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872A -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872A
KR20130074872A KR1020110142943A KR20110142943A KR20130074872A KR 20130074872 A KR20130074872 A KR 20130074872A KR 1020110142943 A KR1020110142943 A KR 1020110142943A KR 20110142943 A KR20110142943 A KR 20110142943A KR 20130074872 A KR20130074872 A KR 20130074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erroalloy
cooling
hopper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451B1 (ko
Inventor
강신명
이재영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1014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35Starting from compounds, e.g.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토록 제공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와 연계되고 처리된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부와 상기 환원부와 연계되고 환원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와 연계되고 냉각된 대상물에서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부 및 대상물이 상기 환원부에서 상기 냉각부로 수송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이송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원로에서 배출된 대상물이 공기와 차단되어 재산화되거나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ferro-alloy}
본 발명은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농도 산화철 또는 산화물 형태의 비철금속 성분을 함유한 광석이 환원된 후,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재산화 또는 재발화반응되는 것을 차단토록 구성된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고농도 산화철 또는 산화물 형태의 비철금속 성분을 함유한 광석을 환원시키는 환원로와 환원된 광석 중 유효 금속성분을 산성용액에서 용출시키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전체 습식제련 합금철 제조공정은 도 1에 도시된 이후에도 여러 가지 후단 공정이 있으나, 본 발명은 후단 공정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도식화 하지 않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제련 합금철 제조공정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광석을 건조 또는 소성하는 건조/소성로(1)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소성로(1)에서 물리적 수분과 광석 내 결정수가 제거된 광석은 컨베이어벨트(2)를 거쳐, 호퍼(3)에 저장된다. 저장된 광석은 1개 혹은 그 이상의 장입 스크류(4)를 통해 환원로(5)에 투입된다. 장입물에 포함된 산화철 및 산화물 형태의 비철금속 성분은 상기 환원로(5)를 통과하는 동안 승온되며, 동시에 상기 환원로(5) 내부로 공급되는 환원가스에 의해 환원된다. 상기 환원로(5)에서 환원된 장입물은 배출 스크류(6)에 의해 배출된 후, 컨베이어벨트(7)를 통해 호퍼(8)로 이송된다. 상기 호퍼(8)에서 임시 저장된 환원된 광석은 산성용액이 담겨져 있는 반응기(9)에서 산(acid)과 반응하여, 광석 내 유효 금속성분만 용출된다.
종래의 습식제련 합금철 제조공정은 상기 환원로(5)에서 환원광이 배출될 때, 컨베이어벨트(7)를 통해 호퍼(8)로 수송되는 과정과 호퍼(8)에 저장된 후에도 상기 호퍼(8)가 공기에 노출되어 있어 광석이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재산화 반응에 의해 환원반응을 무효화 시킬 뿐 아니라, 심할 경우 발화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공정은 재산화나 재발화반응을 저하토록 상기 환원로(5) 후단에 상당한 길이의 냉각존(5b)을 설치하여 충분히 냉각한 후, 배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정은 고온의 환원존(5a)과 냉각존(5b)이 하나의 환원로(5)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환원로(5)의 길이가 길어지면 고온의 환원존(5a)이 열부하에 의한 기계적 강도저하가 발생하여, 상기 환원로(5)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길이 이상으로 상기 환원로(5)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없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환원로에서 환원된 광석이 공기에 노출되어 재산화되거나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합금철 제조장치는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토록 제공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와 연계되고 처리된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부와 상기 환원부와 연계되고 환원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와 연계되고 냉각된 대상물에서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부 및 상기 환원부와 냉각부사이에 연계되고 대상물이 적어도 상기 환원부에서 상기 냉각부로 수송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환원부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기는 일부의 냉각기는 대상물을 냉각하고, 다른 일부의 냉각기는 냉각제를 채우고 대상물을 받을 준비토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냉각부는 상기 복수의 냉각기에 대상물을 분배토록 제공되는 분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은, 상기 환원부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호퍼 및 상기 밀폐형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에 투입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제어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부는 상기 건조소성부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에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대상물을 건조토록 하는 건조로이거나 대상물을 소성토록 하는 소성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반응부는 대상물을 산성용액과 반응토록 하여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합금철 제조방법은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또는 소성된 대상물을 환원하는 단계와 상기 환원된 대상물을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대상물을 산성용액과 반응토록 하여 목적물을 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원된 대상물을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을 밀폐형 호퍼에 일시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시저장된 대상물을 제어밸브를 통해 분배기로 정량절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배기에서 작동상태의 냉각기로 대상물을 분배하고 대기상태의 냉각기는 냉각제를 보충하고 대상물을 받을 준비를 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상태의 냉각기에서 분배된 대상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환원로에서 배출된 환원광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반응로에 투입 전 재산화되거나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로 냉각부를 구성함으로써, 환원로에서 냉각존을 제거하여 환원로 설비규모 및 비용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하여, 냉각존을 환원존으로 변경사용하여 환원존 내에서의 광석의 체류시간을 증대토록 하여 난환원성 및 고산화성 광석에 대한 환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합금철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공정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공정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공정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환원로에서 배출된 환원광이 공기와 접촉차단되어 재산화되거나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습식제련 방식을 통해 합금철을 제조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공정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합금철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토록 제공되는 처리부(110)와 상기 처리부(110)와 연계되고 처리된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부(130)와 상기 환원부(130)와 연계되고 환원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부(150)와 상기 냉각부(150)와 연계되고 냉각된 대상물에서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부(170) 및 대상물이 상기 환원부(130)에서 상기 냉각부(150)로 수송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이송수단(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110)는 대상물을 건조토록 하는 건조로이거나 대상물을 소성토록 하는 소성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은 합금철 광석일 수 있으며, 상기 목적물은 합금철일 수 있다.
