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577A -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 - Google Patents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577A
KR20130070577A KR1020127028399A KR20127028399A KR20130070577A KR 20130070577 A KR20130070577 A KR 20130070577A KR 1020127028399 A KR1020127028399 A KR 1020127028399A KR 20127028399 A KR20127028399 A KR 20127028399A KR 20130070577 A KR20130070577 A KR 2013007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valve
fluid
actuato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644B1 (ko
Inventor
필립 제이. 다이빙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7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7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using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8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a single valve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7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다수의 유체 펌프들의 출력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신호는 작업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작동신호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1방향제어 장치로 전송된다.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1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2방향제어 밸브의 위치가 수신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2펌프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한다. 제2방향제저 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으면 포핏밸브 조립체의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선택기 밸브가 작동하여, 제2펌프 조립체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한다.

Description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MULTIPLE FLUID PUMP COMBINATION CIRCUIT}
본 출원은, 미국의 제외한 모는 지정국들에 대해 출원인인, 미국법인 이튼코포레이션과, 미국만을 지정국으로 하는 출원인인, 미국시민 필립 제이. 다이빙의 이름으로, 2010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1/330,060호를 우선권 주장하는, 2011년 4월 22일자 출원된 PCT 국제특허출원이다.
다양한 응용들에 사용되는 유체시스템은 종종 유체시스템에 다양한 유체 회로를 제공하도록 그 크기가 이루어지는 펌프들을 가진다. 펌프의 사이징(sizing)은 전형적으로 종종,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장치들의 한계들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종종 펌프들이 큰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관련된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펌프 조립체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그리고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는 제2펌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는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를 다지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방향제어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2펌프 조립체에서 제1액추에이터로 유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결합기(pmup combiner) 조립체를 포함한다. 펌프결합기 조립체는 제1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입구와, 제2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입구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출구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출구와, 포핏밸브(poppet valve) 조립체와 그리고 선택기 밸브(selector valve)를 포함한다. 포핏밸브 조립체는 포핏밸브를 포함한다. 포핏밸브 조립체는 제2유체 유입구와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valve seat)를 가지는 밸브구멍(valve bore)을 규정한다. 포핏밸브는 밸브시트와 접촉도록 이루어지는 제1축방향단부와 그리고 제2축방향단부를 가진다. 밸브구멍과 포핏밸브의 제2축방향단부는 협동적으로 공동(cavity)를 규정한다. 선택기 밸브는 포핏밸브 조립체의 공동과 유체 연통한다. 선택기 밸브는, 공동이 유체 저장기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위치와 그리고 공동이 유체 유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전자적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펌프 조립체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제1펌프 조립체와, 그리고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는 제2펌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1액추에이터와 유체 연통하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는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를 가지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방향제어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2펌프 조립체에서 제1액추에이터로 유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결합기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펌프결합기 조립체는 제1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입구와, 제2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입구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출구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출구와, 포핏밸브 조립체와 그리고 선택기 밸브를 포함한다. 포핏밸브 조립체는 제2유체 유입구와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구멍을 규정한다. 포핏밸브는 밸브시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축방향단부와 제2축방향단부를 가진다. 밸브구멍과 포핏밸브의 제2축방향단부는 협동적으로 공동을 규정한다. 선택ㅌ기 밸브는 포핏밸브 조립체의 공동과 유체 연통한다. 선택기 밸브는, 공동이 유체 저장기외 유체 연통하는 제1위치와 공동이 유체 유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전자적으로 작동한다. 전자제어회로는 선택기 밸브와 제1방향제어밸브와 전기적으로 통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다수의 유체펌프들의 출력들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신호는 작업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작동신호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1방향제어장치에 전송된다.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1유체펌프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2방향제어장치의 위치가 수신된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2펌프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한다. 제2방향제어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제2펌프 조립체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도록 포핏밸브 조립체의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선택기 밸브가 작동한다.
다양한 부수적인 면들이 다음에 오는 상세한 설명에서 주어지게 된다. 이들 면들은 개별적인 특징들과 이들 특징들의 조합에 관련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이고 또한 단지 예시적이지만, 여기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이 기반으로 하는 넓은 개념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펌프들의 큰 변위가 없는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면들의 예시적인 특징을 가지는 액추에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액추에이터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체펌프 조립체의 개략도.
도 3은 펌프결합기 조립체와 유체펌프 조립체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펌프결합기 조립체의 개략도.
도 5는 다수의 유체펌프들을 출력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
첨부도면들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면들에 대해 참조가 상세히 이루어지게 된다. 가능하다면, 도면들을 통해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구조에 대해 동일 참조번호들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시스템(10)은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펌프 조리체(14a)와,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펌프 조립체(14b)와, 제1유체펌프 조립체(14a)와 유체 연통하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와 제2유체펌프 조립체(14b)와 유체 연통하는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를 포함한다.
