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842A -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842A
KR20130070842A KR1020110138062A KR20110138062A KR20130070842A KR 20130070842 A KR20130070842 A KR 20130070842A KR 1020110138062 A KR1020110138062 A KR 1020110138062A KR 20110138062 A KR20110138062 A KR 20110138062A KR 20130070842 A KR20130070842 A KR 2013007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ye
eye
pad
lifting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842A/ko
Publication of KR2013007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드 아이의 양중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패드 아이의 양중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패드 아이의 버팀힘 계산을 구하는 단계; 패드 아이의 타입별로 각톤 마다 전단응력과 지지대와 용접을 이루는 패드 아이의 용접부 인장응력값을 구하는 단계; 톤별로 안정사용하중(SWL : Safety Working Load)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정하는 단계; 톤별로 적용되는 패드아이를 신속히 식별할 수 있는 패드아이의 기호를 약속하여 규정하는 단계; 패드아이와 연결되는 새클(Shackle)의 하중 앵글 각도를 규정하는 단계; 패드아이에 대한 플레이트 이름을 명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The Method Standardizing Lifting Pad Eye For Device Management}
본 발명은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Lifting Pad Eye)의 표준화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 및 선박 분야에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리프팅 패드 아이를 표준화하는 방법으로서 핸들링이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인 기계적 아이템, 냉난방 및 환기장치(HVAC :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및 특정목적에 필요한 세트장비, 모노레일 설치불가 또는 모바일 방지 접근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아이템 등을 포함한 장비들을 양중하기 위한 범위로서 1톤 ~ 30톤 내의 범위로 표준화된 리프팅 패드 아이를 적용함으로써 해양 구조물 제작시 수백개 정도로 요구되는 리프팅 패드 아이를 체계화할 수 있고 또한 수백개에 다다르는 리프팅 패드 아이의 개별적 시행에 따라 소모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해양구조물 및 선박 분야에서 핸들링이 필요한 장비들은 수없이 많고 그 중량 또한 다양한데 이러한 장비들을 핸들링하는 리프팅 패드 아이가 주먹구구식으로 설치되다 보니 요구되어 설치되는 리프팅 패드 아이의 수량도 수백개에 이르게 되어 각각의 개별 리프팅 패드 아이를 시행함에 있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시간 또한 낭비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해양구조물 및 선박 분야의 현장에서 핸들링 되는 장비들이 무수히 많고 중량 또한 매우 다양하여 장비들을 양중하는 각각의 개별 리프팅 패드 아이 중 장비의 양중 과정에서 장비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여 파손되거나 고장이 일어나는 문제점도 함께 가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개별 리프팅 패드 아이의 파손 및 고장을 줄일 수 있도록 수백개에 다다르는 개별적 리프팅 패드 아이의 허용 응력 검사를 일일히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막대한 허용 응력 검사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은, 먼저 리프팅 패드 아이가 양중할 수 있는 양중 범위를 1톤 ~ 30톤으로 정하여 각 톤에 적용될 수 있는 패드 아이의 허용 응력, 패드 아이의 타입, 패드 아이의 약속된 기호, 패드 아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등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여 패드 아이를 표준화함으로써 난발되는 리프팅 패드 아이의 요구 수량을 줄여 시공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이미 허용 응력 검사를 마친 채 표준화한 리프팅 패드 아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허용 응력 검사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비용도 함께 추가적으로 줄이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정된 양중 범위의 톤별로 이미 리프팅 패드 아이의 자체 허용 응력을 계산한 과정을 이루었기 때문에 발주처에 개별 리프팅 패드 아이의 허용 응력 계산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시공 전의 착수에 필요한 작업과정을 심플화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를 위한 표준화하는 방법은, 패드아이(PadEye)의 양중(揚重)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패드 아이의 양중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패드 아이의 버팀힘 계산을 구하는 단계; 패드 아이의 타입별로 각톤 마다 전단응력과 지지대와 용접을 이루는 패드 아이의 용접부 인장응력값을 구하는 단계; 톤(Ton) 별로 안정사용하중(SWL : Safety Working Load)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정하는 단계; 톤(Ton) 별로 적용되는 패드아이를 신속히 식별할 수 있는 패드아이의 기호를 약속하여 규정하는 단계; 패드아이와 연결되는 새클(Shackle)의 하중 앵글 각도를 규정하는 단계; 패드아이에 대한 플레이트 이름을 명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및 선박 분야의 현장에서 양중할 수 있는 장비들을 1톤에서 30톤까지 분류하여 적용 가능한 이미 표준화된 리프팅 패드 아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난발 가능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요구 수량을 줄여 시공될 리프팅 패드 아이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된 이후의 리프팅 패드 아이에 대한 허용 응력 검사를 수반하지 않아도 되 허용 응력 검사의 번거로움과 비용을 함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팅 아이의 시공 전에 이미 각 톤마다 적용될 수 있는 리프팅 패드 아이의 허용 응력 계산을 구한 표준화된 리프팅 패드 아이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시공 전 착수 단계에서의 작업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하는 방법에 대한 단계 순을 블록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패드 아이의 버팀힘 계산을 구하는 공식도.
