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410A -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410A
KR20130071410A KR1020120149883A KR20120149883A KR20130071410A KR 20130071410 A KR20130071410 A KR 20130071410A KR 1020120149883 A KR1020120149883 A KR 1020120149883A KR 20120149883 A KR20120149883 A KR 20120149883A KR 20130071410 A KR20130071410 A KR 2013007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dhesive tape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가와베
히로오미 하나이
순스케 노미
히로요시 다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4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water-activa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제공된 점착제층을 함유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00㎛이고, 점착 테이프는 25℃에서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05N/10mm 이상이고,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5N/10mm 이상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BATTERY, BATTERY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본 발명은 전지 제조 시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 특히 비수계 전지에 있어서의 전해액에 침지하는 부분, 또는 전해액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적용하는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를 사용해서 얻어진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해액이 봉입되는 전지에는, 전지 케이스 내에 전극의 삽입 적성을 개선하는 목적, 및 전극판에 존재하는 버(burr) 등이 세퍼레이터를 관통하는 것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극간 단락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로서는, 점착제층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이나 천연 고무계 점착제층을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 그러나,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는 전해액 중에서는 박리되기 쉽고, 예를 들어 전해액 중에 점착 성분이 용해되어 전해질과 반응하여 전해액이 열화되는 것이 문제이었다.
특허문헌 2에는, 전해액 중에서 박리되기 쉽지만, 전해액에는 용해 또는 분해되지 않는 점착제를 사용한 전지용 점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에 따르면 전해액의 열화를 방지할 수는 있지만,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는 것에 의해,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저하하는 것이 여전히 문제이었다.
또한, 높은 점착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전지 제조 시에 사용한 경우, 피착체에 테이프를 부착할 때 위치 어긋남 등이 발생한 경우 재부착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한번 피착체로부터 박리된 점착 테이프는, 급격하게 점착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다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로 인해,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작업성이 불량하고, 또한 점착 테이프의 폐기율이 높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JP-A-2010-55790 JP-A-11-17647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온에서 임시 고정이 가능한 정도의 약한 점착성을 나타내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점착성을 발휘하고, 전해액 중에서도 피착체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전해액의 열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접착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점착제층의 두께가 특정한 범위 내이며, 또한 25℃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05N/10mm 이상,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5N/10mm 이상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가 실온에서 임시 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용이하게 재부착시킬 수 있고, 또한 30℃ 이상의 온도로 가열 압착하면,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테이프가 전해액 중에서도 피착체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전지에 있어서의 전해액에 침지하는 부분 또는 전해액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적용해도, 박리되지 않고, 전해액의 열화 및 내부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해서 달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제공된 점착제층을 함유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00㎛이며,
25℃ 압착 후의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05N/10mm 이상이고,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 압착 후의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5N/10mm 이상이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특히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접착해서 얻어지는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부착시키고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함유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실온에서 임시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경제성에 우수하다. 또한, 비교적 저온에 있어서 가열 압착을 수행할 수 있고, 가열/접착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압착에 의해 우수한 접착성을 실현할 수 있어서, 전해액 중에서도 피착체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지의 제조에서, 전지 중 전해액에 침지하는 부분, 또는 전해액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적용함으로써 전해액의 열화 및 내부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열 압착"이라는 용어는 30℃ 이상의 고온 조건 하에서 접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1은 사용 전의 도면이고, 도 3-2는 전극판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접착한 도면이고, 도 3-3은 전극판을 권회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사용해서 고정시킨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한 실시양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서, 전지용 점착 테이프(31)는 기재(1)의 한 면에 점착제층(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서, 전지용 점착 테이프(32)는 기재(1)의 한 면에 점착제층(21)이,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2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전지용 점착 테이프에 25℃ 압착 후의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05N/10mm 