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141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141A
KR20130066141A KR1020110132849A KR20110132849A KR20130066141A KR 20130066141 A KR20130066141 A KR 20130066141A KR 1020110132849 A KR1020110132849 A KR 1020110132849A KR 20110132849 A KR20110132849 A KR 20110132849A KR 20130066141 A KR20130066141 A KR 2013006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inding member
present
coi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김종필
이정남
김돈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141A/ko
Publication of KR2013006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과 코일의 권선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강성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권선 부재; 상기 권선 부재가 실장되며, 상기 권선 부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권선 부재와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과 코일의 권선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서버(Server)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etwork Application)들은 일반적으로 18V ~ 75V의 낮은 입력을 가지는 DC/DC 전력공급장치가 요구된다. DC/DC 전력공급장치의 출력 전압은 대부분 12V 정도로, 전력 용량은 300W에서부터 3000W에 이르며, 고효율을 얻기 위하여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이하 PSFB 컨버터)가 주로 사용된다.
400V의 입력 전압을 가지는 일반적인 PSFB 컨버터의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은 권선수가 많고 전류가 작으므로, 일반적인 도선(예컨대, UEW(Polyurethane Enamelled Wire), USTC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PSFB 컨버터에서 입력 전압이 낮고 출력 전력이 높아지게 되면,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수는 적어지고, 동시에 높은 전류 용량이 요구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1차측 코일을 여러 가닥의 도선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 즉 코일 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도출되고 있다. 또한, 여러 가닥의 도선을 권선함에 따라 코일이 균일하게 권선되지 않아 코일 부품의 특성이 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의 권선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강성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권선 부재; 상기 권선 부재가 실장되며, 상기 권선 부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권선 부재와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는, 내측 권선 부재; 및 상기 내측 권선 부재를 둘러 싸며 상기 내측 권선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측 권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내측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내측 기판; 및 상기 외측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외측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판 및 상기 외측 기판은, 각각 상기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다수의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실장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외측 기판이 상기 내측 기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판은, 상기 외측 권선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내측 기판과 상기 외측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내측기판 또는 상기 외측 기판에 형성된 상기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상기 내측 권선 부재 또는 상기 외측 권선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기판은, 상기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강성을 갖는 권선 부재들을 기판의 실장부에 실장(또는 접합)하는 과정만으로 코일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강성을 갖는 권선 부재들을 기판 상에 나란하게 배치하여 코일을 형성하므로, 코일의 권선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에 구비되는 대용량 트랜스포머(100)로, 코일부(50), 기판부(2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50)는 'ㄷ' 형상의 도전성 권선 부재(51)와 기판부(20)의 회로 패턴(24, 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50)는 다수 개의 권선 부재(51)가 회로 패턴(24, 28)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코일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권선 부재(51)는 전류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는 도전성이 높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권선 부재(51)는 스스로 'ㄷ'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하며, 기판부(20)에 형성된 실장부(22, 26)에 실장되어 기판부(20)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권선 부재(51)는 내측 권선 부재(52)과 외측 권선 부재(53)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권선 부재(52)와, 외측 권선 부재(53)는 형상이 모두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50)는 내측 권선 부재(52)가 외측 권선 부재(53)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기판부(20)에 실장된다. 따라서, 외측 권선 부재(53)는 내측 권선 부재(5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권선 부재(53)의 내부 공간은 내측 권선 부재(52)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외측 권선 부재(53)는 두께나 폭에 있어서도 내측 권선 부재(52)보다 두껍고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권선 부재(52)와 외측 권선 부재(53)는 어느 하나가 1차측 코일이고 다른 하나가 2차측 코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권선 부재(52)는 1차측 코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측 권선 부재(53)는 2차측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측 권선 부재(52)는 내측 기판(21)에 실장되고, 외측 권선 부재(53)는 외측 기판(25)에 실장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기판부(20)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부(20)는 내측 권선 부재(52)가 실장되는 내측 기판(21)과, 외측 권선 부재(53)가 실장되는 외측 기판(25), 그리고 내측 기판(21)과 외측 