먼저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합금철 광석이 상기 처리부(110)에 투입된다. 상기 처리부(110)는 건조로이거나 소성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합금철 광석에 함유된 수분은 건조,제거되거나 상기 합금철 광석은 소성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처리부(110)에서 건조 또는 소성된 합금철 광석은 상온 상태에서 컨베이어 밸트 등의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환원부(13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환원부(130)는, 상기 건조소성부(11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하는 호퍼(131) 및 상기 호퍼(131)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131)에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로(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밸트에 의해 이송된 합금철 광석은 상기 환원부(130)의 호퍼(131)에 일시저장되고, 상기 호퍼(131)의 하단에 배치된 스크류피더에 의해 일정속도로 상기 환원로(132)에 장입된다.
상기 환원로(132)에 장입된 합금철 광석은 상기 환원로(132)에서 발생되는 환원성 가스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환원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환원존에서 상기 합금철 광석의 환원이 진행되면 상기 합금철 광석은 고온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고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합금철 광석을 배출하게 되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산화과정이 더 급속하게 발생되게 되어 환원과정을 진행한 효과가 무의미하게 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에 따라 종래 환원로는 환원을 진행하는 환원존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환원로의 후단에 냉각존을 구성하여, 공기와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환원된 합금철 광석(이하 '환원광'이라 함)이 재산화되는 현상을 저감토록 하였다.
그러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재산화나 재발화반응은 상기 환원광이 저온을 형성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또한 기존 공정에서 컨베이어밸트를 통한 수송과정이 길어짐에 따라 다시 온도가 상승하여 위와 같은 현상이 재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190)을 추가하여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190)은, 상기 환원부(13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호퍼(196) 및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150)에 투입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제어밸브(19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원로(132)의 배출구에서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투입구까지 연계되는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의 내부에는 모터(19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 피더(192)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의 원활한 환원광 수송을 위해 길이가 축소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환원로(132)에 근접하여 상기 밀폐형 호퍼(19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을 통해 상기 환원로(132)에서 환원광이 정량 배출되고 상기 밀폐형 호퍼(196)에 일시저장되게 되며, 여기서, 상기 밀폐형 호퍼(196)는 공기와 접촉을 차단토록 상기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과 상기 제어밸브(197)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밀폐형 호퍼(196)는 상기 환원광이 재산화나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불활성 가스가 상기 밀폐형 호퍼(196)에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불활성 가스 공급라인(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단에는 상기 제어밸브(197)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밸브(197)는 상기 밀폐형 호퍼(196)에서 상기 냉각부(150)로 수송되는 환원광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197)는 상기 환원로(132)에서 배출된 환원광이 환원성 가스가 함께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더하여, 설비결합 등으로 인해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단으로 공기가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형 호퍼(196)에서 배출된 환원광은 상기 냉각부(150)로 이동되게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환원부(13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기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기는, 일부의 냉각기(154)는 대상물을 냉각하고, 다른 일부의 냉각기(153)는 냉각제를 채우고 대상물을 받을 준비토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복수의 냉각기에 대상물을 분배토록 제공되는 분배기(1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밸브(197)를 통해 배출된 환원광은 상기 분배기(155)로 이동되고, 상기 분배기(155)에 연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냉각기로 분배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냉각기는 수분 등의 냉각제를 통해 상기 환원광을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각기에서 일부는 상기 분배기(155)로부터 환원광을 공급받아 냉각제를 이용하여 냉각을 진행하고, 다른 일부는 냉각제를 채우고 상기 환원광을 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일부의 냉각기(154)에서 냉각이 완료된 환원광은 슬라브 형태로 상기 반응기(17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부의 냉각기(154)는 다시 냉각제를 채우고 다음 환원광을 받을 준비를 하는 대기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위와 같은 순환이 계속되며 상기 환원광을 냉각하게 된다.
