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836A - 김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836A
KR20130062836A KR1020110129310A KR20110129310A KR20130062836A KR 20130062836 A KR20130062836 A KR 20130062836A KR 1020110129310 A KR1020110129310 A KR 1020110129310A KR 20110129310 A KR20110129310 A KR 20110129310A KR 20130062836 A KR20130062836 A KR 2013006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lum
gimbap
roasted
kimch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남도향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남도향빈 filed Critical 유한회사남도향빈
Priority to KR102011012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836A/ko
Publication of KR2013006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밥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고, 맛을 개선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고, 기존 김밥이 갖는 문제점인 소화가 어렵고, 쉽게 부패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항균력과 함께 소화를 돕는 것으로 잘 알려진 매실과 다양한 기능성과 영양학적으로 우수성이 알려진 김치 중 묵은지를 이용하여, 통상의 김밥에 비해 김밥이 갖는 느끼함을 최소화하면서도 기호도를 개선시키고, 소화도 우수하면 보관성도 개선된 김밥을 제조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밥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KIMBAB}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의 달콤하고 새콤한 맛과 묵은지 특유의 맛을 살려 김밥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고, 식감을 개선한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밥이란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 유래한 음식이다. 통상적으로 김밥의 경우, 구운 김 위에 식초, 소금 및 설탕을 섞어 만든 배합초와 밥을 혼합하여 제조한 김밥용 밥을 고루 펴 놓은 다음, 단무지, 달걀, 어묵, 쇠고기, 당근 또는 시금치 등의 김밥소를 밥 가운데 가지런히 놓고, 끝에서부터 단단하게 눌러가면서 말아 제조한다. 최근에는 김치, 참치 또는 치즈 등 다양한 재료의 김밥소를 넣어 다양하게 맛을 내고 있으며, 그 모양을 삼각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제조하거나 그 크기를 작게 하여 어린이의 한입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들거나 재료를 김으로 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게 하거나 맨밥에 김을 싸고 반찬을 별도로 내는 등 모양 및 크기도 다양해지고 있다.
김밥은 다양한 재료가 포함될 수 있어 영양가가 높고, 김밥 안에 밥 및 김밥소가 한꺼번에 포함되어 있어 휴대가 용이하며, 취향 및 기호에 따라 김밥소를 선택할 수 있다는 여러 장점으로 인하여 도식락 등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김밥은 배합초에 포함되는 설탕과 김밥소에 사용되는 기름 등으로 인하여 단맛과 느끼한 맛이 강해, 단맛 및 느끼한 맛에 익숙하지 않은 성인들 특히, 60대 이상의 성인들의 기호에 맞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성인병과 비만의 주요 원인이 되는 서양식 패스트푸트(fastfood)에 대한 반감의 증대로,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 김밥이 간식 및 간편한 식사용 음식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김밥을 판매하는 업소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김밥의 주 소비자도 20세 이하의 학생에서 직장인을 포함한 성인들로 넓혀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여 유통기간이 길어지고, 단맛 및 느끼한 맛이 별로 없어 성인들의 기호에도 적합한 김밥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KR 1009558860000 B KR 1003763520000 B KR 1020030067387 A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매실의 달콤하고 새콤한 맛과 묵은지 특유의 맛을 살려 김밥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고, 식감을 개선한 김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김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의 달콤하고 새콤한 맛과 묵은지 특유의 맛을 살려 김밥의 느끼한 맛을 제거하고, 식감을 개선하며, 보관성이 향상된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예로부터 