도 1과 2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유체펌프 조립체(14a, 14b)를 설명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펌프 조립체(14a, 14b)들은 탠덤(tandem) 구성으로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펌프 조립체(14a, 14b)들의 특징들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단지 제1펌프 조립체(14a)만을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제1 및 제2펌프 조립체(14a, 14b)들의 특징들이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제2펌프 조립체(14b)의 특징들은, 제2펌프 조립체(14b)의 특징에 대한 참조번호가 참조번호의 말미에 "a" 대신에 "b"를 포함하게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펌프 조립체(14a)의 동일 특징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게 된다. 제1유체펌프 조립체(14a)는 제1유체펌프(20a)와 제1부하감지 보상기(a first load sensing compensator)(22a)를 포함한다.
제1유체펌프(20a)는 유체 유입구(24a)와, 유체 유출구(26a)와, 드레인 포트(drain port)(28a)와 그리고 부하감지 포트(30a)를 포함한다. 제1유체펌프(20a)의 유체 유입구(24a)는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 유출구(26a)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와 유체 연통한다. 드레인 포트(28a)는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연통한다.
제1유체펌프(20a)는 축(34a)을 더 포함한다. 축(34a)은 축(34a)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예컨대, 엔진, 전기모터 등)에 연결된다. 축(34a)이 회전하면, 유체는 유체 유입구(24a)에서 유체 유출구(26a)로 펌핑된다.
제1유체펌프(20a)는 가변 변위 유체펌프(variable displacement fluid pump)이다. 가변 변위 펌프로서, 제1유체펌프(20a)는 가변 변위 매카니즘(36a)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유체펌프(20a)는 축방향 피스톤 펌프이고 또한 가변 변위 매카니즘(36a)은 경사판(swash plate)이다. 경사판(36a)은 중립위치와 완전행정(full stroke)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중립위치에서, 제1유체펌프(20a)의 변위는 거의 0이다. 0 변위에서, 축(34a)이 회전하면 유체가 제1유체펌프(20a)를 통과하지 않는다. 완전행정 위치에서, 축(34a)이 회전하면 최대량의 유체가 제1유체펌프(20a)를 통과한다.
제1유체펌프(20a)는 제어피스톤(38a)과 바이어싱부재(40a)를 포함한다. 제어피스톤(38)과 바이어싱부재(40a)는 경사판(36a)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경사판(36a)에 대해 작용한다. 제어피스톤(38a)은 완전행정 위치에서 중립위치로 경사판(36a)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피스톤(38a)은 제1유체펌프(20a)의 유체 유출구(26a)와 선택적인 유체 연통을 한다.
바이어싱부재(40a)는 제1유체펌프(20a)를 완전행정 위치를 향해 바이어스하도록 이루어진다. 바이어싱부재(40a)는 경사판(36a)을 완전행정 위치를 향해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부하감지 보상기 밸브 조립체(22a)는, 제1유체펌프(20a)를 채용하는 시스템의 흐름 및 압력 필요조건이 변하면 제1유체펌프(20a)로부터 유체의 압력과 유체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부하감지 보상기 밸브 조립체(22a)는 부하감지 밸브(42a)와 압력제한 보상기(44a)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부하감지 보상기 밸브 조립체(22a)는 제1유체펌프(20a)의 외부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부하감지 보상기 밸브 조립체(22a)는 제1유체펌프(20a)에 통합된다.
부하감지 밸브(42a)는 제어피스톤(38a)와 제1유체펌프(20a)의 드레인 포트(28a) 또는 유체 유출구(26a) 사이에 선택적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부하감지 밸브(42a)는 비례적 2-위치, 3-방향 밸브(proportional two-position, three-way valve)이다. 제1위치(P11)에서, 부하감지 밸브(42a)는 제어피스톤(38a)과 드레인 포트(28a)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여, 제어피스톤(38a)에 작용하는 유체가 드레인 포트(28a)를 통해 유체 저장기(12)로 배출된다. 이 제1위치(P11)에 부하감지 밸브(42a)가 있음으로써, 경사판(36a)은 바이어싱부재(40a)에 의해 완전행정 위치를 향해 바이어스된다.
제2위치(P21)에서, 부하감지 밸브(42a)는 제어피스톤(38a)과 유체 유출구(26a)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여, 가압된 유체가 제어피스톤(28a)에 작용한다. 부하감지 밸브(42a)가 제2위치(P21)에 있음으로써, 제어피스톤(38a)은 바이어싱부재(40a)에 대해 작용하여 경사판(36a)을 중립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부하감지 밸브(42a)는 제1단부(46a)와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단부(28a)를 포함한다. 제1단부(46a)는 부하감지 포트(30a)와 유체 연통한다. 부하감지 포트(30a)로부터의 유체는 제1단부(46a)에 작용하여 부하감지 밸브(42a)를 제1위치(P11)로 작동시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경스프링(light spring)(50a) 또한 부하감지 밸브(42a)의 제1단부(46a)에 작용하여 부하감지 밸브(42a)를 제1위치(P11)로 바이어스한다. 한 실시예에서, 부하감지 밸브(42a)의 제1단부(46a)에 대한 결합된 부하는 부하감지 포트(30a)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약 200psi 내지 약 400psi를 더한 것과 동일하다.