습식제련 합금철 제조공정의 경우 상기 환원로(132)에서 합금철 광석의 환원공정은 연속조업이지만, 상기 반응기(170)에서의 환원광을 산성용액과 반응시켜 합금철을 축출하는 공정은 단속조업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조업상 일정한 시간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분배기(155)와 복수의 냉각기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반응기(170)에서 합금철을 축출하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환원로(132)에서 배출된 환원광을 미리 냉각시켜놓은 상태에서 대기토록 할 수 있어 상기 시간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철 제조방법은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또는 소성된 대상물을 환원하는 단계와 상기 환원된 대상물이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대상물을 산성용액과 반응토록 하여 목적물을 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원된 대상물을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을 밀폐형 호퍼에 일시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시저장된 대상물을 제어밸브를 통해 분배기로 정량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분배기에서 작동상태의 냉각기로 대상물을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상태의 냉각기에서 분배된 대상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부(110)는 건조로나 소성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다라 합금철 광석은 상기 처리부(110)에서 건조 또는 소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또는 소성된 합금철 광석은 컨베이어밸트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환원부(130)으로 수송되게 된다.
상기 환원부(130)의 호퍼(131)에서 상기 합금철 광석은 일시저장되게 되고, 상기 호퍼(131)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류피더(133)에 의해 상기 환원로(132)로 장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원로(132)에서 상기 합금철 광석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환원가스와 반응하여 환원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합금철 광석은 상기 환원과정을 거치면서 고온의 환원광이 된다. 기존 공정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냉각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원광은 고온의 상태에서 상기 밀폐형 이동수단(190)을 통해 상기 냉각부(150)로 수송되게 된다.
상기 밀폐형 이동수단(190)은 환원광이 재산화 또는 재발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와 차단되도록 밀폐되어 제공된다. 상기 환원로(132)의 배출구와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투입구까지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파이프 라인(193)의 내부에는 모터(191)로 구동하는 스크류피더(192)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피더(192)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환원광은 상기 밀폐형 호퍼(196)로 수송된다.
상기 밀폐형 호퍼(196)에서 환원광은 일시저장되고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기 제어밸브(197)를 통해 정량절출되어 상기 분배기(155)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155)에서 복수의 냉각기로 환원광이 배분되게 되는데, 이 때 일부의 냉각기(154)는 상기 분배기(155)로부터 환원광을 공급받아 냉각토록 하는 작동상태에 있게 되고, 다른 일부의 냉각기(153)는 냉각제를 보충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환원광을 받을 준비를 하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상태에 있는 냉각기(154)에서 냉각된 환원광은 슬라브 형태로 상기 반응기(170)로 이동하여 산성용액과의 반응을 통해 합금철을 축출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190)이 상기 분배기(155)와 바로 결합토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분배기(155)에서 환원광을 바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냉각기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190)이 상기 냉각기(152)에 바로 결합토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냉각기(152)에서 환원광을 바로 냉각하고 상기 반응기(170)로 투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환원로의 연속조업에 맞추어 상기 냉각기(152)의 용량은 크게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반응기(170)의 단속조업에 대응하며 냉각된 환원광을 공급토록 별도의 제어밸브(159)가 상기 냉각기(152)에서 상기 반응기(170)로 이송되는 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을 통해 환원로에서 배출된 환원광을 공기와 차단토록 하여 재산화 또는 재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환원로의 냉각존의 구성을 제거하거 설비규모나 비용을 축소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존을 환원존으로 변경하여 보다 향상된 환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10...처리부 130...환원부
132...환원로 150...냉각부
153,154...냉각기 155...분배기
170...반응기 190...밀폐형 이송수단
192...스크류피더 196...밀폐형 호퍼
197...제어밸브

Claims (9)

  1.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토록 제공되는 처리부(110);
    상기 처리부(110)와 연계되고 처리된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부(130);
    상기 환원부(130)와 연계되고 환원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부(150);
    상기 냉각부(150)와 연계되고 냉각된 대상물에서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부(170); 및
    상기 환원부(130)와 냉각부(150)사이에 연계되고 대상물이 적어도 상기 환원부(130)에서 상기 냉각부(150)로 수송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이송수단(19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환원부(13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기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기는 일부의 냉각기(154)는 대상물을 냉각하고, 다른 일부의 냉각기(153)는 냉각제를 채우고 대상물을 받을 준비토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복수의 냉각기에 대상물을 분배토록 제공되는 분배기(155)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이송수단(190)은,
    상기 환원부(13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토록 제공되는 밀폐형 호퍼(196); 및
    상기 밀폐형 호퍼(196)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150)에 투입되는 대상물의 양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제어밸브(19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부(130)는,
    상기 건조소성부(110)에서 배출된 대상물을 일시저장하는 호퍼(131); 및
    상기 호퍼(131)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131)에서 투입되는 대상물을 환원토록 제공되는 환원로(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110)는,
    대상물을 건조토록 하는 건조로이거나 대상물을 소성토록 하는 소성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170)는,
    대상물을 산성용액과 반응토록 하여 목적물을 축출토록 제공되는 반응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장치.
