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118A -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118A
KR20130070118A KR1020110137277A KR20110137277A KR20130070118A KR 20130070118 A KR20130070118 A KR 20130070118A KR 1020110137277 A KR1020110137277 A KR 1020110137277A KR 20110137277 A KR20110137277 A KR 20110137277A KR 20130070118 A KR20130070118 A KR 2013007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ire
door
fixing uni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749B1 (ko
Inventor
전재승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7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work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중공부를 가지는 측벽프레임과 회동 내지 슬라이딩 개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에 있어서,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이동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 내지 해제시키는 래치부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되 위치이동이 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레버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측벽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측벽프레임의 중공부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Description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DOOR FIXING UNIT FOR CABIN OF EXCAVATOR}
본 발명은 운전실 도어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 운전실(캐빈)의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유닛을 운전실 측벽프레임의 측면에 설치하여 와이어를 측벽프레임의 내부로 통과시킴으로써 운전실 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로 크게 나뉘어지며, 상기 상부 선회체에는 작업자가 굴삭기를 제어하기 위한 운전실(캐빈)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실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가 마련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려는 경우 도어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유닛(백락레버)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정유닛은 운전실 도어가 마련된 측면에 장착되되, 건설기계의 안정장치에 관한 규정인 로프스(ROPS,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에 따라 운전실의 하중을 지지하고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운전실 측벽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마련되게 된다.
이러한 고정유닛은 상기 측벽프레임에 설치됨에 따라 운전실의 작업공간이 좁아져 사용상 편의성의 문제점과, 굴삭기 작업 시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이 조작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20-0183996(2000.06.01.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 운전실의 내부 프레임 측면에 굴삭기 운전실 도어의 고정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실 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실 도어의 고정유닛을 운전실의 내부 프레임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도어의 고정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은,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이동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 내지 해제시키는 래치부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되 위치이동이 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레버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측벽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측벽프레임의 중공부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래치 내지 상기 레버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양 단부에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단은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측벽프레임에 체결된 고정브라켓과 볼트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은 가압 내지 파지 용이하도록 돌기 내지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레버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운전실 내측 벽에 고정시키도록 와이어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래치부, 레버 내지 측벽프레임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고정유닛을 운전실 내부의 프레임 측면에 설치하여, 운전실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의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도어의 개방 내지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종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횡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이 마련된 굴삭기 운전실의 내부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설치된 운전실 내벽에는 ROPS규정에 따른 측벽프레임(700)이 마련되며, 상기 측벽프레임의 운전실을 향하는 면에 도어 고정유닛이 마련된다.
ROPS(로프스, 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 란, 건설기계의 안전장치에 관한 규정으로 차량계 건설기계는 급한 경사로 되어 있는 곳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암석 등의 낙하나 차량계 건설기계의 전도 등에 의해 운전자가 재해를 입는 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안전대책으로서 차량계 건선기계가 전도되어도 운전자가 안전하도록 차량계 건설기계의 상부에 부착된 방호구조물의 규격을 말한다.
따라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운전실에는 ROPS규정에 따라 상기 측벽프레임(700)이 일정한 규격을 가지고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의 중공부가 마련된 사각기둥 프레임이 운전실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상기 측벽프레임(700)은 운전실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운전실의 작업공간을 일정부분 차지하게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과 측벽프레임(700)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프레임(700)으로부터 도어 고정유닛이 W1만큼 돌출 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이 마련된 굴삭기 운전실의 내부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유닛은 조작부(100), 와이어(310) 및 래치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부(500)는 상기 도어가 마련된 운전실의 내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와이어(310)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310)의 이동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한다.
상기 래치부(500)는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 및 슬라이딩 개폐 시 회전각도 및 이동크기를 제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00)는 상기 와이어(310)의 타단에 연결되되 위치이동이 가능한 레버(110)와 상기 레버(1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와 상기 레버(110)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와이어(310)는 일단이 상기 래치부(500)의 래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110)와 연결된다.
상기 측벽프레임(700)은 사각기둥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운전실을 향한 면을 정면으로 설정한다면, 상기 레버(110)는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레버(110)는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측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측벽프레임(70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30)과 체결된다. 상기 레버(110)의 일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으로 상기 고정브라켓(130)과 결합하기 위해 볼트(170)가 삽입된다.
상기 레버(110)는 작업자가 파지하거나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측벽프레임(700)과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으로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레버(110)의 몸체부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레버(110)를 상기 측벽프레임(700)에 고정시킨다.
상기 레버(110)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10)의 가압부를 아래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레버(110)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레버(110)와 연결된 와이어(310)가 상기 레버(110)를 잡아당긴 방향으로 상기 측벽프레임(700)을 관통하여 인출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110)를 아래방향으로 잡아 당긴 후 선택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스프링(1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레버(110)를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11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측벽프레임(700) 내지 상기 레버(110)의 몸체 또는 가압부와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310)가 출입하는 부분에 상기 와이어(310)를 가이드하는 안내부(31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미도시)는 상기 레버(110)가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는 경우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레버(110)의 작동을 제한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마련되어, 상기 레버(110)가 회동 운동하는 경우 상기 레버(110)를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레버(110)를 이동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탄성을 유지하여 상기 레버(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와이어(310)는 금속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엇갈리게 감아 한 줄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10)는 일정 장력 내지 강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내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310)는 케이블(3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310)를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케이블(330)이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330)은 상기 와이어(3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 고정유닛은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운전실 도어의 측면 내지 동일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와 측벽프레임(7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00)는 상기 측벽프레임(700)에 고정된 고정브래킷(130)과 상기 고정브래킷(130)에 체결된 레버(110)와 상기 레버(110)와 고정브래킷(130)을 체결하는 볼트(170) 및 상기 레버(110)를 원위치로 복귀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110)가 아래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레버(110)를 당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레버(110)와 연결되어 상기 측벽프레임(700)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와 연결된다,
상기 측벽프레임(700)은 상기 와이어(310) 내지 케이블(33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양 측면에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310)가 관통되어 상기 레버(110)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게 된다.
상기 측벽프레임(700)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안전규정인 ROPS상 반드시 있어야 하므로,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내부 중공부를 상기 와이어(310)의 이동경로로 이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고정유닛의 조작부(100)를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측면에 마련함으로써 굴삭기 운전실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측벽프레임(700)을 관통한 와이어(310)는 상기 래치부(500)의 래치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실 도어의 고정유닛은 운전실 내부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운전실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운전실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조작부 110: 레버
130: 고정브라켓 150: 스프링
170: 볼트 310: 와이어
313: 걸림부 330: 케이블
315: 안내부 500: 래치부
700: 측벽프레임

