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619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619A
KR20130073619A KR1020110141572A KR20110141572A KR20130073619A KR 20130073619 A KR20130073619 A KR 20130073619A KR 1020110141572 A KR1020110141572 A KR 1020110141572A KR 20110141572 A KR20110141572 A KR 20110141572A KR 20130073619 A KR20130073619 A KR 2013007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housing
member assembly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968B1 (ko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9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Light Emitting Diode)를 비롯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이 미려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발광부가 구비되는 패널;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패널을 연결하여 상기 패널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좌우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좌우 회전축 그리고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전후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전후 회전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LED (Light Emitting Diode)를 비롯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이 미려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대신할 새로운 광원으로 LED를 비롯한 발광소자를 조명장치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최근 많아지고 있다. LED를 비롯한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는 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발광색이나 발광 패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소자의 특성상 빛은 특정 방향으로 투사되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물론,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빛의 투사 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지만, 마찬가지로 빛의 투사 방향은 특정 방향들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다양한 조명 환경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조명장치는 특정 공간에 골고루 빛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특정 개소에 빛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명장치의 구조나 설치 환경에 따라 조명장치의 목적이나 기능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실내 공간에 직접적으로 빛을 투사하는 직접 조명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특정 개소에 직접적으로 빛을 투사하는 직접 조명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과 아울러 조명 환경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스탠드 형태의 조명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조명장치이며 사용자와 매우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외관도 미려한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백열등, 형광등 또는 할로겐 램프 등을 사용하는 스탠드 형태의 조명장치는 투사 방향으로 빛을 모으기 위한 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쉴드에 의해 조명장치의 부피가 커지며, 부피가 큰 쉴드 부분이 공중에 위치되어 시각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느낌을 주게 된다. 물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투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한 조명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안정적이고 사용자가 빛의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발광면을 갖는 패널 또는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빛의 투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는 구성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조명 패턴을 구현하여 단순 조명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발광부가 구비되는 패널;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패널을 연결하여 상기 패널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좌우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좌우 회전축 그리고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전후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전후 회전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좌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하부 베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는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 베이스는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는 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 베이스는 원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충분한 회전 저항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외형을 이루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의 내측에 패널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과 패널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발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비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발광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부에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좌우 회전축과 전후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축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측에서 상기 좌우 회전축과 전후 회전축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 회전축은 상기 전후 회전축을 기준으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의 전후 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 회전축이 스윙되는 스윙 슬롯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패널과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좌우 회전과 전후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회전축을 지지하고 상기 좌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의 좌우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의 이동 범위는 슬롯 범위로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회전축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안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전원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내측에는 상기 전원 버튼과 상기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 구조로 인해 베이스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 성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패널에 형성된 절개부 또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 또는 관통홀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과 패널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전후 회전축에는 전선 관통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 회전축 상부에는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간부를 통해 전선과 패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에는 상기 전후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부에 하나의 결합홀 그리고 하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안정적이고 사용자가 빛의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발광면을 갖는 패널 또는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빛의 투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는 구성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조명 패턴을 구현하여 단순 조명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좌우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전후 회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연결부재 어셈블리 중심으로 하는 사시도;
