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142B1 -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142B1
KR101921142B1 KR1020180065108A KR20180065108A KR101921142B1 KR 101921142 B1 KR101921142 B1 KR 101921142B1 KR 1020180065108 A KR1020180065108 A KR 1020180065108A KR 20180065108 A KR20180065108 A KR 20180065108A KR 101921142 B1 KR101921142 B1 KR 10192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egacy
channel
listen
group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212A (ko
Inventor
정부섭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1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와 연결되는 동안에 와이파이 P2P 연결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고,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WI-FI NETWORK}
다양한 실시예들은 와이파이의 성능을 보장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거시 와이파이(legacy Wi-Fi)의 기능과 와이파이 P2P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와이파이(레거시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경우 AP(Access Point)를 통한 인터넷 연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와이파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 간에 직접 통신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장치들 간의 직접적인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와이파이 P2P(Wi-Fi P2P)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로 명명되는 기능이 제안되었다.
와이파이 연합(Wi-Fi Alliance)에 의해 제안된 와이파이 P2P기술은 기존의 와이파이(Wi-Fi)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면서도, AP없이도 와이파이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끼리 서로 직접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장치들간의 직접적인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기술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전송범위와 데이터 전송속도 측면에서 와이파이 P2P는 블루투스보다 유리한 장점이 보다 많기 때문에, 와이파이 P2P 기능은 블루투스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의 블루투스 규격인 블루투스4.0이 최대 100m까지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대 200m까지의 전송 범위와 최대 3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경우, Ad-hoc 모드라고 하는 직접 연결을 지원하는 방식이 존재하지만, Ad-hoc 모드는 보안의 취약성,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 및 전송 대역폭이 11 Mbps로 제한되는 등의 여러 단점으로 인해 실제로는 거의 쓰이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와이파이 P2P 기능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파이 기능, 즉 레거시 와이파이(legacy Wi-Fi) 기능과의 호환성을 염두에 두고 제안된 기술이기 때문에, 레거시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는 중에도 사용자는 와이파이 P2P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AP에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Legacy Wi-Fi Station mode)로 휴대단말기가 동작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일 공유 등을 목적으로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런데,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에서,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되면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일 때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경우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한편,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은 와이파이 P2P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후술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문제점의 발생 원인과 이를 해소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Wi-Fi P2P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P2P 장치가 레거시 와이파이를 사용중일 때(즉, Legacy Wi-Fi STA interface로 특정 AP와 연결되었을 때)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경우 사용중이었던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와 연결되는 동안에 와이파이 P2P 연결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고,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서치 상태(search state)를 수행하지 않고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리슨 상태(listen state)의 수행을 위한 제1 구간 및 슬립 모드를 위한 제2 구간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와 연결되는 동안에 와이파이 P2P 연결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서치 상태(search state)를 수행하지 않고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리슨 상태(listen state)의 수행을 위한 제1 구간 및 슬립 모드를 위한 제2 구간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레거시 와이파이의 기능을 사용하는 도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1차적인 효과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1차적인 효과에 의해, 레거시 와이파이의 기능을 사용하는 도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레거시 와이파이의 기능을 중지한 후에 와이파이 P2P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했던 사용성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2차적인 효과 또한 기대될 수 있다.
도 1은 와이파이 P2P 기능의 실행을 통해 P2P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대한 제1예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대한 제2예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
와이파이 P2P 기능은 와이파이 P2P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들(예를 들어, P2P 장치1 및 P2P 장치2)이 와이파이 P2P 그룹을 생성하여 제공된다.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를 사용중일 때 와이파이 P2P 기능이 활성화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살펴보기에 앞서, 와이파이 P2P 기능의 실행을 통해 P2P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P2P 그룹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Wi-Fi P2P 그룹의 생성(또는 형성)은 크게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및 그룹 생성의 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장치 탐색 과정은 Wi-Fi P2P(또는 Wi-Fi Direct)의 기능으로 Wi-Fi P2P 그룹을 생성하기 위하여 Wi-Fi P2P 장치들(예를 들어, P2P 장치 1 및 2)이 서로를 인식하여 연결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절차이다.
Wi-Fi Direct 기능(또는 Wi-Fi P2P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메뉴에 진입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장치 탐색 모드에 진입한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P2P 장치 1 또는 P2P 장치2)는 IEEE 802.11의 채널 스캔(Scan)과 리슨(Listen) 및 서치(Search)를 소정의 시간 주기별로 반복하여 주변의 Wi-Fi P2P 장치를 탐색한다.
