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496A -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496A
KR20130072496A KR1020110139944A KR20110139944A KR20130072496A KR 20130072496 A KR20130072496 A KR 20130072496A KR 1020110139944 A KR1020110139944 A KR 1020110139944A KR 20110139944 A KR20110139944 A KR 20110139944A KR 20130072496 A KR20130072496 A KR 20130072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ultilayer sheet
antistatic
biodegradable
hea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2784B1 (ko
Inventor
서정태
유배근
박양호
심상헌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Landscapes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는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다층시트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내층인 (A)층에는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으로 구성이 되고, 외층인 (B)층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유산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B/A/B 구조의 생분해성 시트이며, 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코팅액이 코팅막으로 0.01 내지 1.0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는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특정한 성분을 적절하게 함유하도록 한 폴리유산계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로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보유하면서도, 생분해성 다층시트 표면에 물 용매를 사용하여 대전방지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보유하도록 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Biodegradable sheet having an antistatic finishing property and excellent shock and hea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성형가공을 한 후에도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대전방지성능을 보유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처리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포장재로 전 세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성을 갖는 합성 플라스틱은 그 장점이자 단점인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최근 각국에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관심을 모으고 있다. 즉, 종래에는 합성 플라스틱 처리를 위해 매립, 소각 및 재생이라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사용이 완료된 플라스틱이 스스로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소위 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기술과 원료로부터 여러 종류의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 중 폴리유산(Polylactic acid; 이하, 'PLA'라 함)은 L-유산의 발효법 개발에 의해 대량으로 값싸게 제조되고 있으며,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식품에 대한 내착취성 등 우수한 특징을 보유해 그 이용 분야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PLA는 현재 각국에서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시트가 범용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120889호에서 언급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 및 다른 생분해성 수지를 블렌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1999-241008호에서는 PLA와 융점이 80 내지 250℃의 생분해성을 갖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기타 천연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내열성이 60 내지 120℃인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폴리유산을 이용한 시트는 내열성 및 기계적인 강도를 충분히 구현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여전히 있다. 이에 상기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특허 공개공보 W02008/081617호는 스트레오컴플렉스 결정을 유도하여 위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그 효과가 불분명하며 제조 단가적인 측면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073933호에 따르면 폴리유산에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천연섬유를 첨가하여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나, 이를 위해 많은 양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생분해성 수지 본연의 장점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는, 생분해성 시트를 전자부품용 성형품으로 적용을 시키기 위해서는 정전기발생을 억제하는 대전방지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합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 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음이온계 화합물을 이용한 내부첨가법, 도전성 무기입자를 도포하는 방법, 저분자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 전도성 고분자를 도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PLA에 적용할 경우 상기 술포네이트 및 유기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 화합물을 이용한 내부첨가법은 저렴한 비용, 경시변화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PLA 시트 고유의 내열성 및 내충격성, 대전방지효과의 한계가 있으며, 저분자형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한 도포법은 대전방지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고 제조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대전방지 한계가 있어 대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대전방지성을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해 대기 중의 수분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이 크게 저하되며, 용매 저항성이 매우 나쁘고 또한 다른 면으로의 전사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 때문에 적용이 크게 제한된다. 전도성 고분자를 도포하는 방법의 경우 물 및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또는 폴리티오펜 등의 전도성 고분자가 개발되면서 이에 대한 응용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중 일반적인 방법은 도핑이 완료된 전도성 고분자를 만든 후 이를 적당한 용매로 시트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이다. 이때 적당한 바인더를 함께 용해시켜 코팅층의 접착력 또는 표면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증진시키기도 한다. 그의 일례로서 필름의 경우 미국특허 제4,959,430호에서는 전도성 고분자 단량체의 일종인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3,4-ethylenedioxythiophene)과 산화제인 페릭톨루엔 술포네이트(Iron(Ⅲ) p-toluenesulfonate) 및 이들로부터 합성된 전도성 고분자인 3,4-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3,4-polyethylenedioxythiophene)을 개시하였는데 구체적으로,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페릭톨루엔술포네이트를 상온에서 혼합한 후 가열하여 푸른색의 전도성 고분자인 3,4-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제조하였으며, 합성된 3,4-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이 물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시판되기도 하는데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페릭톨루엔술포네이트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오랜 시간 방치하면 중합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 억제제인 이미다졸(imidazole)을 소량 혼합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평1-313521호에서는 폴리(3,4-디알콕시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전기전도성 중합체를 3,4-디알콕시티오펜을 폴리 음이온 존재 하에 산화 중합시켜 얻을 수 있으며 높은 전기전도성, 높은 화학적 안정성 및 막 형성시의 도막의 높은 투명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전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PLA 시트 기재에 도포하는 경우, 기재에 대한 밀착성, 투명성, 내수성, 내용제성 및 전기전도성의 모든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도막을 얻는 