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126A -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126A
KR20130078126A KR1020110146900A KR20110146900A KR20130078126A KR 20130078126 A KR20130078126 A KR 20130078126A KR 1020110146900 A KR1020110146900 A KR 1020110146900A KR 20110146900 A KR20110146900 A KR 20110146900A KR 20130078126 A KR20130078126 A KR 2013007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hroat
opening
main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8151B1 (ko
Inventor
이원준
최성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1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스로트 커버가 함께 개폐되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 커버만을 시건하더라도 스로트 커버가 함께 시건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출금장치(10)의 본체(300)의 일측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410);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 회동링크(430)를 매개로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 커버(4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로트(37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스로트 커버(420);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2)가 형성되고,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스로트(370)의 선회 시 상기 돌기(3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된 것을 한다.

Description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ASH DISPENSE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커버와 스로트 커버가 연동하여 함께 개폐되도록 하여 커버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함과 아울러 커버가 개폐되는 횟수와 시간 등의 정보를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커버의 임의 개폐에 의한 도난 사고를 방지하고 장치의 유지보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지폐출금장치(10)는, 내부에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P)가 저장되는 카세트(100)와, 상기 카세트(100)들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카세트 수납부(200)와, 상기 카세트 수납부(200)의 상부에 연결된 본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300)에는 매체 이송부(310), 캐리지(320), 로터(330), 출금부(341,342,343), 리젝트 박스(350), 리젝트 이송부(360)가 구비된다. 매체 이송부(310)는 카세트(100)에 저장된 종이매체(P)를 선택적으로 한 장씩 이송하여 캐리지(320) 내부에 스택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지(320)는 매체 이송부(31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를 번들(bundle) 형태로 일시 저장한 후에 출금부(341,342,343)를 통해 출금하기 위한 장치이다. 로터(330)는 복수개의 출금부(341,342,343)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320)가 이동되도록 캐리지(32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리젝트 박스(350)는 2매 이상이거나 스큐(skew)가 발생된 종이매체(P)가 저장되고, 리젝트 이송부(360)는 2매 이상이거나 스큐가 발생된 종이매체(P)를 캐리지(320)와 로터(330)를 거치지 않고 리젝트 박스(35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금고 내에 설치되는 지폐출금장치(10)는, 상기 출금부(341,342,343)에 캐리지(320)가 이송되는 스로트(throat,370)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지폐출금장치(10)는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계원이 금고의 내부로 들어가 출금작업을 수행할 때 본체(300)에서 스로트(370)로 출금되는 지폐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계원에 의한 지폐의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폐출금장치(10) 내부의 유지보수작업 시 작업이 수행된 날짜와 횟수를 별도로 기록하고 관리해야 하므로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가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스로트 커버가 함께 개폐되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 커버만을 시건하더라도 스로트 커버가 함께 시건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가 개폐되는 횟수와 시간을 기록으로 남겨둠으로써 커버의 임의 개폐에 의한 지폐의 도난사고를 방지하고, 장치의 유지보수 관리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는, 지폐출금장치의 본체(300)의 일측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410);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 회동링크(430)를 매개로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 커버(4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로트(37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스로트 커버(420);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2)가 형성되고,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스로트(370)의 선회 시 상기 돌기(3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시건 시, 상기 본체 커버(410)는 체결수단(412)에 의해 상기 본체(300)에 고정되고, 상기 스로트 커버(420)는 상기 돌기(372)와 슬라이드홈(422) 간의 걸림에 의해 시건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에는 제1스토퍼(42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 시 상기 제1스토퍼(424)에 걸려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제2스토퍼(42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상기 회동링크(430)를 중심으로 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 시 상기 제2스토퍼(425)에 걸려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방 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는 상기 제1스토퍼(424)와 걸림부(413)에 의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고정되어,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 시 상기 슬라이드홈(422)이 상기 돌기(372)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 상부를 덮는 날개부(421)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421)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져 상기 스로트(370) 상에 상기 스로트 커버(420)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본체 커버(41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돌기(510)와, 상기 누름돌기(510)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는 스위치(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510)와 스위치(520)는 상기 회동링크(430)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에는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폐 횟수 및 개폐 시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510)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520)의 외부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방어벽(5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에 의하면, 본체 커버와 스로트 커버가 회동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본체 커버의 개폐 시 스로트 커버의 슬라이드홈이 스로트에 형성된 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 커버의 개폐 동작만으로 스로트 커버가 함께 개폐되어 커버의 개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 커버의 시건만으로도 스로트 커버의 시건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커버의 시건 구조 또한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개폐되는 횟수와 시간 정보를 커버개폐감지부에서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커버의 임의 개폐에 의한 도난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지폐출금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지폐출금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출금장치의 커버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출금장치의 커버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커버의 개폐 동작 상태도,
