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905A -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905A
KR20130066905A KR20110133667A KR20110133667A KR20130066905A KR 20130066905 A KR20130066905 A KR 20130066905A KR 20110133667 A KR20110133667 A KR 20110133667A KR 20110133667 A KR20110133667 A KR 20110133667A KR 20130066905 A KR20130066905 A KR 2013006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ic
listening
search
wireless system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3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145B1 (ko
Inventor
정부섭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45B1/ko
Priority to US13/691,098 priority patent/US9380518B2/en
Priority to EP12196782.2A priority patent/EP2605552B1/en
Priority to CN201210539500.3A priority patent/CN103228027B/zh
Publication of KR2013006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대 기기를 발견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들이 하나 둘씩 등장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기기간 데이터를 와이파이를 통해서 전송하는 통신 규격이다. 지금까지 기기간의 데이터 공유는 주로 블루투스와 DLNA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제는 와이파이로 보다 넓은 전송범위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무선공유기(Access Point : AP)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별도의 무선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장치간 다이렉트로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파이존에 접속할 필요 또한 없다. 게다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일대일 혹은 일대다수의 장치와 연결가능하다.
도 1은 와이파이 P2P로 연결된 기기들을 포함하는 P2P 그룹을 묘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기는 그룹 오너(group owner)가 되고, 나머지 기기들은 클라언트가 된다.
도 2는 기기들 간의 일반적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기기 간의 연결은 상대 기기(peer device)의 존재를 파악하는 과정, 즉,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선행한다. 와이파이 P2P 기기는 802.11 기반의 스캔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전 채널을 스캔하여 기생성된 그룹 오너를 찾는다. 상기 전 채널에 대한 스캔으로부터 해당 기기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와이파이 P2P 기기는 청취(listen)와 검색(search)을 반복한다. 물론, 상기 청취와 검색은 무한 반복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시간 타임아웃을 두고,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는 종료할 수 있다.
기존 802.11 에서 와이파이 기기가 AP의 존재를 파악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와이파이 P2P에 대한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에서 와이파이 P2P 기기가 상대 기기의 존재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802.11 MAC 프로토콜의 Probe Request 메시지와 Probe Response 메시지의 교환이다.
와이파이 P2P 기기는 Probe Request 메시지를 상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응답받아 상기 상대 기기의 존재를 파악한다. 와이파이 P2P 기기는 상대 기기로부터 수신한 Probe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청취(listen)라 한다. 상기 청취는 와이파이 P2P 기기가 수신부(Rx)를 열고 상대 기기의 Probe Requset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을 가리킨다. 상기 검색(search)은 상대 기기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을 가리킨다. 그룹 오너가 아닌 와이파이 P2P 기기는 채널 1, 6 및 11 중 하나의 고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청취하고 상기 채널 1, 6 및 11을 통해서 상기 검색한다. 결국, 두 와이파이 P2P 기기들은 검색과 청취를 모두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서로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와이파이 P2P 기기는 상기 검색을 통해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상대 기기의 서비스 프로토콜 타입 등의 서비스 정보를 알아내는데 이용하는 메시지 교환이다. 두 와이파이 P2P 기기들이 연결되더라도 서로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가 다르다면 두 기기의 연결은 무용하다. 예컨대, 제1 와이파이 P2P 기기는 UPNP에 기반한 파일 공유 방식을 이용하는 반면, 제2 와이파이 P2P 기기는 웹서비스에 기반한 파일 공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두 기기들 간의 파일 공유는 어렵다.
도 2의 통신 흐름도에 따르면, 검색 중인 제 1 와이파이 P2P 기기는 채널 6을 통해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제 2 와이파이 P2P 기기로 전송하고 청취 중인 제2 와이파이 P2P 기기는 채널 6을 통해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제 1 와이파이 P2P 기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지시 교환을 통해 상기 제 1 와이파이 P2P 기기는 상기 제 2 와이파이 P2P 기기의 존재를 파악한다. 게다가, 검색 중인 상기 제1 와이파이 P2P 기기와 청취 중인 상기 제2 와이파이 P2P 기기는 채널 6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교환한다.
