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594A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594A
KR20130065594A KR1020120138926A KR20120138926A KR20130065594A KR 20130065594 A KR20130065594 A KR 20130065594A KR 1020120138926 A KR1020120138926 A KR 1020120138926A KR 20120138926 A KR20120138926 A KR 20120138926A KR 20130065594 A KR20130065594 A KR 20130065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lunger
solenoid valve
spr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333B1 (ko
Inventor
토모유키 우에노
류스케 스즈키
켄 사토
아키오 마루야마
다이사쿠 이나무라
히로토 요시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6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58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1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with additional mechanism between armature an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좌굴이 생기기 어렵고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의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해, 확실하게 작동 가능한 전자 밸브를 제공한다. 전자 코일(18)의 통전에 의해 이동해, 밸브체(12)를 작동시키는 플런저(44)와, 플런저(44)와 대치해 배치되는 흡인자(32)와, 플런저(44)의 흡인자(32)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50)과 흡인자(32) 사이에 개재되어, 플런저(44)를 밸브 시트(60)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48)을 구비한 전자 밸브(10)로서,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감긴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하였다.

Description

전자 밸브{Magnetic Valve}
본 발명은 전자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런저의 흡인자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과 흡인자 사이에 개재되어, 플런저를 밸브 시트(valve seat)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파일럿 밸브를 구비한 파일럿식의 전자 밸브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밸브(100)는 메인 밸브로서 피스톤(102)을 구비한 제어부(104)를 갖는다. 또한, 전자 밸브(100)의 제어부(104)는 구동부(106)가 삽입된 전자 코일(108)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자 코일(108)은 권선이 감긴 보빈(110)과, 보빈(11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몰드 수지(112)로 몰딩되어 있다. 또한, 전자 코일(108)은 자기 프레임(114)의 내부에 장착되고, 자기 프레임(114)을 개재하여 구동부(106)에 고정된다.
즉, 자기 프레임(114) 저판부(116)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동부 삽입공(118), 보빈(110)의 구동부 삽입공(120)에 구동부(106)가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부(106)의 흡인자(122)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124)에, 자기 프레임(114) 상판부(126)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128)을 통해 체결 볼트(13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자 코일(108)이 구동부(106)에 삽입 고정되어 전자 밸브(100)의 제어부(104)가 구성된다.
또한, 구동부(106)는 플런저 케이스(132)를 구비하고, 플런저 케이스(132)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134)를 갖는다. 그리고, 플런저(134)를 하방으로, 즉 밸브 시트(150)의 방향으로 피스톤(102)을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138)이 흡인자(122)와 플런저(13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즉, 도 10의 (a)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8)은 플런저(134)의 흡인자(122)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140)과 흡인자(122)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도 10은 코일 스프링(138)과 스프링 장착공(140)의 간격을 넓게 나타내 후술하는 좌굴(buckling) 상태를 과장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자 밸브(100)는 밸브 본체(142)를 구비하고, 상측 밸브 본체(144)에 형성된 밸브실(146) 내에 피스톤(102)이 수용되어, 하측 밸브 본체(148)에 형성된 밸브 시트(150)에 피스톤(102)이 접촉·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102)에는 그 중앙 부분에 상하로 관통하는 파일럿 통로(152)가 형성되고, 파일럿 통로(152)의 상부에 파일럿 밸브 시트로서의 니들 밸브 시트(154)가 마련된다. 그리고, 플런저(134)의 하단에는, 니들 밸브 시트(154)에 접촉·이격되는 파일럿 밸브체로서의 니들 밸브체(156)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하측 밸브 본체(148)에는, 예를 들면, 냉매 등의 유체를 유입시키는 1차측 유로(158)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2차측 유로(160)가 형성된다.