도 5는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일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0)는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10)은 전면(111)과 후면(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100)는 조명장치라 할 수 있으므로 투사 방향 조절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110)은 발광부 내지는 발광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있으며, 상기 패널(110)의 전면을 통해 빛이 투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의 전면(111)은 발광면(113)과 비발광면(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면(113)을 통해 실질적으로 빛이 투사되며, 상기 비발광면(114)을 통해서는 빛이 투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면(113)에 대응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비발광면(114)은 패널(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면에 발광면(113)은 패널(11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발광면(114)은 상기 패널(110)을 지지하는 구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는 일반적인 상태로써 전방을 향해 빛이 투사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빛이 투사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10)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접 조명이 필요한 경우와 간접 조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패널(110)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10)은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방으로 조명이 필요한 경우와 책상 등의 상면에 직접 조명이 필요한 강우 사용자는 패널(110)을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장치(100)를 지면이나 책상 위 또는 탁자 위와 같은 장소에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장치(100)를 지지하는 베이스(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0)에 대하여 상기 패널(110)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를 통하여 상기 패널(110)이 좌우 또는 전후로 회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110)과 일체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패널(110)을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패널(110)에 직접 힘을 가하여 패널(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에 직접 힘을 가하여 패널(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연결부재 어셈블리(200)가 상기 패널(11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관은 사용자가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구 형상을 통해서 내부의 복합한 구조를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패널(110)과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연결관계와 회전 메카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먼저 베이스(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베이스(300)에 대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좌우 회전, 그리고 이로 인한 패널(110)의 좌우 회전은 좌우 회전축(230)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좌우 회전축(230)은 베이스(300)에 대해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회전축(23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패널(110)을 베이스(3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 회전축(2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베이스(23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 베이스(232)를 통해 지지 면적이 늘어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좌우 회전축(230) 더 나아가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를 베이스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는 베이스(3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는 상기 좌우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와 상기 좌우 회전축(230)이 상기 베이스(300)에 대해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질적으로는 회전축 베이스(232)가 베이스(300)에 대해서 좌우로 회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좌우 회전축(230)과 회전축 베이스(232)는 조명장치(100)의 외부, 특히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고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300)는 상부 베이스(310)와 하부 베이스(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는 상기 상부 베이스(310)와 하부 베이스(320) 사이에 개재되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의 베이스(300)에 대한 좌우 회전 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왜냐하면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패널(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패널(110) 전면이 후방을 향하기 위해서는 베이스(300) 자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패널(110)의 좌우 회전 범위 내지는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좌우 회전 범위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와 상기 베이스(300) 사이의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좌우 회전 각도의 제한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300), 특히 하부 베이스(300)에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30)의 높이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를 상기 상부 베이스(310)가 덮게 되고,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300)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의 형상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상기 패널(110)의 좌우 회전은 일정한 반력을 극복하고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조그만 외부의 힘으로도 패널(110)의 좌우 회전이 수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축 베이스(232)의 판 형상을 통해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와 상기 베이스(300)에는 회전 저항 마찰력이 충분히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의 좌우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롯으로 제한되는 범위까지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가 좌우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은 돌기와 대응될 수 있으며, 돌기가 슬롯 사이에서 이동하여 그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슬롯과 돌기는 각각 안착부(330)와 회전축 베이스(232)에 형성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5에는 안착부(330)에 슬롯(331)이 형성되고 회전축 베이스(232)에 돌기(233)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베이스(232)가 좌우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기(233)는 상기 슬롯(331)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슬롯(331)의 양단에 상기 돌기(233)가 닿으면 더 이상 회전축 베이스(232)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331)과 돌기(233) 구조를 통해 패널이나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좌우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전후 회전, 즉 상기 패널(110)의 전후 회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전후 회전축(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후 회전축(240)은 상기 좌우 회전축(230)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 회전축(240)은 상기 좌우 회전축(2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후 회전축(240)은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후 회전축(240)과 좌우 회전축(230)을 통해 패널(1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투사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패널(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패널(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즉, 베이스(300)를 제외하고 조명장치(300)를 이루는 구성들은 일체로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들도 모두 일체로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패널(110)을 고정하는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 240)의 조립, 미려한 외관 그리고 패널(11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10, 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230, 240)과 패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일 수 있고, 별도로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 외부를 덮는 커버(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하우징(200)은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패널(110)과 연결하는 기능, 그리고 베이스(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이 주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은 상기 패널(110)을 기준으로 서로 결합하여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그 내부에 전술한 회전축들을 수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00) 내부에서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와 상기 패널(1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110)의 하부 특히 비발광부 부분에는 관통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관통홀(121, 