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60A -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 Google Patents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60A
KR20190120560A KR1020180043897A KR20180043897A KR20190120560A KR 20190120560 A KR20190120560 A KR 20190120560A KR 1020180043897 A KR1020180043897 A KR 1020180043897A KR 20180043897 A KR20180043897 A KR 20180043897A KR 20190120560 A KR20190120560 A KR 20190120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fabric
lacquer coating
lay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미숙
Original Assignee
백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미숙 filed Critical 백미숙
Priority to KR102018004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560A/ko
Publication of KR2019012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다용도 원단에 관한 것으로, 한지나 직물이나 가죽 등 원단에 옻을 칠하여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고 방수기능과 강도를 높여 악세사리 용품(가방), 가구, 내장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은, 한지, 면, 나일론을 포함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원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 이상에 옻 코팅액을 도포하여 옻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 중 일측 이상에 금박을 포함하는 장식재를 덧대어 장식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을 건조하여 상기 장식층이 상기 옻 코팅층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원단의 일면 이상에 옻 코팅층과 장식층이 함께 보이는 원단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PURPOSE FABRIC USING VARIOUS FABRIC AND SAP AND DECORATIONS, AND MULTIPURPOSE FABRIC MADE BY THIS SAME}
본 발명은 옻과 금박의 장식재를 원단에 적용한 원단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나 직물이나 가죽 등 원단에 옻을 칠하여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고 방수기능과 강도를 높여 악세사리 용품(가방), 가구, 내장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지갑, 인테리어용품, 의자 시트, 차량 내장재, 매트 등의 소재로 동물의 가죽이나 인조가죽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특히 희귀 동물, 어류, 조류 등의 가죽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동물 특히 희귀동물, 희귀어류, 희규조류 등이 멸종되는 생태계 파괴 현상이 나타나고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치솟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줌치 한지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지는 질기고 긴 닥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이질이 부드럽고 강인하며 잘 찢어지지 않고, 닥섬유 고유의 은은한 빛깔과 광택을 지니고 있으며, 장섬유 및 중공성의 섬유 특성으로 인해 통기성이 양호하고 온습도 조절 능력이 우수한 종이로서 부드러운 감촉, 유연한 접힘, 강인성이 뛰어나고 모든 색상을 발현할 수 있으며 빠른 흡수성, 그리고 방음성과 계절에 따른 방한성과 보온성 등이 양지에 비해 뛰어난 특성이 있어 다양한 범위의 공예품, 문화적인 귀중품, 서예, 그림, 인쇄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지 자체는 습기와 강도가 약하여 전술한 가방 등 제품의 원단으로 사용되지 못하며, 이러한 한지의 단점을 보완한 줌치 한지를 이용한 기술이 제안 및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줌치 한지는 물에 적신 한지가 주무르기 내지 치대기를 통해 표면이 오톨도톨하게 즉 무늬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가죽의 느낌을 받기 때문에 가죽의 대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줌치 한지는 좋은 특성을 갖고 있지만 역시 습기와 강도 면에서 취약함이 있어 옻칠 등을 이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을 알 수 있는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 제10-1202250호는 옻칠수액을 증류수를 통하여 서서히 가열하면서 수분의 함수율이 15중량%가 되도록 교반 가열하여 정제칠을 얻는 단계; 송진 100중량부와 물 30중량부를 증류기에 넣고 직접 가열하여 고무로진을 얻는 단계; 상기의 정제칠과 고무로진을 5 : 5의 비율로 혼합하여 1차 가죽제품 코팅제를 제조하는 단계; 오배자를 햇볕에 말린 후 물 100중량부에 오배자 10중량부를 넣고 80 ~ 100℃로 5 ~ 8시간 오배자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오배자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바인더 및 우레탄바인더를 각각 50중량부를 넣고 잘 혼련하여 2차 가죽제품 코팅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의 1차 가죽제품 코팅제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가죽원단에 코팅하는 단계; 1차 코팅이 끝난 가죽원단을 건조하는 단계; 2차 가죽제품 코팅제를 옻칠전용 인모붓으로 1차 코팅이 끝난 가죽원단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하는 단계; 2차 도포가 끝난 가죽원단을 건조하는 단계; 1차 및 2차 코팅이 끝난 가죽원단에 희석시킨 현미식초 용액으로 가죽원단의 도포면을 골고루 닦아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죽원단의 코팅방법이다.
등록특허 제10-1681034호는 원단과 원단 사이에 솜을 넣고 누빔공정을 거침으로써 누비원단을 제작하는 누비원단제작단계; 상기 누비원단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누비원단의 표면에 테라핀을 혼합하여 제조된 제1옻칠용액을 바르는 옻칠용 액바름단계; 상기 옻칠용액바름단계에서 제1옻칠용액을 바른 옻칠누비원단을 건조시키는 1차건조단계; 상기 1차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옻칠누비원단에 나전가루를 부착시키는 나전부착단계; 상기 나전부착단계에서 나전가루가 부착된 옻칠누비원단을 건조시키는 2차건조단계; 및 상기 2차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옻칠누비원단의 표면 중 나전가루가 부착된 부분에 사포질을 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연마단계;를 포함하는 옻칠누비원단의 제조방법이다.