기판(25)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기판(21)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유연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기판(21)은 절연층과 배선층이 복수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기판(21)의 내부에는 다양한 배선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층간의 배선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기판(21)의 내부에는 내측 권선 부재(52)가 삽입되며 실장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장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권선 부재(52)는 솔더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실장부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장부(22)가 내측 기판(21)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장부(22)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권선 부재(52)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장부(22)가 편평한 면 즉, 전극 패드의 형태로 형성하여 도전성 접착제의 접착력만을 통해 내측 권선 부재(52)와 접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 기판(21)의 일면에는 내측 권선 부재들(5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 패턴(24)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권선 부재들(52)은 내측 기판(21)에 형성된 회로 패턴(24)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연속적인 하나의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패턴(24)은 서로 다른 내측 권선 부재들(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패턴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패턴(24)이 내측 기판(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기판(21)의 하면을 통해 형성되거나, 양면을 모두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측 기판(21)의 상면에 실장용 전극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들을 내측 기판(21) 상에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기판(21)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3)이 내부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23)은 외측 권선 부재(53)가 내측 기판(21)을 관통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관통 구멍(23)은 외측 권선 부재(53)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권선 부재(53)의 개수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권선 부재(53)가 내측 권선 부재(52)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관통 구멍(23)은 실장부(2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기판(21)은 일측에 단자 삽입 구멍(23a)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삽입 구멍(23a)은 후술되는 절연 기판(30)에 체결되어 있는 외부 접속 단자(32)가 삽입된다. 단자 삽입 구멍(23a)은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회로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32)가 단자 삽입 구멍(23a)에 삽입되는 경우, 회로 패턴(24)은 외부 접속 단자(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회로 패턴(24)과 외부 접속 단자(32)는 솔더 등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외측 기판(25)은 내측 기판(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 기판(21)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측 기판(25)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유연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외측 권선 부재(53)가 삽입되며 실장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장부(26)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기판(25)은 실장부(26)가 외측 기판(25)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외측 권선 부재(53)의 일부를 외부 접속 단자로 이용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권선 부재(53)는 외측 기판(25)의 실장부(26)를 관통하는 형태로 외측 기판(25)에 실장되고, 외측 권선 부재(53)의 일부가 외측 기판(25)을 관통하여 외측 기판(25)의 하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부분은 외부, 즉 메인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예컨대 2차측 외부 접속 단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외측 기판(25)은 내측 기판(2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기판(30)에 체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들(32)은 외측 기판(25)과 간섭 없이 용이하게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기판(25)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측 기판(25)과 외부 접속 단자(32)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외부 접속 단자(32)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외측 기판(25)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홈을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측 기판(25)의 일면에는 외측 권선 부재들(53)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 패턴(28)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 패턴(28)은 내측 기판(21)의 상면뿐만 아니라 내측 기판(21)의 하면을 통해 형성되거나, 양면을 모두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기판(21)에 내측 권선 부재(52)가 실장되고, 외측 기판(25)에 외측 권선 부재(53)가 실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내측 기판(21)에 외측 권선 부재(53)가 실장되고, 외측 기판(25)에 내측 권선 부재(52)가 실장되도록 구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권선 부재(53)가 외측 기판(25)을 관통하여 메인 기판(70)에 실장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내측 권선 부재(52)가 외측 기판(25)을 관통하여 메인 기판(70)에 실장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절연 기판(30)은 내측 기판(21)과 외측 기판(25)의 사이에 개재된다. 절연 기판(30)은 내측 기판(21)과 외측 기판(25)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기판(21)과 외측 기판(25) 사이에 절연이 확보되는 경우, 절연 기판(30)은 생략될 수 있다.
절연 기판(30)은 내측 기판(21)과 외측 기판(25)의 실장부(22, 26)와 관통 구멍(23)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수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권선 부재(52)나 외측 권선 부재(53)가 절연 부재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 경우, 수용부(34)는 생략될 수 있다.