도 3은 패드아이 전단응력값 및 용접부 인장응력값 공식과 톤마다 적용된 표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톤별로 안정사용하중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하중에 대한 안정적 앵글 각도를 규정한 도면이다.
도 6은 패드아이에 플레이트 이름 및 연결부속의 일례를 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고로 하여, 일실시 예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양구조물 및 선박 분야의 현장에서 각종 장비들을 양중하는 리프팅 패드 아이에 대한 표준화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
패드 아이의 양중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이때 양중 범위로는 1톤에서 30톤 범위로 정하고, 상기 1톤에서 30톤 범위에는 1톤, 3톤, 5톤, 8톤, 10톤, 15톤, 20톤, 25톤, 30톤으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드 아이의 양중(揚重)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패드 아이의 버팀힘 계산을 구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이때 버팀 힘을 계산함에 있어서, 인장응력, 전단응력, 인장강도, 5톤 상에서의 안전율을 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허용 응력과 허용 전단 응력 계산을 구함에 있어서 일례로 하기 도 2와 같다.
다음으로, 패드 아이의 타입별로 각톤 마다 전단응력과 지지대와 용접을 이루는 패드 아이의 용접부 인장응력값을 구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이때 패드 아이의 타입을 일례로 A라고 가정하여 톤별로 상기 A타입의 패드 아이 전단응력과 용접부 인장응력 값을 구하여 적용한다.
이때 톤별로 상기 A타입의 패드아이 전단응력값은 허용전단응력값보다 작은 값을 가져야만 적합하고, A타입의 패드아이 용접부 인장응력값 또한 허용응력값보다 작은값을 가져야만 적합하다.
상기 A 타입의 패드아이 전단응력값과 용접부 인장응력값을 톤마다 적용된 표를 일례로 하기 도 3에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A 타입의 패드아이를 일례로 하여 톤(Ton) 별로 안정사용하중(SWL : Safety Working Load)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정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이때 패드아이의 치수로는 패드아이의 전면부 폭, 측면부 폭, 내경의 직경, 내경과 외경의 폭, 지지대의 접합되는 패드아이의 끝단부에서 내경의 중심점까지의 높이, 지지대와 패드아이의 용접부 두께, 새클(Shackle)의 공치 사이즈를 고려하여 톤별로 안정사용하중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정하고 참고로 하기 도 4를 일례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톤(Ton) 별로 적용되는 패드아이를 신속히 식별가능하도록 패드아이의 기호를 약속하여 규정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일례로 1톤에 적용되는 패드아이가 있을 경우 신속한 식별가능하게 리프팅 패드아이의 영문명인 Lifting Pad Eye의 첫글자 서두인 L과 톤의 영문명인 Ton의 첫글자 서두인 T를 붙여 LT로 하고 상기 LT에 이음선 - 을 붙이고 1톤의 숫자 1을 이음선에 붙여 LT - 1로 약속하여 규정함으로써 이 패드아이가 1톤에 적용되는 것을 신속히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드아이와 연결되는 새클(Shackle)의 하중 앵글 각도를 규정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일례로 A 타입의 패드 아이에 있어서 패드 아이와 연결된 새클은 새클에 연결된 결속줄(Sling)에 의해 하중이 전달됨으로써 하중에 대한 안정적 앵글 각도를 규정해야하는데 이를 일례로 한 하기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패드아이에 대한 플레이트 이름을 명기(明記)하는 단계(S7)를 수행한다.
