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593A - 난각 막 분리 공정 - Google Patents

난각 막 분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593A
KR20130070593A KR1020127029209A KR20127029209A KR20130070593A KR 20130070593 A KR20130070593 A KR 20130070593A KR 1020127029209 A KR1020127029209 A KR 1020127029209A KR 20127029209 A KR20127029209 A KR 20127029209A KR 20130070593 A KR20130070593 A KR 2013007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shell
airflow
attached
raw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바이 뉴
Original Assignee
리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7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08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12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 B02C19/005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the materials to be pulverised being disintegrated by collision of, or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난각으로부터 난각 막을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 및 공정은 난각을 분쇄하기 위하여 벤튜리관을 통과하는 기류를 이용하여 상기 막으로부터 난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공정은 막 및 난각으로부터 수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은 막 재료와는 별도로 분쇄된 난각 입자를 포집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각 막 분리 공정{EGGSHELL MEMBRANE S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난각 막 분리를 위한 시스템, 방법, 기술,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벤튜리관(venturi)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의 사용을 통한 난각 막 분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은 단지 통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는 도면의 사용을 통해 부가적으로 구체적이며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난각 막 분리의 시스템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난각 막 분리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은 기류에 부유되는 재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벤튜리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벤튜리관 내에서 충격파 및/또는 압력 변화와 상기 재료의 상호 작용은 상기 재료의 부분들을 분쇄할 수 있다. 미가공된 난각을 분쇄하기 위하여 벤튜리관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난각의 취약부를 분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난각의 더 탄성적인 막으로부터 난각을 분리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가 매우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되며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음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양한 양태가 도면에 제시되었지만, 도면은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반드시 척도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에 연결되는", "에 결합되는" 및 "와 연통하는"이라는 어구는 기계적, 전기적, 전자기적, 유체적, 및 열적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독립체 간의 임의의 형태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두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개의 구성요소는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미가공된 난각(unprocessed eggshell)"은 취약성 외부와 상기 난각의 취약부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부분적으로 부착된 막의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난각을 나타낸다. 미가공된 난각은 깨지지 않은 알의 내부에서 발견되는 노른자나 흰자를 반드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분쇄된 난각 입자"는 후술될 바와 같이 가공된 후에 주로 미가공된 난각의 취약성 외부로 이루어진 조각 및/또는 분말을 나타낸다. 상기 난각 "막"은 미가공된 난각의 내면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박막층을 나타낸다.
튜브나 파이프의 길이 방향은 상기 튜브나 파이프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벤튜리관은 제1 직경으로부터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그리고 나서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으로 천이되는 튜브나 파이프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천이는 벤튜리관의 길이 방향 길이에 걸쳐서 균등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벤튜리관의 길이 방향 단면, 예를 들어 중심 단면은 대략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난각 막 분리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각 막을 분리시키며 수분을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110)은 유입 튜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튜브(112)는 자유 공간과 연통하는 제1 단부(114) 및 벤튜리관(118)에 결합될 수 있는 대향하는 제2 단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튜브 및 파이프에 대해 설명되지만, 이러한 모든 구성요소는 원형, 직사각형, 육각형, 및/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입 튜브(112)는 제1 단부(114)와 제2 단부(116)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유입 튜브(112)에서 재료가 벤튜리관(118)으로 들어가기 전에 가속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기류가 제1 단부(114)에서 유입 튜브(112)로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 튜브(112)의 제1 단부(114)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 튜브(112)가 그의 길이를 따라 대략 일정한 직경을 갖지만, 이는 모든 실시예의 경우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유입 튜브(112)는 세장형 개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세장형 개구(120)는 유입 튜브(112)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세장형 개구(120)는 호퍼(122)의 개방 하단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호퍼(122)는 미가공된 난각과 같은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방 상단(124)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10)은 호퍼(12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미가공된 난각과 같은 재료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세장형 개구(120)로 간단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벤튜리관(118)은 유입 튜브(112)에 결합되는 수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렴부(126)는 그 직경이 유입 튜브(112)의 직경으로부터 상기 유입 튜브(1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튜리관(118)은 그의 길이를 따라 대략 일정한 직경을 유지할 수 있는 스로트(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로트(128)의 직경은 유입 튜브(11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튜리관(118)은 발산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산부(130)는 그 직경이 기류 방향으로 상기 벤튜리관의 길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발산부(130)는 주조, 나사 결합, 또는 다른 공지 방법에 의해 상기 스로트(128)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렴부(126)는 발산부(130)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 수 있다.
