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802A -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 Google Patents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802A
KR20130077802A KR1020120156983A KR20120156983A KR20130077802A KR 20130077802 A KR20130077802 A KR 20130077802A KR 1020120156983 A KR1020120156983 A KR 1020120156983A KR 20120156983 A KR20120156983 A KR 20120156983A KR 20130077802 A KR20130077802 A KR 2013007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rice
bioconversion
fermentation
medium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903B1 (ko
Inventor
이상종
박선옥
허인영
이봉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알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알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알바이오텍
Publication of KR2013007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활성물질에 관한 것으로 흑미 또는 흑미강을 배양발효배지화 한 액상흑미배지에 담자균류균사(담자균류인 상황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목이버섯, 눈꽃송이버섯 등의 균사)를 접종하여 배양공정에 의해 생산된 배양물로부터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면역증강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생물전환산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생물전환산물은 면역증강 효능을 가지는 유효성분으로 고분자성 다당체를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The preparing method of immune improving agents}
본 발명은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면역증강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면역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크게,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성면역(innate immunity, 일명 자연면역)과 후천적으로 생활 등에 적응되어 얻어지는 후천성면역(acquired immunity, 일명 획득면역)으로 구분된다. 2011년 노벨의학상 공동수상자 3명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침입에 맞서 어떻게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작동하는지 핵심 원칙들을 밝혀낸 업적으로 노벨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부틀러(Bruce A. Beutler)박사와 호프만(Jules A. Hoffmann)박사는 초기에 선천적인 면역반응이 즉각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병원성 미생물 등의 외부침입자들이 우리 몸에 들어와 제일 먼저 선천성면역을 담당하는 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고, 이때 우리 몸은 외부침입자인 외부항원을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게 된다. 이 결과로 세포와 조직에 염증반응이 일어나 우리 몸은 열이 나거나 몸살 기운을 느끼게 된다. 적의 침입을 알리는 셈이다. 이런 초기 면역반응은 외부항원의 정체와 상관없이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일어난다. 선천성면역은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성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 nuclear leucocyte),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자연살해세포(NK cell) 등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이 선천성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상기 초기 면역반응 대응만으로 외부침입자와의 싸움이 버겁게 느껴지면,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선천성 면역계와 후천성 면역계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는 수지상세포가 움직이게 된다. 스테이만(Ralph M. Steinmam)박사는 수지상세포의 역할을 규명했다. 수지상세포는 주로 면역방어체계의 핵심 주력군인 ‘T세포’ 등을 활성화해 대거 방출시킨다. 이후 면역체계가 총동원되어 외부침입자를 제거하는 항체와 외부침입자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살해세포(killer cell)가 투입된다. 이를 통해 외부침입자를 본격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승리하면 외부침입자는 서서히 제거된다. 후천성 면역은 획득면역으로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다시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외부항원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선천성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수지상세포는 암세포를 죽이는데도 이용되어, 전립선암 등에서 수지상세포를 투입하는 새로운 방식의 암 치료법도 도입되어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획득면역은 편의상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과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으로 설명한다. 체액성 면역은 B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비하고, 이 항체는 주로 우리 몸에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항체는 체액에 존재하며 면역글로부린(immunoglobulin:Ig)이라는 당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는 IgM, IgG, IgA, IgD, IgE 등이 있으며, 각각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며 일부 기능이 중복되기도 한다. IgA 항체는 태반을 통해 태아에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면역을 모성면역(maternal immunity)이라 하며, 이 때문에 출생 후 수개월 동안 잘 감염되지 않는다. 세포성 면역은 흉선에서 유래한 T세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lymphokine)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분비된 림포카인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식작용(phagocytosis)을 돕기도 한다. 세포성 면역은 주로 바이러스 또는 세포 내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백신은 획득면역을 인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된 인위적 항원물질로, 약독화시킨 병원체, 사독화된 병원체 또는 그 독소 등이 대표적 백신이며, 면역원으로 백신을 예방접종하여 획득면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면역을 인공면역(artificial immunity)이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면역반응을 증강시키기 위해 많은 면역증강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면역증강제로는 크게 버섯추출물, 식물추출물, 수산물추출물 및 미생물추출물 등이 있다. 