종래 특허문헌들을 통해 옻을 원단에 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원단으로 제작된 가방 등의 완제품이 옻 이외의 느낌을 주지 못하여 효용성이 떨어지고, 한지와 같이 가방 등의 완제품에서 사용하지 못하던 원단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202250호 등록특허 제10-168103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지나 직물이나 가죽 등 원단에 옻을 칠하여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고 방수기능과 강도를 높여 악세사리 용품(가방), 가구, 내장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은, 한지, 면, 나일론을 포함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원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 이상에 옻 코팅액을 도포하여 옻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 중 일측 이상에 금박을 포함하는 장식재를 덧대어 장식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을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원단의 일면 이상에 옻 코팅층과 장식층이 함께 보이는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의하면, 한지 등 원단에 옻칠을 하여 한지 등 원단의 단점을 극복하여 항균성, 방수성, 내구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각종 제품(가방, 신발 깔창, 의자 시트, 가구, 매트 등)의 원단으로 제공이 가능하여 한지의 홍보와 함께 한지 등 원단의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고, 특히, 금박 장식층을 통해 옻과 금박 장식층을 함께 보여주어 옻이 줄 수 없는 고급스러움을 통해 제품의 고급화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공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으로 제작된 가방의 일 예를 보인 사진과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에 옻 마감층이 형성된 예를 보인 단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원단 준비.
본 발명은 다양한 원단의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한지(한지사) 원단, 직물(면, 광목, 무명, 삼베 등), 나일론 원단이 가능하다.
이들 원단을 다음 공정을 위하여 일정 크기로 재단한다.
(S20) 옻 코팅층 형성.
원단은 넓은 상하 양면을 갖고 있으며 이 양면 중 1면 이상에 옻 코팅층을 형성하고, 완제품을 기준으로 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만 옻 코팅층을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외부면과 내부면 모두의 보호를 통해 완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양면 모두 옻 코팅층[편의상 상면(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1옻 코팅층, 하면(내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2코팅층이라 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옻 코팅액은 옻 원액에 기능성 분말 재료를 혼합한 기능성 옻 코팅액, 옻 원액을 희석한 희석 옻 코팅액이 사용 가능하다.
희석 옻 코팅액은 옻나무에서 채취된 원액의 옻 60~70 중량%, 희석액으로서 테라핀 30~4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옻 원액은 옻나무에서 추출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자연재료로서 다량의 우루시올(urushiol)을 갖고 있다. 우루시올은 상온에서 무색투명한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공기와 접촉하면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여 옻이 된다. 이러한 우루시올, 즉 옻은 경도(硬度)가 높고 아름다운 광택을 가질 뿐만 아니라 오래 저장하여도 변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에 대해 매우 강하며 70℃ 이상의 열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그 피막의 촉감이 좋고 깊고 차분한 광택을 나타내며, 방부효과가 높아 이에 살균력이 좋고 장시간 지나도 곰팡이가 생기지 않으며, 항균성, 방충성, 내산성,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불연성 및 절연효과도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희석액인 테라핀(테라빈유, C10H16)은 옻 원액의 효능을 살리면서도 작업성을 위하여 전술한 혼합비율로 사용되고, 후속 공정인 장식층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혼합비율이다.
즉, 옻 원액과 희석액만을 재료로 하여 옻의 효능을 최대한 살리면서 옻 자체의 점도를 통해 금박 장식재가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기능성 옻 코팅액은 한지의 단점인 습기에 의한 변질과 찢어짐 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옻 원액(생옻), 희석액으로서 테라핀(테라빈유, C10H16), 규조토 분말, 숯 분말, 황토 분말을 재료로 이루어지며, 옻나무에서 채취된 원액의 옻 100중량부에 대하여 테라핀 60~65 중량부, 규조토 분말 0.5~10 중량부, 숯 분말 0.5~10 중량부, 황토 분말 0.5~1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기능성 재료들은 후술하는 효과 외에 분말의 특성을 통해 금박 장식층이 박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규조토 분말과 숯 분말 및 황토 분말은 각각 200메쉬~800메쉬 입도이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규조토 분말과 숯 분말 및 황토 분말은 입도가 클 경우 거칠은 촉감을 주고 미끄러짐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테라핀은 희석재로서 작업성을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혼합 비율은 옻의 효능을 보이면서 기능성 재료와 조화를 주기 위한 비율이다.