상기 벤튜리관(118)은 기류 발생기(132)와 연통할 수 있고, 상기 기류 발생기(132)는 제1 단부(114)로부터 유입 튜브(112)와 벤튜리관(118)을 통해 상기 기류 발생기(132)로의 경로를 따라 기류를 생성한다. 상기 발생된 기류의 속도는 약 100 mph에서 초음속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하여, 상기 기류 속도는 유입 튜브(112)에서보다 벤튜리관(118)에서 클 수 있다. 상기 기류 발생기(132)는 팬, 임펠러, 터빈, 터빈과 팬의 혼성체, 공압 흡입 시스템, 또는 고속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포함해서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른 적절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류 발생기(132)는 도 1 및 2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구동 모터(13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모터 설계나 구성의 임의의 수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구동 모터(134)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이용하여 액슬(1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슬(133)은 기류 발생기(132)와 결합하여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액슬(133)은 기어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구동 모터(134)의 마력은 15 hp에서 1000 hp와 같이 상당히 달라질 수 있고, 처리될 재료의 본질, 요망되는 재료 유동률, 시스템의 치수, 및 기류 발생기(132)의 크기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사항에 개시된 다른 변수에 대한 범위뿐만 아니라 전술한 범위는 예시적인 것으로; 시스템의 변경,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110)의 크기를 크거나 작게 조정하는 것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기류 발생기(132)는 고속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발생기(132)는 시스템(110)을 통해 공기가 흐르게 하기 위한 출구를 제공하는 하우징 유출구(136)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13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5)은 벤튜리관(118)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벤튜리관(118)과 하우징(135)의 내부 사이에서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입력 구멍(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 유출구(136)로 나아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류가 하우징(135)에서 나가는 상태로, 상기 가공된 재료가 상기 하우징(135)에서 나갈 수 있다.
도 3은 난각 막 분리 시스템(3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시스템(310)은 어느 양태에서 전술한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난각 막 분리 시스템(110)의 구성요소와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익을 갖는 기술분야의 사람에 의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며 도시된 모든 실시예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 부호로 나타낼 것이며, 상기 앞자리 숫자가 "3"으로 증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벤튜리관은 도 1 및 2에서 "128"로 나타내고, 유사한 벤튜리관은 도 3에서 "328"로 나타낸다.) 따라서,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위에서 제시된 관련 발명은 이후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도 1 및 2에 도시된 관련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뿐만 아니라 상기 난각 막 분리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면의 참조 부호로 도시되거나 확인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다음의 기재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서 나타낸 및/또는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된 특징과 알기 쉽게 같거나 대략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의 관련된 설명은 도 3의 난각 막 분리 시스템(310)의 특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난각 막 분리 시스템 및 구성요소에 대한 기재된 특징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및 이의 변형은 도 3의 난각 막 분리 시스템 및 구성요소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패턴은 차후의 도면에 나타내고 이후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은 미가공된 난각(338)과 같은 재료의 처리 시에 벤튜리관(318) 작동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호퍼(322)의 상단(324) 및 세장형 개구(320)를 통해 유입 튜브(312)로 유입된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의 유입 이전에, 상기 벤튜리관(318)을 통해 유입 튜브(312)의 제1 단부(314)로부터 이동하는 시스템(310) 내에 기류를 생성하도록 기류 발생기(미도시)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기류는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류 속도는 벤튜리관(318) 내에서 대략 가속화될 수 있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기류에 의해 유입 튜브(312)로부터 벤튜리관(318)으로 나아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미가공된 난각(338)의 직경이 유입 튜브(312)의 내경보다 작고; 이에 따라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유입 튜브(312)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유입 튜브(312)의 내경과 미가공된 난각(338)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수렴부(326)로 들어감에 따라, 상기 난각(338)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수렴부(326)의 단면적의 대략적인 감소를 결국 야기하도록 상기 갭이 좁아질 수 있다. 