이상,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 압착 후의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5N/10mm 이상의 점착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베이스 중합체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그 연화점이, 예를 들어 100℃ 이하(예를 들어, 약 30℃ 내지 100℃, 그 중에서도 50℃ 내지 95℃, 특히 60℃ 내지 95℃)인 것이 가열 압착 동안 전극판의 손상을 감소할 수 있는 점 및 작업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연화점은 환공식 측정법(ring and ball measuring method)이나 열 기계 분석법(TMA)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해액을 열화시키기 어렵고, 가열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카르보닐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히드록실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아민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기재에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불포화 카르복실산(예를 들어, 말레산 등) 및/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등)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주쇄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갖고,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이 카르보닐기에 인접한 임의의 탄소를 통해 결합하여 측쇄를 형성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주지 관용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과산(peracid) 또는 과산화물과 같은 라디칼 발생제의 존재 하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즉, 산 변성되기 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과 용융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산 변성되기 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과 같은 약 2개 내지 약 10개의 탄소원자(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의 α-올레핀, 및 스티렌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상기 단량체 성분의 단독중합체; 상기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량체 성분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상기 단량체 성분과 그 밖의 단량체 성분의 랜덤,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실온에서 및 가열 후 접착성의 관점에서, 상기 α-올레핀 및 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량체 성분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선형 단쇄 분지형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펜-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스티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그래프트율은 공지의 용융 혼련 방법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래프트되는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약 0.05중량% 내지 약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내지 약 5.0중량%이다. 그래프트율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가열 압착에 의해 발현하는 접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그래프트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25℃에서의 알루미늄 포일 접착력이 지나치게 강해져, 위치 어긋남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예를 들어 상표명 "ARON MELT PPET1600" (TOAGOSEI CO., LTD. 제조), 상표명 "KRATON POLYMER FG1924GT", "KRATON POLYMER FG1901X" (이상, KRATON POLYMER JAPAN K.K. 제조), 상표명 "TUFTEC M1913", "TUFTEC M1943" (이상,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제조), 상표명 "TOYOTAC PMA-L" (TOYOBO CO., LTD. 제조)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베이스 중합체로서 적어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전체 베이스 중합체를 기준으로 약 80중량% 내지 약 100중량%(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베이스 중합체에서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경우, 가열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고, 전해액 중에서의 피착체 유지성이 우수하게 되고, 전해액의 열화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점착제층은 베이스 중합체 이외에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경우, 가열 압착함으로써 발현하는 접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전해액 중에서의 피착체 유지성 및 전해액의 열화 방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예로는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페트롤륨 수지 및 유용성 페놀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 중에서도, 페트롤륨 수지(방향족계 페트롤륨 수지 또는 지방족계 페트롤륨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해액 성분과의 반응성이 낮고, 전해액의 열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수소화 페트롤륨 수지(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또는 수소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로서, 연화점이 약 10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3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열 압착함으로써 발현하는 접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어 상표명 "CLEARON P-125" (YASUHARA CHEMICAL CO., LTD. 제조, 연화점: 125±5℃), 및 상표명 "ARKON P-125"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연화점: 125±5℃)와 같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중량부 내지 약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다.