규조토 분말은 다공성으로서 이러한 특성에 의해 습기 제거와 보온의 기능 등을 하며, 전술한 혼합비율을 벗어나면 습기 제거 등의 효능이 약하거나 습기 제거 등의 효능에 큰 차이가 없다.
숯 분말은 음이온 방출, 습도 조절, 살충, 방부, 정화 등 유익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술한 혼합비율을 벗어나면 습기 제거 등의 효능이 약하거나 과도한 혼합량으로 인하여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
황토 분말은 습도 조절, 향균 작용 등 유익한 기능을 하는 것이며, 규조토 분말과 숯 분말과의 적절한 조화를 위하여 혼합량이 결정된 것이다.
전술한 재료들에 의하면 옻에 의해 색상이 결정된다. 이러한 옻은 전체의 60% 이상이 옻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회백색의 유상액(乳狀液)으로 공기와 접촉하면 그 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 같은 특성에 의해 검정, 주홍, 갈색 등으로 그 색상이 한정될 것이다.
옻 코팅액은 옻 고유의 색상 표현은 물론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안료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료는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혼합비율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색상과 혼합비율은 생략한다.
이상 2종류의 옻 코팅액(희석 옻 코팅액, 기능성 옻 코팅액)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고, 또는 하나의 원단에 함께 사용(예를 들어 원단의 외부면/내부면은 기능성 옻 코팅액을 도포, 내부면/외부면은 희석 옻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2종류의 옻 코팅액은 재료의 특성이 다르지만 동일한 옻 코팅 방법에 의해 제1,2옻 코팅층을 형성하며, 옻 코팅액을 수작업으로 원단에 붓칠하여 코팅하는 방법, 옻 코팅액을 분무기로 원단에 분무하여 코팅하는 방법, 옻 코팅액을 원단에 붓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코팅된 제1,2옻 코팅층은 0.05~3mm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0.05mm 미만이면 옻의 효능이 약하고 작업 중에 스크래치에 의한 벗겨짐이 일어날 수 있고 3mm 초과이면 작업성과 경제성이 떨어진다.
제1,2옻 코팅층은 2회 이상의 옻 코팅 공정도 가능하며, 이 때 옻 코팅 공정들 사이에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옻 코팅 - 건조 - 옻 코팅의 반복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후속 공정인 장식층의 형성을 위하여 옻 코팅 공정을 마지막으로 하고, 왜냐하면 옻 코팅층이 건조되면 장식층과 결합력이 약하여 장식층이 박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옻 코팅층 형성 전에 초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초벌층은 옻 코팅층의 손실 등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초벌층의 코팅액은 예를 들어 옻 원액 40~60중량%와 희석액 40~6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옻 코팅층이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S30) 장식층 형성.
전 공정에서 형성한 제1,2옻 코팅층 중 일측 이상(바람직하게 외부면의 제1코팅층)에 장식층을 형성한다.
장식층은 금박 장식층이 바람직하다.
장식재는 금분(가루), 금박지가 가능하고, 금분의 입도와 금박지의 크기는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아니한다.
금분을 이용한 장식층의 형성은 옻 코팅층이 경화되기 전에 진행되며 따라서 작업 환경은 옻 코팅층이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은 원단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옻의 느낌과 금박 장식층의 느낌을 함께 표현할 수 있도록 원단보다 작은 크기의 다양한 문양, 패턴(규칙적/불규칙적) 등으로 형성되며, 금분이나 금박지를 문양에 맞춰 옻 코팅층 위에 올린 후 누르거나 두드려 부착한다. 금박 장식층은 입도와 두께가 작아 옻 코팅층 안에 묻힐 수 있으며, 금박 장식층이 옻 코팅층 위로 돌출되는 것과 옻 코팅층에 묻히는 것 모두가 가능하고 전자의 경우 금박 장식층의 입체감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금박 장식층의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장식층은 아래층인 옻 코팅층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원단은 가방, 신발 깔창, 유아용품, 의자 시트, 가구(쇼파 등), 매트, 내장재(차량 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각 용도에 맞는 다양한 금박 장식층을 형성한다.
(S40) 건조.
금박 장식층을 형성한 후 옻 코팅층을 건조시키며, 옻 코팅층이 건조되면서 옻 코팅층과 금박 장식층이 서로 결합된다.
건조 조건은 온도 18~23℃, 습도 77~85%, 건조 시간 8~10시간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상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원단(10)은 표면에 옻 코팅층(11)과 금박 장식층(12)이 보이며, 그 단면은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단(13)의 상부면(외부면)과 하부면(내부면)에 각각 코팅되는 옻 코팅층(11,14)이 형성되고, 상부의 옻 코팅층(11) 표면에 금박 장식층(12)이 형성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금박 장식층(12)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금박 장식층(12)의 오염과 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금박 장식층(12)의 보호를 위하여 금박 장식층(12)의 표면에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층은 옻 코팅층(11)과의 동질감을 표현하도록 옻 마감층(15)(도 3 참고)이 바람직하다.