버섯추출물은 버섯 자실체에서 추출하거나 버섯의 균사체를 배양시켜 생산된 균사체에서 추출하고 있으며 의약품으로 허가받은 유일한 제품군이다. 일본에서 의약품으로 개발된 것으로 구름버섯의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다당체인 크레스틴(Krestin, PSK), 표고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다당체인 렌티난 및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액에서 회수한 세포외다당체인 시조피란 등이 대표적이며, 국내에서 의약품으로 개발된 것으로 상황버섯의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다당체인 메시마가 대표적 제품이다. 식물추출물로는 인삼, 홍삼제품과 함께 당귀, 천궁, 백작약의 혼합 추출물 및 알로에 추출물이 대표적이며 국내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면역증강 기능성을 인정받은 제품이기도 하다. 수산물추출물로는 새우, 게 등의 갑각류 껍질에서 추출한 다당체인 키토산/키토올리고당과 미역 등 갈조류에서 순수하게 추출된 다당체인 후코이단(Fucoidan) 등이 대표적 제품이나 키토산/키토올리고당은 건강기능식품 재평가에서 면역증강 기능이 인정되지 않아 건강기능식품공전에서 면역증강 기능성이 삭제되는 등 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후코이단은 고순도로 정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면역증강 기능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미생물추출물로는 게르마늄-효모와 함께 클로렐라추출물이 건강기능식품으로 면역증강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상술한 면역증강제는 효능 및 기능성을 입증하여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 및 인정받았으나 그 효과가 높지 않아 홍삼 제품을 제외하고는 적극적인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약용버섯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체 제품의 경우 의약품으로 판매되는 등 면역활성이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우리 몸 안에서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에는 면역활성이 낮아, 섭취시 실질적으로 면역증강 효과를 볼 수 있는 제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흑미(Oryza sativa L.)는 안토시아닌계(anthocyanins) 및 폴리페놀계(polyphenols) 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쌀로서, 흑미는 영양성분으로 전분, 단백질,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안토시아닌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 외에도 섬유소, 인체에 필수적인 무기질, 비타민 B군, 비타민 C, 니아신(niacin), 카로틴(carote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식량의 개념보다도 건강식품의 개념으로 백미에 소량씩 혼합하여 밥으로 많이 섭취하고 있다. 흑미는 본초강목에 의하면 위를 보하고 신장의 기능을 강하게 하며 비장과 간을 활성화시키고 눈을 밝게 하고 혈을 잘 통하게 한다고 했으며, 매일 먹으면 인체의 종합조절기능을 개선하고 면역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질병을 사전예방하고 노약자나 임산부의 빈혈치료에 좋으며 피부의 노화방지나 여성의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고 모발을 검게 만든다고 하였다. 흑미의 약용효과로는 안토시아닌계 색소성분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알러지 효과, 항염증 효과, 항고지혈증 효과가 알려져, 최근에는 가공하여 기능성 식품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흑미의 안토시아닌계 화합물은 가열 처리를 하거나 발효시킬 경우 안토시아닌계의 성분이 파괴되어 흑미는 좋은 효능이 기대 됨에도 불구하고 안토시아닌계 화합물의 불안정성 때문에 저온에서 단순 추출한 가공품들을 제외하고는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여러 가지 천연 면역증강제에 비해 면역활성이 우수한 면역증강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면역증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면역활성 천연발효소재 개발에 있어서 ①발효과정 중 진행되는 천연식물성분의 생물학적 전환(bioconversion)에 의해 획기적으로 향상된 면역활성 효능을 가지는 물질의 생성을 유도시키고, 또한 ②발효미생물 자체가 가지고 있는 면역활성 효능도 함께 향상시킴으로써 면역활성 효능을 극대화하여, 획기적으로 향상된 면역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면역활성 소재 개발에 노력한 결과, 약용버섯 균사체 및 흑미의 단순추출에 비해 본 발명자들의 고유의 기술인 세포벽 생물전환(Bioconversion)기술을 접목시켜서 약용버섯 균사체의 면역활성은 물론 흑미의 경우 안토시아닌 성분은 파괴되더라도 흑미의 면역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지속적인 연구의 결과 확인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흑미를 배양 및 발효배지로 하여 생산된 약용 및 식용 가능한 담자균류균사(상황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목이버섯, 눈꽃송이버섯, 치마버섯 등의 균사) 배양물에 대한 세포벽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배양 및 발효배지 성분인 흑미와 배양공정을 통해 생산된 배양산물인 약용버섯 균사체의 세포벽 구조체인 ‘β-Glycan 구조의 복합다당체로 구성된 불용성 결합체'를 ‘β-Glycan 구조의 수용성 면역활성 다당체'로 생물전환(Bioconversion)시켜 면역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생물전환산물(Bioconversion Product)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생물전환산물이 선천성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대식세포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선천성면역과 후천성면역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는 수지상세포의 성숙(maturation)을 유도하여 수지상세포를 활성화시킴과 함께 특히 대식세포 활성화 능력 및 수지상세포 활성화 능력이 버섯균사체의 단순추출물에 비하여 100배 이상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흑미강/담자균류(발효)/생물전환산물은 면역증강제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배지 및 담자균류에 따른 균체 생산량
도 2는 여러 가지 당류와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 분획분말에 대한 HPLC 분석 결과로서, 도 2a는 글루코스, 도 2b는 메시마캅셀550, 도 2C는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에 대한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4은 흑미강/차가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5는 흑미강/표고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6는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7은 흑미강/눈꽃송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8a는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에 대한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8b는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결과
도 9은 사람 말초혈액(PBMC)내 단핵구 비율과 분리된 단핵구의 순도
도 10는 단핵구로부터 분화 성숙시킨 수지상세포의 표현형 분석