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일 경우, 가열 압착 온도(가열 압착시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예를 들어, 30℃ 이상 내지 2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40℃), 우수한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점착제층은 베이스 중합체 및 점착 부여제 이외에 다른 성분(예를 들어, 적당한 가교제, 가소제, 충전제 및 산화 방지제)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 공지 관용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필요에 따라 용매(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 에틸 또는 메틸에틸케톤)를 사용해서 베이스 중합체 등을 비휘발분 농도가 약 5중량% 내지 25중량%로 되도록 희석해서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기재상 또는 적당한 세퍼레이터(예를 들어 박리지)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에서의 도포(코팅)의 경우, 공지의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고,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및 다이 코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은 기재와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를 용융 압출 성형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용융 압출 방법으로서, 인플레이션법 및 T-다이법과 같은 임의의 공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출 성형한 후, 세로 또는 가로 방향에의 연신(1축 연신) 처리나, 세로 및 가로 방향에의 순서대로 또는 동시 연신(2축 연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단층일 수 있거나,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 있다. 점착제층이 2층 이상의 적층체일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각각 다른 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조합해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점착제층은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총 두께는 2㎛ 내지 100㎛이며, 그 중에서도 2㎛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 내지 20㎛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 가열 압착함으로써 발현하는 접착성이 감소할 수 있고, 전해액 중에서의 피착체 유지성이 감소할 수 있고,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이 감소하는 경향 및 반송 중의 테이프 박리에 의해 작업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 접합했을 때에 큰 단차가 발생하고, 전지 제작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지 내에 차지하는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 전지의 고용량화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기재]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 부직포, 펠트 및 네트와 같은 섬유계 기재; 각종 종이와 같은 종이계 기재; 각종 수지로 제조된 필름이나 시트와 같은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와 같은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와 같은 발포체 및 이들의 적층체와 같은 적절한 박엽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계 기재의 재료의 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아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스티렌계 수지,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테르술폰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는 단층의 형태 또는 복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재가 복층의 형태를 갖는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재로 제조된 층들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전해액에 용해하기 어렵고, 전해액의 열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플라스틱계 기재가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기재로 제조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렴한 점에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관용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또는 이온화 방사선 처리와 같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8㎛ 내지 약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5㎛이다.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점착 테이프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실용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 접합했을 때에 큰 단차가 발생하고, 전지 (제작)작성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지 내에 차지하는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전지용 점착 테이프]
상기 점착제층과 기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공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상기 베이스 중합체 등을 희석해서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직접 기재 상에 도포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적당한 세퍼레이터(박리지 등) 상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기재 상에 전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테이프가 전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과 기재의 계면에 공극이 남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토클레이브 처리 등에 의해 가온 가압 처리를 실시하고, 공극을 확산시켜서 소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25℃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점착력(이하,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0.05N/10mm이상 (예를 들어, 0.05N/10mm 이상 내지 0.95N/1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0N/10mm 내지 0.90N/1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N/10mm 내지 0.85N/10mm)이다.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25℃에서의 접착력이 부족하고, 작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 지나치게 크면, 위치조정시 피착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재부착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은 25℃, 50% RH의 조건 하에서 알루미늄 포일(두께: 12㎛)을 피착체로서 180° 박리 시험(JIS Z 0237에 준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두께: 12㎛)에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 표면을 접합한 후, 상표명 "AUTOGRAPH AG-I" (SHIMADZU CORPORATION 제조)을 사용하고,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 하에서 180° 박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에 함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연화점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70℃)로 가열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하, "가열 압착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0.5N/10mm 이상 (예를 들어 0.5N/10mm 내지 3.0N/10mm), 바람직하게는 0.95N/10mm이상 (예를 들어 0.95N/10mm 내지 3.0N/10mm, 바람직하게는 0.95N/10mm 내지 2.50N/1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25N/10mm 내지 2.50N/1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35N/10mm 내지 2.50N/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N/10mm 내지 2.50N/10mm이다. 