Wi-Fi P2P 그룹의 생성 과정에서 수행되는 장치 탐색 절차의 기본적인 동작은 IEEE 802.11 MAC protocol의 Probe Request와 Probe Response의 메시지를 서로 교환하여 수행된다. Probe Request에는 P2P IE, WSC IE 및 Supp Reg IE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Probe Response에는 P2P IE, WSC IE , RSN IE 및 Supp Reg IE가 포함된다.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서비스 탐색은 전술한 탐색 과정과 후술될 그룹 생성 과정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탐색 과정은 와이파이 P2P 기능을 제공하는 각 P2P 장치가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지원 가능한 service protocol 및 service 등을 확인함으로써 각 P2P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P2P 장치1이 카메라이고 P2P 장치2가 프린터일 경우를 가정하여 예를 들면, P2P 장치1의 사용자가 사진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P2P 장치1은 P2P 장치2가 사진의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서비스 탐색을 통해 P2P 장치2의 사진 출력 기능의 가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Wi-Fi P2P 그룹의 생성을 통해 P2P장치1과 P2P장치2의 파일 공유가 요청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예로 들면, P2P 장치1이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 기반한 파일 공유(File Sharing) 방식을 쓰지만, P2P 장치2가 WS (Web Service)에 기반한 파일 공유 방식을 사용한다면 두 장치간의 파일 공유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탐색 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룹 생성
Wi-Fi P2P에서 Wi-Fi P2P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 P2P 장치들(예를 들어, P2P 장치1 및 P2P 장치2)은 Provision Discovery 를 수행하는데, 이 Provision Discovery는 Wi-Fi Direct(Wi-Fi P2P)의 스펙(Specification)에 정의된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이다.
Wi-Fi P2P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P2P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WSC (Wi-Fi Simple 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동작(예를 들어, WPS; Wi-Fi Protected Setup을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기존의 Wi-Fi 규격에서는 연결 장치의 WSC 지원이 선택사항(Optional)이었으나 Wi-Fi Direct에서는 필수적인(Mandatory) 속성이다.
WSC는 무선 연결을 보다 편리하게 위해 제공되는 기능으로서 버튼을 눌러야 하는 PBC(Push Button Configuration)방식과 핀(Pin)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핀 방식이 있는데, PBC 방식과 핀 방식 모두 120초안에 설정이 완료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PBC 방식을 예를 들면, 한쪽 장치에서 PBC 방식을 통해 무선 연결을 요청한 후에 120초 안에 상대 장치에서 WPS 버튼이 입력되어야 WSC Registration Protocol이 시작되게 되고, 연결에 필요한 SSID(Service set identify) 및 크리덴셜(credential, 암호학적 정보의 총합으로서 Authentication type, encryption type, network key, ssid 등의 정보를 포함)를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WSC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Wi-Fi Direct에서 새롭게 정의된 규격이 Provision Discovery 방식으로서, 소정의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P2P장치1)가 다른 Wi-Fi P2P 장치(예를 들어, P2P 장치2)를 탐색한 후에 종래의 WSC (PBC 방식 또는 PIN 방식)을 통해 연결이 시도될 때, 연결이 시도됨을 WSC Configuration Method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른 Wi-Fi P2P 장치의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이다.
WSC Configuration Method 메시지에는 PBC, PIN from Display 및 PIN from Keypad의 종류가 있으며, PBC는 다른 Wi-Fi P2P 장치의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 받고 from Display 및 PIN from Keypad는 다른 Wi-Fi P2P 장치에 핀 번호를 표시하거나 핀 번호를 입력받는 이벤트에 의해 다른 Wi-Fi P2P 장치의 사용자에게 Wi-Fi P2P 연결 시도를 알려줄 수 있다.