도 6은 커버의 본체 커버와 스로트 커버의 연결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회기기의 커버개폐감지부의 설치 상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개폐감지부를 구성하는 (a) 누름돌기와 (b) 스위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출금장치에는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를 덮는 커버(4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400)는 본체(300)의 상부를 덮는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370)의 상부를 덮는 스로트 커버(420)가 연동으로 함께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커버(410)는 그 일측단이 본체(300)의 상부 일측에 힌지(411)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로트 커버(420)는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 회동링크(430)를 매개로 일측단이 연결되어 본체 커버(410)와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하향 선회되어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가 닫힌 상태에서의 시건(locking) 수단으로, 본체 커버(410)를 시건하게 되면, 스로트 커버(420)가 함께 시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400)의 시건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시건 구조를 간소화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2)가 형성되고,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스로트(370)의 상향 및 하향 선회 시 상기 돌기(3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스로트 커버(420)의 이동을 안내하고 스로트 커버(420)가 하향으로 선회되어 스로트(370)의 상부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372)에 구속되어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이동을 억제하는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본체 커버(410)의 일측단에 연결된 힌지(411)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상향으로 선회되고, 이때 스로트 커버(420)는 본체 커버(410)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하향으로 처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는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하향으로 선회되어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홈(422)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돌기(372)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에는 제1스토퍼(424)가 형성되고,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 시 상기 제1스토퍼(424)에 걸려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와 스로트(370)의 상부가 닫히는 경우에는,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함께 하향으로 선회되고, 돌기(372)에 슬라이드홈(422)의 선단부가 걸쳐지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스로트 커버(420)는 회동링크(430)를 중심으로 하여 상향으로 선회되어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 간의 각도(θ)는 점차 작아지게 된다.
스로트(370)의 상부가 스로트 커버(420)에 의해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면,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는 수평 상태가 되며, 이때 슬라이드홈(422)의 후단부에 돌기(372)가 위치하게 되어 회동링크(430)를 중심으로 한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가 억제된다. 도 5에서 점선은 커버(5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은 커버(50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의 상면에는 제2스토퍼(425)가 형성되고,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회동링크(430)를 중심으로 한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 시 상기 제2스토퍼(425)에 걸려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스로트(370)의 상부가 스로트 커버(42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에 의해 슬라이드홈(422)과 돌기(372) 간의 걸림상태가 파괴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스토퍼(425)와 걸림부(413)에 의해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가 억제되므로 스로트 커버(42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400)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본체 커버(410)를 본체(300)에 시건하는 것만으로 스로트 커버(420)의 시건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커버(410)의 시건은,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 양측으로 체결공(412a)을 형성하고, 그 직하방으로 본체(300)의 상단부에 체결공(412b)을 형성하여 이들 체결공(412a,412b)에 체결수단(412)을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 커버(410)와 본체(300) 간의 시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물쇠나 봉인 등 다양한 구조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의 상부를 덮는 날개부(421)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421)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져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이동 시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의 상단에 스로트 커버(420)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폐출금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커버(400)가 개폐되는 횟수와 시간을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는 커버개폐감지부(500)가 구비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본체 커버(41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돌기(510)와, 상기 누름돌기(510)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는 스위치(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510)는 본체 커버(410)의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520)는 스위치 본체(521)와 접점(522) 및 그 상측에 위치하는 누름편(5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 커버(410)의 선회 시, 누름돌기(510)가 누름편(523)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접점(522)이 온/오프 작동되고, 스위치 본체(521) 내에는 상기 접점(522)이 온/온프되는 횟수와 시간 정보를 기록으로 저장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510)와 스위치(520)는 본체 커버(410)의 회동 시 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힌지(411)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 회동링크(4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 커버(410)의 회동 시 본체(300)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여 본체 커버(410)가 상측으로 이격되는 거리는 힌지(411)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게 되므로 누름돌기(510)와 스위치(520)를 회동링크(4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할 경우 본체 커버(420)의 작은 움직임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는 커버(500)가 개폐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록으로 남겨둠으로써 커버(400)의 개방에 의해 지폐의 도난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추적이 용이해지고, 지폐출금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40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그 정비 횟수 및 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510)의 외측에는 방어벽(512)을 형성하여, 본체 커버(41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 커버(410)와 본체(3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침입자가 스위치(500)를 임의로 조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400)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연동하는 개폐 구조를 취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본체 커버(410)의 시건만으로 스로트 커버(420)의 시건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건 및 그 해제가 용이해지며, 커버(500)가 개폐되는 횟수와 시간을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도난사고의 방지 및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보수 관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10 : 지폐출금장치 100 : 카세트
200 : 카세트 수납부 300 : 본체
310 : 매체이송부 320 : 캐리지
330 : 로터 341,342,343 : 출금부
350 : 리젝트박스 360 : 리젝트이송부
370 : 스로트 371 : 측벽
372 : 돌기 400 : 커버
410 : 본체 커버 411 : 힌지
412 : 체결수단 412a,412b : 체결공
413 : 걸림부 420 : 스로트 커버
421 : 날개부 422 : 슬라이드홈
423 : 경사부 424 : 제1스토퍼
425 : 제2스토퍼 430 : 회동링크
500 : 커버개폐감지부 510 : 누름돌기
512 : 방어벽 520 : 스위치
521 : 스위치 본체 522 : 접점
523 : 누름편

