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32B1 -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32B1
KR102388432B1 KR1020210071192A KR20210071192A KR102388432B1 KR 102388432 B1 KR102388432 B1 KR 102388432B1 KR 1020210071192 A KR1020210071192 A KR 1020210071192A KR 20210071192 A KR20210071192 A KR 20210071192A KR 102388432 B1 KR102388432 B1 KR 10238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teokbokki
manufacturing
weight
preparing
rice c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모
이은모
Original Assignee
이진모
이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모, 이은모 filed Critical 이진모
Priority to KR102021007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Filled, stuffed or multilayered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레시피의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떡볶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볶이용 가래떡 속에 소를 박음으로써 씹는 식감과 풍미,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더하고 분식으로서 떡볶이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을 갈라 칼집을 내는 단계(S2);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소를 넣어 채우는 단계(S3); 및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과 떡볶이용 소스를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TTEOKBOKKI WITH STUFF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레시피의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떡볶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볶이용 가래떡 속에 소를 박음으로써 씹는 식감과 풍미,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더하고 분식으로서 떡볶이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궁중에서 유래하였다고 알려진 떡볶이는 가래떡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고추장, 양념, 파, 양파, 당근, 어묵 등 다양한 재료와 함께 볶아서 만드는 볶음 요리로서, 매콤하고 달콤한 맛과 함께 각종 재료가 어우러져 내는 깊은 맛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 특히 어린이와 여성들이 즐겨 먹고 있는 인기 대중 요리중 하나이며, 요즘은 비빔밥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요리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떡볶이의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떡볶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으며, 특히 가격이 저렴해서 청소년들이나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들이 간식이나 식사대용으로 섭취하고 있다. 요즈음에는 떡볶이에 여러 가지 부재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떡볶이가 있으며, 떡볶이 전문점이 나타날 정도로 많은 사람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부재료를 첨가한 떡볶이의 일예로서 라면사리를 함유한 라면 떡볶이, 잡채면을 넣은 잡채 떡볶이, 오징어 등의 해물을 넣은 해물 떡볶이 등의 퓨전 떡볶이가 유행하고 있다. 또한, 고추장이 아닌 간장을 이용한 궁중떡볶이이도 떡볶이의 한 종류로 다양하게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다.
다양한 부재료가 혼합된 형태의 떡볶이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부재료의 차이로 인해, 떡볶이 전문점만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떡볶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재료인 떡볶이 떡과 떡볶이의 맛을 내는 소스이다.
떡볶이의 식감은 가래떡이 좌우하게 되고, 맛은 양념이 좌우하게 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양념을 포함하는 떡볶이가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새로운 떡볶이의 가래떡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즉, 떡볶이의 맛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떡볶이의 식감에 대해 별다른 개발이 되지 않고 있었다.
떡볶이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831호(공개일자 2018년11월05일)에는, 다시마를 삶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다시마를 절단하고 뻥튀기 기계로 튀기는 단계; 뻥튀기한 다시마를 분쇄하여 입도 0.1 ㎣ ~ 1㎣의 크기로 분말화하는 단계; 용기(40)에 물(30)을 담고 그 위에 이중 받침을 설치하여 하부 받침에는 허브를 그 상부 받침에는 분말 다시마(10)를 담아 70~80℃의 온도로 30분간 찌는 단계;분말 다시마(10)에 묽은 조청을 넣고 30분간 반죽하여 허브향이 탈향되지 않도록 코팅하는 단계; 열숙된 쌀분에 상기 코팅 분말 다시마(10)를 혼합하는 단계; 성형기를 이용해 떡볶이 떡을 뽑아내는 단계; 를 통해 제조한 가래떡을 4~5㎝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떡볶이 떡을 구성하고, 상기 떡볶이 떡 제조과정에서 다시마 삶은 물 40중량부, 사과즙 또는 배즙 20중량부, 고추장 15중량부, 간장 5중량부, 설탕 10 중량부, 소금 5중량부, 생강 2 중량부 마늘 3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한 소스를 구성하고,상기 떡볶이 떡 60 중량부에 소스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볶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내포한 떡볶이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342호(등록일자 2018년09월27일)에는, 물에 다시마와 멸치를 포함한 육수용 재료를 넣고 끓이면서 우려내어 육수를 준비하는 단계; 청양고춧가루 1~4중량%, 고춧가루 3~7중량%, 후추 1~4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3~7중량%, 옥수수전분 7~13중량%, 설탕 30~40중량%, 간장 20~30중량% 및 마늘 13~19 중량%를 포함한 조미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육수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조미재료 30~60 중량부를 첨가하고 균질화하여, 상기 청양고춧가루 0.3~1.5중량%, 고춧가루 0.8~2.6중량%, 후추 0.3~1.5중량%, L-글루타민산나트륨 0.8~2.6중량%, 옥수수전분 20~48중량%, 설탕 85~15중량%, 간장 57~11중량%, 마늘 37~71중량% 및 육수 62~71중량%를 포함한 마늘소스 국물을 준비하는 단계; 떡볶이용 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늘소스 국물과 떡볶이용 떡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조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늘은, 구운 마늘 및 마늘의 비늘줄기를 자르지 않고 통째로 식용유로 유탕 처리한 다음에 잘게 썰어내거나 페이스트화한 효소실활처리한 페이스트상의 마늘을 포함하고, 상기 옥수수전분은 칼슘 성분 및 마그네슘 성분이 포함된 옥수수전분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940호(등록일자 2018년03월30일)에는, 기능성 육수를 이용한 떡볶이의 제조 방법으로서, 떡을 세척하는 단계; 닭을 손질하여 살을 발라 닭 뼈를 얻는 단계; 전체 닭 첨가 용액 중량 대비, 상기 닭 뼈 20 내지 40 중량%, 캡사이신 용액 5 내지 20 중량%, 감미제 1 내지 5 중량%, 물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한 후 20 내지 3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닭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혼합 육수 중량 대비, 홍합 10 내지 30 중량%, 상기 닭 첨가 용액 10 내지 30 중량%, 물 5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한 후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혼합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육수에 상기 떡과 상기 양념 및 부재료를 투입하고 끓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육수를 이용한 떡볶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2706호(등록일자 2017년11월22일)에는,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며 바닥부와 측벽부를 이루며 손잡이부가 구비된 외부팬부 및 상기 외부팬부의 상측으로 열전도가 서로 달리 이루어지는 내부조리부 및 내부단열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떡볶이용 조리기구를 이용한 떡볶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간장과 고춧가루가 포함된 떡볶이 소스를 준비하는 소스 준비 단계; 상기 내부조리부와 내부단열부를 가로지르며 한 개의 떡볶이용 떡이 배치되도록 길이가 형성된 떡볶이 