이때 플레이트 이름의 문자 크기 및 간격은 발주처에서 제공하는 공사별 스펙에 따르고, 안정사용하중에 대한 명기 및 테그 번호는 발주처와 협의를 통하여 용접부 비드, 플레이트 이름, 또는 페이팅 명기, 인근 구조물 번호 중 하나를 택하여 명기한다. 하기 도 6은 A 타입 패드아이에 플레이트 이름 및 연결부속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단계(S1)~단계(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표준화된 리프팅 패드 아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각 톤별로 표준화를 이룬 세팅된 리프트 패드 아이의 구현을 이루게 된다.

Claims (1)

  1. 패드 아이의 양중(揚重)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1); 패드 아이의 양중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패드 아이의 버팀힘 계산을 구하는 단계(S2); 패드 아이의 타입별로 각톤 마다 전단응력과 지지대와 용접을 이루는 패드 아이의 용접부 인장응력값을 구하는 단계(S3); 톤별로 안정사용하중(SWL : Safety Working Load)에 대한 패드아이 치수를 정하는 단계(S4); 톤별로 적용되는 패드아이를 신속히 식별할 수 있는 패드아이의 기호를 약속하여 규정하는 단계(S5); 패드아이와 연결되는 새클(Shackle)의 하중 앵글 각도를 규정하는 단계(S6); 패드아이에 대한 플레이트 이름을 명기(明記)하는 단계(S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KR1020110138062A 2011-12-20 2011-12-20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KR20130070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62A KR20130070842A (ko) 2011-12-20 2011-12-20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62A KR20130070842A (ko) 2011-12-20 2011-12-20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842A true KR20130070842A (ko) 2013-06-28

Family

ID=4886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62A KR20130070842A (ko) 2011-12-20 2011-12-20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8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431A (zh) * 2017-06-29 2017-09-29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豪华邮轮总段吊装眼环布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431A (zh) * 2017-06-29 2017-09-29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豪华邮轮总段吊装眼环布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544A (en) Compression cap assembly for spreader pipe
CN201419967Y (zh) 用于大型构件的吊具
US20140246875A1 (en) Adjustable module lift frame assembly
CN103523684B (zh) 多起重机协作吊装联接装置及检测方法
KR20130070842A (ko) 장비 관리를 위한 리프팅 패드 아이의 표준화하는 방법
CN206872270U (zh) 一种大吨位铁路单线简支槽型梁跨铁路捆绑式吊装的装置
CN103193148B (zh) 铁路机车顶盖吊装构件及吊装架
KR20150025134A (ko) 리프팅 러그용 하중 테스트 장치
CN202046793U (zh) 超长型柔性钢板专用撑架
CN105439003B (zh) 履带起重机及其吊装测试装置、吊装方法
CN204642732U (zh) 一种用于汽轮机装配的底盘
CN203419665U (zh) 一种用于重型设备吊装的撑梁装置
CN103439135B (zh) 桥式起重机的试重模块及其组合试验负载的方法
CN206417773U (zh) 吊运工装
CN203213018U (zh) 一种刚性铰及大型构件的起吊装置
CN111099491A (zh) 一种大型钢网架结构吊装用辅助装置
CN101615362A (zh) 用于在集装箱船的舱口盖顶上进行集装箱演示的夹具
CN112129561A (zh) 一种起重机负重试验方法
JP2017036114A (ja) ポンプシステムの吊り上げ方法、ポンプシステム
CN105069254B (zh) 海工设备吊装索具的强度校核方法
CN205346595U (zh) 用于船用低速柴油机的重心可调的整机起吊工具
CN110069882A (zh) 一种多机抬吊吊装优化方法
CN103194975A (zh) 一种自平衡的桥面起吊装置
CN205328475U (zh) 一种起重机械荷载质量的测量装置
CN205404100U (zh) 一种核电吊装专用试验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