부하감지 밸브(42a)의 제2단부(48a)는 제1유체펌프(20a)의 유체 유출구(26a)와 유체 연통한다. 제2단부(48a)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제1단부(46a)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보다 크면, 제어피스톤(38a)은 중립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판(36a)를 작동시켜, 제1유체펌프(20a)에 의한 유체 변위의 양을 감소시킨다.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압력경감(pressure relieving) 밸브의 형태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비례적 2-위치, 3-방향 밸브이다.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제1단부(52a)와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단부(54a)를 포함한다. 유체 유출구(26a)로부터의 유체가 제2단부(54a)에 대해 작용하는 동안 중스프링(heavy spring)(56a)이 압력제한 보상기(44a)의 제1단부(52a)에 대해 작용한다.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제1위치(PC11)과 제2위치(PC21)를 포함한다. 제1위치(PC11)에서,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드레인 포트(28a)에 대한 유체 통로를 제공한다. 압력제한 보상기(44a)가 제1위치(PC11)에 있고 또한 부하감지 밸브(42a)가 제1위치(P11)에 있으면, 제어피스톤(38a)에 대해 작용하는 유체는 드레인 포트(28a)를 통해 유체 저장기(12)로 배출된다. 압력제한 보상기(44a)가 이 제1위치(PC11)에 있고 또한 부하감지 밸브(42a)가 제1위치(P11)에 있음으로써, 경사판(36a)은 바이어싱부재(40a)에 의해 완전행정 위치를 향해 바이어스된다.
제2위치(PC21)에서,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제어피스톤(38a)과 유체 유출구(26a)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여, 가압된 유체가 제어피스톤(28a)에 대해 작용한다. 압력제한 보상기(44a)가 제2위치(PC21)에 있음으로써, 제어피스톤(38a)은 바이어싱부재(40a)에 대해 작용하여 경사판(36a)을 중립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유체 유출구(26a) 내 유체 압력이 증가하여 중스프링(56a)의 부하설정에 도달하면, 압력제한 보상기(44a)는 제2위치(PC21)를 향해 이동하여 유체가 제어피스톤(36a)을 통과하도록 한다. 유체가 제어피스톤(38a)에 대해 작용하면, 경사판(36a)의 위치는 중립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이동은, 제1유체펌프(20a)의 유체 유출구(26a)에서 유체의 량이 중스프링(56a)의 부하설정에서의 시스템압력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또는 제1유체펌프(20a)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까지 지속된다. 한 실시예에서, 중스프링(56)은 약 2500psi 내지 약 3500 psi 시스템압력의 부하설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를 설명한다.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는 제1액추에이터(60)와 제1방향제어 밸브(62)를 포함한다.
제1액추에이터(60)는 선형 액추에이터(예컨대, 실린더 등) 또는 회전 액추에이터(예컨대, 모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액추에이터(60)는 선형 액추에이터이다. 제1액추에이터(60)는 구멍(66)을 규정하는 하우징(64)을 포함한다. 피스톤 조립체(68)가 구멍(66) 내에 배치된다. 피스톤 조립체(68)는 피스톤(70)과 로드(72)를 포함한다. 제1챔버가 피스톤(70)의 제1측에 배치되는 한편 제2챔버는 대향적으로 배치되는 피스톤(70)의 제2측에 배치된다.
제1액추에이터(60)는 제1제어포트(82)아 제2제어포트(84)를 포함한다. 제1제어포트(82)는 제1챔버(74)와 유체 연통하는 한편 제2제어포트(84)는 제2챔버(76)와 유체 연통한다.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제1액추에이터(60)와 유체 연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3-위치, 4-방향 밸브이다.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제1위치(PD11)와, 제2위치(PD21)와, 그리고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PDN1)를 포함한다.
제1위치에서,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제1유체펌프(20a)와 제1제어포트(82) 사이에 또한 제2제어포트(84)와 유체 저장기(12)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위치(PD1)는 하우징(64)에서부터 피스톤 조립체(68)의 확장이 일어나게 한다. 제2위치(PD21)에서,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제1유체펌프(20a)와 제2제어포트(84) 사이에 또한 제1제어포트(82)와 유체 저장기(1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위치(PD21)는 피스톤 조립(68)의 수축이 일어나게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방향제어 밸브(62)는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 밸브(86)들에 의해 작동된다. 다수의 제1센터링(centering) 스프링(88)은 제1방향제어 밸브(62)를 중립위치(PN11)로 바이어스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는 제2액추에이터(90)와 제2방향제어 밸브(92)를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는 구멍(96)을 규정하는 하우징(94)을 포함한다. 피스톤 조립체(98)가 구멍(96) 내에 배치된다. 피스톤 조립체(98)는 구멍(96)을 제1챔버(100)와 제2챔버(102)로 분할한다.