도 11는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의 처리농도가 사람 혈액 단핵구 유래 성숙 수지상세포(muture DC)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
도 12은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과 종래 면역증강물질의 대식세포 활성화 효능 비교
도 13내지 도 15는 암세포를 이식시킨 복수암 동물모델에서의 항암 효능 결과
도 16은 살모넬라 감염 동물모델에서 세균의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결과
본 발명에서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면역증강제의 제조방법은
(a)담자균류균사가 흑미의 전분 및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 이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흑미를 분말화한 흑미분말 또는 흑미의 도정과정에서 나오는 흑미강을 포함하는 액상배지에 전분분해효소 및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흑미를 배양 및 발효 배지화 하는 단계 ;
(b)상기 (a)단계의 흑미를 배양 및 발효 배지화 한 액상흑미배지에 담자균류균사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흑미의 생물전환과 함께 담자균류 균사체를 배양하는 단계 ;
(c)상기 (b)단계에서 생산된 배양물에 대해 2차 생물전환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수추출 후 섬유소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
(d)상기 (b)단계에서 생산된 배양물에 대해 2차 생물전환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수추출 후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이 생산하는 섬유소분해효소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
(e)상기 (c) 또는 (d)단계에서 생산된 최종 생물전환산물을 가열하여 효소 불활성화 및 살균과정을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생물전환산물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f)상기 생물전환산물 분말을 물에 녹여 불용성 잔사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수용성분말을 수득하거나 혹은 상등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을 유도함으로써 면역활성을 갖는 고분자성 다당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에서 흑미를 분말화한 흑미분말 또는 흑미의 도정과정에서 나오는 흑미강을 1~10%(w/v)를 포함하는 배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에 대두분말 0.1~5%(w/v) 및 KH2PO4 0.1~0.5%(w/v)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배지에 배양 및 발효 배지화를 위해 첨가한 전분분해효소로는 아밀라제(Amylase)와 단백질분해효소로는 프로테아제(Protease) 등의 효소제(또는 복합효소제)를 적당량(각 효소제의 제품설명서에서 제시하는 최적량) 첨가한다.
상기 (b)단계에서 담자균류균사는 구체적으로 약용 및 식용 가능한 담자균류인 상황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목이버섯, 눈꽃송이버섯, 치마버섯 등의 균사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담자균류 균사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KCTC), 한국세포주은행(KCLB),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 미국표준균주배양수록보존소(ATCC) 등의 기관에서 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a)단계의 배양발효배지에 담자균류균사를 접종하여 25~40℃ 및 pH4.5~7의 조건으로 1~10일간 배양할 수 있다. 이때 담자균류균사 배양에 있어서 담자균류균사 배양액의 잔류 탄소원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하로 고갈되는 시점까지 일정기간 배양을 진행하는 회분식 배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잔류 탄소원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하로 고갈되는 시점에서 농축된 액상흑미배지를 첨가하여 일정기간 배양하고, 다시 잔류 탄소원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하로 고갈되는 시점에서 농축된 액상흑미배지를 첨가하는 유가식 공정을 수회 반복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생산된 약용버섯 균사체의 세포벽 성분 및 흑미의 세포벽 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글루칸, 키틴, 만난 등의 다당체로 구성된 불용성 결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c)단계에서 2차 생물전환공정을 위한 효소처리는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글루카나제(glucanase) 등의 다양한 섬유소분해효소 효소제를 적당량(각 효소제의 제품설명서에서 제시하는 최적량)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섬유소분해효소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효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즉 이에 한정적이지는 않으나 섬유소분해효소인 비스코자임(Viscozyme:Aspergillus 유래 복합물) 및 셀룰라아제(Cellulase: Aspergillus niger 유래), 필트라제(Filtrase:Tricoderma reesei 유래 복합물), 라피다제(Rapidase:Aspergillus niger 유래 복합물) 및 스미자임(Sumizyme:Aspergillus niger 유래 펙티나아제를 함유한 복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미생물 즉, 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균, 아스퍼질러스속, 트리코더마 리제이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이 생산한 섬유소분해효소를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액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효소 불활성화 및 살균과정은 90~121℃, 5~120분 수행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하여 생물전환산물 분말을 수득한다.
상기 (f)단계에서 얻어진 생물전환산물 분말을 10%(w/v)으로 물에 녹여 불용성 잔사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분말을 수득하거나 혹은 상등액에 2~10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면역활성을 갖는 고분자성 다당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성 다당체의 면역활성물질은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며, 대식세포의 활성화 측정에 있어서 유효농도 EC50의 농도는 물론 EC100의 최저농도도 1㎍/㎖ 이하이며(도 3~7), 또한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의 성숙에 영향을 미치며,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수지상세포로 성숙시키는 수지상세포 활성화 측정에 있어서 유효농도 EC50의 농도가 1㎍/㎖ 이하로 획기적으로 향상된 면역활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1).
또한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과 종래의 면역증강제품의 대식세포 활성화 능력을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이 종래 면역증강제품에 비해 대식세포 활성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획기적으로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2).