소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매실을 이용한 음식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기존에 젊은층에 널리 애용되나 특유의 느끼한 맛과 소화가 어려운 단점 때문에 장년층에게서는 식사대용으로 제한적으로만 이용되던 김밥의 소화에 도움이 되고, 항균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매실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김치 특히, 묵은지를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경우 장년층에게서도 널리 애용될 수 있는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고, 이에 대해 계속 연구하던 중, 묵은지와 설탕을 이용하여 담근 매실장아찌를 중량을 기준으로 3:1로 혼합하여, 기존 김밥에 사용되던 김밥소에 추가하고, 기존 김밥에 사용되던 밥을 지을 때 다시마를 첨가하고, 통상의 방법보다 물량을 적게 조절하여 밥을 고슬고슬하게 지은 후, 제조된 밥을 참기름과 소금을 첨가하고 다시 한번 볶아서 사용하면, 묵은지와 매실장아찌의 달콤새콤한 맛이 김밥의 느끼한 맛을 제어하고, 밥이 고슬고슬하여 식감도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김밥이란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의 김밥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을 의미한다. 상기 밥이란 쌀 또는 쌀과 보리, 콩, 팥 및 수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추가한 것에 물을 가하여 끓여서 죽보다 되게 지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김밥소란 김밥의 재료로써, 김과 밥에 추가로 포함되는 야채, 달걀, 고기, 어묵, 맛살 또는 햄 등의 재료로 통상의 김밥 제조시 사용되는 부재료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절임이란 설탕, 소금, 장, 술찌기 따위를 써서 절이는 일 또는 그렇게 한 식료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묵은지란 오래된 김장 김치라는 의미로, 김장을 하기 전 또는 김장을 할 때, 김치를 담그면서 양념이 많이 들어가지 않거나 양념을 강하지 않게 담가 저온에서 6개월 이상 또는 1년 이상, 구체적으로 6개월 내지 1년 숙성시킨 김치를 의미하며, 김치를 주재료로 한 응용식품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매실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 밥을 짓는 단계; 상기 제조된 매실장아찌의 물기를 제거한 후 잘게 자르는 단계; 묵은지를 잘게 자른 후에, 볶아서 볶은 묵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볶은 묵은지와 잘게 자른 매실장아찌를 중량을 기준으로 3:1(묵은지:매실장아찌)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지은 밥에 참기름 및 소금을 첨가하고 볶은 후, 식히는 단계; 김 위에 상기 볶은 후 식힌 밥을 펴는 단계; 상기 밥 위에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을 포함한 김밥소를 얹는 단계 및 상기 김밥소를 중심으로 상기 김 및 밥을 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상기 김밥 제조방법은 매실육과 설탕을 중량을 기준으로 1:0.8(매실:설탕)로 혼합하고, 20℃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40일 동안 보관하여 매실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 깨끗이 세척한 쌀에 물을 부피비를 기준으로 1:1.25(쌀:물)로 첨가하고, 추가로 다시마를 첨가한 후, 밥을 짓는 단계; 상기 제조된 매실장아찌의 물기를 짠 다음 잘게 자르는 단계; 묵은지를 깨끗이 씻은 후에 잘게 자르고, 물기를 짠 후, 식용유로 볶아서 볶은 묵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볶은 묵은지와 잘게 자른 매실장아찌를 중량을 기준으로 3:1(묵은지:매실장아찌)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지은 밥에 참기름 및 소금을 첨가하고 볶은 후, 식히는 단계; 김 위에 상기 볶은 후 식힌 밥을 펴는 단계; 상기 밥 위에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을 포함한 김밥소를 얹는 단계 및 상기 김밥소를 중심으로 상기 김 및 밥을 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일 수 있다.