하우징(94)은 제1챔버(100)와 유체 연통하는 제1제어포트(104)와 제2챔버(102)와 유체 연통하는 제2제어포트(106)를 포함한다.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제2액추에이터(90)와 유체 연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3-위치, 5-방향 밸브이다.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제1위치(PD12)와 제2위치(PD22)와, 그리고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PDN2)를 포함한다.
제1위치(PD12)에서,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제2유체펌프(20b)의 유체 유출구(26b)와 제1제어포트(104) 사이에 또한 제2제어포트(106)와 유체 저장기(1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또한 유체 유출구(26b)와, 제2유체펌프(20b)의 부하감지 포트(30b)와 유체 연통하는 부하감지 경로(108)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위치(PD11)는 하우징(94)에서부터 피스톤 조립체(98)의 확장을 일으킨다.
제2위치(PD22)에서,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제2유체펌프(20b)와 제2제어포트(106) 사이에 또한 제1제어포트(104)와 유체 저장기(1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또한 유체 유출구(26b)와 그리고 제2유체펌프(20b)의 부하감지 포트(30b)와 유체 연통하는 부하감지 경로(108)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위치(PD22)는 피스톤 조립체(98)의 수축을 일으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방향제어 밸브(92)는 다수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110)에 의해 작동된다. 다수의 제2센터링 스프링(112)들은 제2방향제어 밸브(92)를 중립위치(PN12)로 바이어스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시스템(10)은 펌프 결합기 조립체(pump combiner assembly)(120)를 더 포함한다.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 및 제2동작모드를 포함한다. 제1모드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펌프 조립체(14a)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 사이에 또한 제2펌프 조립체(14b)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제1모드에서, 제1펌프 조립체(14a)와 제2유체 액추에이터 조립체(18)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제2모드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 및 제2펌프 조립체(14a, 14b)들로부터 유체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모드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유체펌프(20a)의 유체 유출구(16a)와 제2유체펌프(20b)의 유체 유출구(26b)로부터의 유체를 결합하고 또한 결합된 유체를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로 연통시킨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펌프 조립체(14a)의 유체 유출구(26a)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입구 통로(122)와, 제2펌프 조립체(14b)의 유체 유출구(26b)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출구 통로(126)와 그리고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출구 통로(128)를 포함한다.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유체 저장기(12)와 유체 연통하는 회수통로(return passage)(130)를 더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펌프 조립체(12a)의 부하감지 포트(30a)와 유체 연통하는 제1부하감지 통로(132)와, 제2펌프 조립체(12b)의 부하감지 포트(30b)와 유체 연통하는 제2부하감지 통로(134)와 그리고 제2방향제어 밸브(92)의 부하감지 경로(108)와 유체 연통하는 제3부하감지 통로(136)를 포함한다.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포핏밸브(poppet valve) 조립체(138)와 선택기 밸브(140)를 포함한다. 포핏밸브 조립체(138)는 밸브 구멍(142)을 규정한다.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는 밸브 구멍(142)와 유체 연통한다. 밸브 구멍(1420는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144)를 포함한다.
포핏밸브 조립체(138)는 밸브 구멍(142)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되는 포핏밸브(146)와 스프링(148)을 포함한다. 포핏밸브(1460) 제1축단부(150)와 그리고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축단부(152)를 가진다. 제1축단부(150)는 밸브시트(144)와 선택적 결합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포핏밸브(146)의 제2축단부(152)와 밸브 구멍(142)은 스프링 공동(154)을 협동적으로 규정한다. 스프링(148)은 스프링 공동(154) 내에 배치되고 또한 포핏밸브(146)의 제2축단부(152)에 대해 작용하여 포핏밸브(146)을 밸브시트(144)와 결합이 되도록 바이어스한다. 포핏밸브(146)가 안착위치(seated positon)에 있으면, 제1축단부(150)는 밸브시트(144)와 밀봉되게 접촉하여,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포핏밸브(146)가 안착위치에서 벗어나면, 제1축단부(150)는 밸브시트(144)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사이에서 유체가 연통한다.
포핏밸브 조립체(138)는 스프링 공동 통로(156)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 공동 통로(156)는 스프링 공동(154)과 유체 연통한다.