한편, 하측 밸브 본체(14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150)에 밸브 포트(162)가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102)의 외주에는 슬릿(164)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164)과, 피스톤(102)과 상측 밸브 본체(144)의 밸브실(146) 내벽 사이의 간격(clearance)에 의해 환상의 서브 유로(166)가 형성되어, 상측 밸브 본체(144)의 밸브실(146)과 1차측 유로(158)측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 밸브(100)는, 전자 코일(108)에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플런저(134)가 코일 스프링(13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흡인자(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134)의 하단에 형성된 니들 밸브체(156)가 피스톤(102)의 파일럿 통로(152)의 상부에 형성된 니들 밸브 시트(154)에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해, 파일럿 통로(152)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플런저(134)가 흡인자(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측 밸브 본체(148)에 형성된 밸브 시트(150)에 피스톤(102)이 맞닿아 밸브 시트(150)에 형성된 밸브 포트(16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고압측인 1차측 유로(158)의 유체가 피스톤(102)의 외주에 형성된 서브 유로(166)를 통해 상측 밸브 본체(144)의 밸브실(146)로 유입되어, 밸브실(146)이 고압이 되고, 피스톤(102)이 밸브 시트(150)에 맞닿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 밸브(100)의 전자 코일(108)에 통전함으로써, 플런저(134)가 코일 스프링(138)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흡인자(12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134) 하단에 형성된 니들 밸브체(156)가 피스톤(102)의 파일럿 통로(152) 상부에 형성된 니들 밸브 시트(15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 파일럿 통로(152)가 열리게 된다.
그 결과, 상측 밸브 본체(144)의 밸브실(146) 내의 고압의 유체가 파일럿 통로(152)를 통해 저압측인 2차측 유로(160)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밸브실(146) 내의 압력이 저하되고, 고압측인 1차측 유로(158)의 유체와의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102)이 밸브 시트(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 밸브 포트(162)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자 밸브(100)에 있어서, 밸브 포트(162)로부터 흐르는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밸브 시트(150)로부터 피스톤(102)의 이동 거리(리프트)를 밸브 포트(162)의 구경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길게 할 필요가 있어, 구경이 큰 전자 밸브일수록 피스톤(102)의 이동 거리가 길어진다. 또한, 피스톤(102)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플런저(134)의 이동 거리도 마찬가지로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134)의 이동 거리가 긴 전자 밸브의 경우, 세로로 긴 코일 스프링(138)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138)을 압축한 상태에서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8)이 좌굴 상태가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전자 밸브(100)의 전자 코일(108)에 통전함으로써 플런저(134)가 코일 스프링(138)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흡인자(122) 방향으로 이동해, 플런저(134)가 코일 스프링(138)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흡인자(122)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8)의 좌굴 부분(138a)이 플런저(134)와 흡인자(122)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플런저(134)가 흡인자(122)에 밀착(흡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피스톤(102)이 밸브 시트(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밸브 포트(162)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굴이 생기면 좌굴 개시점(a)으로부터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linear) 관계)가 아니게 되어, 예를 들어 하중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통전을 정지했다고 해도 플런저(134)가 흡인자(122)로부터 멀어지지 않아 피스톤(102)이 밸브 포트(162)를 폐쇄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전자 코일(108)의 통전에 의한, 이른바 자기음(magnetic sound)이 발생해 노이즈(소음)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의 이동 부분, 즉, 코일 스프링의 흡인자측 코일 스프링 부분을 모두 자리 감김(밀착 감김; end turn)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자리 감김이 한쪽에만 있는 경우, 조립시 코일 스프링을 플런저의 스프링 장착공에 장착할 때 코일 스프링을 반대 방향으로 조립해 버릴 가능성도 있어, 그런 경우에는 좌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일본 실용공개 소59-105664호 공보)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00)에서 중앙 부분(202)의 양단측에 밀착 감김 부분(204)을 형성하고, 이들 밀착 감김 부분(204)에 의해 좌굴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통전시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코일 스프링(200)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일본 실용공개 평04-093577호 공보)에서는, 도 12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00)을 2개의 상방 스프링(302)과 하방 스프링(304)으로 구성하고, 이들 2개의 상방 스프링(302)과 하방 스프링(304) 사이에 스프링 삽입부(306)를 장착하였다.