122, 1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1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홀들과 절개부를 통해 상기 패널(110)이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들과 절개부에 대응되어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에는 보스(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외경이 상기 관통홀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250)는 절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보스들이 상기 관통홀이나 절개부에 삽입되어 끼워지면 상기 패널(110)은 상기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에는 패널의 관통홀이나 절개부 이외의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면들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스(250)는 이러한 안착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들은 다른 하우징에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이쓸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과 절개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상부에 하나의 관통홀(120) 그리고 하부의 양측에 각각 관통홀(122, 1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들 주변으로는 절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보스들이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패널(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을 통해 패널(1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관통홀과 절개부 내부에는 양쪽 하우징들의 보스가 서로 맞닿게 되어 이러한 보스들을 통해서도 패널이 하우징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들에는 체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하우징에는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241)이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에는 관통되지 않는 체결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40, 241)은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볼트나 피스 등이 상기 체결홀들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은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홀들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하우징(220)에만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방 하우징(210)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응시하는 곳이므로 체결 부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들을 통해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조립 및 패널과의 연결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좌우 회전축(230)과 전후 회전축(240)을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회전축(230)과 전후 회전축(240)에 어느 하나의 하우징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에는 상기 좌우 회전축(230)과 전후 회전축(24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들(250, 26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들에 상기 좌우 회전축(230)과 전후 회전축(240)을 끼워 맞춰 양자를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패널(110)들에 형성되는 관통홀(120)에 상기 하우징의 보스(25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베이스, 회전축들, 패널 그리고 후방 하우징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써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210)을 후방 하우징과 결합하여 모든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홀들에 볼트나 피스 등을 삽입하여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을 견고히 결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상 상기 패널(110)은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양자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외부의 전원이 상기 패널(110)로 전달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해제하는 입력 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력 수단으로 상기 베이스(300)에는 전원 버튼(3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버튼(340)은 전선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전선을 용이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300)의 내부에는 전선이 위치되는 전선 홈(3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 홈(330)은 하부 베이스(320)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선 홈(330)은 상기 베이스(320)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중심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 홈(330)을 통해서 외부의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은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를 통하여 상기 패널(110)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좌우 회전축(230)의 중심에는 중공(2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이스(300) 내부에서 상기 중공(231)으로 전선이 유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 내에서 상기 패널(1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전선과 패널(110)이 연결되는 공간부(2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부분에서는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 연결을 위하여 공간부(2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에서 AA' 방향으로 절단된 조명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회전축(240)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와 패널(110)은 전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좌우 회전축(230)으로 인해 이러한 전후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 회전축(240)을 기준으로 연결부재 어셈블리(200)가 회전할 때, 상기 좌우 회전축(230)이 스윙할 수 있는 스윙 슬롯(25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 슬롯(250)은 전방 하우징(210)과 후방 하우징(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 회전축(230)은 상기 스윙 슬롯(250) 내에서 스윙 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그 중심은 상기 전후 회전축(240)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널(110)의 전후 회전 각도는 상기 스윙 슬롯(250)의 각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윙 슬롯(250)의 각도는 90도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도 전후 9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윙 슬롯(250)의 각도가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스윙 슬롯(250) 각도가 커질 수록 상기 스윙 슬롯(250)이 연결부재 어셈블리(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려한 외관을 저해할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베이스, 패널 그리고 연결부재 어셈블리 사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즉, 기구적인 측면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적 측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조명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는 단순히 조명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으며, 조명 조건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발광면을 포함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100)는 패널(110)을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면을 통해 투사되는 빛을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00)는 전원부 내지는 전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단순히 외부 전원을 조명장치(20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으며, 충전하거나 전원을 변환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외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아울러, 전압이나 전류값을 변화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400)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 내지는 전장부는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순히 전원의 on/off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다양한 조명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한 입력을 바탕으로 하여 조명장치(10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전원 버튼(340)도 상기 인터페이스부(500)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도 7은 패널(11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80)과 상기 기판(80)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일례로 LED 소자(81)일 수 있다.