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특히,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제 수지를 가교제로 가교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는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6-73271호에서는 폴리(3,4-디알콜시티오펜)과 폴리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전기전도성 중합체 층과 이에 인접하는 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에폭시 그룹을 갖는 알콕시실란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지만, 도막에 내수성을 부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9754호에서는 생분해성 시트에 수용성 폴리아닐린, 수용성 폴리피롤, 수용성 폴리티오펜, 폴리(3,4-에틸렌티오펜) 또는 이들의 유도체나 공중합물과 π-공액계 전기 전도성 고분자, 아크릴-우레탄 공중합 바인더, 결합기능성 가교제 및 고연신 기능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코팅한 시트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트레이 성형시 연신에 따른 대전방지감소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고연신 기능성 고분자를 적용하였으며, 이 경우 PLA 시트의 광학적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으며, 가교제로 사용된 다관능성 아지리딘의 경우 충분한 가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열경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되어있으나, 실제 시트공정에서는 적용이 불합리한 상황이며, 또한 코팅조액의 용매로 물 및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물과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명확하지 않다. 유기용매를 많이 사용할수록 건조공정 측면에서 유리하나, 일반 시트공정에서는 유기용매를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다수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물을 주용매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특성을 보유하면서도 대전방지제 도포시 물용매를 사용하여, 짧은 경화시간에서 대전방지시트를 생산해야 하며, 이렇게 생산된 시트는 성형 후에도 충분한 대전방지기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제 조건을 만족하는 생분해성 시트에 대한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1999-241008호 특허문헌 2: 국제특허 공개공보 W02008/081617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073933호 특허문헌 4: 미국특허 제4,959,430호 특허문헌 5: 일본공개특허 평1-313521호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6-73271호 특허문헌 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975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물용매를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대전방지성능을 보유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분해성 다층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폴리유산이 내층을 구성하고, 외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유산의 혼합물로 형성된 B/A/B 3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시트를 기재로 하며 성형된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물용매를 사용한 대전방지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생분해성 다층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보다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를 이용한 대전방지처리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는;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다층시트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내층인 (A)층에는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으로 구성이 되고, 외층인 (B)층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유산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B/A/B 구조의 생분해성 시트이며, 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코팅액이 코팅막으로 0.01 내지 1.0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구조의 생분해성 시트는 그 두께가 0.10 내지 1.00mm로 형성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는 폴리유산 85.0 내지 50.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 내지 30.0 중량부,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5.0∼20.0 중량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서,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의 것과 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PMMA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만 내지 1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내층을 구성하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30 내지 8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90 중량부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1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30 내지 60 중량부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입경 크기는 0.05 내지 4㎛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시트는 0.01 내지 5 중량부의 사슬 확장제가 더 첨가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사슬확장제는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고, 주쇄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록산(siloxane),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제조된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시트는 산화방지제, 내후제, 이형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가소제, 접착 조제, 점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코팅액은 전도성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 및 불소수지 30 내지 3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수지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의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의 수분산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분산 타입이며,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관능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대전방지코팅액은 고형분이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대전방지시트로 성형된 성형품은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는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특정한 성분을 적절하게 함유하도록 한 폴리유산계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로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보유하면서도, 생분해성 다층시트 표면에 물 용매를 사용하여 대전방지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보유하도록 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우수한 내충격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시트는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 85.0 내지 50.0 중량부, 지방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 내지 30.0 중량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5.0 내지 20.0 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으로, 이들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서,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의 것과 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공단량체들의 조성비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주요성분으로 사용하는 한에는 크게 제한을 받지 않지만, 좋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내지 99중량%와 공단량체 1 내지 50중량%의 비로 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욱 좋게는 MMA 65 내지 97중량%, 공단량체 35 내지 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내마모성과 투명성을 상실하지 않으므로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PMMA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6만 내지 15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만 내지 13만이다. 