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568A -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568A
KR20130072568A KR1020110140051A KR20110140051A KR20130072568A KR 20130072568 A KR20130072568 A KR 20130072568A KR 1020110140051 A KR1020110140051 A KR 1020110140051A KR 20110140051 A KR20110140051 A KR 20110140051A KR 20130072568 A KR20130072568 A KR 2013007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air
air duct
vehic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옥
임부련
정해권
정준홍
Original Assignee
정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옥 filed Critical 정광옥
Priority to KR102011014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2568A/ko
Priority to PCT/KR2012/000425 priority patent/WO2013094808A1/ko
Priority to BR112014015272A priority patent/BR112014015272A2/pt
Priority to JP2014548638A priority patent/JP2015503062A/ja
Priority to CN201280070584.9A priority patent/CN104144814A/zh
Publication of KR2013007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6Converting flow of air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ind Mo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개구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 상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일측에 외부의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별도의 에어덕트를 구비하여 바람의 밀도를 높여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이 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으로부터 발전장치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ENVIRONMENT-FRIENDLY WIND POWE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은 인류생활을 윤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살아가는 데에 있어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이리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각 가정마다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자동차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차은 주연료로 휘발유 또는 경유를 사용하여 왔으며 근래에는 LPG를 사용하는 자동차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휘발유 등을 주원료로 하여 구동되는 이러한 자동차들은 연료의 불완전연소 등을 원인으로 하여 운행시 다량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이러한 자동차배기가스는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고 특히,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휘발유 등의 연소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할 수 있는 태양열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자동차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며, 축전지에 외부전기를 충전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1회 충전으로 주행하는 거리가 짧으며, 자동차 구동에너지인 전기는 직접 배기가스는 배출하지 않지만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이산화탄소를 간접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가 운행할 때 자동차 주위에 발생하는 강력한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구동하는 에너지원 등으로 사용하는 기술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 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풍력발전 자동차는, 자동차의 외형을 구성하는 차체(10)와, 차체(10)의 다수의 개소에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20)와,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발전장치(20)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는 축전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전장치(20)의 구조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발전기의 구조와 동일하게 자동차 차체(10)의 다수의 개소에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코일이 권취된 고정자와, 하우징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부에 프로펠러(22)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고정자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자기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회전자로 구성된다.
축전기(30)는 자동차 차체(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발전장치(20)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축전할 수 있도록 축전기(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 자동차는, 발전장치(20)가 자동차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발전장치(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기상이 악화된 경우에는 눈이나 빗물이 발전장치(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발전장치(20)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의 바람이 통과하는 별도의 에어덕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발전장치(20)로 유입되는 바람 밀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차체(10)의 다수의 개소에 설치되는 발전장치(20)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전방에 배치된 발전장치(20)의 간섭으로 인하여 후방에 배치된 발전장치(20)로는 바람이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발전장치(10)의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전장치(20)는 자동차가 운행할 때 풍력이 강한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력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진행함에 있어서 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일측에 외부의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별도의 에어덕트를 구비하여 흡입된 바람의 공기밀도를 높여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이 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으로부터 발전장치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개구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자동차의 일측에 상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통로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터빈수용홈이 구비된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터빈수용홈에 일부가 수용되고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터빈수용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전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터빈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는 복수의 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빈은 상기 에어덕트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빈은 상기 에어덕트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터빈은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회전날개의 일부는 상기 터빈수용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터빈수용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는 횡단면이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자동차의 저부면과 상기 자동차의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에어덕트의 단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일측에 외부의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별도의 에어덕트를 구비하여 흡입된 바람의 공기밀도를 높여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이 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으로부터 발전장치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 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저부면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를 공기 흡입구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터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에어덕트에 터빈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기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에어덕트에 터빈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저부면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를 공기 흡입구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터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의 에어덕트에 