가열 압착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전지 내부에 접착 했을 때에 전해액 중에서 박리하고,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전해액 중 침지 후 피착체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에 접합하고 전해액 [에틸렌카르보네이트:디에틸카르보네이트(부피비)=1:2]에 80℃에서 8시간 침지한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25℃) (이하, " 침지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0.5N/10mm 이상 (예를 들어, 0.8N/1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N/10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2.5N/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전지 내부에 접착했을 때에 테이프가 전해액 중에서 박리해서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에는, 점착제층 표면의 보호 및 블로킹 방지의 관점으로부터, 점착제층 표면에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시킬 때에 박리되며, 반드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세퍼레이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계 박리제와 같은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와 같은 박리층을 갖는 기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와 같은 불소계 중합체로 형성되는 저접착성 기재; 및 올레핀계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와 같은 무극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저접착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경우, 세퍼레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양쪽의 점착제층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점착 테이프의 한 점착제층의 표면에 배면 박리층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테이프를 권회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반대측의 다른 점착제층 표면에 세퍼레이터의 배면 박리층이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실온에서 약한 점착성을 나타내고, 따라서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는 가열 압착함으로써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전해액 중에서도 피착체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해액(특히 비수계 전해액)이 봉입되는 전지의 제조에서, 전해액에 침지하는 부분, 또는 전해액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적용하고, 전해액의 열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내부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
본 발명의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해액 (특히 비수계 전해액)이 봉입된 전지이며, 이물이나 버에 의한 세퍼레이터의 관통을 방지하기 위해서, 및 전지 케이스 내로의 전극의 삽입 적성을 개선하기 위해서(예를 들어, 권동형 전지의 권말부를 권회 고정시키기 위해서, 활물질의 스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접착해서 얻어진 전지이다.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지는, 정극 코어체를 정극 활물질로 도포하여 어덩진 정전극판과, 부극 코어체를 부극 활물질로 도포하여 얻어진 부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서로 대향시켜 조립체를 형성하고, 조립체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권회되어 권회형 전극군을 얻는다. 전지는 권회형 전극군, 정전극판 및 부전극판으로 인출된 전극 단자 및 전해액이 외장 캔에 봉입된 구조를 갖는다.
비수계 전해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예로는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 또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의 환상 카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EMC) 또는 디에틸카르보네이트(DEC)와 같은 쇄상 카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와, 전해질로서 LiPF6과 같은 리튬염이 용해된 전해액을 들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전지는 예를 들어 정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부전극판을 이 순서대로 적층해서 전지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외장 캔 내에 넣고, 추가로 전해액을 주입하고, 주입 구멍을 밀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지용 점착 테이프의 접착 부위는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부위의 예로는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판, 전극 단자, 전극판 단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전극판 단부가 접촉하는 부분, 활물질의 단부 및 권말부을 들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 참조).
본 발명의 전지는 예를 들어 상온(25℃) 분위기 하에서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 부위에 임시 고정하는 단계, 및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에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연화점 이상, 200℃ 미만의 온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70℃)에서 1kg/㎠ 이상 (예를 들어, 약 1kg/㎠ 내지 약 5kg/㎠)의 압력 하에서 0.5초 내지 30초간 (바람직하게는 0.5초 내지 10초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초 내지 5초간) 가열 압착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압착시의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전지 구성 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가열 압착 시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열 압착 시간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열 압착 시 시간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작업성이 저하하여 생산성을 손상시킬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전지의 제조 방법은 실온에서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상기 전지용 점착 테이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비교적 저온에서 가열 압착을 수행할 수 있고, 가열/접착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전지는 내부 단락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또한 전해액이 열화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우수한 전지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가 20㎛인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표명 "TORAYFAN", TORAY INDUSTRIES, INC. 제조)을 사용하였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베이스 중합체로서 말레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표명 "ARON MELT PPET1600", 말레산 변성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연화점: 95℃, TOAGOSEI CO., LTD. 제조)를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코팅액 (1)을 얻었다.