재압축 충격파(340)가 난각(338)으로부터 후방으로 끌릴 수 있고, 두부 충격파(bow shock wave)(342)가 난각(338)의 앞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렴부(326)가 스로트(328)와 병합되는 위치에, 정재 충격파(standing shock wave)(344)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충격파(340, 342, 344)의 작용은 미가공된 난각(338)의 취약성 외부를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난각(345)과 막(346)은 벤튜리관(318)을 통해 기류 발생기(미도시) 내로 계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의 분쇄는 벤튜리관(318)을 통해 기류의 속도나 체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유입 튜브(312) 직경, 스로트(328) 직경, 기류 속도와 같은 파라미터 및 유사한 파라미터는 요망되는 방식으로 미가공된 난각(338)을 분쇄하거나 상기 분쇄된 난각(345)과 가공된 막(346)의 (입자 크기 및/또는 수분 함량과 같은) 특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310)은 막을 파괴하지 않고 부착된 막으로부터 미가공된 난각(338)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가공된 난각(338)은 호퍼(322)를 통해 기류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굽는데 사용하기 위한 알 파쇄 작동과 같은 헛되게 되는 다른 적용으로부터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기류와 함께 유입 튜브(31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기류의 속도는 유입 튜브(312)를 통해 아음속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지점 A에서 및 이 주변에서) 상기 유입 튜브(312) 내의 기류는 약 100 mph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속도는 크거나 작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 100 mph에서 약 350 mph, 또는 약 75 mph에서 약 150 mph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때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스로트(328)를 통해 상기 수렴부(326)로 기류와 함께 이동한 후에 상기 벤튜리관(318)의 발산부(330)로 이동한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스로트(328)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초음속 (마하 1 또는 그 이상) 기류 속도를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점 B에서 및 이 주변에서 상기 기류는 약 마하 1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약 마하 0.75에서 약 마하 1.5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 벤튜리관(318)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이는 증가된 압력으로 인하여 압축을 받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은 벤튜리관(318)의 발산부(330)에서 정재 충격파(344)에 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가공된 난각은 정재 충격파(344)에 도달하기 전에 부서지기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이나 상기 미가공된 난각의 부분과 정재 충격파(344)의 상호 작용은 기류에 부유하는 미가공된 난각(338)을 분해하고, 분쇄하고, 상기 미가공된 난각(338)으로부터 수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미가공된 난각의 외부가 미가공된 난각(338)의 막부보다 더 단단하고 및/또는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 취약부는 더 유연하며 탄성적일 수 있는 막이 온전하거나 대략 온전하게 정재 충격파(344)를 통과할 수 있는 동안에 상기 정재 충격파(344)를 통과함에 따라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벤튜리관(318)을 통과한 후에, 상기 미가공된 난각의 취약부는 기류에 또한 부유되는 막(346)이 기본적으로 온전하게 있을 수 있는 동안에 기류 내에 부유되는 입자나 분말(345)로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분쇄된 난각(345)과 막(346)은 더 진행하기 위하여 기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난각 막 분리 시스템(4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의 시스템(410)은 도 1 및 2와 유사한 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410)은 분쇄된 난각과 막을 더 진행시키기 위하여 후처리 장치(4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처리 장치(470)는 유출 튜브(460)에 의해 하우징(432)의 유출구(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후처리 장치(470)는 분쇄된 난각을 기류에 부유하는 막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 장치(470)는 사이클론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유출구(472)와 같은 사이클론 분리기의 상부에서의 유출구를 통해 기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기류가 장치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에 (공기보다 더 농후하거나 무거울 수 있는) 분쇄된 난각(445)과 막(446)이 사이클론 분리기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는 도 4의 유출구(474)와 같은 에어로크(airlock)를 포함하는 장치의 바닥에 유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쇄된 난각(445)과 막(446)의 양자는 이러한 바닥 유출구(474)를 통해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나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때, 상기 분쇄된 난각(445)과 막(446)은 분쇄된 난각 입자(445)가 막(446)을 유지시키면서 스크린을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메쉬 크기(mesh size)를 갖는 셰이커 스크린(shaker screen)(미도시) 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막(446)은 분쇄된 난각(445)으로부터 별도로 포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시스템은 시스템에 초기에 유입된 막 재료의 80-85%의 포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공정은 공정을 통해 포집된 막을 멸균하거나 부분적으로 멸균할 수도 있다.
도 5는 난각 막 분리(510)의 시스템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되며 다른 도면과 연관해서 관련된 발명과 유사한 바와 같이, 미가공된 난각은 먼저 유입 튜브(512)로 미가공된 난각을 이송하는 호퍼(522)에 로딩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튜브는 난각이 통과하며 상기 난각이 분쇄되어 상기 난각의 취약부로부터 막이 분리되는 벤튜리관(518)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분쇄된 난각과 막은 기류에 부유되는 분쇄된 난각을 또한 기류에 부유되는 막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분쇄된 난각으로부터 별도로 막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장치(570)에서 처리될 수 있다.