선택기 밸브(140)는 스프링 공동(154)과 유체 연통한다. 선택기 밸브(140)는 스프링 공동(154)으로부터 유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유체가 제2유입구 통로(124)에서 제1유출구 통로(126)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선택기 밸브(140)는 2위치, 3-방향 밸브이다. 제1위치(PS1)에서, 선택기 밸브9140)는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의 제2유출구 통로(128)와 스프링 공동(154)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여, 제2유출구 통로(128)의 유체가 스프링 공동(154) 내로 흐르게 된다. 스프링 공동(154)과 연통하는 제2유출구 통로(128)로부터의 유체로 인해, 포핏밸브(146)의 제1축단부(150)는 밸브 구멍(142)의 밸브시트(144)와 접촉하여,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됨으로써, 제1펌프 조립체(14a)로부터의 유체만이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연통된다.
제2위치(PS2)에서, 선택기 밸브(140)는 스프링 공동(154)과 회수통로(130) 간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이 제2위치(PS2)에서, 스프링 공동(154) 내 유체는 유체 저장기(12)로 배출된다. 포핏밸브(146)의 제1축단부(150)에 작용하는 제2유입구 통로(124)로부터의 유체는 밸브 구멍(142) 내 밸브시트(144)로부터 포핏밸브(146)를 이탈시켜(unseats), 제2유입구 통로(124)로부터의 유체가 제1유출구 통로(126)로 연통된다. 포핏밸브(146)가 이탈위치에 있음으로써, 제1펌프 조립체(14a)로부터의 유체와 제2펌프 조립체(14b)로부터의 유체들은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연통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선택기 밸브9140)는 솔레노이드(158)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가 여기된 상태에 있으면, 솔레노이드9158)는 선택기 밸브9140)를 제2위치(PS2)로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158)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제어회로(162)로부터의 전력신호(160)에 응해 선택기 밸브(140)를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158)가 비여기 상태에 있으면 스프링(164)은 선택기 밸브(140)를 제1위치(PS1)로 바이어스한다.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제1단방향(one-way) 밸브 조립체(166)와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를 더 포함한다.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166)는 제1유입구 통로(122)에 배치된다.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166)는 유체가 제1펌프 조립체(14a)에서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흐르도록 하고 또한 반대방향으로(즉,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에서 제1펌프 조립체(14a)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166)는 또한 제2펌프 조립체(14b)에서 제1펌프 조립체(14a)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166)는 체크밸브(170)와 체크밸브 시트(172)를 포함한다. 체크밸브(170)는 스프링(174)에 의해 체크밸브 시트(172)와 접촉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체크밸브(170)가 체크밸브 시트(172)와 접촉하면, 제1유출구 통로(126)와 제1유입구 통로(122)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제1유출구 통로(126) 내 유체의 압력이 제1유입구 통로(122) 내 유체의 압력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면, 체크밸브(170)는 체크밸브 시트(172)와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는 제1유출구 통로(126) 내에 배치된다.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는 유체가 포핏밸브 조립체(138)에서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흐르도록 하고 또한 반대방향으로(즉,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에서 포핏밸브 조립체(138)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는 제1펌프 조립체(12a)에서 포핏밸브 조립체(138)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는 제2체크밸브(176)와 제2체크시트(178)를 포함한다. 제2체크밸브(176)는 스프링(180)에 의해 제2체크밸브 시트(178)와 접촉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제2체크밸브(176)가 제2체크밸브 시트(178)와 접촉하게 되면,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와 포핏밸브 조립체(138)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셔틀(shuttle)(190)을 더 포함한다. 셔틀(190)은 제2펌프 조립체(14b)의 부하감지 포트(30b)와 유체 연통하는 제1부하감지 통로(134)와 유체 연통한다. 셔틀(190)은 제3부하감지 통로(136)으로부터의 유체의 압력과, 그리고 포핏밸브 조립체(138)과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168) 간의 제1유출구 통로(126) 내 유체의 압력을 비교한다. 높은 압력의 유체가 셔틀밸브(190)를 통해 제2펌프 조립체(14b)의 부하감지 포트(30b)로 연통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는 램핑밸브(ramping valve) 조립체(192)를 포함한다. 램핑밸브 조립체(192)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의 제1액추에이터(60)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1유체 펌프(20a)의 유체 출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램핑밸브 조립체(192)는, 여기에서 전부가 참조로 통합되는, 2010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2/770,261호("Control of a Fluid Pump Assembly")에 기술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다수의 유체 펌프들의 출력들을 결합하는 방법(300)을 설명한다. 단계(302)에서, 입력신호(194)를 전자제어유닛(162)이 수신한다. 한 실시예에서, 입력신호(194)는 작업차량(예컨대, 쓰레기트럭, 스키드 스티어 로더(skid steer loader), 굴삭기, 굴착기, 트랙터 등)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예컨대, 조이스틱, 핸들 등)을 사용하는 운영자에 의해 제공된다.