이에 따라, 2개의 상방 스프링(302)과 하방 스프링(304)을 사용하고 그 사이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스프링 삽입부(306)를 마련함으로써, 도 12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공개 소59-10566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공개 평04-09357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401637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코일 스프링(200)에서는, 코일 스프링(200)에서 중앙 부분(202)의 양단측에 마련한 밀착 감김 부분(204)에 의해 좌굴, 끼임을 방지할 수 있지만,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중앙 부분(202)으로 한정되므로, 스프링으로서의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소정의 스프링 기능을 다하려고 하면 코일 스프링(200)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해야만 하고, 코일 스프링(200)을 삽입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공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가공에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플런저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전자 밸브 자체가 대형화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코일 스프링(300)에서는, 2개의 상방 스프링(302)과 하방 스프링(304), 스프링 삽입부(306)가 필요해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감긴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스프링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의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제4016370호 공보)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측을 성기게 감은 양단측 코일부(402, 404)와, 중앙부를 치밀하게 감은 중앙 코일부(406)로 구성한 부등(不等) 피치의 코일 스프링(400)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등 피치의 코일 스프링(400)에서는, 양단측 코일부(402, 404)와 중앙 코일부(406)의 스프링 상수가 변화해, 본 발명의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아니게 되어, 제어가 힘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좌굴이 생기기 어렵고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의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여, 확실하게 작동 가능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가 줄어 조립 작업이 쉽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밸브 자체도 대형화하지 않아 콤팩트한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전자 코일의 통전에 의해 이동해,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와 대치해 배치되는 흡인자와,
상기 플런저의 흡인자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과 흡인자 사이에 개재되어, 플런저를 밸브 시트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전자 밸브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감긴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하게 되어, 그 양측에 2개의 스프링을 상하 직렬로 배치한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짧은 스프링을 이어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의 흡인자와 플런저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한 작동이 가능한 전자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도 적어져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밸브 자체도 대형화하지 않아 콤팩트한 전자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종횡비 L/D가 소정의 값을 넘으면 좌굴에 의한 변형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하면 종횡비가 L/2D가 되어, 좌굴을 일으키는 값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의 밀착 감김 부분을 두껍게 하지 않아도 좌굴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스프링 장착공의 내주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안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직경이 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스프링 장착공의 내주면에서 안내되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흡인자가 플런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흡인자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인자의 결합 돌출부가 코일 스프링의 흡인자측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노출되는 코일 스프링 부분이 고정되게 되어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흡인자가 플런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안내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상기 흡인자의 돌출 안내 축부재의 외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은 직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흡인자의 돌출 안내 축부재의 외주로 안내되므로, 코일 스프링에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면,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서 흡인자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서 흡인자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서 플런저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서 플런저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을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짧은 스프링을 복수 개 이어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종횡비 L/D가 0.8 내지 4.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밀착 감김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횡비 L/D를 좌굴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좌굴을 일으키는 값 이하로 할 수 있어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하게 되어, 그 양측에 2개의 스프링을 상하 직렬로 배치한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짧은 스프링을 이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으로부터 코일 스프링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전시의 흡인자와 플런저의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어, 확실하게 작동 가능한 전자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도 줄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밸브 자체도 대형화하지 않아 콤팩트한 전자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밸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전자 밸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자 밸브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전자 밸브의 코일 스프링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전자 밸브의 코일 스프링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밸브의 개략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로, 플런저가 흡인자로부터 이격되어 좌굴이 생기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개시한 상태로, 좌굴이 생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c)는 전자 코일에 통전하여 플런저가 흡인자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10은 본 발명의 전자 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자 밸브(10)는 파일럿 밸브를 구비한 파일럿식 전자 밸브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밸브(10)는 메인 밸브로서 피스톤(12)을 갖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 밸브(10)의 제어부(14)는 구동부(16)가 삽입된 전자 코일(18)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자 코일(18)은 권선이 감긴 보빈(20)을 갖고, 보빈(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몰드 수지(22)로 몰딩되어 있다. 또한, 전자 코일(18)은 자기 프레임(24)의 내부에 장착되고, 자기 프레임(24)을 개재하여 구동부(16)에 고정된다.
즉, 자기 프레임(24) 저판부(26)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동부 삽입공(28), 보빈(20)의 구동부 삽입공(30)에 구동부(16)가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부(16)의 흡인자(32)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34)에, 자기 프레임(24) 상판부(36)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38)을 통해 체결 볼트(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전자 코일(18)이 구동부(16)에 삽입 고정되어 전자 밸브(10)의 제어부(14)가 구성된다.