또한 흰쥐 복강에 복수암세포주(sarcoma 180)를 이식시킨 암세포 이식 흰쥐(ICR mouse)에서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을 복강 투여하여 수명연장 효과에 의한 항암 효능을 확인한 실험에서 복수암이 유발된 대조군은 평균생존일수가 10.7일로 시험기간 내에 모두 사망한 반면,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을 투여한 군은 평균생존일수가 28.5일로 시험기간 내에 10마리 중 한 마리만 사망하여 탁월한 수명연장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을 14일간 경구 및 복강투여 한 뒤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TCC #14028)을 치사량 수준으로 감염시킨 흰쥐(Balb/c mice)에서 세균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살모넬라 감염 대조군은 감염 후 7일 만에 모두 사망한 반면, 본 발명의 면역활성물질을 경구투여한 군은 23일까지 생존하였고, 복강투여한 군은 27일까지 생존하는 탁월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은 면역활성물질로 면역증강 및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은 면역활성물질로 면역 약화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 및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면역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 및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면역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용 아쥬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면역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1>
담자균류균사 배양을 위한 흑미의 배양발효배지화 및 담자균류균사 배양
담자균류균사가 흑미 또는 흑미강의 전분,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 이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흑미를 분말화한 흑미분말 또는 흑미의 도정과정에서 나오는 흑미강 2%(w/v) [배지1] 또는 흑미강 2%(w/v), KH2PO4 0.1~0.5%(w/v) 및 대두분말 1%(w/v)을 첨가한[배지2] 액상배지에 전분분해효소로 아밀라아제(amylase) 및 단백질분해효소로 프로테아제(Protease)를 처리하여 60℃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고온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하여 흑미분말 또는 흑미강의 배양발효배지화를 수행하였다.
상기 배양발효배지에 담자균류균사로 상황버섯균사, 차가버섯균사, 표고버섯균사, 잎새버섯균사, 목이버섯균사, 눈꽃송이버섯균사, 치마버섯균사 종균배양액을 10%(v/v) 접종하고 28~30℃에서 잔류 탄소원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하로 고갈되는 시점에서 농축된 액상흑미배지를 첨가하는 유가식 공정으로 7~10일간 배양하여 생산된 균체량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실시예2>
담자균류균사 배양물에 효소처리의 생물전환공정을 위한 효소제 및 효소처리
담자균류인 상황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목이버섯, 눈꽃송이버섯, 치마버섯 등의 약용버섯 균사체 및 흑미의 세포벽 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오로스, 펙틴, 글루칸, 키틴, 만난 등의 복합다당체로 구성되어 있다. 흑미 또는 흑미강을 배양발효배지화한 액상흑미배지에 담자균류균사를 배양하고 배양공정에 의해 생산된 실시예 1의 배양물에 대한 2차 생물전환공정의 효소처리는 열수추출 후 섬유소분해효소 즉, 셀룰라아제(cellu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글루카나제(glucanase) 등의 다양한 효소제를 적당량(각 효소제의 제품설명서에서 제시하는 최적량)을 첨가하여 실시하였다. 효소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효소제 즉, 섬유소분해효소인 비스코자임(Viscozyme:Aspergillus 유래 복합물), 셀룰라아제(Cellulase: Aspergillus niger 유래), 펙틴분해효소인 필트라제(Filtrase:Tricoderma reesei 유래 복합물), 라피다제(Rapidase:Aspergillus niger 유래 복합물) 및 스미자임(Sumizyme:Aspergillus niger 유래 펙티나아제를 함유한 복합물)을 각 효소제의 제품설명서에서 제시하는 추천 농도로 사용하였다.
<실시예3>
담자균류균사 배양물에 미생물발효의 생물전환공정을 위한 발효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배양물에 미생물발효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효소 중 특히, 섬유소분해효소를 통한 생물전환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미생물 즉, 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균, 아스퍼질러스속, 트리코더마 리제이 등의 미생물에 대해 섬유소분해효소 생성을 확인하고 사용하였다. 미생물발효의 2차 생물전환공정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배양물을 열수추출 한 후 상기 섬유소분해효소 생산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을 10%(v/v) 넣어 실시하였다.
<실시예4>
생물전환산물의 회수공정
상기 실시예 3의 생물전환공정에 의해 생산된 생물전환산물은 90℃, 1시간 효소 불활성화 과정 및 살균과정을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또한 상기 면역활성 효능을 가지는 생물전환산물 분말을 10배의 물에 녹여 10,000rpm,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잔사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분말로 수득하거나 혹은 상등액에 5배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4℃에서 24시간 이상 침전을 유도하고 침전물을 동결건조하여 면역활성을 갖는 고분자성 다당체 분획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5>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면역활성물질의 분석
상기 실시예4에서 제조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을 겔크로마토그래피 컬럼(UltrahydrogelTM 1000, Waters, USA)을 이용하여 HPLC로 다당체분획을 분석하였다. 다당류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다당류 중 하나인 전분(starch)을 사용하여 다당체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확인하였고, 단당류로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글루코스를 사용하여 단당류의 머무름 시간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화기암, 간암 및 환자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과의 병용에 의한 면역기능 항진 등의 효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허가된 전문의약품인 (주)한국신약의 [메시마캅셀550]을 구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메시마캅셀550]은 세포독성 항암 치료를 보조하기 위한 면역기능 증진제로 현재 판매되고 있으며,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Phellinus linteus의 다당류)을 포함하는 항암면역활성이 있는 산성다당류(153kD)를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 결과, 상기 실시예4에서 제조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의 면역활성물질은 전분 및 [메시마캅셀550]의 다당류 피크의 머무름 시간과 유사한 시간대에서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면 2].