상기 매실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는 매실을 세척하고, 씨앗을 제거하여 매실육을 수득하는 과정; 상기 매실육과 설탕을 중량을 기준으로 1:0.7(매실:설탕) 내지 1:0.9(매실:설탕), 바람직하게 1:0.8(매실:설탕)로 혼합하는 과정; 상기 혼합된 매실 및 설탕 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40일 동안 보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밥을 짓는 단계는 쌀을 깨끗이 세척하는 과정; 상기 깨끗이 세척한 쌀에 물을 부피비를 기준으로 1:1.1(쌀:물) 내지 1:4(쌀:물), 바람직하게는 1:1.25(쌀:물)로 첨가하는 과정; 상기 물에 잠긴 쌀에 다시마를 첨가하는 과정 및 상기 다시마를 첨가한 후, 열을 가하여 밥을 짓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쌀에 물을 부피비를 기준으로 1:1.1(쌀:물) 내지 1:4(쌀:물), 바람직하게는 1:1.25(쌀:물)로 첨가하여, 밥을 고슬고슬하게 짓는 것이 밥이 질게되어 씹는 식감이 나빠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최종 제조된 김밥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에 잠긴 쌀에 다시마를 첨가하는 경우, 제조된 밥에 윤기를 더하고, 밥의 하얀색이 선명하고, 향이 좋아져 식감이 우수해지는 효과 및 다시마의 장내 노폐물 제거 효과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더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매실장아찌의 물기를 제거한 후 잘게 자르는 단계는 상기 제조된 매실장아찌를 손이나 천을 이용하여 물기를 짜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 및 상기 물기를 제거한 매실장아찌를 일 예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약 1 mm 내지 3mm 정도 되도록 잘게 자르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볶은 묵은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묵은지의 양념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는 과정; 상기 씻은 묵은지를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약 1 mm 내지 3 mm 정도 되도록 잘게 자르는 과정; 상기 잘게 자른 묵은지의 물기를 짜는 과정 및 상기 물기를 짠 묵은지에 식용유를 첨가하고 볶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묵은지 및 매실장아찌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볶은 후에 식힌 묵은지와 상기 잘게 자른 매실장아찌를 중량을 기준으로 3:1(묵은지:매실장아찌)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볶은 묵은지와 매실장아찌를 섞는 과정은 손을 이용하거나 주걱, 숟가락 또는 막대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실은 소화에 도움이 되고, 항균 효과도 있으나, 매실을 너무 많이 넣을 경우 식사대용으로 이용되는 김밥을 고려할 때 매실 향이 너무 강하여 부담스러워지고, 단맛이 너무 강해지며, 묵은지 특유의 맛이 느껴지지 않게 되고, 묵은지를 너무 많이 넣을 경우, 짠맛이 강해지고, 매실 특유의 달고 새콤한 맛이 느껴지지 않게 되므로, 묵은지와 매실의 혼합비율은 3:1(묵은지:매실장아찌)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은 밥에 참기름 및 소금을 첨가하고 볶은 후, 식히는 단계는 상기 지은 밥, 구체적으로 상기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참기름과 소금을 첨가하는 과정; 상기 참기름과 소금을 첨가한 밥을 볶는 과정 및 상기 볶은 밥을 식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참기름과 소금은 밥 1 kg에 참기름 10 g 및 소금 5 g을 첨가하고, 불에 달궈진 볶음용 팬을 이용하여 10초 내지 10분 또는 30초 내지 5분 또는 1분 내지 3분 정도 볶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밥을 살짝 볶아줌으로써, 밥이 고슬고슬하게 되어, 물기가 있는 묵은지와 매실 혼합물을 김밥소로 사용하여도 씹는 식감이 떨어지지 않고 개선되게 된다. 상기 밥을 볶을 때는 주걱, 숟가락 또는 막대 등을 이용하여 섞어주면서 볶을 수 있다.
상기 김 위에 상기 볶은 후 식힌 밥을 펴는 단계는 통상의 김밥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김은 통상의 김밥용 김일 수 있다. 일 예로, 김을 약한 불에 살짝 굽는 과정 및 상기 구운 김의 전체 면적의 60% 내지 70% 정도에 밥을 얇게 펴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밥 위에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을 포함한 김밥소를 얹는 단계는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과 통상의 김밥소를 밥 위에 올려놓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묵은지는 상기 묵은지를 볶는 과정에서 매운맛과 짠맛이 순화되고, 달고 새콤한 맛을 갖는 매실장아찌와 혼합되므로, 맵거나 짠 음식이 자극적일 수 있는 아이들 또는 김치 특유의 발효취에 거부감이 있는 아이들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김밥소는 통상의 김밥소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햄, 단무지, 달걀, 맛살, 당근, 오이, 어묵, 쇠고기, 시금치, 소시지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당근과 오이는 껍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김밥소의 재료는 각각 가로 및 세로가 각각 7 mm로 정도 되고, 길이는 김밥 제조에 사용되는 김의 길이에 준하는 정도로 잘라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오이의 경우, 소금으로 간이 된 물에 담근 후에, 물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햄, 당근, 맛살 등은 식용유를 이용하여 팬에 살짝 볶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달걀은 지단 형태, 일 예로 달걀을 풀고 소금간을 한 후, 1 cm 정도의 두께로 지진 후에 약 1 cm 정도의 너비로 잘라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김밥소를 중심으로 상기 김 및 밥을 마는 단계는 통상의 방법으로 김과 밥 및 소가 잘 결합될 수 있도록 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볶은 묵은지와 매실 장아찌를 김밥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일 수 있다. 