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245A - 장식용 인각필름 - Google Patents

장식용 인각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245A
KR20130075245A KR1020110143548A KR20110143548A KR20130075245A KR 20130075245 A KR20130075245 A KR 20130075245A KR 1020110143548 A KR1020110143548 A KR 1020110143548A KR 20110143548 A KR20110143548 A KR 20110143548A KR 20130075245 A KR20130075245 A KR 2013007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film
decorative
hardne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이남희
구자정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245A/ko
Publication of KR2013007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인각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 인각된 장식문양이 형성되며,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용 인각필름 {Engraved film for decorating}
본 발명은 장식용 인각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등에 장식용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장식용 문양을 넣는 경우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에 문양을 넣어 문양을 형성한 후에 선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리 제품을 표면에 붙이거나 코팅을 한다. 유리제품을 붙이는 경우에는 투명성이 보장되지만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고분자 소재 등으로 코팅을 실시하는 경우 변색의 문제점 및 경도가 약해 스크래치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장식용 문양을 형성할 경우 투명성 및 표면의 경도가 강하며, 충격성에도 강한 필름을 이용한다면 기존에 장식용으로 활용되는 재질 보다 우수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식용 재료가 활용가능한 플라스틱재료를 살펴보면, 플라스틱 재료는 그 경량성, 충격에 강한 특성, 그리고 투명한 특성으로 유리대체용 재료로 다양하게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적용되는 용도로는 자동차용 투명내장재, 그린하우스용 플레이트재, 디스플레이용 윈도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투명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아크릴, 폴리스타이렌(PS),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료를 적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PMMA는 투명성이 가장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지만, 충격에 약한 특성 때문에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용도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폴리스타이렌은 투명도와 내충격성 모두 PMMA나 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해 열세인 소재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은 내충격성, 투명도 등이 우수하지만, 가공방식이 제한적이고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폴리에스터는 투명성과 내충격성등이 우수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투명도가 떨어지는 단점과, 내열성이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는 위에서 비교한 다른 소재에 비해 투명도가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 강한 소재로 강점을 가지고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는 마모특성이 PMMA 나 아크릴 수지에 비해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 그리고 내충격성의 장점을 활용하고, 약점인 마모특성을 개선하고자 진행되고 있는 종래 기술로 폴리카보네이트의 하드 코팅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에 일반적인 하드 코팅을 할 경우, 표면경도는 연필경도로 1H가 최대로 구현되는 수준까지 마모특성이 개선되지만, PMMA (기본 3-4H, 하드코팅후 6-7H) 등의 소재의 경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또한 PC와 PMMA를 2층 또는 3층 구조의 다층형 플레이트 원판으로 구성하고, 그 위의 하드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PC 위에 PMMA 층을 50-100um 두께로 하여 표면에 공압출한 플레이트는 PMMA의 경도 특성이 발현되어 원판 플레이트상은 2H수준의 연필경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원판 위에 하드코팅을 하면 경도가 높은 수준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PC와 PMMA의 열팽창 특성의 차이로 인해 오래 사용되는 경우 한쪽 방향으로 플레이트가 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장점을 살리면서 휨 현상없이 고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투명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 고유의 투명하고 잘 깨지지 않는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고경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장식문양을 인각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의 휨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시각적 효과를 내는 장식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 인각된 장식문양이 형성되며,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1)
Figure pat00002
...(2)
Figure pat00003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50-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5-30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0.01-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의 두께가 200-2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각된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 하드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용융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필름의 이면에 장식용 문양을 인각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각된 필름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4
...(1)
Figure pat00005
...(2)
Figure pat00006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50-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5-30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0.01-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각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열팽창 특성이 유사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의 휨이 발생하지 않아,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외부면의 장식용으로 사용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각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며, 잘 깨지지 않는 내충격성을 유지하면서, 표면경도를 1H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어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외부면 장식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인각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에 장식무늬를 인각한 사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필름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필름”이라 함은 일정한 폭과 두께가 있는 막, 시트, 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고유의 장점인 투명하고, 잘 깨지지 않는 내충격성을 유지한 채 고경도 표면을 가지며, 이면에 장식용 문양의 인각을 형성한 필름을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상부에 100~500 ㎛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 (경도향상을 위한 공중합체 또는 혼합 수지 조성물)를 표면층에 위치시킨 2층형 구조로 구성하여 표면경도를 1H 수준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구현된 2층형 필름은 이를 구성하는 각 층의 구성물이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열팽창 특성이 유사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의 휨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투명성과 충격에 강한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의 커버 플레이트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표면 경도가 약함으로 인해 스크래치 등 마모특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스크래치에 견디는 수준을 연필경도를 통해 지표화하는 데,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는 4B수준의 매우 무른 특성을 갖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커버플레이트로 사용되는 PMMA는 표면경도는 2H수준으로 강한 특성이 있으나, 외부충격에 약해 잘 깨지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PMMA 각각의 단점을 극복하고 이들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PC와 PMMA 이층구조를 형성하면, PMMA의 표면경도와 PC의 잘 깨지지 않는 특징을 살린 투명한 플레이트의 제조가 가능하다. 하지만, 두 개의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고분자재료를 붙여놓은 형태의 필름은 사용되는 온도, 습도 조건하에서 장시간 사용시 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PMMA 대신 경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반한 소재를 필름을 제조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휨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경도를 이루는 투명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투명도가 높고 경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기반의 필름은 디스플레이용 기판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인각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에 장식무늬를 인각한 사진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은 표면 경도가 일반 폴리카보네이트(PC) 보다 강하여 연필경도 1H 수준이상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에 휨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위 구조가 혼합된 공중합체로 1H 이상의 연필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7
