롱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경제적이며 소비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디자인을 표현하고, 손톱의 곡선을 살리면서, 소비자가 혼자서도 쉽게 장신구를 부착할 수 있는 손톱용 장신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실시예들 중에서, 네일 아트용 필름은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액체투과성의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체비투과성의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다.
실시예들 중에서, 네일아트용 필름를 제조하는 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의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개재시켜 적층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네일아트용 필름은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0.03mm 내지 1mm의 두께를 갖는, 액체 투과성의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각각을 외부 층으로 하고, 액체비투과성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층을 내부 층으로 하여 압착 롤러에 의해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3층의 적층구조체 형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연손톱 위에 네일아트를 직접 형성하여 네일아트의 작업과정이 용이하고 또한 네일아트의 보존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부재로서 입체적이고 개인의 취향에 맞게 장식부재를 선택할 수 있는 디자인을 사용한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은 손톱용 장신구는 후면이 손톱의 곡면을 따라 사출성형된 것이므로, 장신구가 손톱의 곡면에 접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손톱의 곡선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톱용 장신구는 착탈 방지용 해칭부분에 접착체를 도포하여 건조시킬때 해칭된 빗살무늬 사이로 접착제가 스며들어 강한 접착력을 유지시켜주므로, 네일아트 필름의 아름다움을 더욱 오래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손톱용장신구는 자연손톱 뿐 아니라 인조손톱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미적 욕구와 경제적, 시간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일아트지를 사용한 종래의 장식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톱 장신구를 아래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아트용 필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손톱의 곡선을 충분히 살릴뿐 아니라 탈·부착이 자유로운 손톱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손톱용 장신구는 손톱의 곡면에 부착되기 쉽도록 장신구 후면을 곡면으로 사출성형 한 후, 장신구 후면의 가운데 부분에 음각부를 넣어 착탈 방지용 해칭을 가한 후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써, 손톱의 곡선을 충분히 살릴뿐 아니라 탈·부착이 자유로운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손톱용 장신구는 장신구 후면을 손톱의 곡면을 따라 사출성형 한다. 그러면 장신구가 손톱의 곡면에 접착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연손톱 또는 인조손톱의 곡선을 잘 살릴 수 있다.
손톱용 장신구의 재질은 플라스틱류, 금속류, 비철금속류, 목재류, 도자기류 및 유리류 등 사출성형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장신구의 모양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출성형된 장신구 후면 가운데 부분에 음각부를 넣는다. 음각부 안쪽에 빗살무늬를 조각하여 착탈 방지용 해칭을 형성한다. 해칭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면 건조시 빗살무늬 사이로 접착제가 스며들어 강한 접착력을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장신구를 손톱에서 제거할때, 접착제가 손톱면 보다 해칭 부분에 더욱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탈착이 용이하며, 접착제가 손톱 표면에 남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로는 아크릴릭 에멀젼글루(Acrylic Emulsion Glue)가 바람직하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릭에스테르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63.67%, 물 33.37% 및 기타 합성첨가제 3.03%를 주성분으로 한다. 수분 첨가 농도를 적절하게 하여 젤 상태의 반고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장시간 부착하여도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제거 후에도 접착력이 유지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가 부착된 장신구를 네일아트 필름위에 올려놓고 눌러서 부착하며, 탈착시에도 장신구 부분을 위로 올려줌으로써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톱용 장신구는 인조손톱과 함께 키트(Kit)로 또는 개별적으로 시장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손톱용 장신구의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손톱용 장신구는 장신구 후면을 손톱의 곡면을 따라 사출성형 하였다.
2. 사출성형된 장신구 후면 가운데 부분에 음각부를 넣었다.
3. 음각부 안쪽에 빗살무늬를 조각하여 해칭을 형성하였다.
4. 자동 브러슁으로 해칭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5. 콘베이어 벨트로 자동 이송하고, 가열로(Heating tunnel)에서 30~40℃로 15분 정도 건조시켰다.
6. 장신구를 72시간 정도 자연 건조시켰다.