신호(194)에 응해, 단계(304)에서 전자제어유닛(162)은 작동신호(196)를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전송한다. 작동신호(196)는 제1방향제어 밸브(62)의 솔레노이드 밸브(86)가 수신한다. 작동신호(196)에 응해, 솔레노이드 밸브(86)는 제1방향제어 밸브(62)를 제1 및 제2위치(PD11, PD21) 중 하나로 작동시킨다. 제1방향제어 밸브(62)가 제1 및 제2위치(PD11, PD21) 중 하나에 있음으로써, 제1펌프 조립체(12a)로부터의 유체가 제1액추에이터(60)로 연통한다.
단계(306)에서, 전자제어유닛(162)은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의 제2방향제어 밸브(92)의 위치를 평가한다. 만일 제2방향제어 밸브(92)가 중립위치(PDN2)에 있으면, 전자제어유닛(162)은 단계(308)에서 전력신호(160)를 선택기 밸브(140)의 솔레노이드(158)로 전송한다. 전력신호(160)에 응해, 선택기 밸브(140)는 제2위치(PS2)로 작동하여, 스프링 공동(154) 내 유체가 유체 저장기(12)로 배출된다. 스프링 공동(154) 내 유체가 유체 저장기(12)로 배출됨으로써, 포핏밸브(146)는 밸브 구멍(142)의 밸브시트(144)로부터 이탈된다. 밸브시트(144)로부터 포핏밸브(146)가 이탈됨으로써, 제2펌프 조립체(14b)로부터의 유체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의 제1액추에티터(60)로 연통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선택기 밸브(140)가 제2위치(PS2)로 작동하면 제1펌프 조립체(14a)로부터의 유체와 제2펌프 조립체(14b)로부터의 유체들은 펌프 결합기 조립체(120)의 제1유출구 통로(126)에서 결합된다. 그런 다음, 제1유출구 통로(126)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16)로 연통된다.
전자제어유닛(162)이 조작자에 의해 제공되고 또한 작업차량의 소정의 제2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입력신호(200)를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제어유닛(162)은 전력신호(160)를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솔레노이드(158)로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여, 선택기 밸브(140)는 제1위치(PS1)로 역으로 바이어스되고, 여기서 유체는 밸브 구멍(142)의 스프링 공동(154)으로 연통한다. 스프링 공동(154)으로 유체가 연통함으로써, 제2유입구 통로(124)와 제1유출구 통로(126) 간의 유체 연통이 차단된다. 그런 다음 전자제어유닛(162)은 제2작동신호(202)를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18)의 제2방향제어 밸브(92)로 전송하여 제2방향제어 밸브(92)를 제1 및 제2위치(PD12, PD22) 중 하나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안들과 대안들이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이탈하는 일이 없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주어진 설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Claims (18)

  1.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펌프 조립체와;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를 가지는 방향제어 밸브를 가지는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는 제2펌프 조립체와;
    상기 방향제어 밸브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펌프 조립체에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 결합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제1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포핏밸브를 포함하고 또한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구멍을 규정하는 포핏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제2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핏밸브는 밸브시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축단부와 그리고 제2축단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포핏밸브의 제2축단부는 협동적으로 공동을 규정하며;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의 상기 공동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공동이 유체 저장기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위치와 상기 공동이 상기 제2유체 유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전자적으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선택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가 방향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제1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를포함하고, 상기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1펌프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 밸브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상기 방향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방향제어 밸브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8. 제1액추에이터와 유체 연통하는 제1방향제어 밸브를 가지는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폐쇄된 중앙 중립위치를 가지는 제2방향제어 밸브를 가지는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는 제2펌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제어 밸브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펌프 조립체에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 결합기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제1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펌프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포핏밸브를 포함하고 또한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구멍을 규정하는 포핏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제2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핏밸브는 밸브시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축단부와 그리고 제2축단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포핏밸브의 제2축단부는 협동적으로 공동을 규정하며;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의 상기 공동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공동이 유체 저장기와 유체 연통하는 제1위치와 상기 공동이 상기 제2유체 유입구와 유체 연통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전자적으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선택기 밸브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기 밸브와 상기 제1방향제어 밸브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제1유체 유입구와 상기 제1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1펌프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결합기 조립체는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2방향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2방향제어 밸브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조립체.