...(1)
Figure pat00008
...(2)
Figure pat00009
...(3)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50-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5-30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및 0.01-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 또한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이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열팽창 특성이 유사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의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외부면의 장식용으로 사용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도로서 압출인각에 의해 장식용 문양을 인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필름을 제조하는 개략적인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T-다이 210에서 용융된 재료는 압출되면서 제1롤러 220와 인각롤 230 사이에서 장식용 문양이 인각될 수 있다. (A 영역)
T-다이 210을 통해 용융압출된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제1롤러 220와 인각롤 230 사이에서 상기 인각롤 230에 접해 있는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일면을 인각한다. 상기 인각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 유리전이온도(Tg)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유리전이는 모든 선형고분자에 있어 유리상에서 고무상 또는 유연한 열가소성 형태로 비교적 명확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무정형 또는 결정성 열가소성 플라스틱들은 저온에서 유리상을 하고 있고, 온도가 상승하면 유리상에서 고무상 탄성체나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인각전에는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상태에서 인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각롤 230에는 꽃 문양, 건축 문양 등의 원하는 장식용 문양을 양각으로 형성하게 되면, 제1롤러 220와 인각롤 230 사이에서 폴리카보네이트층에 음각의 장식용 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이후 인각롤 230과 제2롤러 240 사이에서 냉각과정을 거쳐 필름이 냉각된다.(B 영역)
상기 냉각과정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인각롤에 의해 필름층이 인각된 직후에, 냉각과정을 통해 유리전이온도 미만으로 필름의 온도를 낮춰 잔류스트레스(잔류응력)를 적게 받아 필름의 형상의 변형을 억제하려는 데 있다.
즉, 인각전에 유리전이온도(Tg)보다 높은 온도에서 인각롤 230에 의해 의도한 형상으로 장식용 문양이 인각된 후, 상기 인각롤 230에서 이탈하는 순간에 온도를 냉각시켜 유리전이온도(Tg) 미만으로 내려가게 하여 장식용 문양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인각된 형상이 구현된 필름의 표면에 에어나이프(air knife)와 같은 냉각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필름에 발현된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온도는 4 내지 20℃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이다.
상기 장식용 문양이 음각으로 인각된 부분에 색채를 가미됨으로써 문양이 더욱 화려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인각된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 하드코팅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장식용 인각필름에서 인각된 부분은 외부와 노출되지 않고 냉장고 등의 장식되는 부분과 접착되는 부분이며, 이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외부와 노출되는 부분의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계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계열 하드코팅 수지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우레탄계의 공중합으로 제조되는 수지로,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폴리바코네이트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등의 폴리올 성분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Toluene diisocyanate),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Diphenylmethane diisocyanate)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Isophoro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Hexamethylene diisocyanate)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3차원 성형이 가능한 탄성과 동시에 외부 자극에 견딜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적합한 원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약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에 필름의 광택 변화가 발생하거나, 코팅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0㎛ 초과하는 경우에 하드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의 코팅액에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는 데, 상기 첨가제로는 실리콘계 첨가제(실리콘기를 가지는 반응성 모노머/올리고머), 불소계 첨가제 (불소기를 가지는 반응성 모노머/올리고머), 실리콘기 또는 불소기를 가지는 수지,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의 코팅액에 광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는 데, 상기 광개시제로는 UV 경화를 위한 광개시제로서 벤질 케탈류, 벤조인 에테르류, 아세토페논 유도체, 케톡심 에테르류, 벤조페논, (아미노)벤조에이트, 벤질 디메틸 케탈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유라디칼 개시제와 오늄 염(onium salts), 페로세늄 염(ferrocenium salts) 및 디아조늄 염(diazonium salt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양이온성 개시제, 또는 상기 자유라디칼 개시제 및 상기 양이온성 개시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의 코팅은 UV경화방식 또는 열건조 방식의 코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경화는 UV 경화로 이루어지는 경우, UV 경화는 0.6 내지 4.0J/㎠의 조사에너지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로 UV 경화할 때 변색 및 필름이 손상되지 않고 코팅의 경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각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를 기반으로 2개층을 유지하기 때문에 열팽창 특성이 유사하여, 장기간의 사용에도 필름의 휨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경도로 내스크래치성을 갖고 있어,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외부면의 장식용으로 사용이 매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상기에서 표현된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가 혼합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압출인각장치에 의해 용융압출하였으며, 500㎛ 두께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형성하고, 한면에 인각롤에 의해 장식용 문양을 형성하였다.
장식용 문양이 형성된 이면에는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계열을 사용하여 하드코팅을 실시하였으며, UV 경화 방식으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두께를 800㎛로 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카보네이트층은 75 wt%의 폴리카보네이트, 13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경도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면경도 측정
필름의 표면경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사)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6B ~ 9H로 변화시키면서 45도 각도를 유지하여 스크래치를 가하여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 연필경도당 5회 실시로 긁힘(scretch)이 발생되는 연필심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구 분 두께 표면 경도
실시예 1 고경도 PC 500㎛ 4H
실시예 2 고경도 PC 800㎛ 5H
실시예 3 고경도 PC 500㎛ 5.5H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고경도를 갖는 필름으로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의 성질 및 표면에 고경도 등의 기능을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 외부면 장식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 인각된 장식문양이 형성되며,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
    Figure pat00010
    ...(1)