또한, 구동부(16)는 플런저 케이스(42)를 갖고, 플런저 케이스(42)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44)를 구비한다. 그리고, 흡인자(32)와 플런저(44) 사이에, 플런저(44)를 하방으로, 즉 밸브 시트(60) 방향으로 피스톤(12)을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48)이 개재되어 있다.
즉, 도 2의 (a)에 나타낸 확대도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은 플런저(44)의 흡인자(32)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50)과 흡인자(3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코일 스프링(48)과 스프링 장착공(50)의 간격을 넓게 나타내, 후술하는 좌굴 상태를 과장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자 밸브(10)는 밸브 본체(52)를 갖고, 상측 밸브 본체(54)에 형성된 밸브실(56) 내에 피스톤(12)이 수용됨과 동시에, 하측 밸브 본체(58)에 형성된 밸브 시트(60)에 피스톤(12)이 접촉·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12)에는, 그 중앙 부분에 상하로 관통하는 파일럿 통로(62)가 형성되고, 파일럿 통로(62)의 상부에 파일럿 밸브 시트로서의 니들 밸브 시트(64)가 마련된다. 그리고, 플런저(44)의 하단에는, 니들 밸브 시트(64)에 접촉·이격되는 파일럿 밸브체로서의 니들 밸브체(66)가 돌출된다.
한편, 하측 밸브 본체(58)에는, 예를 들면, 냉매 등의 유체를 유입시키는 1차측 유로(68)와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2차측 유로(70)가 형성된다.
한편, 하측 밸브 본체(5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60)에 밸브 포트(72)가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12)의 외주에는 슬릿(74)이 형성되고, 슬릿(74)과, 피스톤(12)과 상측 밸브 본체(54)의 밸브실(56) 내벽 사이의 간격(clearance)에 의해, 환상의 서브 유로(76)가 형성되어, 상측 밸브 본체(54)의 밸브실(56)과 1차측 유로(68)측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 밸브(10)는, 전자 코일(18)에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플런저(44)가 코일 스프링(4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흡인자(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44)의 하단에 형성된 니들 밸브체(66)가 피스톤(12)의 파일럿 통로(62)의 상부에 형성된 니들 밸브 시트(64)에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해 파일럿 통로(62)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플런저(44)가 흡인자(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측 밸브 본체(58)에 형성된 밸브 시트(60)에 피스톤(12)이 맞닿아 밸브 시트(60)에 형성된 밸브 포트(7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고압측인 1차측 유로(68)의 유체가 피스톤(12)의 외주에 형성된 서브 유로(76)를 통해 상측 밸브 본체(54)의 밸브실(56)로 유입되고, 밸브실(56)이 고압이 되어, 피스톤(12)이 밸브 시트(60)에 맞닿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 밸브(10)의 전자 코일(18)에 통전함으로써, 플런저(44)가 코일 스프링(48)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해 흡인자(3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44)의 하단에 형성된 니들 밸브체(66)가 피스톤(12)의 파일럿 통로(62)의 상부에 형성된 니들 밸브 시트(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 파일럿 통로(62)가 열리게 된다.
그 결과, 상측 밸브 본체(54)의 밸브실(56) 내의 고압의 유체가 파일럿 통로(62)를 통해 저압측인 2차측 유로(70)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밸브실(56) 내의 압력이 저하되고, 고압측인 1차측 유로(68)의 유체와의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12)이 밸브 시트(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 밸브 포트(72)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포트(72)로부터 흐르는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플런저(44)의 이동 거리를 크게 해야만 하여 세로로 긴 코일 스프링(48)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48)을 압축한 상태에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이 좌굴 상태가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감긴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밀착 감김 부분'이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감긴 상태로서, 코일 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하고, 완전하게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약간의 간격을 갖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런데, JIS B 2704-1에 의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48)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에, 종횡비 L/D는 좌굴을 고려하면 4.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48)의 직경 D=φ3㎜, 코일 스프링(48)의 전체 길이 L=18㎜로 한 경우에 다음과 같이 된다.
(1)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8)의 중간 부분에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하지 않는 종래의 전자 밸브(100)와 같은 경우에는, 종횡비 L/D=18/3=6.0이 된다.