결국, 상기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통해 와이파이 P2P 기기는 상대 기기의 맥 주소(mac address), 네트워크 이름(SSID), 기기명(device name), 기기 타입(device type), 서비스 프로토콜(service protocol) 및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청취와 검색의 전류 소모 패턴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색은 채널 1, 6 및 11에서 한 번씩 Probe Request 메시지를 상대 기기로 보내기 위하여 Tx 피크 전류를 발생하는 시간과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기 위하여 Rx 전류를 유지하는 시간을 소요한다. 또한, 상기 청취는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기 위한 Rx 전류를 유지하는 존속 시간(duration)을 소요한다. 상기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Tx 피크 전류는 순간 발생하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청취와 검색의 소모 전류는 거의 차이가 없다. 즉,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청취와 검색의 소모 전류의 차이는 상기 청취과 검색에 각각 할당된 존속 시간의 차에 비례한다.
상기 와이파이 P2P 기기는 상기 검색을 통해 상대 기기를 찾지 않더라도, 상대 기기가 자신을 찾을 수 있도록 상기 청취만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와이파이 P2P 기능을 가지는 프린터, TV, 팩스, 스피커 등의 기기는 상대 기기가 연결하기 원할 경우 상기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어질 수 있는(discoverable) 상태, 즉, 청취만을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즉, 상대 기기가 도 2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언제 시작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와이파이 P2P 기기가 청취만을 유지하여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어질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은 사용성 측면에서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청취만을 유지한다는 것은 와이파이 P2P 기기가 Rx 전류를 계속적으로 소모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 또는 Service Discovery Request를 언제 수신받을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청취만을 유지하는 것은 전류 낭비의 원인이 된다. 즉, 상대 기기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와이파이 P2P 기기는 청취만을 유지하는데, 이는 전류 소모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물론, 주기적으로 청취와 슬립(sleep)을 반복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겠으나, 와이파이 P2P 기기는 슬립 구간에서 상대 기기의 Probe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으므로 탐색은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청취의 존속 시간과 및 청취의 주기를 짧게 구현할 수 있겠으나, 이는 전류 소모를 줄이는데 역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기기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언제 시작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청취만을 유지하는 종래의 방식은 전류 소비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검색을 중단하고 청취로 전환함으로써 전류 소모를 줄이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색을 통해 적합한 상대 기기가 발견되는 경우 청취로 전환하므로, 청취만을 유지하는 것과 비교하여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대 기기를 발견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기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대 기기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고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함을 특징으로하는 하는 기기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대 기기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언제 시작할지 모르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청취를 유지하는 종래의 방식은 전류 소모면에서 비효율적이나, 본 발명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중인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청취로 전환하므로 종래보다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와이파이 P2P로 연결된 기기들을 포함하는 P2P 그룹을 묘사하는 도면;
도 2는 기기들 간의 일반적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의 통신 흐름도;
도 3은 청취와 검색의 전류 소모 패턴을 비교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P2P 기기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절차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P2P 기기들 간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의 통신 흐름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의 동작도 및
도 8은 종래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과 본 발명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에 따른 전류 소모를 비교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모 전류를 줄이기 위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검색을 통해 적합한 상대 기기가 발견되는 경우 청취로 전환하므로, 청취만을 유지하는 종래의 방식보다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즉, 상대 기기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언제 시작할지 모르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청취를 유지하는 종래의 방식은 비효율적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중인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청취로 전환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검색만을 통해 적합한 상대 기기가 발견되는 경우 청취로 전환하는데, 청취를 시작하고 기설정된 시간 안에 연결 요청이 있으면 청취를 유지하나 그렇지 아니한 경우 다시 검색으로 전환하여 전류 소모를 줄이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P2P 기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파이 P2P 기기는 제어부(41), 입력부(42), 출력부(43), 저장부(44) 및 통신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42)는 상기 제어부(41)로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43)는 상기 제어부(42)의 제어하에 출력 신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44)는 상기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기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43)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선행하고 상대 기기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42)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상기 저장부(44)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절차의 순서도이다. 게다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P2P 기기들 간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50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주기적인 검색은 검색(search)과 슬립(sleep)을 반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검색의 주기는 상기 검색의 존속 시간(duration)과 상기 슬립의 존속 시간의 합이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색 및 슬립의 각 존속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검색(search)을 통해 상기 제어부(11)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의 청취 중인 상대 기기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상대 기기로부터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 기기를 발견한다. 상기 제어부(11)는 501 단계에서 주기적인 검색만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P2P 기기(610)는 채널 1, 6 및 11을 통해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P2P 기기(620)는 검색과 채널을 반복하는데, 채널 1, 6 및 11을 통하여 검색하고 채널 6을 통해 청취한다. 상기 제 1 P2P 기기(610)는 상기 주기적인 검색에서 채널 6을 통해 Probe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제 2 P2P 기기(620)로 전송하고 청취 중인 상기 제 2 P2P 기기(620)는 채널 6을 통해 Probe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제 1 P2P 기기(6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기 제 1 P2P 기기는 상기 제 2 P2P 기기(620)의 존재를 파악한다. 게다가, 상기 주기적인 검색 중인 제 1 P2P 기기(610)는 채널 6을 통해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여 청취 중인 상기 제 2 P2P 기기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501 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제 2 P2P 기기(620)의 맥 주소(mac address), 네트워크 이름(SSID), 기기명(device name), 기기 타입(device type), 서비스 프로토콜(service protocol) 및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등의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도 6의 도면부호 601 참조).