    Figure pat00011
    ...(2)

    Figure pat00012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50-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5-30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0.01-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장식용 인각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층의 두께는 200-2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인각된 상기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의 이면에는 하드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
  6.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용융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필름의 이면에 장식용 문양을 인각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각된 필름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고경도 폴리카보네이트층은 연필 경도 1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
    Figure pat00013
    ...(1)

    Figure pat00014
    ...(2)

    Figure pat00015
    ...(3)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50-90 wt%의 폴리카보네이트, 5-30 wt%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0 wt%의 인(phosphate)화합물, 0.01-2 wt%의 불소함유 올레핀(fluorinated olefin)을 포함하는 장식용 인각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10143548A 2011-12-27 2011-12-27 장식용 인각필름 KR20130075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48A KR20130075245A (ko) 2011-12-27 2011-12-27 장식용 인각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48A KR20130075245A (ko) 2011-12-27 2011-12-27 장식용 인각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245A true KR20130075245A (ko) 2013-07-05

Family

ID=4898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548A KR20130075245A (ko) 2011-12-27 2011-12-27 장식용 인각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41A (ko) 2020-07-27 2022-02-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저융점 합금을 이용한 스타퍼 기구가 적용된 로봇 그리퍼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41A (ko) 2020-07-27 2022-02-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저융점 합금을 이용한 스타퍼 기구가 적용된 로봇 그리퍼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540B1 (ko) 삼차원 성형용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장식 시트를 사용한 장식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TWI418578B (zh) 成型用聚酯薄膜
US8470445B2 (en) Resin laminat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transfer film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resin laminate
TWI631020B (zh) 包含彈性質感的模內轉印膜及其製備方法
CN110832039A (zh) 电介质油墨组合物
KR101014966B1 (ko) 건축재용 화장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0961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470760B (en) Polyester film for decorative plate
KR101814178B1 (ko) 몰딩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몰딩재
KR101113661B1 (ko)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기판
JP6558189B2 (ja) ハードコート層付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4807300B2 (ja) 加飾シート
WO2020159528A1 (en)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JP2014133320A (ja) 空気圧成形品の製造法
JP2008096820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17423B1 (ko) 장식 필름
KR101956132B1 (ko)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물품, 진공 열 성형용 데코레이션 시트 제조방법
KR20110075229A (ko)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5245A (ko) 장식용 인각필름
KR20110069436A (ko) 인몰드 사출성형용 성형필름
KR20130075247A (ko) 장식용 인각필름
KR20130075249A (ko) 기능성이 부여된 고경도 필름
TW202003712A (zh) 光聚合性塗佈組成物及包含其的物品、積層膜與漆面保護膜
KR101158691B1 (ko) 백라이트유닛용 반사시트
KR101601336B1 (ko) 외장용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