상기 김밥은 김밥소에 첨가된 매실장아찌와 묵은지에 의해 김밥의 느끼한 맛이 감소되고, 단맛과 새콤한 맛으로 기호도가 개선되며, 묵은지를 살짝 볶아 줌으로써, 묵은지의 신맛이 순화되어 아이들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고, 김밥소에 포함된 매실이 소화작용에 도움을 주고, 항균효과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김밥은 전체로 또는 소정 량으로 나누어 개별 포장되어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밥 제조방법은 기존에 항균력과 함께 소화를 돕는 것으로 잘 알려진 매실과 다양한 기능성과 우수성이 알려진 김치 중 묵은지를 이용하여, 통상의 김밥에 비해 김밥이 갖는 느끼함을 최소화하면서도 기호도를 개선되고, 소화도 우수하면 보관성도 개선된 김밥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어른들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포함한 모든 연령계층이 선호할 수 있고, 매실이 포함되어 있어서 소화도 쉽고, 매실과 함께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묵은지가 포함되어 있어서, 기존 김밥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지므로 김밥의 활용범위를 넓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시장에서 구입한 매실을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말린 후, 매실의 과육과 씨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매실육 1Kg과 설탕 800g을 혼합하고, 23℃에서 30일 동안 보관하여 매실장아찌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매실장아찌는 물기를 짜서 잘게 잘라 준비하였다. 또한, 전라남도 소재의 발명자의 가정에서 담그고 숙성시킨 묵은지를 씻은 후 잘게 잘라서 식용유로 볶은 후에, 잘게 자른 매실장아찌와 중량비가 3:1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쌀을 깨끗이 세척한 후, 쌀과 물의 부피비가 1:1.25가 되도록 물을 붓고 다시마를 첨가하여 밥을 지었다. 지은 밥에 참기름과 소금을 첨가하고 달궈진 후라이팬에 볶은 후 식혀서 준비하였다.
김 위에 상기 간을 하고 볶아서 식혀놓은 밥을 펴고, 김밥소, 구체적으로 볶은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과 기름에 볶은 당근, 햄, 계란 지단, 단무지, 우엉 및 데친 시금치를 얹은 후에, 상기 김밥소를 얹어 김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쌀과 물의 부피비를 1:4가 되도록 하여 밥을 지은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하여 김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1의 제조방법에서 참기름과 소금을 첨가하고 볶지 않고 섞기만 해서 준비하고, 묵은지는 개끗이 씻은 후에 잘게 자르고 물기를 짜서 준비하였다. 볶지 않고 준비한 묵은지를 상기 실시예1의 방법으로 준비한 매실장아찌 혼합물의 혼합비를 중량을 기준으로 1:1(묵은지:매실장아찌)로 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하여 김밥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한 김밥에 대한 기호도 조사는 술 및 담배를 하지 않고, 건강에 이상이 없는 각 연령대 별 남녀 각 1인씩 총 10명을 패널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상기 김밥에 대한 선호도는 김밥에 대한 맛 평가, 느끼한지 여부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관능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김밥을 제조한 후, 1 시간 이내에 각 조사요원들이 시식한 후 5점 측정법에 의해 평가내용이다. 상기 기호도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전체평균
맛 평가 실시예 1 4.2 4.5 4.1 4.5 4.7 4.4
실시예 2 4.0 4.2 3.9 4.3 4.4 4.24
비교예 3.9 3.8 3.5 3.2 3.5 3.58
느끼한지 여부 실시예 1 4.7 4.6 4.9 4.8 4.9 4.78
실시예 2 4.9 4.8 4.8 4.6 4.6 4.74
비교예 4.2 4.3 4.0 4.1 3.9 4.1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 4.6 4.6 4.7 4.8 4.64
실시예 2 4.5 4.2 4.4 4.2 4.4 4.34
비교예 3.7 3.8 3.7 3.4 3.5 3.62
상기 표 2와 관련하여, 기재된 수치는 하기와 같다.