도 5 또는 다른 임의의 도면과 관련해서 기술된 시스템 및/또는 공정에서의 임의의 지점에 단계 및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된 난각과 막은 포집된 후에 더 처리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된 난각 및/또는 막은 도 5의 시스템으로 재유입되어, 예를 들어 상기 재료를 더 치수화하고, 건조시키고, 및/또는 분쇄하기 위하여 별도로 또는 총괄하여 다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공정 동안에 생성된 분쇄된 난각은 칩이나 조분말 형태로 있을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 이러한 칩의 재가공은 미세한 분말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난각 분리(610)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다시, 다른 도면과 관련해서 유사하게 기재된 바와 같이, 미가공된 난각은 먼저 시스템에 입력되어(622) 분쇄될 수 있다(618). 그리고 나서, 상기 막은 분쇄된 난각 입자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분쇄된 난각 입자와 별도로 포집될 수 있다(670). 다시, 전처리와 후처리와 같은 단계 및/또는 상기 방법 동안에 수행되는 다른 단계는 상기 방법(610)에 부가될 수 있다.
추가적인 노력 없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최대한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 및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어떤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근본적인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의 상세에 대하여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이며,
    난각과 부착된 막을 포함하는 미가공된 난각을 기류에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는 벤튜리관과 연통하는 기류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기류는 하나 이상의 충격파로 상기 미가공된 난각에 영향을 주어 상기 난각을 분쇄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 튜브가 상기 벤튜리관과 유체 연통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유입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이 상기 유입 튜브의 길이 방향 축에 대략 수직하도록 상기 유입 장치가 유입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미가공된 난각은 유입 장치를 통해 유입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발생기는 벤튜리관의 발산부에 결합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각과는 별도로 막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분리 장치 내로 상기 분쇄된 난각을 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에 초기에 유입된 막의 약 80%가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포집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난각을 기류에 재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는 약 100 mph의 제1 속도 및 약 마하 1의 제2 속도를 갖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충격파는 정재 충격파인,
    난각 및 부착된 막을 분리하는 방법.
  10.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난각과 부착된 막을 포함하는 미가공된 난각을 기류에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는 약 100 mph의 제1 속도 및 약 마하 1의 제2 속도를 갖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 벤튜리관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류는 제2 속도에 도달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
  12.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난각과 부착된 막을 포함하는 미가공된 난각을 기류에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는 정재 충격파를 통해 상기 미가공된 난각을 전달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재 충격파는 벤튜리관 내에 위치되는,
    난각 및 부착된 막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127029209A 2010-05-10 2011-05-10 난각 막 분리 공정 KR201300705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316110P 2010-05-10 2010-05-10
US61/333,161 2010-05-10
PCT/US2011/035820 WO2011143146A2 (en) 2010-05-10 2011-05-10 Eggshell membrane separation pro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93A true KR20130070593A (ko) 2013-06-27

Family

ID=4490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209A KR20130070593A (ko) 2010-05-10 2011-05-10 난각 막 분리 공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448884B2 (ko)
EP (1) EP2568821B1 (ko)
JP (1) JP2013527773A (ko)
KR (1) KR20130070593A (ko)
CN (1) CN102933091B (ko)
AU (1) AU2011253160A1 (ko)
BR (1) BR112012028544B1 (ko)
CA (1) CA2797232C (ko)
DK (1) DK2568821T3 (ko)
ES (1) ES2868085T3 (ko)
HU (1) HUE053450T2 (ko)
MX (1) MX2012012949A (ko)
PL (1) PL221419B1 (ko)
RU (1) RU2012152945A (ko)
WO (1) WO20111431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1526A2 (pt) * 2011-11-17 2017-05-16 Tyson Foods Inc composições em pó de casca de ovo e métodos de produção de composições em pó de casca de ovo
JP5740345B2 (ja) * 2012-05-10 2015-06-24 株式会社ドーモコーポレーション 卵殻と卵殻膜との分離回収方法及び分離回収装置
US9370778B2 (en) 2013-05-21 2016-06-21 K & S Investments, L.P. Eggshell membrane separation process
CN103330237B (zh) * 2013-06-27 2015-08-12 北京二商健力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蛋壳粉的加工方法及加工设备
DK3060348T3 (en) * 2013-10-22 2019-04-15 Biovotec As Process for processing eggshell residues