얻어진 코팅액 (1)을 상기 기재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가 되도록 도포, 건조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로써 점착 테이프 (1)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점착제층의 두께를 표 1에 기재된 두께에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2) 내지 (5)를 각각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코팅액 (1) 대신에, 상기 상표명 "ARON MELT PPET1600" 100중량부와, 점착 부여제(상표명 "ARKON P-125",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20중량부를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해서 얻어진 코팅액 (2)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2㎛에서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6)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을 20중량부에서 10중량부로 변경해서 얻어진 코팅액 (3)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10㎛에서 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7)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을 20중량부에서 30중량부로 변경해서 얻어진 코팅액 (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8)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
기재로서 두께 2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표명 "TORAYFAN", TORAY INDUSTRIES, INC. 제조) 대신에, 두께 16㎛의 폴리페닐렌술피드 필름(상표명 "TORELINA", TORAY INDUSTRIES, INC. 제조)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2㎛에서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9)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기재로서 두께 2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표명 "TORAYFAN", TORAY INDUSTRIES, INC. 제조) 대신에, 두께 12㎛의 폴리이미드 필름(상표명 "KAPTON 50H", DU PONT-TORAY CO., LTD. 제조)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2㎛에서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0)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코팅액 (1) 대신에, 말레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표명 "KRATON POLYMER FG1924GT", 말레산 변성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연화점: 62℃, KRATON POLYMER JAPAN K.K. 제조) 100중량부를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해서 얻어진 코팅액 (5)를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1)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코팅액 (1) 대신에, 폴리우레탄 수지 함유 접착제(상표명 "CRYSBON AG-946-HV", DIC CORPORATION 제조)를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2)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점착제층의 두께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3)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에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중량비: 50중량부/50중량부/5중량부)을 구성 단량체로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표명 "CORONATE L",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조) 2중량부를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해서 코팅액 (6)을 얻었다.
코팅액 (1) 대신에 코팅액 (6)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4)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점착제층의 두께를 2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5)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점착제층의 두께를 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6)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표명 "SEPTON 2063", 폴리스티렌 블록/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연화점: 106℃, KURARAY CO., LTD. 제조)를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코팅액 (7)을 얻었다.
코팅액 (1) 대신에 코팅액 (7)을 사용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를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 (17)을 제작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접착성, 작업성 및 전해액 열화 방지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접착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알루미늄 포일에, 통상 온도(25℃)에서 2kg/㎠의 압력을 2초간 부여해서 압착하고,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정밀 만능 시험기(상표명 "AUTOGRAPH AG-I", SHIMADZU CORPORATION 제조)를 사용하고, 통상 온도(25℃)에서, 박리 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180°에서 점착 테이프를 알루미늄 포일로부터 박리할 때 필요로 하는 힘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 (N/10mm)을 측정하고, 25℃에서 압착 후 접착력으로 취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표 2에 기재된 온도에서 2kg/㎠의 압력을 2초간 부여해서 가열 압착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점착 테이프를 알루미늄 포일로부터 박리할 때 필요로 하는 힘 [가열 압착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 (N/10mm)을 측정하고, 가열 압착 후 접착력으로 취하였다.
또한, 시험편(실온 압착 후 시험편 또는 가열 압착 후 시험편)을,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카르보네이트를 중량비 1:1로 혼합해서 얻어진 전해액에 80℃에서 8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그 후, 전해액으로부터 취한 시험편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테이프를 알루미늄 포일로부터 박리할 때 필요로 하는 힘 [침지 후 180° 박리 점착력(알루미늄에 대한)] (N/10mm)을 측정하고, 전해액 침지 후 접착력으로 취하였다. 또한, 상기 접착성 시험에 의해 점착 테이프가 박리되지 않고 알루미늄 포일이 파괴된 경우에는, "A(알루미늄 포일 파괴)"로 평가하였다. 한편, 침지 시간(8시간) 내에 알루미늄 포일이 박리되는 경우에는, "B"로 평가하였다.
[작업성]
하기 방법에 의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조립하고, 작업성에 대해서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특별한 문제 없이 제작 가능한 경우: A
하기 항목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B
임시 고정 불가(실온에서의 접착력이 0.05N/10mm 미만)
가열 압착 후 접착력 부족(0.5N/10mm 미만)
가열 압착에 의한 기재의 분해/손상(예를 들어, 기재가 10mm 이상의 정도로 컬링하는 경우)
활물질과의 단차 100μm 이상
<정극 시트>
정극 활물질로서 코발트산 리튬(상표명 "CELLSEED C-10", NIPPON CHEMICAL INDUSTRIAL CO., LTD. 제조) 85중량부와, 도전성 보조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상표명 "DENKA BLACK",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제조) 10중량부와, 바인더로서 불화비닐리덴 수지(상표명 "KUREHA KF POLYMER L#1120", KUREHA CORPORATION 제조) 5중량부를 혼합하고,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해서 혼합물을 희석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알루미늄 포일(집전체) 상에 두께 20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이 도막을 80℃에서 1시간 동안, 12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에서 가압하여 정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100㎛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사용하여, 정극 활물질부가 27 mm 제곱이고 탭 부착부를 갖는 정극 시트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이 정극 시트의 탭 부착부에 알루미늄제 탭을 스폿 용접하고, 깃발형(flag type) 정극 시트를 형성하였다. 정극 활물질층의 도포부와 미도포부의 경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각각 정극 활물질층과 중첩되도록 부착시켰다.