  8. 합금철 제조방법에 있어서,
    대상물을 건조 또는 소성하는 단계;
    상기 건조 또는 소성된 대상물을 환원하는 단계;
    상기 환원된 대상물을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대상물을 산성용액과 반응토록 하여 목적물을 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방법.
  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된 대상물을 산화방지하며 냉각토록 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물을 밀폐형 호퍼에 일시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시저장된 대상물을 제어밸브를 통해 분배기로 정량절출하는 단계;
    상기 분배기에서 작동상태의 냉각기로 대상물을 분배하고 대기상태의 냉각기는 냉각제를 보충하고 대상물을 받을 준비를 하는 단계; 및
    상기 작동상태의 냉각기에서 분배된 대상물을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철 제조방법.
KR1020110142943A 2011-12-27 2011-12-27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4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43A KR101340451B1 (ko) 2011-12-27 2011-12-27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43A KR101340451B1 (ko) 2011-12-27 2011-12-27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872A true KR20130074872A (ko) 2013-07-05
KR101340451B1 KR101340451B1 (ko) 2013-12-11

Family

ID=4898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943A KR101340451B1 (ko) 2011-12-27 2011-12-27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77B1 (ko) * 2013-12-26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니켈 제련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니켈 회수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338A1 (de) * 1998-01-23 1999-07-29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Anlage zur Reduktion von Eisenerz im Hochofen
KR100584745B1 (ko) * 2001-12-21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공정에 있어서함철더스트 및 슬러지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0840234B1 (ko) 2006-12-28 2008-06-20 주식회사 포스코 분광 유동환원장치 및 그 정지 방법
KR100929181B1 (ko) * 2007-12-17 2009-12-01 주식회사 포스코 바인더리스 브리켓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077B1 (ko) * 2013-12-26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니켈 제련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니켈 회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451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6749C (en) Integrated metal processing facility
EA022193B1 (ru) Сухая грануляц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шлака
EA022031B1 (ru) Способ и агломе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ленточного типа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спека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инера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340451B1 (ko) 합금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70171919A1 (en) Plant and method for melting metal materials
KR102077689B1 (ko) 고온 브리켓 철의 제조장치
JP7047563B2 (ja) 焼成装置
JP2014085064A (ja) 凝固スラグの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熱回収方法
JP2008138246A (ja) 高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装入方法
RU2639078C2 (ru) Способ пла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лав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е и плав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20120003235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퍼니스
CN103805727B (zh) 一种采用链斗机热装直接还原铁的方法
RU2312899C2 (ru) Способ ускорения раздел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железа и шлака
RU24042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олучения тугоплавки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неметалл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возгонов
TR201802815T4 (tr) Bi̇r eri̇tme tesi̇si̇ i̇çi̇n metal materyalleri̇ isitmak ve transfer etmek i̇çi̇n aparat ve metal materyalleri̇ eri̇tmeye yöneli̇k yöntem
EP2792984B1 (en) Method for preparing and feeding metal scrap to an electric smelting furnace for making steel
CA1142353A (en) Melting furnace for radioactive wastes
JP3536682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2010138464A (ja) 回転炉床式還元炉を用いた還元鉄の製造方法および還元鉄ペレットの冷却装置
CN205482328U (zh) 一种炉料卸料装置及冶炼设备
KR20150049591A (ko) 소결광 냉각장치
JP2002105518A (ja) 回転炉床式の金属還元炉及び酸化金属の還元方法
JP2013029251A (ja) 輻射式冷却装置及び還元鉄製造方法
CN116294577B (zh) 一种用于锂电池材料烧结的窑炉能耗节能控制方法
US3522938A (en) Traveling grate apparatus with pallet til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