Claims (10)

  1. 지폐출금장치의 본체(300)의 일측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본체 커버(410);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 회동링크(430)를 매개로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 커버(4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로트(370)의 상부를 개폐하는 스로트 커버(420);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2)가 형성되고,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스로트(370)의 선회 시 상기 돌기(3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시건 시, 상기 본체 커버(410)는 체결수단(412)에 의해 상기 본체(300)에 고정되고, 상기 스로트 커버(420)는 상기 돌기(372)와 슬라이드홈(422) 간의 걸림에 의해 시건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에는 제1스토퍼(42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 시 상기 제1스토퍼(424)에 걸려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일측단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제2스토퍼(42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커버(410)의 타측단에는 상기 회동링크(430)를 중심으로 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 시 상기 제2스토퍼(425)에 걸려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상향 선회를 제한하는 걸림부(4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방 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는 상기 제1스토퍼(424)와 걸림부(413)에 의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고정되어,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하향 선회 시 상기 슬라이드홈(422)이 상기 돌기(372)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트 커버(420)의 타측단의 양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4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로트(370)의 양 측벽(371) 상부를 덮는 날개부(421)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421)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져 상기 스로트(370) 상에 상기 스로트 커버(420)가 정위치로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본체 커버(41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는 누름돌기(510)와, 상기 누름돌기(510)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는 스위치(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510)와 스위치(520)는 상기 회동링크(430)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개폐감지부(500)에는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의 개폐 횟수 및 개폐 시간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510)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 커버(410)와 스로트 커버(4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520)의 외부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방어벽(5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1020110146900A 2011-12-30 2011-12-30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10186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00A KR101868151B1 (ko) 2011-12-30 2011-12-30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00A KR101868151B1 (ko) 2011-12-30 2011-12-30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126A true KR20130078126A (ko) 2013-07-10
KR101868151B1 KR101868151B1 (ko) 2018-06-18

Family

ID=4899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900A KR101868151B1 (ko) 2011-12-30 2011-12-30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843A (ko) * 2005-09-05 2006-01-27 송병욱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WO2006099004A2 (en) * 2005-03-09 2006-09-21 Diebold, Incorporated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20100116839A1 (en) * 2008-08-13 2010-05-1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Roller storage system
JP2011161979A (ja) * 2010-02-05 2011-08-25 Mazda Motor Corp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350A (ja) * 2001-07-17 2003-01-29 Asahi Seiko Kk 紙幣送り出し装置における2重出し防止装置
JP4960805B2 (ja) * 2007-08-24 2012-06-27 株式会社熊平製作所 貸金庫システム
KR20090114210A (ko) * 2008-04-29 2009-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처리 장치의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9004A2 (en) * 2005-03-09 2006-09-21 Diebold, Incorporated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20060008843A (ko) * 2005-09-05 2006-01-27 송병욱 자동서비스기의 지폐보관장치
US20100116839A1 (en) * 2008-08-13 2010-05-13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Roller storage system
JP2011161979A (ja) * 2010-02-05 2011-08-25 Mazda Motor Corp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151B1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75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013175171A (ja) 搬送制御装置及び還流庫付紙葉鑑別装置
TWI727066B (zh) 金錢處理裝置
JP6229264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KR101508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20130078126A (ko)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10198805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JP6891924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159484B1 (ko)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
JP7139722B2 (ja) 紙葉類収容装置、紙葉類処理装置
KR200387672Y1 (ko) 금고용 이중도어
JP673701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処理装置
JP6711775B2 (ja) 媒体取扱装置
KR20080062861A (ko) 리젝트박스의 잠금구조
JP6554939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6492907B2 (ja) 媒体処理装置
JPS6339796Y2 (ko)
JP2022171617A (ja) 紙幣処理装置
KR200393046Y1 (ko)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JP6623830B2 (ja) 小束処理装置
KR102063616B1 (ko) 매체저장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151809A (ja) 媒体収納庫及び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