P2P 장치1 및 P2P장치2의 사용자가 Wi-Fi P2P 연결을 수용하여 Provision discovery가 완료되면, Wi-Fi P2P 장치들 사이에는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수행된다. Wi-Fi P2P 는 생성되는 Wi-Fi P2P 그룹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그룹 오너(Group Owner; GC)의 결정(또는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와이파이 P2P 기능의 사용을 위해서는 그룹 오너(Group Owner)를 담당할 와이파이 P2P 장치를 결정하는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은 GO Negotiation Request, GO Negotiation Response 및 GO Negotiation Confirm 프레임의 교환에 의해 수행되는데, GO Negotiation Request 및 GO Negotiation Response에는 P2P IE 정보 및 WSC IE 정보가 포함된다. P2P IE의 필드(Field)에는 P2P Capability, P2P Device Info, Group Owner Intent, Configuration Timeout, Listen Channel, Extended Listen Timing, Intended P2P Interface Address, Channel List 및 Operating Channel attributes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WSC-IE의 필드(Field)에는 DEVICE PASSWORD ID, MANUFACTURER, MODEL NAME, MODEL NUMBER, SERIAL NUMBER, DEVICE NAME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P2P장치 1 및 P2P장치2는 P2P IE에 포함된 인텐트 값(Group Owner Intent)을 비교하여 큰 인텐트 값을 가지는 장치가 GO(Group Onwer)로 결정되고 작은 인텐트 값을 가지는 장치는 GC(Group Client)로 결정된다. P2P장치 1 및 P2P장치2가 GO 및 GC로 각각 결정되면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완료되며, Group Owner로 설정된 장치는 WSC registrar 로써 동작하고 Group Client로 설정된 장치는 WSC Enrollee로 동작하여 서로 크리덴셜(Credential) 를 교환하는 Provisioning 이 완료되면 Wi-Fi P2P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그룹 설정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에서 P2P 그룹의 속성도 함께 결정되는데, P2P 그룹의 속성에는 임시 그룹(Temporary Group)과 지속 그룹(Persistent Groups)이 있다. 임시 그룹은 형성된 P2P 그룹을 한번만 사용할 경우에 해당하고, 지속 그룹은 형성된 P2P 그룹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 해당한다.
생성된 P2P 그룹이 지속 그룹으로 설정되면 해당 P2P그룹의 P2P장치들은 크리덴셜과 P2P 그룹에서의 각 P2P 장치들의 역할(Group Owner또는 Group Client)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P2P 그룹의 형성 요청시 Provision discovery, Group Owner Negotiation 및 provisioning 과 같은 과정을 생략하여 신속하게 P2P 그룹을 형성하여 연결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탐색에서 탐색된 장치가 이전에 고정 그룹으로 형성된 P2P 그룹에 속한 장치일 경우, P2P 그룹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예를 들어, Invitation request/response )의 교환을 통해 Group Owner에 해당하는 장치는 P2P 그룹을 생성하고 Group Client에 해당하는 장치는 저장하고 있던 크리덴셜(credential)을 이용하여 P2P 그룹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후, 그룹 형성 과정이 완료되면 Group Owner의 장치는 operating channel로 이동하여 Group Owner로써의 역할을 시작하고, Group Client의 장치는 Provisioning 을 통해 확인한 크리덴셜(credential)을 통해 Group Owner에 접속하여, 최종적으로 두 P2P 장치가 Wi-Fi P2P 그룹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와이파이 P2P 그룹의 생성과 관련하여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레거시 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는 도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경우에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는 도 1에서 설명한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대한 제1예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이에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통신에 설정된 채널들 중에서 채널 10(CH10)을 통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진행중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 상태에서 와이파이 P2P 기능의 실행이 요청되면 주변의 P2P 장치를 검색하는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와이파이 P2P의 스펙에서 장치 탐색 과정은 먼저 IEEE 802.11의 스펙에서 정의하는 채널 스캔 방법(IEEE 802.11 scan mode; IEEE 802.11의 채널 스캔 방법)을 이용하여 전 채널을 스캔하여 주변 P2P 장치를 검색한다.
IEEE 802.11의 채널 스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종래의 레거시 와이파이의 AP(legacy Wi-Fi AP)와 Wi-Fi P2P의 GO(Group Owner) 장치 및 아직 역할이 정해지지 않은 일반적인 P2P 장치(즉, GO 또는 GC 설정이 되지 않은 P2P장치) 모두가 발견될 수 있다.