US9873616B2 (en) 2014-09-02 2018-01-23 Mark Daniel Toma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hanced separation of calcium eggshell from organic membrane
CN105707736A (zh) * 2016-01-22 2016-06-29 黑龙江兴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禽蛋壳、膜分离工艺
US20170231263A1 (en) * 2016-02-14 2017-08-17 Grover A Britt, Jr. Vacuum assisted nut cracker
CA3013007C (en) 2017-04-10 2019-07-02 Ecopoxy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egg shells into products
CN109043115B (zh) * 2018-10-08 2022-06-21 南京工业大学 一种高产量、无杂质的蛋膜分离方法
WO2020117034A1 (en) 2018-12-07 2020-06-11 KORDOSHKI, Dejan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processing of eggshells
US20220282915A1 (en) * 2019-08-29 2022-09-08 Arie Cornelis Bos Supersonic dehydr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JP6763535B1 (ja) * 2020-05-29 2020-09-30 株式会社バイオアパタイト 卵殻膜分離システム、及び卵殻膜分離方法
TWI771751B (zh) * 2020-09-14 2022-07-21 勤億蛋品科技股份有限公司 非採用研磨製程之蛋殼粉末製備方法及其系統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13582A (en) 1928-06-16 1929-12-05 Erie City Iron Work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treating materials
GB591921A (en) 1944-04-08 1947-09-02 Inst Gas Technolog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mminuting a permeable material
GB911454A (en) 1960-03-22 1962-11-28 Inst Warmetechnik Und Automat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for the regulation of the charge level and of the rate of throughput of mills, especially ball mills
US3255793A (en) 1963-03-01 1966-06-14 Francis H Clute & Son Inc Vacuum comminutor
FR2311588A1 (fr) 1975-05-23 1976-12-17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et dispositif pour desagreger des agglomerats formes par des produits pulverulents
FR2360199A1 (fr) 1976-07-27 1978-02-24 Pellin Henri Ionisateur negatif
US4272499A (en) 1979-11-28 1981-06-09 Lone Star Steel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and reactive or water soluble gases from carrier gases
US4390131A (en) 1981-02-09 1983-06-28 Pickrel Jack 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material
US4418871A (en) 1981-07-15 1983-12-06 P.V. Machin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nd classifying mineral crystalline and brittle noncrystalline material
CH649476A5 (it) 1981-10-23 1985-05-31 Water Line Sa Apparecchiatura per miscelare e omogeneizzare in continuo sostanze in polvere con sostanze liquide.
DE3690101C2 (de) 1985-03-01 1995-06-08 Freunt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ziehen von fluidisierten Körnern durch Besprühen
JPH01125554A (ja) 1987-11-10 1989-05-18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燃料微粒化装置
FR2661450A1 (fr) 1990-04-30 1991-10-31 Total Petroles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cassage de mousses chargees de deblais provenant du forage de puits et pour la recuperation de la phase liquide de ces mousses.
FI910418A (fi) 1991-01-29 1992-07-30 Finnpulva Ab Oy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klassificering av gas-fastsubstansstroemmen fraon en motstraolskvarn.
US5236132A (en) 1992-01-03 1993-08-17 Vortec, Inc. Gradient-force comminuter/dehydrator apparatus and method
US5242270A (en) 1992-01-31 1993-09-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Platform motion restraints for freestanding turbine blades
JP3305538B2 (ja) 1994-10-25 2002-07-22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卵殻と卵殻膜との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832157A (en) 1996-07-12 1998-11-03 Mcdermott Technology, Inc. Fiber optic acoustic emission sensor
US5839671A (en) 1996-10-19 1998-11-24 Spectrasonic Disintegration Equipment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mminution
GB9702796D0 (en) 1997-02-12 1997-04-02 Next Century Technologies Ltd 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PL335674A1 (en) * 1997-03-18 2000-05-08 Penn State Res Found Method of recovering useful constituents of waste egg-shells and apparatus therefor
DE19747628A1 (de) 1997-10-29 1999-05-06 Bayer Ag Verfahren zur Füllstandsüberwachung bei Strahlmühlen und Prallmühlen
JP3318246B2 (ja) 1997-12-01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ンモータ診断方法及び診断装置
EA001851B1 (ru) 1998-04-14 2001-08-27 Тулга Шимшек Самонастраивающаяся система балансировки
GB9819398D0 (en) * 1998-09-04 1998-10-28 Garfield Int Invest Ltd Pulveriser and method of pulverising
AUPQ152499A0 (en) 1999-07-09 1999-08-05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 system for monitoring acoustic emissions from a moving machine