(2)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10)와 같은 경우에는, 종횡비 L/D=(L/2)/D=9/3=3.0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 밸브(100)와 같이, 코일 스프링(138)의 중간 부분에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횡비 L/D=6.0이 되어, 적정 범위의 상한인 4.0을 넘는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전자 밸브(10)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한 경우에는 종횡비 L/D=3.0이 되어, 적정 범위 내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종횡비 L/D가 큰 코일 스프링이라도 중간 부분에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좌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48)에서, 코일 스프링(48)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48)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종횡비 L/D가 소정의 값을 넘으면, 좌굴에 의한 변형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하면, 종횡비가 L/2D가 되어 좌굴을 일으키는 값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코일 스프링(48) 중간 부분의 밀착 감김 부분(48a)을, 후술하는 실시예 2와 같이 두껍게 하지 않아도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48a)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양측에 2개의 스프링 부분(48b, 48c)을 상하 직렬로 배치한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짧은 스프링을 이어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분(48b, 48c)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이 생기기 힘들다(도 2의 (b) 참조). 이에 따라, 좌굴에 의한 편차량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스프링 장착공(50)으로부터 코일 스프링(48)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전시의 흡인자(32)와 플런저(44) 사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어(도 2의 (c) 참조), 확실하게 작동 가능한 전자 밸브(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도 줄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밸브 자체도 대형화하지 않아 콤팩트한 전자 밸브(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굴이 생기지 않고,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종래의 좌굴을 일으키는 경우(도 3의 점선)와 비교해 작동 불량이 될 우려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코일 스프링(48)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코일 스프링(48)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코일 스프링(48)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흡인자(32)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44)측 스프링 부분(48c)의 코일 권회 방법을 흡인자(32)측 스프링 부분(48b)의 코일 권회 방법과 비교해, 권회수를 많게 하거나 조밀하게 감는 방법으로 하면 된다.
또한, 반대로 도 4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코일 스프링(48)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플런저(44)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자(32)측 스프링 부분(48b)의 코일 권회 방법을 플런저(44)측 스프링 부분(48c)의 코일 권회 방법과 비교해, 권회수를 많게 하거나 조밀하게 감는 방법으로 하면 된다.
도 2, 도 4의 어떤 경우에서도, 좌굴을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 스프링(48)에서 코일 스프링(48)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48)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종횡비 L/D가 0.8 내지 4.0의 범위가 되도록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형성되면 된다(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로, 플런저가 흡인자로부터 이격되어 좌굴이 생기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개시한 상태로, 좌굴이 생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c)는 전자 코일에 통전하여 플런저가 흡인자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전자 밸브(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의 직경 D1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스프링 부분(48b, 48c)의 직경 D2보다 크다.
이에 따라, 스프링 장착공(50)의 내주면(50a)에서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5의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스프링 장착공(50)의 내주면(50a)에서 안내되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로, 플런저가 흡인자로부터 이격되어 좌굴이 생기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전자 코일에 통전하여 플런저가 흡인자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전자 밸브(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자(32)가 플런저(44)측으로 돌출해, 코일 스프링(48)의 흡인자측 단부에 결합되는 대략 원추형상의 결합 돌출부(32a)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6의 (a) 내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자(32)의 결합 돌출부(32a)가 코일 스프링(48)의 흡인자측 단부에 삽입 결합되므로,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 장착공(50)으로부터 노출되는 코일 스프링(48)의 부분이 고정되게 되어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흡인자(32)의 플런저(44)측에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32a)는 흡인자(32)와 일체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예를 들면, 용접, 압입, 나사 결합 등 주지의 고정 방법으로 고정해도 된다.
〈실시예 4〉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의 개략 종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전자 코일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에서, 플런저가 흡인자로부터 이격되어 좌굴이 생기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전자 밸브(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의 직경 D1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스프링 부분(48b, 48c)의 직경 D2보다 작다.
또한,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인자(32)는 플런저(44)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안내 축부재(32b)를 구비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흡인자(32)의 돌출 안내 축부재(32b)의 외주로 안내된다.