IEEE 802.11의 채널 스캔 방법을 이용하였지만 연결을 요하는 P2P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서치(Search state)와 리슨(Listen state) 과정을 통해 주변 P2P 장치의 검색을 지속하는데, 서치 과정에서는 Probe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되고, 리슨 과정에서는 다른 P2P 장치로부터 수신된 Probe Request 메시지에 대한 Probe Response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치 및 리슨 과정에서, 해당 P2P 장치가 GO(그룹 오너)로 설정되지 않은 상태(즉, GO 권한이 없는 상태)일 경우에는 소셜 채널(Social Channel)이라 명명되는 채널 1(CH1), 채널 6(CH6) 및 채널11(CH11)만을 이용하여 수행되도록 와이파이 P2P 다이렉트의 스펙에 정의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된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수행되지 않아, 와이파이 P2P 그룹으로 연결될 P2P 장치들에 대한 GO 또는 GC가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P2P 장치는 소셜 채널만을 통해 서치 및 리슨 과정을 수행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채널 10을 이용하여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 중일 때 사용자로부터 와이파이 P2P 기능의 실행 요청을 받은 P2P 장치는 아직 GO로 동작할지 GC로 동작할지 설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채널 10번에서 소셜 채널(CH1, CH6 및 CH11)로 전환하여 서치 및 리슨 과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802.11의 채널 스캔 방법과 서치 및 리슨 과정을 통해서도 주변 P2P 장치의 탐색이 신속하게 완료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소셜 채널을 이용하는 장치 탐색 구간(Device Discovery 구간)이 많은 시간을 소요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다시 10번 채널로 전환하여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장치 탐색 구간 동안에는 레거시 와이파이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의 발생 원인이 된다.
한편,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 대한 제2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또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와이파이 P2P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진행되는 장치 탐색 과정(Discovery mode)중에는 리슨 모드(listen mode) 라는 것이 있다. 리슨 모드는 타 P2P 장치로부터의 와이파이 P2P 연결을 항상 대기하는 것으로, P2P 장치1이 무선 프린터이고 P2P 장치2가 카메라가 와이파이 P2P 기능을 통해 연결될 경우, P2P 장치1가 P2P 장치2로부터의 출력 요청에 항상 대기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기능이다.
리슨 모드는 주기적으로 리슨 과정(listen state)를 유지하여 동작하는데, 리슨 과정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에 할당된 채널 10(CH 10)과 다른 채널(도 3에는 CH6로 도시)을 통해 주기적으로 유지되면, 리슨 과정이 유지되는 구간에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행된다. 예를 들어, 채널 10을 이용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를 통해 스트리밍 영상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채널 6을 이용하여 리슨 과정이 반복적으로 유지될 경우, 리슨 과정이 유지되는 동안은 스트리밍 영상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Wi-Fi P2P 의 스펙은, 리슨 모드도 해당 P2P 장치가 GO로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GO의 권한이 없을 경우)에는 소셜 채널(CH1, CH6 및 CH 11)만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P2P 장치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리슨 모드를 계속 유지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기 별로 리슨 과정을 유지한다.
여기서 리슨 과정을 유지하는 구간을 길게 하면 다른 P2P 장치에 의해 탐색될 확률이 높아지지만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리슨 과정의 유지 구간의 설정은 적절한 최적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Wi-Fi P2P 규격에서 리슨 과정을 유지하는 구간은 대기(Sleep) 구간의 10% 정도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P2P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응되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401-S403 단계에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동작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의 사용이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P2P 장치는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으로 진입한다.
소정 P2P 장치의 사용자는 레거시 와이파이 기능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도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통해 다른 P2P 장치의 사용자와의 데이터 공유가 요청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P2P 기능의 사용 요청은 소정 P2P 장치의 사용자로부터의 메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요청된 것이거나, 다른 P2P 장치의 와이파이 P2P 연결 요청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동작중인 상태에서 와이파이 P2P 기능의 사용이 요청되면, P2P 장치는 와이파이 P2P의 P2P 그룹 생성과 관련된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 과정으로 진입한다. 장치 탐색 과정으로 진입된 P2P 장치는 IEEE 802.11의 채널 스캔을 수행하여 주변의 P2P 장치를 검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2P 장치는 Wi-Fi P2P 기능을 통해 P2P 그룹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랜의 기술 규격 IEEE 802.11 를 준수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Wi-Fi Direct의 인증을 위해서 802.11g 이상(예를 들어, 802.11g 또는 802.11n)이 규격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802.11g 이상(예를 들어, 802.11g 또는 802.11n)이 규격을 가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인증(Wi-Fi Direct Certified)을 받은P2P장치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S404-S405 단계에서, P2P 장치는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여 GO 권한을 획득하고, 획득된 GO 권한을 통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에서 이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listen) 과정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P2P(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스펙(spec)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Group Owner Negotiation 과정이 없이도 P2P 장치가 즉각 GO(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드를 정의하고 있는데, 이 모드를 Autonomous GO(Group Owner) mode라고 칭한다.