상기 수지의 분자량이 15만 이상일 경우는 충격강도와 조성물의 분산효과를 좋게 하나, 조성물의 유동성이 감소되어 후가공성이 저하하고, 반대로 분자량이 6만 이하일 경우는 조성물의 유동성이 양호하나 충격강도나 분산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C1-C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C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5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50 중량부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 5 내지 95 중량%를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95 중량%와 그라프트 중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C1-C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C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로서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의 바람직한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고무질 중합체 40 내지 70 중량%에 방향족비닐 화합물 50 내지 95 중량부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60 내지 30 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예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고무입자의 입경은 내충격성 및 성형물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05 내지 4㎛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전술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층은 전도성 고분자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가교제,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전방지코팅액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대전방지 코팅액은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며 대전방지층 전도성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 및 불소수지 30 내지 3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전도성 폴리머 수지는 대전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의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의 수분산체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음이온은 산성 폴리머이며, 고분자 카르복실산 또는 고분자 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등이다. 고분자 카르복실산으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말레산 등이 있으며, 고분자 술폰산으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이 있다.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에 대하여 폴리 음이온은 고형분 중량비로 과잉으로 존재하게 하는 편이 도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폴리티오펜 또는 폴리티오펜 유도체 1중량%에 대하여 폴리 음이온은 1중량%보다는 많고, 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보다 많고 3중량% 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설폰산(분자량 Mn=150,000) 0.8중량%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수분산체를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시트에 도포되어 시트 기재와 코팅액 간의 바인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트레이 성형에 따른 트레이 간 이형성을 증대하기 위해 첨가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분산 타입이며,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카르복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옥사졸린기 등의 관능기가 적어도 1종 이상 포함되어 있는 수지를 사용한다. 한편, 첨가되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폴리우레탄 수지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첨가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바인더 역할 및 이형성 기능을 발현할 수 없게 되고,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대전방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가교제는 대전방지층과 시트 기재와의 내용제성 및 도막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가되는 가교제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가교제 수지의 첨가량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내용제성이 약하여 백화현상이 발생될 수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은 양호하지만 대전방지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불소 수지는 시트 기재에 도포되어 상기 시트의 방오성, 수접촉각 및 내용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4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4불화 에틸렌, 퍼불화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erfuo alkyl), 3불화 에틸렌, 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luorinated ethylene copolymer propylene), 에틸렌, 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클로로 3불화에틸렌, 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Ethylenetetrafuoroethylene copolymer), 클로로 3불화 에틸렌, 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Poly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폴리불화 비닐(Polyvinyli fluoride), 폴리불화 비닐리덴 (Polyvinylidene fluoride)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을 사용한다. 한편, 첨가되는 불소 수지의 양은 전도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수지 30 내지 3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만일 불소 수지의 첨가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방오성이 저하되고, 3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대전방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 코팅액은 전체 코팅액 100중량%에 대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0.1 내지 10.0 중량%가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분의 함량이 1.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의 피막형성 및 대전방지 기능을 발현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시트의 투명성에 영향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물을 주 매체로 하는 수성 코팅액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도포성의 향상, 투명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적정량의 유기용매를 함유해도 좋다. 예컨데,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코팅액 중에 다량의 유기용매를 함유시키면, 인라인 코팅법에 적용할 경우에 건조, 연신 및 열처리 공정에서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함유량은 코팅액 중에 1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코팅공정은 시트의 적어도 일면 또는 양면에 제조된 대전방지 코팅액을 도포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 코팅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메이어바(meyer bar) 방식, 그라비아 방식, 스프레이(Spray) 방식 등이 사용되며, 도포하기 전에 시트 표면에 극성기를 도입하여, 코팅층과 시트와의 접착성이나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로나(corona) 방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방지 코팅액의 안정성, 젖음성(wetting) 및 도포 레벨링(leveling) 향상을 위하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셀로솔브, t-부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 또는 이온성/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시트의 두께는 통상 1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트는 투명하면서도 표면의 수접촉각이 90°이상을 나타내고, 온수 및 에탄올로 표면을 닦아낸 후에도 표면저항이 1×1010 Ω/□ 이하의 수치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리유산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사슬 확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슬 확장제는 폴리유산의 하이드록시 또는 카르복실 말단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가 있어 천연 섬유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로는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슬 확장제는 주쇄에 에폭시 관능기가 결합된 공중합체로서, 이 공중합체에서 에폭시 관능기의 함량은 공중합체에 대하여 0.1 내지 4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몰%로 포함하여 결합되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주쇄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록산(siloxane),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 치환된 스티렌,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시안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사슬 확장제의 함량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슬 확장제의 함량이 0.01 내지 5 중량부인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내열도가 향상되고, 혼합성형이 이루어지는 수준으로 용융 압출시 점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내후제, 이형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가소제,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있다.