상기 고분자성 다당체분획의 구성단당을 분석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실험의 시료의 추출 및 전처리방법으로는 중성당은 10 mg/ml의 농도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2M)을 이용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수분해 하였다.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의뢰하여 이루어졌으며, 분석장비로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장비로 ICS-5000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Dionex, Sunnyvale, CA, USA)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CarboPac PA1 (4 × 250 ㎜, Dionex)에 CarboPac PA1 cartridge (4 × 50 ㎜)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용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16 mM)을 사용하여 등용매조성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속을 1 ml/min로 설정하고 10 μl의 시료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고분자성 다당체분획의 구성단당을 분석한 결과, 다당체분획의 구성단당은 글루코스(glucose) 및 갈락토스(galactose)가 주종을 이루고 그 외에 만노오스(mannose), 람노스(rham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푸럭토스(fructose), 자일로스(xylose)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실시예6>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면역활성물질의 생체 외(in vitro) 활성 분석
[6-1] 대식세포 활성화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각 시료의 대식세포 활성화 능력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 활성화 측정에 사용한 시료로는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실험군A), 흑미강/차가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실험군B), 흑미강/표고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실험군C),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실험군D), 흑미강/눈꽃송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실험군E)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에 대한 대식세포 활성화는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ICR계 마우스(8주령, 웅성, 대한바이오링크사로부터 구입)의 복강에 5% 티오글리콜레이트(thioglycollate) 배지 2.5ml를 주사한 후 72~96시간 내에 유도된 복강 대식세포를 회수하여 RPMI 1640으로 2~3회 세척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대식세포의 수를 1X106 cell/ml로 조정하여 96웰 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였다. 이를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하여 대식세포 단일층을 형성한 후 각 웰에 상기 시료(실험군A~E)의 농도가 1㎍/㎖, 10㎍/㎖와 100㎍/㎖가 되도록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LPS를 처리하였다. 그 다음 RPMI 1640으로 세척하고 Triton X-100을 가하여 세포막을 용해하였다. 유리된 라이소좀 포스파타아제(lysosomal phosphatase)를 기질인 ρ-NPP와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세포가 포함되지 않은 웰의 흡광도도 측정하여 실험군의 데이터를 보정하는데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이 생리식염수를 사용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식세포 활성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시료 처리농도가 가장 낮은 1㎍/㎖에서 엘피에스(LPS)를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사하게 나타나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실험군의 생물전환산물 다당체분획분말 시료에 대해서 생리활성 유효농도인 EC50의 농도는 물론 EC100의 최저농도도 1㎍/㎖ 이하로 정의를 충분히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모든 흑미강/담자균류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에 대한 유효농도인 EC50 및 EC100의 최저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모든 다당체분획분말에 대해 대식세포주(Macrophage cell line,RAW264.7)를 사용하여 대식세포 활성화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식세포는 96웰 플레이트 각 well에 1x104 cells/ml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배양기에서 37℃, 5% CO2, 24시간 배양 후 상기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LPS를 처리하였다. 시료가 처리된 96웰 플레이트를 18시간 배양하여 대식세포로부터 발생하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측정한다. 배양 종료 후 각 웰의 배양액을 100㎕씩 취해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을 100㎕를 분주 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l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흑미강/담자균류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중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 분획분말에 대한 유효농도 EC50 및 EC100의 최저농도가 1㎍/㎖ 이하로 대식세포 활성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8a). 이외에도 모든 흑미강/담자균류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에 대한 결과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6-2] 수지상세포 활성화 분석
[6-2-1] 단핵구로부터 수지상세포로 분화 및 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시료중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을 실험물질로 선정하고 대식세포에 대한 활성화를 측정하여 실험농도를 설정한 후(도 8b), 사람 면역계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천성과 후천성 면역계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는 수지상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지상세포 활성화 분석을 위하여 중앙혈액원으로부터 사람 혈액을 공급 받아 각각의 면역계에 해당하는 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을 수용액에 녹인 후 침전을 제거한 상등액을 처리하여 수지상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앙혈액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말초혈액에 동량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첨가하여 잘 섞어 준 후, 단핵세포 처리용의 밀도구배매질(Ficoll-Paque plus;GE Healthcare) 15mL이 들어 있는 50mL 용기에 희석된 혈액 35mL을 피콜(Ficoll) 층이 유지되도록 첨가하고 2,5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핵구는 PBS로 3회 세척 후, CD14 항체(BD Sciences)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사용설명서에 따라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핵구는 형광 항체로 염색한 후, 세포자동해석분리장치(FACS;Fluorescense Activated Cell Sorter; BD Sciences) 기기로 분석하여 CD14+CD83-인 세포의 비율이 95% 이상임을 확인하여 사용하였다(도 9).