네일아트용 필름은 3층의 적층구조로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포함한다.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은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는 자체의 극성과 다공 구조에 의해 수분, 땀, 아세톤등의 액체를 쉽게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섬유는 천연섬유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연질목(즉, 침엽수로부터 유래된 것), 경질목(활엽수로부터 유래된 것) 또는 솜 부스러기로부터 얻은 분해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셀룰로오스 섬유는 화학 펄프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화학 펄프는 티슈 필름에 우수한 촉감의 부드러움을 부여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완전히 표백되거나, 부분적으로 표백되거나 또는 표백되지 않을 수 있고, 표백의 정도는 바람직한 휘도 및 소비자 기호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재층 및/또는 제2 기재층은 습윤강도를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 습윤강도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강도 첨가제는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및/또는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습윤강도 첨가제는 상기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습윤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물에 셀룰로오스 섬유 및 습윤강도 첨가제를 첨가한 슬러리로 제조된 후 이를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습윤강도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네일아트용 필름가 용매에 의해 젖었을 때 습윤강도 감소 정도를 낮추고 다양한 환경에서 네일아트용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두께는 각각 약 0.03mm 내지 1mm에 상응할 수 있다. 제1 기재층과 제2기재층의 두께가 약 0.03mm 보다 적으면 흡습성이 감소할 수 있고,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두께가 1mm보다 크면 네일아트용 필름의 가요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균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살바이러스제, 살세균제 (bacteriocide), 살균제, 살진균제 (fungicide) 및 소독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제가 포함된 셀룰로오스 섬유 기재층을 사용할 경우 제품과 접촉하거나 그 제품에 흡수되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또는 다른 미생물과 같은 오염물을 사멸시키거나 다른 방법으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병이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된 기술에서 항균제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산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름르산, 말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글리콜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벤조산, 락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항균제는 유기산 이외의 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균제는 1종 이상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할수 있다. 바람직한 4급 암모늄 화합물에는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메틸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n-알킬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n-알킬 디메틸에틸벤질 암모늄 클로
라이드가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4급 암모늄 화합물로는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메틸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네일아트용 필름에의 항균제 첨가율은 셀룰로오스 섬유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항균 효과가 저조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량 대비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사이에 개재된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이 네일아트용 필름에게 액체에 대한 흡수성 및 투과성을 부여할수 있는 반면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은 네일아트용 필름에게 일정한 기계적 강도 및 방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네일아트용 필름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올레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켄, 1-헥사데켄 및 1,4-에이코센-1,5-메틸펜텐-2-메틸-1-펜텐 등의 단량체에 의한 단일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은 용융지수 1g/10분 내지 150g/10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용융지수가 1g/10분보다 작은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의 낮은 점도로 인하여 기재층과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 간의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고,폴리올레핀의 용융지수가 150g/10분보다 큰 경우에는 폴리올레핀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네일아트용 필름의 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폴리올레핀 층의 두께는 약 6㎛ 내지 1,000㎛에 상응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0㎛에 상응 할 수 있다. 이는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이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방습성 등을 가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네일아트용 필름은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표면을 가지므로 수분, 땀, 아세톤 등이 흐르는 것을 막거나 흡수할 수 있고,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가지므로 흡수된 액체가 배면으로 투과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네일아트를 위한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네일아트용 필름은 아세톤과 같은 유해 용매가 피부에 접촉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우선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이 준비된다.
다음으로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사이에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이 개재되고 결과적으로 제1 기재층-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가 형성된다.
제1 기재층 및/또는 제2 기재층은 습윤강도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재층및 제2 기재층은 습윤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물에 셀룰로오스 섬유 및 습윤강도 첨가제를 첨가한 슬러리로 제조된 후 이를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습윤강도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체는 비극성 고분자를 용융 및 압출하여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한 다음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공급 롤러를 통해 이송된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을압착 롤러를 이용해 동시에 합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를 위한 적층 공정은 먼저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을 압출기에서 용융 및 압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은 좌우에서 공급되는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사이에 개재된다. 개재 과정에서, 제1 기재층, 제2 기재층 및 폴리에틸렌은 제1 압착 롤러와 제2 압착 롤러에 의해 함께 압착되고, 결과적으로 제1 기재층-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3층의 적층 구조체가 형성된다.
네일아트용 필름은 수분 등의 액체를 잘 흡수하면서도 방수성이 있어 필름 상면이 액체에 노출되어도 배면이 젖지 않는다.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며, 이물질의 수집이 용이하다. 또한 항균처리가 될 경우 위생상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코팅층
12 : 실크 인쇄지
13 : 접착제
14 : 자연손톱
21 : 장식구 후면
22 : 음각부
23 : 해칭
24 : 접착제
25 : 손톱용 장신구
31 : 제1 기재층
32 : 제2 기재층
33 :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

Claims (34)

  1.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액체투과성의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액체비투과성의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03mm 내지 0.1mm에 상응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습윤강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강도 첨가제는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및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네일아트용 필름.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강도 첨가제는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가 포함된 네일아트용 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를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유기산 및 4급 암모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네일아트용 필름.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의 첨가율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인 네일아트용 필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고분자필름은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진 네일아트용 필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용융지수 1g/10분 내지 150g/10분 범위를 갖는 네일아트용 필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의 두께는 6㎛ 내지 1,000㎛에 상응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무늬에 의해 생성된 요홈부의 너비는 0.5mm 내지 1cm에 상응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13.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의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사이에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개재시켜 적층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구조체 표면에 엠보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에 항균제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유기산 및 4급 암모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의 첨가율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인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습윤강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강도 첨가제는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가 포함된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3 항 다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비극성 고분자를 용융 및 압출하여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극성 고분자 필름층을 공급 롤러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을 압착 롤러를 이용해 동시에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네일아트용 필름의 제조방법.
  20.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0.03mm 내지 1mm의 두께를 갖는, 액체 투과성의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 각각을 외부 층으로 하고, 액체비투과성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필름층을 내부 층으로 하여 압착 롤러에 의해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3층의 적층구조체 형태를 구비하되, 상기 적층구조체의 표면에는 엠보싱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요홈부와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홈부의 너비가 0.5mm 내지 1cm에 상응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2 기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를 더 포함하는 네일아트용 필름.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유기산 및 4급 암모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네일아트용 필름.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의 첨가율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인 네일아트용 필름.