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산화티탄 또는 카본블랙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실리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가소제, 글리세린계(glycerin) 가소제, 인산 에스테르계(ester) 가소제, 폴리알킬렌 글리콜계(polyalkylene glycol) 가소제 및 에폭시(epoxy)계 가소제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안티몬(Antimon) 화합물, 멜라민(melamine) 화합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슬 확장제는 폴리유산를 혼입하고 가공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후,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폴리유산 수지를 더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터 배치는 배치 타입(batch type) 믹서 또는 압출기 타입 등을 사용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슬 확장제와 폴리유산 수지를 마스터 배치로 제조함으로써 압출 시 피딩(feeding)이 용이하고, 폴리유산과 사슬 확장제 및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면서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 유산 수지 조성물은 내구성, 내열성과 투명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성형제품, 예를 들면 자동차, 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 컴퓨터 등의 사무기기, 또는 잡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텔레비전, 컴퓨터, 프린터, 세탁기, 카셋트 플레이어, 오디오, 휴대폰 등과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및 트레이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행하였다.
(1) 내충격성;
동일조건으로 제조된 시트를 ASTM D256에 따라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충격강도가 3kgㆍcm/cm이하이면 조립 시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2) 투명성;
헤이즈 측정기(AUTOMATIC DIGITAL HAZEMETER, 일본 니폰덴소쿠사 제작)에 10cm X 10cm 크기로 샘플링한 시료 1매를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 방향으로 400 ~ 700㎚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헤이즈(Haze) 값은 하기 수학식 1로 산출되었다.
<수학식 1>
헤이즈(%) = (1- 산란광의 량/광의 총 투과량) × 100
(3) 내열성(열변형온도):
ASTM D648에 준하여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동일 조건에서 하기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시트를 제조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4) 수접촉각;
접촉각 측정기(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모델명 Dropmaster 300)를 사용하여 이온 교환수를 증류하여 얻은 정제수로 액적법(sessile drop method)에 의하여 수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위치에서 5회 측정 후 평균값을 취하였다.
(5) 대전방지성;
대전방지 측정기(미쯔비시㈜; 모델명 MCP-T600)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시료를 설치한 후 JIS K7194에 의거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N.W LLC사의 PLA수지 350.0kg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지 공중합체 수지 50kg, 아사히의 PMMA수지 100.0kg으로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SLIP)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하였다. 코로나 처리된 면에 대전방지액을 고형분으로서 전도성고분자수지(나가세컴텍사, DENATRON #5002SZ;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0.5중량%와 폴리스티렌술폰산 0.8중량%를 함유하는 수분산체)를 100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헵스켐사, HWU-1123A: 하이드록시기, 아민기, 알킬기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체) 200 중량부, 멜라민 가교제(사이텍사, CYMEL385) 200 중량부, 테트라플로로에틸렌(듀퐁사, SLA-NEW) 100 중량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수지(일신화학공업사, EXP4051; 아세틸레닉 디올 성분) 2 중량부로 물에 혼합하여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고형분의 함량은 전체 대전방지 코팅액에 대하여 1.5중량%를 함유하도록 하였다. 상기 대전방지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생분해성시트에 도포하였다. 도포 후, 약 80 ℃ 열풍건조공정에서 약 20초간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 내열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투명성과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전도성고분자 수지(나가세켐텍사)를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헵스켐사) 400 중량부, 에폭시 가교제(나가세켐텍사, DENACOL EX-614) 300 중량부, 불소 수지(듀퐁사) 150 중량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수지(일신화학공업사) 2 중량부를 사용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0 중량%가 되도록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전도성고분자 수지(나가세켐텍사)를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헵스켐사) 300 중량부, 에폭시 가교제(나가세켐텍사) 500 중량부, 불소 수지(듀퐁사)를 50 중량부 그리고 계면활성제 수지(일신화학공업사) 2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전체 고형분 함량이 2.5 중량%가 되도록 대전방지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통해 유연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시트를 진공성형 및 절단을 통해 트레이를 성형하였으며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N.W LLC사의 PLA수지 350.0kg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지 공중합체 수지 50kg, 사슬확장제 2kg, 아사히의 PMMA수지 100.0kg으로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고, 코팅될 시트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N.W LLC사의 PLA수지 350.0kg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지 공중합체 수지 50kg, 사슬확장제 2kg, 아사히의 PMMA수지 100.0kg으로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 및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내충격성, 내열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N.W LLC사의 PLA수지 300kg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지 공중합체 수지 50kg, 아사히의 PMMA수지 100.0kg으로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 및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내충격성, 내열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N.W LLC사의 PLA수지 400kg과 아사히의 PMMA수지 100.0kg으로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 및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내충격성, 내열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N.W LLC사의 PLA수지 500kg을 트윈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 후 슬립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300㎛ 두께의 B/A/B 구조 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 및 성형된 트레이의 단면을 통해 내충격성, 내열성, 투명성, 수접촉각, 대전방지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내충격성