분리된 단핵구에 과립구대식세포-콜로니자극인자(GM-CSF ;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와 인터루킨-4(IL-4)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미성숙 수지상세포(immuture DC)로 분화 배양 6일 후, LPS를 첨가하여 성숙 수지상세포(muture DC)로 분화 유도하여 그 표현형을 세포자동해석분리장치로 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단핵구로부터 CD80과 CD1a의 발현 증가로 단핵구가 미성숙 수지상세포(immuture DC)로 분화 그리고 CD83과 CD86의 발현증가로 미성숙 수지상세포(immuture DC)가 성숙 수지상세포(muture DC)로 성숙(maturation)이 진행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이 수지상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CD80은 수지상세포가 T 세포와 상호작용으로 T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수지상세포의 보조자극인자(co-stimulatory molecules)이고, CD1a는 미성숙 수지상세포(immuture DC)가 T 세포에의 항원제시에 관련된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이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성숙을 통한 수지상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14+CD83- 단핵구를 과립구대식세포-콜로니자극인자와 인터루킨-4가 포함된 RPMI-1640 배지에 현탁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6일 동안 배양하며 미성숙 수지상세포(imDC)로의 분화 유도함에 있어서 배양 4일째에 동량의 과립구대식세포-콜로니자극인자와 인터루킨-4가 포함된 배지 2mL을 첨가하였으며, 분화 6일 후, 미성숙 수지상세포(imDC)에 양성대조군으로 LPS를 처리하고 실험군으로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성숙 수지상세포로 성숙을 유도한 뒤, 그 표현형을 세포자동해석분리장치로 분석하였다(도 11).
실험결과, 양성대조군으로 LPS를 처리한 경우 미성숙 수지상세포에서 성숙 수지상세포로 성숙(maturation)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군이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미성숙 수지상세포에서 성숙 수지상세포로 성숙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분말이 성숙 수지상세포로의 성숙에 필요로 하는 농도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농도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b, 11).
<실시예7>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면역활성물질과 종래 면역증강제품의 대식세포 활성화 비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과 일본 교와社의 아가리쿠스버섯으로 부터 생산한 선생로(仙生露), 일본 (주)아미노업 화학의 표고버섯유래 다당체로 부터 생산한 AHCC, 한국신약의 전문의약품으로 상황버섯 균사체로부터 생산한 메시마, 갈조류 유래 다당체인 후코이단의 대식세포 활성화를 상기 실시예 [6-1]의 대식세포에 대한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다당체분획분말의 대식세포 활성화 효능이 획기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8>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면역활성물질의 생체 내(in vivo) 활성 분석
[7-1] 암세포를 이식시킨 복수암 동물모델에서의 항암 효능 검증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에 대해 암세포를 이식시킨 복수암 동물모델에서 수명연장 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 시료에 대한 수명연장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은 증류수에 녹여 복강 내 투여 하였다. 복수암 세포배양을 위한 세포(Sarcoma-180)는 한국세포주은행 (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Sarcoma-180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penicillin과 100 ㎍/mL streptomycin을 첨가한 세포 배양액을 사용하여 37℃ 습윤한 CO2 배양기 (5% CO2, /95% ai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배양 접시의 80% 정도 차면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H 7.4)으로 세포의 단층을 씻어낸 후 세포를 떼어내고 배양액을 모아 원심분리하여 계대 배양하였고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특정병원체(specific pathogen free)가 없는 5주령, 숫컷 ICR mouse를 (주)오리엔트바이오 (성남,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일간의 검역 및 적응과정을 거친 뒤 체중 감소 없는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온도 23 ± 3℃, 상대습도 50 ± 10%, 환기회수 10-15 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08:00 - 20:00), 조도 150 - 300 Lux로 설정된 사육환경에서 사육하였다. 1주간의 적응 기간 동안 실험동물은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주) 카길애그리퓨리나, 군산, 한국)와 음수를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동물은 1주간의 적응 기간을 거친 후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난괴법에 의거하여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정상대조군, 복강에 Sarcoma-180 세포(1×106 cells/mouse)를 이식하여 복수암을 유발시키고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본 실험의 실험군인 복강에 Sarcoma-180세포(1×106 cells/mouse) 이식 후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을 10mg/kg body weight/day 복강 내에 투여한 시험물질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암세포를 주사하고 24시간 후부터 시험물질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매일 1회 14일간 복강 내에 0.2ml씩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같은 기간,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으며, 시료 최종투여 후 30일까지 관찰하여 평균수명일수를 계산하고 다음 식으로 increase of life span (ILS)을 계산하여 수명연장 효과를 평가하였다.
{ILS=[(실험군의 평균 수명-대조군의 평균 수명)/대조군의 평균 수명]x100}
본 연구에서의 모든 동물실험은 한림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 (Hallym 2011-86).
통계처리를 위한 모든 분석 수치는 mean ± SEM으로 나타내었다. 수집된 결과는 SAS 9.1 프로그램(SAS Institute, Cary, NC, USA)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각 실험군들의 평균치간의 유의성은 α = 0.05 수준에서 analysis of various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13, 14, 15에 도시하였다.