Autonomous GO mode는 소정의 P2P장치가 계속 Group Owner의 역할을 수행하여 AP(Access Point) 기능을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와 같이, P2P 장치가 스스로를 GO로 설정한 후에 다른 P2P 장치(즉, 생성된 P2P 그룹의 GC)의 연결을 대기하는 리슨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 P2P의 스펙에서는 GO 권한이 없을 경우에는 리슨(Listen) 과정이 소셜 채널(CH1, CH6 및 CH11)만을 통해 수행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2P 장치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에 와이파이 P2P의 사용이 요청되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에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 채널 상에서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enable)하여 GO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리슨 과정을 수행할 채널의 선택 권한을 획득한다. Autonomous GO mode의 활성화를 통해 GO 권한이 획득되면, P2P 장치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에서 사용중인 채널과 같은 채널을 통해 리슨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게 되면, Autonomous GO mode 구간 동안에는 리슨(listen state) 과정을 수행하면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게 되면, 외부 P2P 장치로부터의 Probe request메시지에 대한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응답하면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동작과 관련된 송수신 모두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Wi-Fi 규격이 경쟁 기반이기 때문으로, Autonomous GO mode와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같은 채널을 사용한다는 조건하에서는 함께 동작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동일한 채널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게 되면, Autonomous GO mode를 통한 리슨 과정이 수행되면서도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동작 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 또는 QoS 문제 등이 개선될 수 있다.
S406-S408 단계에서, P2P 장치는 와이파이 P2P 스펙에 정의된 소셜 채널(CH1, CH6 및 CH11)을 통해 서치 과정을 수행하고, 장치 탐색 과정이 종료될 때까지 리슨 과정과 서치 과정을 소정 구간동안 반복한 후에 장치 탐색 과정이 종료되면 Autonomous GO mode를 비활성화한다.
서치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와이파이 P2P의 규격에서 정한 장치 탐색(Device Discovery)의 규정대로 동작하여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P2P 장치는 소셜 채널(CH1, CH6 및 CH11)을 통해 서치 과정(search state)을 수행한다. 이 때 주기적인 서치 과정의 구간은 와이파이 P2P 규격에서 규정하는 100 ~300 ms의 시간 구간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여 S401-S408 단계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 채널 10(CH10)을 통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를 수행하던 P2P 장치는 와이파이 P2P 기능의 사용 요청에 따라 IEEE 802.11 스캔 방법을 이용하여 주변 P2P 장치를 탐색한다.
이후, 소정 시간동안은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를 유지하면서 레거시 와이파도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을 확인하고,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CH 10)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여, Autonomous GO mode 구간동안 리슨 과정(listen state)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utonomous GO mode가 활성화(Autonomous GO mode enable)되는 구간부터는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에 필요한 리슨 과정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후, P2P 장치는 장치 탐색 과정이 종료될 때까지, 소셜 채널(채널 1, 채널 6 및 채널 11)을 이용한 서치 과정과 채널 10을 이용한 Autonomous GO mode를 번갈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에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3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라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중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응되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601-S603 단계에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실행중일 때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P2P장치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사용중인 동일한 채널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여 리슨 모드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 사용 중 리슨 모드가 활성활 될 때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실시예이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Wi-Fi P2P 의 스펙은 리슨 모드도 해당 P2P 장치가 GO로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소셜 채널(CH1, CH6 및 CH 11)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리슨 모드가 사용할 채널이 다를 경우에는 레거시 와이파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를 사용중일 때 리슨 모드로 진입될 경우에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사용중인 동일한 채널에서 P2P 장치의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여 리슨모드로 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통해 P2P 장치는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데이터 송수신(TX 및 RX)를 계속 수행하면서, 다른 P2P 장치로부터의 와이파이 P2P 연결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 채널 10(CH10)을 통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리슨 모드 진입이 요청되면, P2P 장치는 동일한 채널 10을 통해 Autonomous Go mode를 활성화하여 리슨 모드로 진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utonomous Go mode가 활성화되면 그룹 오너(GO) 권한이 획득되기 때문에 해당 P2P 장치는 리슨 모드의 동작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P2P 장치는 채널 10 상에서 리슨 모드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Autonomous Go mode가 활성화된 상태(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동일한 채널에서 리슨 모드가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경쟁 기반인 Wi-Fi 규격으로 인해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리슨 모드가 함께 동작 가능하며, 이로 인해 리슨 모드 진입시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의 성능이 저하되는(연결이 끊기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Autonomous Go mode가 활성화되는 구간(즉, 레거시 와이파이 모드와 동일한 채널에서 리슨 모드가 진행되는 구간)이 아주 길거나 계속 지속된다면, 다른 P2P 장치와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리슨 모드는 소정의 슬립(Sleep) 구간을 가지면서 반복될 수 있는데, 슬립 구간은 와이파이 P2P 스펙에서 제안하는 Opportunistic Power Save (기회성 전원 절약)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Opportunistic Power Save는 와이파이 P2P 스펙에서 제안하는 전원 관리 메커니즘으로, 와이파이 P2P 기능에 의해 P2P 그룹이 생성되었을 경우, 생성된 P2P 그룹의 GO에 해당하는 P2P 장치가 GC와 사이의 데이터 트래픽이 없을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리슨 모드는 Opportunistic Power Save 기능을 통해 P2P 장치가 절전모드에 있더라도 다른 P2P 장치와의 연결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슬립 모드(또는 절전 모드)로 설정된 구간 중에서 CTWindow(Client Traffic Window)로 설정된 구간에는 절전 모드를 해제하여 다른 P2P 장치와의 연결을 보장한다. 여기서 CTWindow의 구간은 비컨(beacon)이 전송되는 간격인 TBTT (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보다는 작으면서 최소 10TU (약 10 ms) 이상이거나, TBTT 구간의 절반 정도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와 연결되는 동안에 와이파이 P2P 연결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고,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 Autonomous GO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탐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Autonomous GO 모드를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채널 스캔 과정을 수행하고,