터빈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기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에어덕트에 터빈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는, 공기 흡입구(110)와 공기 배출구(120)가 각각 개구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110)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자동차(1)의 일측에 자동차(1)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통로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터빈수용홈(130)이 구비된 에어덕트(100)와,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터빈수용홈(130)에 일부가 수용되고 일부를 제외한 나머니가 터빈수용홈(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터빈(200)과, 터빈(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300)와, 발전기(30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자동차(1)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전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에어덕트(100)는 자동차(1)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터빈(200)을 회전 구동시킨 후에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에 유출될 수 있도록 에어덕트(100)의 공기 흡입구(110)와 공기 배출구(120)는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덕트(100)의 측면은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터빈(200)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차폐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어덕트(100)는 자동차(1)의 저부면이나 혹은 루프에 구비할 수도 있고, 자동차(1)의 측면 일측에 구비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저부면에 에어덕트(100)를 구비하며 버스와 같은 대형 자동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저부면과 루프에 각각 에어덕트(100)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덕트(100)의 전방부는 공기 흡입구의 공기흡입구(110)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공기 흡입구의 공기흡입구(110)을 통하여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덕트(100)의 체적이 줄어듬으로 인하여 공기 밀도가 높은 바람으로 전환되어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점진적으로 체적이 줄어드는 에어덕트(100)의 벽면에 의하여 압축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고, 그로 인하여, 터빈(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힘이 배가되므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에어덕트(100) 내측면의 복수의 개소에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회전날개(220)가 설치되며, 회전축(210)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터빈(200)을 설치할 수 있는 터빈수용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터빈수용홈(130)의 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터빈(200)의 일부는 터빈수용홈(130)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에어덕트(100)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흡입구(110)에는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기(112)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기(112)는 자동차(1)가 고속 주행시에 자동차(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하여 부력이 발생하거나 혹은 고속 주행하는 자동차(1)로 다량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면서 자동차(1)의 후방에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자동차(1)의 주행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혹은 자동차(1)의 후방이 유동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개폐기(112)는 에어덕트(100) 공기 흡입구의 일측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슬라이드창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에어턱트(100) 입구에 가로 방향이나 혹은 세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에어덕트(100)의 공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판형 회전바로 구성할 수도 있다.
터빈(200)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회전날개(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터빈의 회전축이 수평방향(공기의 흐름방향)을 향하여 형성됨에 비해, 본 발명의 터빈(200)은 회전축(210)이 연직방향(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수평방향 회전축의 구성을 취하는 종래의 터빈에 비하여 회전날개(220)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는 점, 이로 인하여 풍력에 의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회전날개(220) 중 일부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정방향으로 구동하지만, 다른 일부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구동하므로,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축(21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날개(220)는 터빈수용홈(130)에 위치시키고, 회전축(21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날개(220)는 에어덕트(100)에 형성된 유로에 노출되도록 위치시켜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210)의 구조를 취하면서도 공기의 흐름에 의해 터빈(20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회전날개(220)의 종단면이 일정 방향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에어덕트(100)의 유로에 노출되는 회전날개(220)는 많은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고, 반대측의 회전날개(220)는 유선형이 되어 공기의 저항을 적게 받게 되므로,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터빈(200)은 에어덕트(100)의 상호 대향면에 에어덕트(10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덕트(100)의 상호 대향면에 에어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터빈(200)이 에어덕트(100)의 종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에어덕트(100)의 내부에 더 많은 개수의 터빈(20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에어덕트(100)의 횡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는 자동차(1)에 형성된 에어덕트(100)의 폭이 작더라도 크기가 큰 터빈(200)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구조로 터빈(200)을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기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에어덕트에 터빈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환경 풍력발전 기차에 구비된 에어덕트(100)는 기차의 저부면과 루프에 구비되는데 저부면에 구비된 에어덕트(100)의 전방 단부는 기차의 양측면 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는 기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덕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터빈(200)은 에어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배치되는 터빈(200)은 에어덕트(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발전기(300)와 연결되는 회전축(210)과, 회전축(210)의 주연부에 설치되어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축(210)이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전날개(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회전날개(220)의 판면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며 회전날개(2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회전날개(22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기(300)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빈(200)의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터빈(200)의 회전력을 발전기(3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터빈(200)과 발전기(300) 사이에는 복수의 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 있는데, 기어박스(25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기어들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터빈(200)의 회전날개(220)가 1회전시에 발전기(300)의 회전자가 여러 번 회전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발전기(300)는 각각 자동차(1)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축전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기(300)에서 생산된 전기는 별도의 축전지(400)에 축전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가 구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1)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개폐기(11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면서 자동차(1)를 가능하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차량을 주행한다.