  13. 다수의 유체 펌프들의 출력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입력장치로부터,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1방향제어 장치로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1펌프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고;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제2방향제어 밸브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2펌프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하고; 그리고
    상기 제2방향제어 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펌프 조립체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도록 포핏밸브 조립체의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선택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유체 펌프들의 출력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1펌프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단방향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 조립체에서 상기 포핏밸브 조립체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제2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작동신호를 상기 제2방향제어 밸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입력신호는 작업차량의 제2기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28399A 2010-04-30 2011-04-22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 KR101769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006010P 2010-04-30 2010-04-30
US61/330,060 2010-04-30
PCT/US2011/033549 WO2011137038A1 (en) 2010-04-30 2011-04-22 Multiple fluid pump combina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577A true KR20130070577A (ko) 2013-06-27
KR101769644B1 KR101769644B1 (ko) 2017-08-30

Family

ID=443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399A KR101769644B1 (ko) 2010-04-30 2011-04-22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74579B2 (ko)
EP (1) EP2564072B1 (ko)
JP (1) JP5791703B2 (ko)
KR (1) KR101769644B1 (ko)
CN (1) CN102959252B (ko)
BR (1) BR112012027722B8 (ko)
CA (1) CA2797828C (ko)
MX (1) MX355682B (ko)
WO (1) WO20111370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76B1 (ko) * 2015-05-07 2016-06-1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중장비용 유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3015289A (es) 2011-07-01 2014-03-31 Eaton Corp Sistemas hidraulicos utilizando sistemas de bombas de ciclos abierto y cerrado en combinacion.
US9323253B2 (en) * 2012-12-21 2016-04-26 Eaton Corporation Proportional flow control of a fluid pump assembly
CN104373408B (zh) * 2014-11-28 2016-06-08 珠海市英格尔特种钻探设备有限公司 分流集流多功能油路块
EP4067127A1 (en) * 2021-03-31 2022-10-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Suspension hydraulic lift actuator for axle trim height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9908A (en) * 1960-01-04 1961-04-18 Warner Swasey Co Hydraulic control systems
US3443380A (en) * 1968-01-02 1969-05-13 Allis Chalmers Mfg Co Two-pump system for lift cylinder
AT291330B (de) * 1968-06-15 1971-07-12 Frisch Geb Kg Eisenwerk Hydraul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ie Arbeitswerkzeuge von Erdbearbeitungsmachinen
FR2260013B1 (ko) * 1974-02-04 1976-10-08 Poclain Sa
US3900075A (en) 1974-04-15 1975-08-19 Clark Equipment Co Hydrostatic propulsion system
US4044786A (en) * 1976-07-26 1977-08-30 Eaton Corporation Load sensing steering system with dual power source
US4210061A (en) 1976-12-02 1980-07-01 Caterpillar Tractor Co. Three-circuit fluid system having controlled fluid combining
US4141280A (en) 1977-07-11 1979-02-27 Caterpillar Tractor Co. Dual pump flow combining system
DE2915783C2 (de) * 1979-04-19 1986-07-03 Vickers Systems GmbH, 6380 Bad Homburg Aus Sicherheitsgründen arbeitsüberwachte Ventilanordnung
JPS5847328Y2 (ja) 1979-04-27 1983-10-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車の制御装置
US4383412A (en) 1979-10-17 1983-05-17 Cross Manufacturing, Inc. Multiple pump load sensing system
JPS5833569U (ja) * 1981-08-26 1983-03-04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の油圧回路
US4537029A (en) * 1982-09-23 1985-08-27 Vickers, Incorporated Power transmission
DE3546336A1 (de) * 1985-12-30 1987-07-02 Rexroth Mannesmann Gmbh Steueranordnung fuer mindestens zwei von mindestens einer pumpe gespeiste hydraulische verbraucher
EP0235545B1 (en) * 1986-01-25 1990-09-1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drive system
US4811561A (en) * 1986-04-08 1989-03-14 Vickers, Incorporated Power transmission
JPH0791846B2 (ja) * 1988-12-19 1995-10-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パワーショベルのサービス弁回路
US4986072A (en) 1989-08-31 1991-01-2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ydraulic actuator circuit with flow-joining control
AU631727B2 (en) * 1990-03-09 1992-12-03 Kubota Corporation Hydraulic circuit for a working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hydraulic actuators
DE4129508C2 (de) 1991-09-05 1994-12-15 Rexroth Mannesmann Gmbh Ventilanordnung zur Versorgung eines Verbrauchers aus zwei Druckmittelquellen
JP2892939B2 (ja) * 1994-06-28 1999-05-17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掘削機の油圧回路装置