다음, 50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고,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상대 기기를 최초로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1)는 검색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상대 기기가 발견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검색 조건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501 단계를 통하여, 발견한 상대 기기의 맥 주소(MAC address), 네트워크 이름(SSID), 기기명(device name), 기기 타입(device type), 서비스 프로토콜(service protocol) 및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대 기기로부터 회득한 정보에 따라 상대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는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동일한 제조자 ID(Manufacturer ID)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1)는 기 설정된 맥 주소(MAC address)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인 청취는 청취(listen)와 슬립(sleep)을 반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청취의 주기는 상기 청취의 존속 시간(duration)과 상기 슬립의 존속 시간의 합이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청취 및 슬립의 각 존속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청취를 통해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6의 도면부호 60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P2P 기기(610)는 채널1을 통해 청취를 수행한다. 검색 중인 상기 제 2 P2P 기기(620)는 채널1을 통해 상기 제 1 P2P(610)에게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청취 중인 상기 제 1 P2P 기기(610)는 채널1을 통해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제 2 P2P 기기(620)로 전송한다. 이러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상기 제 2 P2P 기기(620)는 본 발명의 제 1 P2P 기기(610)의 존재를 파악한다. 차후, 검색 중인 상기 제 2 P2P 기기(620)는 청취 중인 상기 제 1 P2P 기기(61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P2P 기기(610)는 상기 제 2 P2P 기기(620)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두 기기는 연결된다. 즉, 상기 청취는 503 단계를 통해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을 발견한 상대 기기가 연결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유지하는데, 이는 전류 소모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507 단계에서 주기적인 검색에서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하고 임계 시간 안에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다시 501 단계로 진행하여 주기적인 검색으로 전환한다. 반면, 507 단계에서 주기적인 검색에서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하고 임계 시간 안에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507 단계에서 주기적인 청취를 유지한다. 차후,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청취 중 상대 기기와의 해당 연결 프로세서를 수행할 것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의 동작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 중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고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유지하여, 향후 두 기기 간의 연결 프로세서를 대비한다. 반면,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중단하고 상기 주기적인 검색으로 전환한다.
도 8은 종래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과 본 발명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에 따른 전류 소모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기적인 검색은 검색과 슬립을 반복하고, 주기적인 청취는 청취와 슬립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의 존속 시간은 120ms이고, 청취의 존속 시간은 500ms이며, 상기 주기적인 검색과 주기적인 청취에 대한 각 슬립의 존속 시간은 동일하게 간주한다. 게다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배경 기술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청취와 검색의 전류 소모의 차이는 상기 청취과 검색에 각각 할당된 존속 시간의 차에 비례한다 설명하고 있다. 결국, 도 8을 참조하면, 동일한 시간(T) 동안 종래의 전류 소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는 주기적인 청취만을 유지하는데 반해, 본 발명은 적합한 발견 기기를 발견하기 전까지 상기 주기적인 청취보다 전류 소모가 적은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대 기기를 발견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중단하고 상기 주기적인 검색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대 기기를 최초로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는,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조자 ID(Manufacturer ID)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맥 주소(MAC address)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검색과 상기 주기적인 청취에 대한 각 슬립 구간의 존속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검색에 대한 검색 구간의 존속 시간을 상기 주기적인 청취에 대한 청취 구간의 존속 시간보다 작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기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11.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기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대 기기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1)는,
    주기적인 검색을 수행하고 적합한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하고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에게 발견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주기적인 청취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시작하고 임계시간 안에 상기 발견한 상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기적인 청취를 중단하고 상기 주기적인 검색으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 기기를 최초로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환가능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제조자 ID(Manufacturer ID)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맥 주소(MAC address)를 가지는 상대 기기를 발견하는 경우 상기 주기적인 검색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인 검색과 상기 주기적인 청취에 대한 각 슬립 구간의 존속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인 검색에 대한 검색 구간의 존속 시간을 상기 주기적인 청취에 대한 청취 구간의 존속 시간보다 작게 설정함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시스템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기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장치.