5 : 매우 맛있음 / 전혀 느끼하지 않음 / 매우 좋음
4 : 맛있음 / 약간 느끼하나 문제되지 않음 / 좋음
3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김밥보다는 맛있음 / 약간 느끼함 / 약간 좋음
2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김밥 정도임 / 느끼함 / 약간 좋지 않음
1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김밥보다 맛없음 / 느끼함이 선호도에 나쁜 영향을 줌 / 좋지 않음
0 : 너무 맛없음 / 매우 느끼함 / 매우 좋지 않음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실장아찌와 묵은지를 사용하고, 다시마를 넣고 밥을 지은 후, 볶아서 김밥 제조에 사용한 경우에는 김밥 특유의 느끼한 맛이 느껴지지 아니하고, 10대와 20대뿐만 아니라 그 깔끔한 맛으로 인하여 오히려 40대와 50대에서 맛의 선호도가 높아 여러 연령대에서 환영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매실육과 설탕을 중량을 기준으로 1:0.7(매실:설탕) 내지 1:0.9(매실:설탕)로 혼합하고, 20℃ 내지 25℃에서 20일 내지 40일 동안 보관하여 매실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
    깨끗이 세척한 쌀로 밥을 짓는 단계;
    상기 제조된 매실장아찌는 물기를 제거한 후 잘게 자르는 단계;
    묵은지를 잘게 자른 후에, 볶아서 볶은 묵은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볶아진 묵은지와 잘게 자른 매실장아찌를 중량을 기준으로 3:1(묵은지:매실장아찌)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지은 밥에 참기름 및 소금을 첨가하고 볶은 후, 식히는 단계;
    김 위에 상기 볶은 후 식힌 밥을 펴는 단계;
    상기 밥 위에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을 포함한 김밥소를 얹는 단계 및
    상기 김밥소를 중심으로 상기 김 및 밥을 마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소는 상기 묵은지와 매실장아찌 혼합물, 볶은 햄, 단무지, 볶은 맛살, 볶은 당근,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한 오이 및 얇게 지진 달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볶은 묵은지와 매실 장아찌를 김밥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KR1020110129310A 2011-12-05 2011-12-05 김밥의 제조방법 KR20130062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10A KR20130062836A (ko) 2011-12-05 2011-12-05 김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310A KR20130062836A (ko) 2011-12-05 2011-12-05 김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836A true KR20130062836A (ko) 2013-06-13

Family

ID=4886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310A KR20130062836A (ko) 2011-12-05 2011-12-05 김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8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879A (zh) * 2013-12-19 2015-06-24 王骁 一种营养便当及其制作方法
KR20190040751A (ko) * 2017-10-11 2019-04-19 어성출 김밥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879A (zh) * 2013-12-19 2015-06-24 王骁 一种营养便当及其制作方法
KR20190040751A (ko) * 2017-10-11 2019-04-19 어성출 김밥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834B1 (ko)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302B1 (ko) 수육 튀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육 튀김
KR101074354B1 (ko) 명란 소스 제조방법
KR20130130214A (ko) 산나물 김밥과 그 제조 방법
CN102987432A (zh) 一种营养红烧狮子头及其加工工艺
CN101214062B (zh) 闹汤驴肉及其生产方法
CN101933578B (zh) 可可脂在烹调制品中的用途
KR101289986B1 (ko) 묵은지 김치 떡갈비 제조방법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KR20130062836A (ko) 김밥의 제조방법
KR101276211B1 (ko) 배동치미냉면 제조방법
CN105231330A (zh) 一种桂花香即食鱼片的加工方法
KR102014996B1 (ko) 김밥의 제조방법
KR101335355B1 (ko) 냉동 고기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냉동 고기롤
Hazelton The Regional Italian Kitchen
KR101178202B1 (ko) 고기 튀김의 제조 방법
CN105942231A (zh) 一种含红茶风味的兔肉脯及其制作方法
KR20090039270A (ko) 김밥의 제조방법
KR20110029458A (ko) 다시마 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1260A (ko) 토마토를 이용한 저염 돈가스의 제조방법
KR102388432B1 (ko)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RU2791322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улинарного издел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убпродуктов и перепелиного яйца
KR100928420B1 (ko) 떡입자를 함유하는 햄경단의 제조방법
KR100826249B1 (ko) 치즈소스 탕수육
CN105581265A (zh) 一种无腥味道均匀的牛蹄筋片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