LED 소자(81)의 상부에는 빛을 가이드하는 광가이드층(8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되는 빛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발광면에서 골고루 빛이 투사될 수 있도록 반사층(8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판(80)이나 광가이드층(83) 등의 구성은 패널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 하우징(13)은 실질적으로 패널(110)의 배면(111)과 측면을 형성하고 다양한 구성들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패널 하우징(13) 내부에는 제어부(600)와 전원부(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양자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하우징(13)의 측면 부분에는 인터페이스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300)에 이러한 인터페이스부(5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적인 구성으로 투사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조명 환경에서도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패널의 전후 회전 각도와 좌우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징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복합적으로 다양한 조명 조건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00)는 기본적으로 조명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조명 조건이나 발광 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 조건은 발광의 유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 예를 들어 LED는 하나의 소자 자체로 또는 다른 소자와 복합적으로 발광색을 변경하거나 발광되는 색의 온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빛의 밝기, 예를 들어 조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 조건이나 발광 조건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간단한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이러한 조명 조건을 순차적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투사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발광면을 통해 투사되는 조명 조건이나 발광 조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를 통해 발광 조건을 서로 달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과 조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 하나의 조명 장치를 통해 다양한 조명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빛의 세기, 빛의 색 온도 또는 빛의 색 중 어느 하나의 발광 조건들도 이러한 조명 환경들에 따라 달리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단순히 조명장치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조명장치 110 : 패널
200 : 연결부재 어셈블리 210 : 전방 하우징
220 : 후방 하우징 230 : 좌우 회전축
240 : 전후 회전축 300 : 베이스

Claims (20)

  1. 베이스;
    발광부가 구비되는 패널;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패널을 연결하여 상기 패널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연결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좌우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좌우 회전축 그리고 상기 패널의 상기 베이스에 대한 전후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전후 회전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좌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하부 베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는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외형을 이루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발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비발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의 중심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상기 좌우 회전축과 전후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축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회전축은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의 전후 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 회전축이 스윙되는 스윙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전방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패널과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좌우 회전과 전후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회전축을 지지하고 상기 좌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 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베이스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 베이스의 좌우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전원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내측에는 상기 전원 버튼과 상기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어셈블리는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패널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이 서로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회전축에는 전선 관통을 위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 회전축 상부에는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에는 상기 전후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부에 하나의 결합홀 그리고 하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10141572A 2011-12-23 2011-12-23 조명장치 KR10137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72A KR101377968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572A KR101377968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619A true KR20130073619A (ko) 2013-07-03
KR101377968B1 KR101377968B1 (ko) 2014-04-01

Family

ID=4898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572A KR101377968B1 (ko) 2011-12-23 2011-12-23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53B1 (ko) 2014-06-25 2016-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KR101647726B1 (ko) 2014-06-25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9284A (ja) *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スタンド
KR100843187B1 (ko) * 2006-09-14 2008-07-02 한학수 엘이디형 조명기구
JP4738446B2 (ja) * 2008-06-27 2011-08-03 財団法人山形県産業技術振興機構 照明装置
KR100934750B1 (ko) * 2009-07-08 2009-12-30 엔텍엘이디(주) 조사각 조절이 자유롭고 무드등 연출이 가능한 전기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968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WO2016009984A1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KR10094436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8132943B2 (en) Adjustable recessed lighting fixture
JP2014160668A (ja) 周囲照明光と作業光とを兼ね備えた照明器具
JP2010278012A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5495384B2 (ja) 照明器具
CN111623285A (zh) 风扇灯
CN111623286A (zh) 风扇灯
JP2010146973A (ja) 照明器具
US20110286204A1 (en) Universal Ceiling Fan Uplight Kit
KR101377968B1 (ko) 조명장치
WO2022001875A1 (zh) 风扇灯
WO2022001978A1 (zh) 风扇灯
JP7215513B2 (ja) プロジェクター付き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4150009A (ja) 電球型照明装置
KR20100106778A (ko) 엘이디전구
KR101435850B1 (ko) 조명장치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US10274147B2 (en) Double-axis rotating lamp joint
JP6954552B2 (ja) 面発光装置
JP3205170U (ja) 調光器
JP2016058171A (ja) Led照明器具
KR101225367B1 (ko) 바 타입의 엘이디조명등 각도조절용 소켓
KR20130061590A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