KR1020110133667A 2011-12-13 2011-12-13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89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67A KR101891145B1 (ko) 2011-12-13 2011-12-13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US13/691,098 US9380518B2 (en) 2011-12-13 2012-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system
EP12196782.2A EP2605552B1 (en) 2011-12-13 2012-12-12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system
CN201210539500.3A CN103228027B (zh) 2011-12-13 2012-12-13 用于管理无线系统中的装置发现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67A KR101891145B1 (ko) 2011-12-13 2011-12-13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905A true KR20130066905A (ko) 2013-06-21
KR101891145B1 KR101891145B1 (ko) 2018-08-24

Family

ID=4759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667A KR101891145B1 (ko) 2011-12-13 2011-12-13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0518B2 (ko)
EP (1) EP2605552B1 (ko)
KR (1) KR101891145B1 (ko)
CN (1) CN10322802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29A1 (ko) * 2014-02-07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7259A (ko) * 2014-07-11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0898B1 (en) * 2008-10-24 2013-10-29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for discovering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9001693B2 (en) * 2011-06-13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9197535B1 (en) 2011-12-21 2015-11-24 Marvell International Ltd. Simultaneous P2P and non-P2P communications
KR101976518B1 (ko) * 2012-10-22 2019-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p2p 연결이 가능한 단말 장치와 와이파이 p2p 연결 방법
CN103929720A (zh) * 2013-01-16 2014-07-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的方法、系统及信息发送端
CN105191451B (zh) 2013-02-12 2017-05-17 英特尔Ip公司 用于同步设备和相邻区域网络化(nan)配置的方法、无线通信站和系统
US9736766B2 (en) * 2013-02-21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finding instrument for wi-fi direct P2P (peer to peer)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9072033B2 (en) * 2013-03-08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device discovery
US9100942B2 (en) * 2013-03-14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WiFi Direct connection using machine-readable labels
EP2999139B1 (en) * 2013-05-16 2019-08-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219667B (zh) * 2013-05-31 2018-05-11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用于建立连接的方法及设备
US9282148B2 (en) 2013-06-06 2016-03-08 Dell Products L.P. Multi-user peer-to-peer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US9936372B2 (en) * 2013-07-03 2018-04-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18302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Group owner 중심 service discover 방법 및 장치
CN104519595B (zh) * 2013-09-29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无线连接方法及装置
CN103581828B (zh) * 2013-11-14 2017-02-0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查询附近移动终端的方法、服务器和系统
CN103813473B (zh) * 2014-01-17 2017-08-2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终端及系统
JP6294704B2 (ja) 2014-02-26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13426A (zh) * 2014-02-27 2014-05-21 长安大学 面向车载设备的Wi-Fi Direct周期性数据接收方法
JP6464573B2 (ja) * 2014-05-30 2019-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420407B2 (en) 2014-06-06 2016-08-16 Em Microelectronic Marin S.A.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via a bluetooth low energy advertise link
US10560362B2 (en) * 2014-11-25 2020-02-11 Fortinet, Inc. Application control
KR102208438B1 (ko) * 2014-11-2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657099B (zh) * 2015-01-15 2019-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投射方法、装置及系统
US10805781B2 (en) * 2015-03-05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devices
JP2017017473A (ja) * 2015-06-30 2017-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7014579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871968A (zh) * 2015-10-08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设备搜索的方法、装置及系统
US9974112B2 (en) * 2016-03-08 2018-05-15 Seiko Epson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320902B2 (en) * 2016-08-31 2019-06-11 Apple Inc. Detecting asymmetric awareness in peer-to-peer protocol
JP6819417B2 (ja) * 2017-03-31 2021-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AU2017429200B2 (en) * 2017-08-23 2021-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6984284B2 (ja) * 2017-09-29 2021-1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351417B (zh) * 2019-08-08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发现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CN116744276A (zh) * 2022-03-03 2023-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Fi P2P连接的方法、装置以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470B2 (ko) * 1989-12-18 1993-08-02 Eastman Kodak Co