옻 마감층의 형성은 장식층(12) 표면에 옻을 재질로 하는 옻 마감액을 붓칠한 후 건조하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옻 마감층(15)의 두께는 0.01~0.05mm의 두께이며, 물론 완제품에 따라 두께는 달라진다.
옻 마감층(15)의 건조 조건은 전술한 옻 코팅층의 건조 조건과 동일하다.
이상의 공정으로 제조된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은 가방, 신발 깔창, 유아용품, 의자 시트, 가구(쇼파 등), 매트, 내장재(차량 등) 등 다양한 제품의 원단으로 사용되며 가공을 통해 완제품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다용도 원단, 11,14 : 옻 코팅층
12 : 금박 장식층, 13 : 원단
15 : 옻 마감층,

Claims (7)

  1. 한지, 면, 나일론을 포함하는 원단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원단의 상하 양면 중 일면 이상에 옻 코팅액을 도포하여 옻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 중 일측 이상에 금박을 포함하는 장식재를 덧대어 장식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옻 코팅층을 건조하여 상기 장식층이 상기 옻 코팅층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원단의 일면 이상에 옻 코팅층과 장식층이 보이는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거친 후 장식층 표면에 옻을 재질로 하는 옻 마감액을 칠한 후 건조하여 옻 마감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원단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금박지나 금분을 상기 옻 코팅층에 올린 후 눌러 상기 옻 코팅층의 점도를 통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옻 코팅액은 옻나무에서 채취된 원액의 옻 100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액으로서 테라핀 60~65 중량부, 규조토 분말 0.5~10 중량부, 숯 분말 0.5~10 중량부, 황토 분말 0.5~1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옻 코팅액은 옻나무에서 채취된 원액의 옻 60~70 중량%, 희석액으로서 테라핀 30~4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2회 이상의 옻 코팅액 도포 및 도포 사이의 건조 공정을 통해 옻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가방류, 인테리어 마감재류, 건축 자재류, 자동차 내외장재류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KR1020180043897A 2018-04-16 2018-04-16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KR20190120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97A KR20190120560A (ko) 2018-04-16 2018-04-16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97A KR20190120560A (ko) 2018-04-16 2018-04-16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60A true KR20190120560A (ko) 2019-10-24

Family

ID=6842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97A KR20190120560A (ko) 2018-04-16 2018-04-16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56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50B1 (ko) 2011-05-27 2012-11-16 김영준 정제칠 등을 이용한 가죽제품의 코팅방법
KR101681034B1 (ko) 2015-07-01 2016-11-30 정숙희 옻칠누비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250B1 (ko) 2011-05-27 2012-11-16 김영준 정제칠 등을 이용한 가죽제품의 코팅방법
KR101681034B1 (ko) 2015-07-01 2016-11-30 정숙희 옻칠누비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981B1 (ko) 줌치 한지와 옻을 이용한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줌치 한지 원단
CN106182241A (zh) 一种用于编织的柳条做旧仿古工艺
CN1039576C (zh) 家具装饰表面的处理方法
KR101467671B1 (ko) 천연재질의 원목 데코타일의 제조방법
KR102371117B1 (ko)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다중층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0560A (ko) 다양한 원단과 옻 및 장식재를 이용한 다용도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
CN102019638A (zh) 孔雀兰色相仿古效果在家居木地板装饰中的应用
CN101768647B (zh) 用再生皮制作高仿真皮的方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100398537B1 (ko) 목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목편을 코팅하는 방법과 그러한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복층을 갖는 목편 및 그러한 목편을이용하여 제조된 목제품
KR102073092B1 (ko) 다중 옻칠 스티커 제조방법
US1829262A (en) Method of ornamenting surfaces
KR100943279B1 (ko) 옻칠을 이용한 나무 돗자리의 편재 가공방법
KR20210072629A (ko) 줌치 한지와 옻을 이용한 원단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줌치 한지 원단
KR20180107820A (ko) 경량화된 침대용 복합 판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00368210C (zh) 装饰布的制作工艺
KR102512737B1 (ko) 옻칠 방법 및 옻칠 조성물
CN220514667U (zh) 一种用于化妆品外壳主体的仿皮纹贴皮结构及化妆品
KR100837336B1 (ko) 장식용 가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9693292A (zh) 一种平脱大漆银筷制作工艺
CN101403018A (zh) 刺青皮革、皮件的制作方法及刺青皮革、皮件制品
KR102028402B1 (ko) 커피원두 찌꺼기 분말을 이용한 자개의 옻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옻칠자개 제품의 제조방법
US270538A (en) Mortimer p
CN105461884A (zh) 儿童抗菌耐划伤家具及其制备方法
US1761715A (en) Method of deco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