수명연장 효과 실험 결과, 수명연장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대조군, 복강에 Sarcoma-180 세포를 이식하여 복수암을 유발시키고 시험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본 실험의 실험군인 복강에 Sarcoma-180 세포 이식 후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을 10mg/kg body weight/day 복강 내에 투여한 시험물질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암세포를 주사하고 시험물질을 각 농도별로 매일 1회 14일간 복강 내에 투여하고 시료 최종투여 후 30일까지 관찰하여 수명연장 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동물의 상태를 도 14에 나타내었고, 암이 유발된 부위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실험군인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은 10mg/kg body weight/day 복강 내 투여군에서 마우스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평균생존일수는 10.7일이었으며, 본 실험의 실험군인 흑미강/목이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은 10mg/kg body weight/day 복강 내 투여한 실험군의 평균생존일수는 28.5일로 시험기간 내에 10마리 중 한 마리만 사망하여 수명연장 효과가 166.4%로 탁월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도 14의 실험동물 육안관찰에서 이번에 사용한 Sarcoma-180 세포는 복수(복강)암 세포로 복강에 주입하면 복수가 차게 되는데 양성대조군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복부가 볼록하게 많이 부풀어 오른 것이 확연히 보이는 반면 시험물질 복강 투여군에서는 정상대조군과 같이 복부가 정상으로 보이며 시험물질 투여기간 동안과 해부 전까지 복수도 차있지 않았고 해부 당시 암 덩어리도 발견하지 못하여, 암 세포 주입 후 바로 시험물질을 투여하였고 정상과 비슷하게 살아있는 것으로 보아 시험물질의 탁월한 효과로 판단된다.
[7-2] 살모넬라 감염 동물모델에서 세균의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에 대해 살모넬라 감염 동물모델에서 세균의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 시료에 대한 살모넬라 감염 동물모델에서 세균의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 실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생후 6주령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샘타코(Osan, Kyunggido, Korea)로 부터 분양받아 ‘실험동물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지침(Guide for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Institute of laboratory Animal Resources, Commission on Life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USA;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6)’에 의하여 실험식이로 사육하였다. 사육실은 25±2℃의 온도와 50±5%의 습도에서 12시간 간격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였다. 실험 과정은 질병관리본부의 동물관리지침에 따라 시행하였고 아주대학교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하에 수행하였다.
실험에 앞서 모든 실험동물에게 물과 고형배합사료를 제한 없이 급여하면서 일주일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체중에 따라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살모넬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TCC #14028)을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살모넬라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군,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1×105 cfu/ml의 농도로 복강에 감염시킨 대조군 및 본 실험의 시료인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살모넬라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실험의 시료인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을 10㎎/㎏ body weight/day의 농도로 14일 동안 경구 및 복강에 투여하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을 치사량 수준인 1×105 cfu/ml의 농도로 복강에 감염시킨 후 지속적으로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을 투여하면서 감염 후 사망률을 관찰하여 살모넬라 감염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16에 도시하였다.
살모넬라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 실험 결과,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감염 대조군은 미생물 감염 후 7일만에 모두 사망한 반면,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경구투여군은 23일까지 생존하였고, 흑미강/상황버섯균사(발효)/생물전환산물의 복강투여군은 27일까지 생존하는 우수한 사망률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6).

Claims (17)

  1. (a) 흑미를 액상으로 배양발효배지화 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배양발효배지화 한 액상흑미배지에 담자균류균사를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배양공정에 의해 생산된 배양물로부터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면역활성을 향상시킨 생물전환산물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생물전환산물은 면역활성을 갖는 고분자성 다당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a)단계의 흑미의 배양발효배지화는 흑미를 분말화
    한 흑미분말 또는 흑미의 도정과정에서 나오는 흑미강에 전분분해효소 및 단백질분해효소로 처리한 후 멸균처리하여 액상흑미배지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흑미분말 또는 흑미강에 대두분말을 추가하여 액상흑미배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담자균류균사는 상황버섯, 차가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목이버섯, 눈꽃송이버섯 및 치마버섯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담자균류의 균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b)단계의 배양공정은 회분식 배양공정과 함께 잔류 배지성분의 농도가 일정농도 이하로 고갈되는 시점에서 흑미배지를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하는 유가식 배양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생물전환공정은 열수추출 후 효소처리에 의한 생물전환공정 및 열수추출 후 미생물발효에 의한 생물전환공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효소처리는 세포벽 구성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섬유소분해효소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섬유소분해효소는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글루카나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미생물발효에 의한 생물전환공정에서의 미생물은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섬유소분해효소를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로는 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균, 아스퍼질러스, 트리코더마 리제이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체는 (c)단계의 생물전환공정을 거친 배양액에서 불용성 잔사를 제거한 상등액에 에탄올 첨가하여 침전을 유도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대식세포의 활성화 측정에 있어서 유효농도 EC50의 농도가 1㎍/㎖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역증강제.
  14. 면역세포인,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수지상세포로 성숙시키는 수지상세포 활성화 측정에 있어서 유효농도 EC50의 농도가 1㎍/㎖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역증강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체는 대식세포주의 활성화 측정에 있어서 유효농도 EC100의 최저농도가 1㎍/㎖ 이하 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제.
  16. 제 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면역활성을 갖는 생리활성물질.