JP2009302798A (ja) * 2008-06-12 2009-12-24 I-O Data Device Inc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方法および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289A (ja) 2004-12-27 2006-07-13 Nissan Motor Co Ltd 車載制御装置
US7616594B2 (en) 2005-04-22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8576846B2 (en)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US8411621B2 (en) 2005-10-27 2013-04-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non-sticky assign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015958B2 (ja) 2006-01-11 2012-09-0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アツーピア通信においてidを提供するビーコン信号の符号化
US8428079B1 (en) * 2008-09-24 2013-04-23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 wireless network in a peer-to-peer network
US20100128701A1 (en) 2008-11-24 2010-05-27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ssion for participation in peer-to-peer formation and discovery
US8233495B2 (en) * 2009-04-22 2012-07-31 Intel Corporation Discovery channel and discovery beacon for peer-to-peer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965283B2 (en) * 2009-08-10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direct link in a peer to peer wireless network
US8819219B2 (en) * 2009-12-23 2014-08-26 Apple Inc. Efficient service advertisement and discovery in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8335937B2 (en) * 2009-12-24 2012-12-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ability of power saving P2P devices
US9614641B2 (en) * 2010-05-12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coordination for peer-to-peer groups through distributed negotiation
US8717923B2 (en) * 2010-11-03 2014-05-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oft access point power reduction
US9264490B2 (en) * 2010-12-23 2016-02-16 Intel Corporation Providing regulatory information to a group owner for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JP5736987B2 (ja) * 2011-06-14 2015-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1867089B1 (ko) * 2011-09-14 2018-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레거시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p2p의 동시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470B2 (ko) * 1989-12-18 1993-08-02 Eastman Kodak Co
JP2009302798A (ja) * 2008-06-12 2009-12-24 I-O Data Device Inc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方法およびビーコン信号送信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29A1 (ko) * 2014-02-07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980122B2 (en) 2014-02-07 2018-05-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07259A (ko) * 2014-07-11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0518B2 (en) 2016-06-28
KR101891145B1 (ko) 2018-08-24
EP2605552A3 (en) 2014-06-18
EP2605552A2 (en) 2013-06-19
CN103228027B (zh) 2016-03-02
EP2605552B1 (en) 2017-03-29
CN103228027A (zh) 2013-07-31
US20130148545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145B1 (ko) 무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운용 방법 및 장치
JP6026668B2 (ja) マルチバンドサービスディスカバリ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020322B2 (ja) 節電しながらの無線デバイス間の同期
US922613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communication method
KR101735334B1 (ko) 와이파이 P2P 디바이스(Wi-Fi Peer to Peer Device)의 디스커버리(Discovery) 방법 및 장치
JP5121830B2 (ja) ポータブルメディアプレーヤ装置の無線サポート
US951651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101814810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와이파이 피투피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9173165B2 (en) Power sav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CA2656445C (en) Managing associations in ad hoc networks
EP2995128B1 (en) Delegating wifi network discovery and traffic monitoring
US9204470B2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1102629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JP2015180043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09418B1 (ko) 장치와 서비스의 발견 방법, 및 장치 미들웨어
US9894616B2 (en) Delegating WiFi network discovery and traffic monitoring
KR20130029236A (ko) 레거시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p2p의 동시 사용 방법
US2015033474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50073057A (ko)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091201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20155352A1 (en)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system
JP2012227561A (ja) 通信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120188A1 (zh) 一种自动切换通信方式的方法、终端及智能设备
KR101653656B1 (ko) 와이파이-블루투스 브릿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방법
KR101921142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