수용부(34)는 내측 권선 부재(52) 또는 외측 권선 부재(53)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며 절연 기판(30)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34)가 각각의 권선 부재(51)들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구멍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구멍에 하나가 아닌 다수의 권선 부재(51)들이 수용되도록 형성하거나, 구멍을 다수개가 아닌 하나의 큰 구멍으로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 기판(30)의 일측에는 외부 접속 단자(32)가 체결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기판(21)의 회로 패턴(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1차측 코일을 외부 즉, 메인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기판(30)에 1차측 코일을 위한 외부 접속 단자(32)만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2차측 코일을 위한 외부 접속 단자(32)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외부 접속 단자(32)가 절연 기판(30)에 형성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부(50)와 외부 접속 단자(32)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내측 권선 부재(5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코일부(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권선 부재(52)의 내부 공간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권선 부재(52)와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부재는 코일부(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절연 부재는 내측 권선 부재(52)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막대나 '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을 위해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 부재로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권선 부재(51)를 기판의 실장부(22, 26)에 실장(또는 접합)하는 과정만으로 코일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강성을 갖는 권선 부재(51)들을 기판 상에 나란하게 배치하여 코일을 형성하므로, 코일의 권선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기판부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기판부의 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1의 B-B'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기판부(20)는 내측 기판(21)과 절연 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외측 기판(도 3의 25)은 메인 기판(70)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20)의 내측 기판(21)과 절연 기판(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 기판(70)은 트랜스포머(200)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닌, 트랜스포머(200)가 실장되는 장치(예컨대 컨버터, 전원공급장치 등)에 구비되어 트랜스포머(200)를 포함하여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별도의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이러한 메인 기판(70)을 외측 기판(25)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기판(70)은 전술한 실시예의 외측 기판(25)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기판(70)은 외측 권선 부재(53)가 실장되는 실장부(도 3의 26)와, 실장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도 3의 2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권선 부재(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2)는 메인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메인 기판에 외측 권선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와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장부와 회로 패턴은 메인 기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른 배선 패턴들과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제조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별도의 외측 기판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권선 부재가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U' 형상이나 'V' 형상 등 기판의 회로 패턴과 연결되어 연속적인 코일을 형성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기판부가 외측 기판, 내측 기판, 및절연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단일 기판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일 기판에 내측 권선 부재와 외측 권선 부재가 모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1차측와 2차측 간의 절연을 위해, 단일 기판의 일면에 내측 권선 부재들을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타면에 외측 권선 부재들을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 기판을 대신하여 단일 기판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절연 기판에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기판 또는 외측 기판에 외부 접속 단자를 체결하여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내측 기판과 절연 기판에 외측 권선 부재를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내측 기판의 실장부 외측을 제거하여 내측 기판의 폭을 좁게 형성하고, 내측 기판의 내부가 아닌 내측 기판의 외부로 외측 권선 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는 절연 기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권선 부재와 외측 권선 부재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내측 권선 부재와 외측 권선 부재 사이에 절연 부재를 개재할 수 있다.
절연 부재는 외측 권선 부재와 내측 권선 부재 사이의 공간 형상에 대응하여 'ㄷ'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 부재로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부품이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트랜스포머
20.....기판부
21.....내측 기판
22, 26.....실장부 23.....관통 구멍
24, 28.....회로 패턴
25.....외측 기판
30.....절연 기판 32.....외부 접속 단자
34....수용부
40.....코어
50.....코일부
51.....권선 부재
53.....외측 권선 부재 52.....내측 권선 부재

Claims (12)

  1. 강성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 권선 부재;
    상기 권선 부재가 실장되며, 상기 권선 부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부; 및
    상기 권선 부재와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는,
    내측 권선 부재; 및
    상기 내측 권선 부재를 둘러 싸며 상기 내측 권선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측 권선 부재;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내측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내측 기판; 및
    상기 외측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외측 기판;
    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판 및 상기 외측 기판은,
    각각 상기 권선 부재가 실장되는 다수의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상기 실장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코일 부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외측 기판이 상기 내측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판은,
    상기 외측 권선 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코일 부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내측 기판과 상기 외측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기판을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내측기판 또는 상기 외측 기판에 형성된 상기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상기 내측 권선 부재 또는 상기 외측 권선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코일 부품.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기판은,
    상기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인 코일 부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KR1020110132849A 2011-12-12 2011-12-12 코일 부품 KR2013006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49A KR20130066141A (ko) 2011-12-12 2011-12-12 코일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49A KR20130066141A (ko) 2011-12-12 2011-12-12 코일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141A true KR20130066141A (ko) 2013-06-20

Family

ID=4886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49A KR20130066141A (ko) 2011-12-12 2011-12-12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1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7412B (zh) 變壓器
US8502633B2 (en) Planar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65390B2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5050459A (ja) コイル部品及びこれを用いる電子モジュール
US10790080B2 (en) Embedded magnetic component transformer device
JP2004503078A (ja) 多層多機能印刷回路板
US20150364245A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JP2008021788A (ja) 積層インダクタ
US20150279547A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48350B2 (en) Coil component
CN109285660A (zh) 变压器及包括该变压器的电力供应设备
WO2015083525A1 (ja) インダクタ素子及び電子機器
KR10220474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0339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44261A (ko) 코일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2010003954A (ja)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20160042560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6013B1 (ko) 코일 부품
KR20130066141A (ko) 코일 부품
KR102352174B1 (ko) 코일 부품
JP5544180B2 (ja) トランスモジュール及び電子装置
FI113810B (fi) Menetelmä magneettisen tehokomponentin valmistamiseksi ja magneettinen tehokomponentti
JP5255592B2 (ja) 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