초기 주행시에 사용되는 동력은 축전지(400)에 축전되어 있는 전기를 이용하게 되며, 자동차(1)의 주행에 따라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바람이 세게 불 경우에 에어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빨라지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하여 터빈(200)의 회전날개(2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1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기(300)의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전기가 생산된다.
이때, 터빈(200)의 회전축(210)과 발전기(300)의 회전자 사이에는 복수의 기어가 구비되어 기어비에 따라 회전축(210)이 1회전 함에 따라 회전자는 복수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전기(300)에서 생산된 전기는 발전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축전지(400)에 저장되고, 축전지(400)에 저장된 전기가 자동차(1)의 구동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차(1)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전기를 생산하여 자동차(1)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에어덕트 110 : 공기 흡입구
120 : 공기 배출구 130 : 터빈 수용홈
200 : 터빈 210 : 회전축
220 : 회전날개 250 : 기어박스
300 : 발전기 400 : 축전지

Claims (9)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개구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도록 자동차의 일측에 상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통로를 형성하며 내측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터빈수용홈이 구비된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터빈수용홈에 일부가 수용되고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터빈수용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전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터빈과 상기 발전기 사이에는 복수의 기어가 구비된 기어박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에어덕트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에어덕트의 상호 대향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회전날개의 일부는 상기 터빈수용홈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터빈수용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날개는 횡단면이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자동차의 저부면과 상기 자동차의 상면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8. 제7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에어덕트의 단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KR1020110140051A 2011-12-22 2011-12-22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KR20130072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51A KR20130072568A (ko) 2011-12-22 2011-12-22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PCT/KR2012/000425 WO2013094808A1 (ko) 2011-12-22 2012-01-18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BR112014015272A BR112014015272A2 (pt) 2011-12-22 2012-01-18 veículo elétrico ecológico à base de energia eólica
JP2014548638A JP2015503062A (ja) 2011-12-22 2012-01-18 環境に優しい風力発電電気自動車
CN201280070584.9A CN104144814A (zh) 2011-12-22 2012-01-18 环保型风力发电电动汽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51A KR20130072568A (ko) 2011-12-22 2011-12-22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68A true KR20130072568A (ko) 2013-07-02

Family

ID=4866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51A KR20130072568A (ko) 2011-12-22 2011-12-22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5503062A (ko)
KR (1) KR20130072568A (ko)
CN (1) CN104144814A (ko)
BR (1) BR112014015272A2 (ko)
WO (1) WO20130948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520A (ko) 2021-12-27 202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4535A (ja) * 2014-02-12 2015-08-24 義昌 越野 電気自動車
ES1111605Y (es) * 2014-04-04 2014-09-03 Navarro Antonio Jose Rico Dispositivo auxiliar de produccion de energia electrica para vehiculos
US20170036661A1 (en) * 2014-04-18 2017-02-09 Amnext Technology, Inc. Engine jetting out combustion gas as driving force