또한, 흡인자(32)의 플런저(44)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안내 축부재(32b)는, 흡인자(32)와 일체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로부터 구성하고, 상기와 같은 주지의 고정 방법으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흡인자(32)의 돌출 안내 축부재(32b)의 외주로 안내되므로, 코일 스프링(48)에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는 실시예 1에 나타낸 전자 밸브(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코일 스프링(48) 중간 부분에 코일 스프링(4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본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2개의 밀착 감김 부분(48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8)의 중간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지 않는(스프링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밀착 감김 부분(48a)을 코일 스프링(4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짧은 스프링을 복수 개 이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스프링 부분(48b, 48c, 48d)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좌굴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스프링 부분(48b, 48c, 48d)의 권회 방법은, 스프링 부분(48b)의 권회 방법 B와 스프링 부분(48c)의 권회 방법 C와 스프링 부분(48d)의 권회 방법 D의 관계가, B=C=D가 되도록 하는 것이, 스프링 상수가 변하지 않고, 도 3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가 비례 관계(이른바 선형 관계)가 되어 하중 특성이 변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프링 부분(48b)의 권회 방법 B와 스프링 부분(48c)의 권회 방법 C와 스프링 부분(48d)의 권회 방법 D의 관계를, 예를 들면 C>B=D로 하는 등 불균일한 권회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a)의 실시예의 전자 밸브(10)에서는, 코일 스프링(48)의 밀착 감김 부분(48a)의 수를 2개로 했지만,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밀착 감김 부분(48a)과,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스프링 부분(48b, 48c, 48d, 48e)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플런저(44)측에 위치하는 밀착 감김 부분 바깥의 스프링 부분(48e)을 생략함과 함께, 코일 스프링(48)의 가장 플런저(44)측에 위치하는 밀착 감김 부분(48a)을 이른바 자리 감김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밸브를 갖춘 파일럿식의 전자 밸브에 적용했지만 그 외의 전자 밸브에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런저의 흡인자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과 흡인자 사이에 개재되어 플런저를 밸브 시트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전자 밸브에 적용할 수 있다.
10, 100 전자 밸브
12, 102 피스톤
14, 104 제어부
16, 106 구동부
18, 108 전자 코일
20, 110 보빈
22, 112 몰드 수지
24, 114 자기 프레임
26, 116 저판부
28, 30, 118, 120 구동부 삽입공
32, 122 흡인자
32a 결합 돌출부
32b 돌출 안내 축부재
34, 124 암나사
36, 126 상판부
38, 128 볼트 삽입공
40, 130 체결 볼트
42, 132 플런저 케이스
44, 134 플런저
48, 138, 200, 300, 400 코일 스프링
48a, 204 밀착 감김 부분
48b, 48c, 48d, 48e 스프링 부분
50, 140 스프링 장착공
50a 내주면
52, 142 밸브 본체
54, 144 상측 밸브 본체
56, 146 밸브실
58, 148 하측 밸브 본체
60, 150 밸브 시트
62, 152 파일럿 통로
64, 154 니들 밸브 시트
66, 156 니들 밸브체
68, 158 1차측 유로
70, 160 2차측 유로
72, 162 밸브 포트
74, 164 슬릿
76, 166 서브 유로
138a 좌굴 부분
202 중앙 부분
302 상방 스프링
304 하방 스프링
306 스프링 삽입부
402 양단측 코일부
406 중앙 코일부

Claims (10)

  1. 전자 코일의 통전에 의해 이동해,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와 대치해 배치되는 흡인자와,
    상기 플런저의 흡인자측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과 흡인자 사이에 개재되어 플런저를 밸브 시트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전자 밸브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감긴 밀착 감김 부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스프링 장착공의 내주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안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자가 플런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흡인자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의 직경이, 밀착 감김 부분 이외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흡인자가 플런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안내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상기 흡인자의 돌출 안내 축부재의 외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흡인자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 전체 길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플런저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밀착 감김 부분이,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에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를 L, 코일 스프링의 직경을 D라고 했을 때,