  17. 제 16 항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약학 또는 건강식품 또는 사료첨가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20156983A 2011-12-29 2012-12-28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KR101467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11 2011-12-29
KR20110146011 2011-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802A true KR20130077802A (ko) 2013-07-09
KR101467903B1 KR101467903B1 (ko) 2014-12-10

Family

ID=4899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983A KR101467903B1 (ko) 2011-12-29 2012-12-28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90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70A (ko) * 2015-05-27 2016-12-07 (주)에스티알바이오텍 미생물(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효소처리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물전환된 강황생물전환산물
KR20180072654A (ko) * 2018-06-25 2018-06-29 강효동 발효 미강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9187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에?코스메틱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2331B1 (ko) * 2019-03-14 2020-09-04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생물전환된 흑미강발효물 및 도라지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2152356B1 (ko) * 2019-09-25 2020-09-04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생물전환된 흑미강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162421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62419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5279B1 (ko) * 2022-09-14 2023-06-20 최강삼 흑미가 함유된 고효능 건강식 피자도우의 제조방법
KR20240064160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염활성 및 지질대사조절활성이 증가된 노근 추출물의 생물전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93B1 (ko) * 2015-11-30 2017-11-07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참깨생물전환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당뇨개선용, 고지혈증 개선용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866258B1 (ko) 2017-07-10 2018-06-11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참깨생물전환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당뇨개선용, 고지혈증 개선용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048B1 (ko) * 2002-09-26 2004-09-24 동서바이오 주식회사 보리 겨를 이용한 아라비녹실란의 제조방법
KR101116247B1 (ko) * 2004-12-13 2012-03-09 주식회사 이롬 미강으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4467A (ko) * 2005-03-30 2006-10-09 주식회사 푸르뫼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면역증강활성용 기능성 된장
KR101012405B1 (ko) * 2007-12-14 2011-02-09 (주)휴럼 인진쑥 추출물에서 발아된 발아곡류를 천연배지로 이용한버섯균사체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용한 기능성식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70A (ko) * 2015-05-27 2016-12-07 (주)에스티알바이오텍 미생물(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효소처리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물전환된 강황생물전환산물
KR20190059187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에?코스메틱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2654A (ko) * 2018-06-25 2018-06-29 강효동 발효 미강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2331B1 (ko) * 2019-03-14 2020-09-04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생물전환된 흑미강발효물 및 도라지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2152356B1 (ko) * 2019-09-25 2020-09-04 (주)에스티알바이오텍 생물전환된 흑미강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162421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62419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를 이용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5279B1 (ko) * 2022-09-14 2023-06-20 최강삼 흑미가 함유된 고효능 건강식 피자도우의 제조방법
KR20240064160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염활성 및 지질대사조절활성이 증가된 노근 추출물의 생물전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903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903B1 (ko)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CN109939027B (zh) 一种猴头菌发酵制备含麦角硫因的化妆品原液的方法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Sokol et al. Biology, cultivation, and medicinal functions of the mushroom Hericium erinaceum
CN105641000A (zh) 一种含灰树花提取物的抗肿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hoi et al. Enhancement of anti-complementar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submerged culture of Cordyceps sinensis by addition of citrus peel
Prybylski et al.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microalgae
CN101805763B (zh) 一种具有增强免疫作用的桦褐孔菌胞内外混合粗多糖
SG174110A1 (en) New ganoderma tsugae var. jannieae strain tay-i and biologically active biomass and extracts therefrom
KR20060116463A (ko) 인삼박을 배지로 한 버섯 균사체 및 그 생산방법
US20120124703A1 (en) Novel coprinus comatus and tremella mesenterica mushroom strains, products and extracts thereof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WA et al. Bioactive potential of some fascinating edible mushrooms Macrolepiota, Russula, Amanita, Vovariella and Grifola as a treasure of multipurpose therapeutic natural product
KR20080077524A (ko) 면역 활성 증강용 동충하초 액체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균체내 다당체와 균체외 다당체 및 그 생산 최적 배양조건
CN114807270B (zh) 一种利用黑根霉发酵制备的牛蒡根多糖及其生产工艺和应用
JP5081485B2 (ja) 抗癌剤及び抗癌剤の製造方法
CN115634241A (zh) 一种山东灵芝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在制备降血糖药物中的应用
KR101434741B1 (ko) 페실로마이세스 바리오티 바라이어티 브른네오러스 gpp1101b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제제
KR100548060B1 (ko) 한방자원을 이용한 고기능성 균사체의 제조방법 및 그 균사체
CN102178701B (zh) 一种具有抗肿瘤活性多糖组合物的制备方法
WO2009017463A2 (en) NOVEL β-GLUCANS ISOLATED FROM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 GANODERMA TSUGAE VAR. JANNIEAE
KR100706132B1 (ko) 펠리누스 린테우스 균사체 배양용 배지 조성물
KR20120019311A (ko)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제한 인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활성용 조성물
Kim et al. Immune enhancement of Hericium erinaceum mycelium cultured in submerged medium supplemented with ginseng extract
KR20220020147A (ko)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또는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116247B1 (ko) 미강으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물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