<부극 시트>
부극 활물질로서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상표명 "MCMB6-28", OSAKA GAS CHEMICALS CO., LTD. 제조) 80중량부와, 도전성 보조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상표명 "DENKA BLACK",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제조) 10중량부와, 바인더로서 불화비닐리덴 수지(상표명 "KUREHA KF POLYMER L#1120", KUREHA CORPORATION 제조) 10중량부를 혼합하고, 비휘발분 농도가 15중량%로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을 사용해서 혼합물을 희석시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두께 20㎛의 구리 포일(집전체) 상에 두께 20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이 도막을 80℃에서 1시간 동안 12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에서 가압하여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100㎛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사용하여, 부극 활물질부가 29mm 제곱이고 탭 부착부를 갖는 부극 시트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이 부극 시트의 탭 부착부에 니켈제 탭을 스폿 용접하고, 깃발형 부극 시트를 형성하였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서, 폴리프로필렌 다공막(상표명 "CELGARD", 두께: 25㎛, 중공률: 41%)을 사용하였다.
<전지 제작>
상기 정극 시트, 세퍼레이터 및 부극 시트를 이 순서대로 적층해서 전지용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전지용 적층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패키지 내에 넣고, 추가로 에틸렌카르보네이트/디에틸카르보네이트(부피비: 1/2) 혼합 용매에 1.4몰/L 농도로 헥사플루오로인산 리튬(LiPF6)을 용해시켜 얻어진 전해액을 주입하였다. 계속해서, 패키지를 밀봉하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조립하였다.
[전해액 열화 방지성]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0.2CmA, 전압 4.2V에서 정전류 및 정전압 방식으로 충전하였다. 그 후, 전극간 회로를 개방하고 80℃ 오븐에 20일간 투입하였다. 그 후, 전지 전압 변화량(V)을 측정하고, 전압 유지성을 검증함으로써 전해액 열화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통합해서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그의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 안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11년 12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278438호 및 2012년 12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67337호에 기초하며, 상기 출원들의 모든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조문헌은 전체로 삽입된다.
1 기재
2, 21, 22 점착제층
3, 31, 32 전지용 점착 테이프
4 전극 단자
5 정전극판
6 부전극판
7 세퍼레이터
8 활물질

Claims (7)

  1.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제공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00㎛이며,
    25℃에서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05N/10mm 이상이고,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 압착 후 알루미늄 포일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이 0.5N/10mm 이상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산 변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하는 것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점착 부여제를 5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인 전지용 점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부착하여 얻어진 전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용 점착 테이프를 전지 구성 부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30℃ 이상 내지 2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20149883A 2011-12-20 2012-12-20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30071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8438 2011-12-20
JPJP-P-2011-278438 2011-12-20
JP2012267337A JP2013149603A (ja) 2011-12-20 2012-12-06 電池用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使用した電池
JPJP-P-2012-267337 2012-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410A true KR20130071410A (ko) 2013-06-28

Family

ID=4743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883A KR20130071410A (ko) 2011-12-20 2012-12-20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57086A1 (ko)
EP (1) EP2607441A3 (ko)
JP (1) JP2013149603A (ko)
KR (1) KR20130071410A (ko)
CN (1) CN103173148A (ko)
TW (1) TW2013331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020777T3 (pl) 2013-08-16 2021-01-25 Lg Chem, Ltd. Taśma uszczelniająca
EP3147969A4 (en) * 2014-05-23 2017-11-22 Eun Mi Jo Adhesive tape for connect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JP2016042446A (ja) * 2014-08-19 2016-03-31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捲回体