    종횡비 L/D가 0.8 내지 4.0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밀착 감김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120138926A 2011-12-09 2012-12-03 전자 밸브 KR101464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0400 2011-12-09
JP2011270400A JP5557396B2 (ja) 2011-12-09 2011-12-09 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94A true KR20130065594A (ko) 2013-06-19
KR101464333B1 KR101464333B1 (ko) 2014-11-21

Family

ID=4858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926A KR101464333B1 (ko) 2011-12-09 2012-12-03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57396B2 (ko)
KR (1) KR101464333B1 (ko)
CN (1) CN1031619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6256A1 (de) * 2014-12-16 2016-06-23 Robert Bosch Gmbh Ventilein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5530A1 (de) * 2013-12-11 2015-06-2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Magnetventil
JP6377590B2 (ja) * 2015-10-06 2018-08-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磁弁駆動制御装置、および、電磁弁駆動制御装置を備えた電磁弁
KR102570954B1 (ko) * 2016-12-15 2023-08-28 주식회사 에스 씨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모터
KR102570957B1 (ko) * 2017-01-12 2023-08-28 주식회사 에스 씨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모터
JP2018200821A (ja) * 2017-05-29 2018-12-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CN110242759A (zh) * 2019-07-16 2019-09-17 苏州市富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闭门器流路电磁阀和电控闭门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1726U (ko) * 1973-06-20 1975-03-12
JPS5526522Y2 (ko) * 1975-08-28 1980-06-25
JPS5322128U (ko) * 1976-07-31 1978-02-24
JPH0113888Y2 (ko) * 1980-10-20 1989-04-24
JPS59105664U (ja) * 1982-12-29 1984-07-16 エスエムシ−株式会社 電磁弁
JPS61119631U (ko) * 1985-01-14 1986-07-28
JPS628443U (ko) * 1985-07-01 1987-01-19
JPH0311143U (ko) * 1989-06-20 1991-02-04
JPH07113430B2 (ja) * 1990-06-19 1995-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比例流量制御バルブ
JPH0493577U (ko) * 1990-12-28 1992-08-13
JPH04126044U (ja) * 1991-05-07 1992-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縮コイルバネ
JPH1151238A (ja) * 1997-07-30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制御バルブ
JP4016370B2 (ja) * 1999-03-29 2007-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JP4382853B2 (ja) * 2008-03-17 2009-12-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
JP2009156088A (ja) * 2007-12-25 2009-07-16 Calsonic Kansei Corp ベーン形圧縮機
KR101133088B1 (ko) * 2009-10-23 2012-04-04 현담산업 주식회사 연료펌프용 릴리프 스프링
DE102009046348A1 (de) * 2009-11-03 2011-05-05 Robert Bosch Gmbh Dämpfungsvorrichtung, Werkzeugmaschine mit einer Dämpf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ämpfungs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6256A1 (de) * 2014-12-16 2016-06-23 Robert Bosch Gmbh Ventil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7396B2 (ja) 2014-07-23
JP2013122273A (ja) 2013-06-20
CN103161990B (zh) 2015-11-18
CN103161990A (zh) 2013-06-19
KR101464333B1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5594A (ko) 전자 밸브
US8955550B2 (en) Damper device
US9677683B2 (en)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 seat of a vehicle
JP4318730B2 (ja) 高圧燃料ポンプ
US20110068286A1 (en) Solenoid on-off valve
KR101900587B1 (ko) 폴 피스와 플럭스 슬리브의 정렬불량에 강한 솔레노이드
JP2015152156A (ja) 電磁弁
JP5409686B2 (ja) 常開型電磁弁
US10533677B2 (en) Linear solenoid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near solenoid valve
JP5234037B2 (ja) 電磁弁
EP2267348B1 (en) A normally open solenoid valve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052260B1 (ko) 전자기 밸브
JP7504461B2 (ja) 電気的駆動弁
JP5126606B2 (ja) 高圧ポンプ
US11646141B2 (en) Solenoid valve
JP5042073B2 (ja) 燃料噴射弁
JP2006342952A (ja) パイロット電磁弁
JP4673832B2 (ja) 電磁弁
JP7130601B2 (ja) 電磁コイル及び弁装置
KR102613629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364053B1 (ko) 솔레노이드
JP2011185313A (ja) 油圧ユニット
JP2012177426A (ja) 燃料供給弁
JP6711766B2 (ja) 排気ガス再循環バルブ
JP2009281469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