CN105857093B (zh) * 2016-04-29 2018-07-20 卢定勇 汽车集风发电系统
CN105946596A (zh) * 2016-06-01 2016-09-21 陆安华 空气能电动车
ES2680070B1 (es) * 2017-02-22 2019-03-01 Rodriguez Andres Torrescusa Sistema de recarga de baterias en vehiculos electricos
PL422717A1 (pl) * 2017-09-01 2019-01-28 Jerzy Danielski Tunel ładujący akumulatory zwłaszcza w samochodach elektrycznych
GB2566530A (en) * 2017-09-15 2019-03-20 Dunmore Joseph Vehicles driven by electric motors powered by onboard rechargeable batteries
CN107719382B (zh) * 2017-11-09 2024-02-06 中唐空铁集团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的空铁车辆结构
CN110803016A (zh) * 2018-08-04 2020-02-18 岳克森 电动汽车空气能发电及降温系统
US10358039B1 (en) * 2018-09-14 2019-07-23 Edward Michael Frierman Vehicle turbine system
WO2024112686A1 (en) * 2022-11-22 2024-05-30 Ahwazi Milad Daraei An energy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JP7494359B1 (ja) 2023-05-01 2024-06-03 重治 黒田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903A (ja) * 2001-05-31 2002-12-13 Nobuyuki Fujiyoshi 車両搭載バッテリー充電用発電装置
KR20050107864A (ko) * 2004-05-10 2005-11-16 이인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풍력발전장치
KR20070038588A (ko) * 2005-10-06 2007-04-11 허현강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CN100558578C (zh) * 2008-01-24 2009-11-11 李斌 车用风能转化装置
PL2138364T3 (pl) * 2008-06-26 2012-09-28 Forstgarten Holding Gmbh Pojazd zawierający układ hamowania do wykorzystywania oporu powietrza pojazdu w celu wytwarzania energii
JP2010094005A (ja) * 2008-10-06 2010-04-22 Motoharu Hashizume 永久磁石回転機及びその回転機を用いた気流型発電機
JP2010112367A (ja) * 2008-11-08 2010-05-20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移動体の風力による過給発電方法並びに装置
JP2010209786A (ja) * 2009-03-10 2010-09-24 Minoru Nakayama 車載用風力発電装置
JP2011058429A (ja) * 2009-09-10 2011-03-24 Yasuhiro Fujita 三角錐形状太陽光発電装置と開放集風ダクトの風力発電、風力助力装置。
KR20110034185A (ko) * 2009-09-28 2011-04-05 최성준 고효율 풍력발전유닛과 그를 구비한 운송수단
JP2011169297A (ja) * 2010-02-22 2011-09-01 Osei Kk 風力発電電気自動車
CN101934739A (zh) * 2010-07-01 2011-01-05 别道平 电动汽车电力自给技术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520A (ko) 2021-12-27 2023-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화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3062A (ja) 2015-01-29
BR112014015272A8 (pt) 2017-06-13
WO2013094808A1 (ko) 2013-06-27
BR112014015272A2 (pt) 2017-06-13
CN104144814A (zh)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2568A (ko) 친환경 풍력발전 전기자동차
US20110037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Power
JP2011169297A (ja) 風力発電電気自動車
JP2019512996A (ja) 風力発電機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CN105946594A (zh) 新能源风力电动车发电系统
JP2014058942A (ja) 車載型風力発電装置
KR20110023297A (ko) 자동차용 풍력 발전 장치
JP2010112367A (ja) 移動体の風力による過給発電方法並びに装置
KR20180036173A (ko) 전기자동차용 풍력발전시스템
CN105730255A (zh) 风电增程式电动客车
KR20150118244A (ko) 전기자동차용 풍력발전기
KR20190019881A (ko) 주행풍 발전기를 구비한 주행장치의 기어박스
KR101851102B1 (ko)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양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
KR20120103783A (ko) 풍압발전 자동차
CN202896319U (zh) 双组风轮发电机轿车
JP4607234B1 (ja) 発電タービン
KR101650252B1 (ko) 수평축과 수직축을 가진 풍력 발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KR20100010406A (ko)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동력 및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선박
CN102700406A (zh) 带微风发电装置的汽车
JP2021102957A (ja) 電気自動車用の風力原動機
JP2009068482A (ja) 風力発電ハイブリット車
CN201320974Y (zh) 一种电动车电力补充装置
CN102352819B (zh) 风洞电力发电系统
KR102152650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JP2011144793A (ja) 搭載型風圧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