JP3013225B2 (ja) * 1995-01-11 2000-02-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吊り作業制御装置
DE69620463T2 (de) 1995-05-17 2002-10-31 Komatsu Mfg Co Ltd Hydraulischer kreislauf für hydraulisch angetriebene arbeitsfahrzeuge
US5615553A (en) 1995-06-28 1997-04-01 Case Corporation Hydraulic circuit with load sensing feature
JP3511425B2 (ja) * 1995-09-18 2004-03-29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ステム
KR0156433B1 (ko) * 1995-09-19 1998-10-15 석진철 전유압조향시스템의 비상조향장치
KR0185493B1 (ko) * 1996-03-30 1999-04-01 토니헬샴 중장비용 유량 합류장치
US6145287A (en) 1998-03-05 2000-11-14 Sauer Inc. Hydrostatic circuit for harvesting machine
US5992450A (en) * 1998-06-30 1999-11-30 Eaton Corporation Cartridge valve having solenoid bypass and integral relief valve
JP4234893B2 (ja) 2000-09-12 2009-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シリンダの作動制御装置
JP2003139108A (ja) * 2001-11-07 2003-05-14 Shimadzu Corp 油圧アクチュエータ
JP2003246239A (ja) 2002-02-22 2003-09-02 Kayaba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
JP4167842B2 (ja) * 2002-03-27 2008-10-2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成形機の油圧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7412315B2 (en) * 2002-08-30 2008-08-12 Timberjack, Inc. Steering system for articulated vehicles
ATE389813T1 (de) * 2002-11-29 2008-04-15 Bosch Rexroth Ag Hydraulisches zweikreissystem
KR100559291B1 (ko) * 2003-06-25 2006-03-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JP2005076781A (ja) 2003-09-01 2005-03-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駆動装置
US7162869B2 (en) * 2003-10-23 2007-01-16 Caterpillar Inc Hydraulic system for a work machine
GB2441258B (en) * 2005-05-18 2010-01-27 Komatsu Mfg Co Ltd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7331175B2 (en) * 2005-08-31 2008-02-19 Caterpillar Inc. Hydraulic system having area controlled bypass
EP1808324B1 (en) 2006-01-16 2010-03-1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ostatic transaxle
JP2007278430A (ja) 2006-04-10 2007-10-25 Shin Meiwa Ind Co Ltd ミキサ車のミキサドラム駆動装置
JP4847188B2 (ja) 2006-04-12 2011-12-28 成造 千葉 コンクリートミキサ車
JP4847242B2 (ja) 2006-07-25 2011-12-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ミキサドラム駆動装置
DE202007005232U1 (de) * 2007-04-11 2008-08-14 Liebherr Mining Equipment Co. Kipplaster
US7712555B2 (en) * 2007-06-04 2010-05-11 Clark Equipment Company Steerable series two speed motor configuration
US7832208B2 (en) * 2007-11-13 2010-11-16 Caterpillar Inc Process for electro-hydraulic circuits and systems involving excavator boom-swing power management
JP5269699B2 (ja) 2009-06-10 2013-08-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圧式作業車両
MX2013015289A (es) 2011-07-01 2014-03-31 Eaton Corp Sistemas hidraulicos utilizando sistemas de bombas de ciclos abierto y cerrado en combinac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76B1 (ko) * 2015-05-07 2016-06-1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중장비용 유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7722B1 (pt) 2021-03-30
KR101769644B1 (ko) 2017-08-30
US9574579B2 (en) 2017-02-21
CN102959252A (zh) 2013-03-06
JP2013525709A (ja) 2013-06-20
EP2564072B1 (en) 2016-03-23
BR112012027722B8 (pt) 2022-11-22
CN102959252B (zh) 2015-03-25
EP2564072A1 (en) 2013-03-06
WO2011137038A1 (en) 2011-11-03
US20110283691A1 (en) 2011-11-24
BR112012027722A2 (pt) 2016-09-06
JP5791703B2 (ja) 2015-10-07
CA2797828A1 (en) 2011-11-03
MX2012012644A (es) 2012-11-21
CA2797828C (en) 2017-04-18
MX355682B (es)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131B2 (ja)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KR101874653B1 (ko) 유체 펌프 조립체의 제어
US10914294B2 (en) Displacement adjusting device of swash plate pump
US6871574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assembly having dual directional spool valves with pilot operated check valves
KR101769644B1 (ko) 다중 유체펌프 결합회로
KR101432564B1 (ko) 유압식 2-회로 시스템 및 인터커넥팅 밸브 장치
US20150013804A1 (en) Flow responsive latch for holding a spool valve in an open position
US9903396B2 (en) Valve assembly
KR102094425B1 (ko) 개방 단부 위치에서 감소된 흐름을 위한 스풀 상의 계측 노치를 갖는 방향 제어 밸브
AU2011325186A1 (en) High pressure intensifiers
US20080087345A1 (en) Direct operated cartridge valve assembly
US3267966A (en) Regenerativ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s
JPH0755031A (ja) 流量応援用方向制御弁
CN112343806A (zh) 用于开放回路可变排量泵的电动排量控制
RU2599698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истема пило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и набор главных управляющих клапанов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и гидро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KR100499285B1 (ko) 토목건설기계용 유압장치의 파일럿절환밸브
KR101497976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압력 부스터용 자동 왕복운동 제어 기구
KR101366438B1 (ko) 복동식 왕복가능 유체 기구용 제어밸브
JPH0755030A (ja) 流量応援用方向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