US10530012B2 (en) 2014-11-18 2020-01-07 Ze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CN112151715B (zh) * 2017-01-05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池包裹膜、电池组件和终端
CN110337743B (zh) * 2017-03-30 2022-06-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卷绕型电池
WO2019049479A1 (ja) * 2017-09-11 2019-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次電池
JP6790032B2 (ja) * 2018-09-06 2020-11-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9233671A (zh) * 2018-10-24 2019-01-18 苏州益邦电子材料有限公司 笔记本电池防尘减震胶带
CN109449478A (zh) * 2018-11-05 2019-03-0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
WO2020218364A1 (ja) * 2019-04-26 2020-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粘着テープ
WO2020218363A1 (ja) * 2019-04-26 2020-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非水系電池用粘着テープ
CN111635720A (zh) * 2020-07-01 2020-09-08 深圳市鑫东邦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电解液密封胶水及其制备方法
WO2022024717A1 (ja) 2020-07-28 2022-02-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池用接着剤及び電池用接着積層体
CN114354474A (zh) * 2021-12-31 2022-04-15 东莞澳中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用双面胶带的耐电解液性能测试方法
CN114824177A (zh) * 2022-03-24 2022-07-29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硅负极复合极片的制备方法
CN115651554B (zh) * 2022-10-31 2023-10-13 芜湖徽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胶层可溶解的电池隔膜胶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217B2 (ja) 1997-12-15 2007-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接着剤又は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7951479B2 (en) * 2005-05-11 2011-05-31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rous insulative film for insulating energy source layers
KR101155286B1 (ko) * 2004-07-14 2012-06-12 파나쿠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점착성 필름
WO2008001791A1 (en) * 2006-06-27 2008-01-03 Kao Corporation Composit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and battery using the same
JP2009267020A (ja) * 2008-04-24 2009-11-12 Nitto Denko Corp 太陽電池パネル用粘着シート、該粘着シート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パネルおよび該粘着シートを用いた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0055790A (ja) 2008-08-26 2010-03-11 Nec Tokin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363836B2 (ja) * 2009-03-02 2013-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粘着テープ、及びこの電池用粘着テープを用いた電池
JP4504457B1 (ja) * 2009-07-28 2010-07-14 株式会社フジクラ 色素増感太陽電池の封止用積層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5982131B2 (ja) * 2011-02-28 2016-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使用した電池
KR101781645B1 (ko) * 2011-04-20 2017-09-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73148A (zh) 2013-06-26
US20130157086A1 (en) 2013-06-20
EP2607441A3 (en) 2013-07-24
EP2607441A2 (en) 2013-06-26
JP2013149603A (ja) 2013-08-01
TW201333147A (zh)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1410A (ko) 전지용 점착 테이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전지 및 전지의 제조 방법
JP5680371B2 (ja) 電池用粘着テープ
US11879070B2 (en) Coatings, coated separators, batteries, and related methods
US9755207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battery and battery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10305072B2 (en) Heat-sealable insulating film for secondary battery
US2015003763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US2013007174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battery
CN111615760A (zh) 改善的涂覆的分隔件、锂电池及相关方法
KR20120042640A (ko) 비수계 전지용 점착 테이프
US20180316045A1 (en) Adhesive tape
EP2481784B1 (en) Laminate for nonaqueous battery
JP6770583B2 (ja) 電池用粘着テープ
CN111463391A (zh) 改善的涂覆的分隔件、锂电池及相关方法
US11840651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batteries and lithium-ion battery
WO2017082418A1 (ja) 粘着テープ
JP2020045432A (ja) 電池用粘着シート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