  24. 제20 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 1g/10분 내지 150g/10분 범위를 갖는 네일아트용 필름.
  25. 네일아트용 장식부재로서, 상기 장식부재는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한 자개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부착시, 상기 장식부재가 부착 대상체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장식부재에는 그의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자개는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인조손톱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천연손톱, 발톱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28. 네일아트용 장식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a] 손톱 문형이 형성된 하부 금형을 마련하는 스텝,
    [b] 상기 하부 금형의 소정의 부위에 글리터를 투입하는 스텝,
    [c] 상기 글리터상에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 진 자개를 투입하는 스텝,
    [d] 리퀴드와 아크릴릭 파우더를 혼합하여 비드를 형성해서 상기 재료 및 글리터상에 투입하는 스텝,
    [e] 상기 [d]스텝 후, 상기 손톱문형에 대응하여 오목형상을 구비한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압하는 스텝과
    [f]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을 분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의 제조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퀴드와 상기 아크릴릭 파우더의 혼합비율은 1 : 1.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의 제조방법.
  30. 여러 가지 문양과 색을 구비하고 여러 모양으로 형성된 자개를 네일아트용 장식부재 또는 휴대전화기의 외형을 장식하
    기 위한 장식부재의 사용방법으로서,
    [a] 상기 장식부재를 손톱 및 발톱, 인조손톱 및 인조발톱 또는 휴대전화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는 스텝,
    [b] 브러시로 리퀴드와 파우더를 찍어 비드를 형성하는 스텝,
    [c] 상기 재료와 함께 손톱 및 발톱, 인조손톱 및 인조발톱 또는 휴대전화 위에까지 브러시로 비드를 펴 바르는 스텝,
    [d] 상기 [c]스텝 후 상기 장식부재가 굳어 원하는 모양이 형성되면, 그릿파일로 면을 고르게 하고 버핑하여 광을 내는 스텝과
    [e] 투명폴리쉬로 마무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부재에는 그의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의 사용방법.
  31. 손톱의 곡면을 따라 사출성형된 장신구 후면과 상기 장신구 후면의 가운데 위치하는 음각부, 상기 음각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된 해칭 및 상기 해칭을 포함하는 음각부에 부가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용 장신구
  32. 제3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아크릴릭 에멀젼글루(Acrylic Emulsion Gl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용 장신구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재질은 플라스틱류, 금속류, 철금속류, 목재류, 도자기류 및 유리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용 장신구
  34. 제31항 내지 제3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손톱용 장신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손톱 키트
KR1020120000485A 2012-01-03 2012-01-03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KR20130079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485A KR20130079782A (ko) 2012-01-03 2012-01-03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485A KR20130079782A (ko) 2012-01-03 2012-01-03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782A true KR20130079782A (ko) 2013-07-11

Family

ID=4899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485A KR20130079782A (ko) 2012-01-03 2012-01-03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9A1 (ko) * 2013-08-29 2015-03-05 So Dae Seob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499A1 (ko) * 2013-08-29 2015-03-05 So Dae Seob 네일 스티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1895T3 (es) Proceso de fabricación de un producto polimérico laminado
KR20180137680A (ko) 탈부착형 네일 데코레이션 부재의 제조방법
EP3868249A1 (en) False nails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KR100953450B1 (ko) 장식용 스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시트지
KR20130079782A (ko) 장식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네일아트용 필름 제조 방법
KR102371117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다중층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6417119B1 (en) Fabric and fabric article made from plant material
KR101480981B1 (ko) 줌치 한지와 옻을 이용한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줌치 한지 원단
CN201082795Y (zh) 包装盒板材的复合结构
WO2009149773A1 (en) Adhesively attached, removable, repeatedly usable facial and body jewellery of planar and/or three-dimensional extension,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KR101073896B1 (ko) 자개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구두 제조 방법
KR101949344B1 (ko) 한지 압화 서랍장의 제조방법
JP2015124312A (ja) 装飾用生革チップの作製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装飾用生革チップ
KR101106155B1 (ko) 네일아트용 시트
KR20110006274A (ko) 자개를 가죽 또는 합성피혁에 접착하여 코팅하는 방법
KR102500212B1 (ko) 장식 완성품용 조립 편집이 가능한 누름꽃 스티커 제작방법 및 장식 완성품용 조립 편집형 누름꽃 스티커
JP3151459U (ja) 木製装飾体
KR102357592B1 (ko) 건조 생화 장식 형태의 인조 문양 아트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93092B1 (ko) 상감무늬가 형성된 단위부재의 제조방법
CN101403018A (zh) 刺青皮革、皮件的制作方法及刺青皮革、皮件制品
CN201161426Y (zh) 木板材的结构
WO2014041576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lexible composite product provided with a layer of wood
KR20100036017A (ko) 폼 클레이를 이용한 가구
KR20190120560A (ko)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KR200347545Y1 (ko) 착색수단이 형성된 단위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