    와이파이 P2P의 소셜 채널을 통해 서치 상태(search state)를 수행하고,
    상기 장치 탐색 과정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리슨 상태 및 상기 서치 상태를 반복하도록 설정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채널은, 1번 채널, 6번 채널 및 11번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뉴 선택 및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도록 설정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탐색 과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에 연결하도록 설정된 장치.
  8.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서치 상태(search state)를 수행하지 않고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은,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 Autonomous GO 모드가 활성화됨으로써 획득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상기 와이파이 P2P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및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P2P IE(information element),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IE 및 Supp Reg(supplemental registration) 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3. 전자 장치에서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리슨 상태(listen state)의 수행을 위한 제1 구간 및 슬립 모드를 위한 제2 구간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는 기회성 전원 절약(opportunistic power save)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는 상기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중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된 구간에서 CTWindow(client traffic window)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TBTT(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구간의 절반 정도 크기의 구간에 대응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8.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와 연결되는 동안에 와이파이 P2P 연결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장치 탐색 과정에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장치 탐색 과정에서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서치 상태(search state)를 수행하지 않고 리슨 상태(listen state)를 수행하는 방법.
  20. 전자 장치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의 실행 동안에 와이파이 P2P의 리슨 모드(listen mode)로의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파이 P2P의 그룹 오너(Group Owner) 권한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오너 권한의 획득한 후, 상기 레거시 와이파이 스테이션 모드가 사용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슨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리슨 모드에서는 리슨 상태(listen state)의 수행을 위한 제1 구간 및 슬립 모드를 위한 제2 구간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KR1020180065108A 2018-06-05 2018-06-05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108A KR101921142B1 (ko) 2018-06-05 2018-06-05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108A KR101921142B1 (ko) 2018-06-05 2018-06-05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509A Division KR101867089B1 (ko) 2011-09-14 2011-09-14 레거시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p2p의 동시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12A KR20180071212A (ko) 2018-06-27
KR101921142B1 true KR101921142B1 (ko) 2018-11-22

Family

ID=6278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108A KR101921142B1 (ko) 2018-06-05 2018-06-05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900A1 (ko) * 2021-10-07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채널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213A1 (en) 2009-06-23 2010-12-23 Huaiyu Liu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034127A1 (en) 2009-08-10 2011-02-10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direct link in a peer to peer wireless network
US20110082939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213A1 (en) 2009-06-23 2010-12-23 Huaiyu Liu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034127A1 (en) 2009-08-10 2011-02-10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direct link in a peer to peer wireless network
US20110082939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900A1 (ko) * 2021-10-07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채널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12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089B1 (ko) 레거시 와이파이와 와이파이 p2p의 동시 사용 방법
US10674341B2 (en) Communication device
US1167817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826327B1 (ko) 와이파이 피투피 그룹의 생성 방법
US93073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94838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408058B2 (en) Device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of Wi-Fi P2P device
KR101814810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와이파이 피투피 그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88917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126565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013214802A (ja) 通信装置
KR101921142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3119589A (ja) ユーザによって所有されるwlanデバイスのグループの無線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効率的なオンボーディ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