Claims (6)

  1. 중공부를 가지는 측벽프레임(700)과 회동 내지 슬라이딩 개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에 있어서,
    와이어(310)의 일단에 연결된 래치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310)의 이동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 내지 해제시키는 래치부(500); 및
    상기 와이어(310)의 타단에 연결되되 위치이동이 가능한 레버(110)와 상기 레버(1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레버(110)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150)이 마련된 조작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110)는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측벽프레임(700)의 중공부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래치 내지 상기 레버(110)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양 단부에 걸림부(31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0)의 일단은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측벽프레임(700)에 체결된 고정브라켓(130)과 볼트 결합되고, 상기 레버(110)의 타단은 가압 내지 파지 용이하도록 돌기 내지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0)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레버(11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10)를 운전실 내측 벽에 고정시키도록 와이어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1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래치부(500), 레버(110) 내지 측벽프레임(7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3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유닛.


KR1020110137277A 2011-12-19 2011-12-19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KR10185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77A KR101858749B1 (ko) 2011-12-19 2011-12-19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77A KR101858749B1 (ko) 2011-12-19 2011-12-19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118A true KR20130070118A (ko) 2013-06-27
KR101858749B1 KR101858749B1 (ko) 2018-05-16

Family

ID=4886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277A KR101858749B1 (ko) 2011-12-19 2011-12-19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5357A (zh) * 2019-10-29 2020-01-24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挖掘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5357A (zh) * 2019-10-29 2020-01-24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挖掘机
CN110725357B (zh) * 2019-10-29 2024-06-07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挖掘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749B1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4804B2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開閉装置
JP5324892B2 (ja) 建設機械用エンジンルームフードステー装置
CN106687656B (zh) 用于机动车的车门外把手
AU2019200911A1 (en) Safety hook
JP2010064869A (ja) ピット梯子装置
KR20130070118A (ko) 굴삭기 운전실의 도어 고정유닛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JP5623799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1825391B1 (ko) 후드래치 장치
JP2011057034A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を備えた車両の操作ケーブルの配索構造
KR20130062679A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KR100897693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RU2742065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блокировки парковочной передачи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200476699Y1 (ko) 적재함 가변 덮개
JP2007126837A (ja) 建設機械の扉ロック装置
KR101596572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20150141843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20160041464A (ko) 자동해제용 후드래치
KR20150106291A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JP2019010973A (ja) モジュールパネル
KR100613237B1 (ko)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