(Kj/m2)
5.1 5.3 5.0 6.5 6.6 4.8 2.4 1.5
내열성
(°)
78 75 75 88 86 56 58 53
HAZE
(%)
3.6 2.5 3.9 4.2 4.1 3.0 2.1 1.2
수접촉각
(°)
98 99 95 97 71 74 74 65
표면저항
(Ω/sq)
106 106 108 106 1014 1014 1014 1014
트레이
표면저항
(Ω/sq)
109 108 1010 109 1015 1015 1015 1015
비록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7)

  1.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다층시트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트는 내층인 (A)층에는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으로 구성이 되고, 외층인 (B)층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유산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B/A/B 구조의 생분해성 시트이며, 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전방지코팅액이 코팅막으로 0.01 내지 1.0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생분해성 시트는 그 두께가 0.10 내지 1.00mm로 형성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폴리유산 85.0 내지 50.0 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PMMA)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 내지 30.0 중량부,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5.0 내지 20.0 중량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MA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로서,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의 것과 중합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MA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만 내지 1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을 구성하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 30 내지 8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90 중량부 및 시안화비닐 화합물 1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30 내지 60 중량부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입경 크기는 0.05 내지 4㎛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는 0.01 내지 5 중량부의 사슬 확장제가 더 첨가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확장제는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고, 주쇄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실록산(siloxane),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제조된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는 산화방지제, 내후제, 이형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가소제, 접착 조제, 점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코팅액은 전도성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100 내지 1000 중량부, 가교제 100 내지 1000 중량부 및 불소수지 30 내지 3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수지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의 수분산체 또는 폴리음이온과 폴리티오펜 유도체의 수분산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분산 타입이며, 하이드록실기, 아민기,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관능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보닐이미드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로로에틸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코팅액은 고형분이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17. 청구항 1 내지 16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대전방지시트로 성형된 성형품.
KR1020110139944A 2011-12-22 2011-12-22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44A KR101382784B1 (ko) 2011-12-22 2011-12-22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44A KR101382784B1 (ko) 2011-12-22 2011-12-22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96A true KR20130072496A (ko) 2013-07-02
KR101382784B1 KR101382784B1 (ko) 2014-04-08

Family

ID=4898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44A KR101382784B1 (ko) 2011-12-22 2011-12-22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38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1777845A (zh) * 2020-07-21 2020-10-16 苏州环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级抗菌抗静电pla材料和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2289B2 (ja) * 2005-04-28 2012-11-28 東レ株式会社 ポリ乳酸樹脂を含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
KR100957694B1 (ko) * 2007-12-26 2010-05-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대전방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83970A (ja) * 2009-10-15 2011-04-28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層を有する積層体
KR101099940B1 (ko) * 2010-01-04 2011-12-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성능 및 생분해성을 가진 표면 보호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338A (ko) *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1777845A (zh) * 2020-07-21 2020-10-16 苏州环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级抗菌抗静电pla材料和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784B1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808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6565652B2 (ja) (メタ)アクリル系共重合体、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EP3658622B1 (en) Scratch-resistant styrene co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organopolysiloxane compounds
EP334282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20090032725A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13004616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617551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
KR101701554B1 (ko)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10156B1 (ko) 우수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9636A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대전방지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784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44172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강화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044168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23600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18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72497A (ko)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10204247A (ja) 永久帯電防止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200074564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668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5432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718943B1 (ko) 친환경 데코레이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2004018800A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
JP654740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190050013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