GB2354232B (en) 1999-08-03 2001-11-07 Mark William Youds Sewage processing treatment invention
GB2357499B (en) 1999-08-11 2001-10-24 Mark Youds Methods and apparatus for sewage processing and treatment
US6649203B1 (en) 1999-10-21 2003-11-18 Mfi Food Canada, Ltd. Eggshell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WO2001074491A2 (en) 2000-04-03 2001-10-11 Joseph Herman Macneil Eggshell wast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GB2358629B (en) 2000-05-18 2001-12-19 Mark William Youds Formulae,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rocessing of; pasteurisation; dissociating water in; and the communication of: materials;
US6491242B1 (en) 2000-07-14 2002-12-10 Gulftex Environmental Services Llc Malleable material reduction
AU2001280691A1 (en) 2000-07-24 2002-02-05 Quiescence Engineering Corp. Tuned automatic balancer
US7059550B2 (en) 2001-02-26 2006-06-13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US7040557B2 (en) 2001-02-26 2006-05-09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US7429008B2 (en) 2001-02-26 2008-09-30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AUPR635001A0 (en) 2001-07-13 2001-08-02 Rmg Services Pty. Ltd. Final additions to vortex comminution and drying system
US6716406B2 (en) 2001-07-30 2004-04-06 Carri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photocatalytic air purifier
US6702545B2 (en) 2002-05-01 2004-03-09 Sanford Davis Scholten Venturi fan
GB0326233D0 (en) * 2003-11-11 2003-12-17 Power Technologies Inves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sing and extracting mositure
US20070014684A1 (en) 2003-11-12 2007-01-18 Case Wayne A Air purification system
US8057739B2 (en) 2003-11-12 2011-11-15 Pulverdryer Usa, Inc. Liquid purification system
US7584909B2 (en) * 2005-01-18 2009-09-08 Biova, L.L.C. Eggshell membrane separation method
WO2008139477A2 (en) * 2007-05-15 2008-11-20 Orka Food Technology Ltd.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membranes from eggsh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68085T3 (es) 2021-10-21
BR112012028544A8 (pt) 2017-10-10
EP2568821A4 (en) 2018-01-17
BR112012028544B1 (pt) 2019-01-02
PL221419B1 (pl) 2016-04-29
PL402776A1 (pl) 2013-09-30
RU2012152945A (ru) 2014-06-20
JP2013527773A (ja) 2013-07-04
CN102933091A (zh) 2013-02-13
CA2797232C (en) 2017-11-28
HUE053450T2 (hu) 2021-06-28
CA2797232A1 (en) 2011-11-17
WO2011143146A3 (en) 2012-02-23
MX2012012949A (es) 2012-12-17
CN102933091B (zh) 2014-06-18
EP2568821A2 (en) 2013-03-20
US20110272502A1 (en) 2011-11-10
EP2568821B1 (en) 2021-03-17
BR112012028544A2 (pt) 2017-05-16
AU2011253160A1 (en) 2012-11-15
US8448884B2 (en) 2013-05-28
WO2011143146A2 (en) 2011-11-17
DK2568821T3 (da)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0593A (ko) 난각 막 분리 공정
US20100236200A1 (en) System for inertial particles separation
WO2016031636A1 (ja) サイクロン装置及び分級方法
RU2019107483A (ru) Дробилк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WO2018232540A1 (es) Ciclon acelerador separador de particulas solidas
EP4045190B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séparation aéraulique en continu de matériaux particulaires constitués d'un mélange de particules hétérogène à la fois en granulométrie et en densité
RU889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плодовой оболочки с зерна
TW445175B (en) Apparatus for granulating a material
JP6463096B2 (ja) 原料粉砕装置
CN110832167B (zh) 高速脱水和粉碎涡轮机
KR101677982B1 (ko) 입자 포집 장치
RU133432U1 (ru) Улавливатель дисперсных частиц из газового потока
US4457224A (en) Apparatus for stripping onions
CN207667611U (zh) 一种海藻酸钠造粒装置
BE1020252A3 (fr) Separateur de matieres granuleuses.
US20130313343A1 (en) Plastic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CN204035034U (zh) 矿物筛选装置和矿物生产线
CN106694163A (zh) 一种自收集式涡轮式无尘粉碎器
CN106694180A (zh) 一种涡轮式无尘粉碎器
RU2674616C1 (ru) Пневмо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плодовых оболочек с зерна
RU179531U1 (ru) Пневмо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плодовых оболочек с зерна
RU2625841C2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тонкодисперсных порошков
RU2442311C2 (ru) Роторный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RU2500488C1 (ru) Воздушный центробежно-динамиче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RU152312U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