떡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부조리부와 내부단열부를 가로지르며 떡볶이용 떡들이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떡볶이용 떡과 상기 떡볶이 소스를 넣고 혼합하여 가열하는 가열 조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조리 단계에서는 설탕을 더 첨가하여 단 맛을 냄과 동시에 육수를 더 첨가하여 감칠맛을 내는 떡볶이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9831호(공개일자 2018년11월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342호(등록일자 2018년09월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940호(등록일자 2018년03월3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2706호(등록일자 2017년11월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레시피의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떡볶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볶이용 가래떡 속에 소를 박음으로써 씹는 식감과 풍미,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더하고 분식으로서 떡볶이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을 갈라 칼집을 내는 단계(S2);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소를 넣어 채우는 단계(S3); 및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과 떡볶이용 소스를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소는 어묵, 고기 및 치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 30~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는, 떡볶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레시피의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떡볶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볶이용 가래떡 속에 소를 박음으로써 씹는 식감과 풍미,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더하고 분식으로서 떡볶이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은,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을 갈라 칼집을 내는 단계(S2);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소를 넣어 채우는 단계(S3); 및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과 떡볶이용 소스를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박이'라 함은 '소'를 넣어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소'라 함은 송편이나 만두 따위를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채워 넣는 여러 가지 재료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떡볶이용 가래떡 준비 단계(S1);
본 단계는,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래떡은 멥쌀을 씻어 충분히 불린 다음 건져 물기를 빼서 소금을 넣고, 빻아 고운 가루로 만든 후, 찜통이나 시루에 안쳐 푹 찐다. 다음에, 쪄낸 떡을 압출하여 물속으로 뽑아 내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가래떡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칼집 단계(S2);
본 단계는,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을 갈라 칼집을 내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에 소를 채우기 위해 가운데 부분을 갈라 칼집을 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3. 소 채움 단계(S3);
본 단계는,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소를 넣어 채우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어묵, 고기 및 치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를 넣어 채우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 30~50 중량부로 구성할 수 있다.
4. 떡볶이 제조 단계(S4);
본 단계는,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과 떡볶이용 소스를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떡볶이용 소스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떡볶이용 소스는 고추장,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간장, 춘장, 설탕, 물엿, 조미료와 대파, 양배추 등의 야채 및 향신료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떡볶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을 떡볶이용 소스에 넣고 끓여 일반적인 떡볶이와 같은 요리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을 증기 등으로 익힌 다음, 상기 떡볶이용 소스와는 다른 별도의 취식용 소스를 준비하여 붓거나 찍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취식용 소스는 상기 떡볶이용 소스를 중간불로 저어가며 끓여, 걸쭉한 농도의 소스로 만들어 준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1 단계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는 전처리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래기 농축액을 이용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저온 숙성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침으로써 쫄깃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 또는 쌀뜨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비율이 원재료 혼합물 중량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물의 양이 열수 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원재료 혼합물에 포함된 원재료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의 비율이 양이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시래기는 무청이나 배춧잎을 잘라다가 가지런히 엮어 잘 말린 것으로, 감압억제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와 칼슘(Ca), 철(Fe), 비타민C, 카로틴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다. 또한, 라이신 함유량이 높은 우수한 단백질 식품이며, 무기질과 섬유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무기질은 인체내에서 생리기능을 조절하고 체조직의 구성 및 생리 활성 물질의 구성 성분이다.
시래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A는 항산화작용으로 암, 동맥경화,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식이섬유와 칼슘이 많아 포도당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막아 당뇨, 동맥경화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고 철분이 많아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고 식이섬유는 장의 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를 예방하며, 장내 세균의 생육을 돕고 소화 분해된 음식물의 영양 성분을 장의 내부 소장 점막을 통해 혈액 속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래기는 겨울철에 모자라기 쉬운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골고루 들어가 있어 건강에 좋다. 시래기는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데 무에 많이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위와 장에 머물며 포만감을 주어 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예방해준다.
한편, 상기 쌀뜨물은 쌀을 씻을 때 생성되는 뿌연 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전분질 등이 녹아 있어 시래기 농축액에 쌀뜨물에 녹아있는 섬유질과 비타민의 유효 성분을 떡볶이용 가래떡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떡볶이용으로 적당한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한다.
(2) 소를 채워 넣기 위해 상기 (1)에서 준비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가운데를 갈라 칼집을 낸다.
(3)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고기 소를 넣어 채운다.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기 소는 30~50 중량부로 한다.
(4) 시중에 판매되는 떡볶이용 소스를 준비하여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을 넣고 끓여 떡볶이를 제조하여 소박이 떡볶이를 완성한다. 상기 떡볶이용 소스는 고추장,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한 것으로 한다.
[실시예 1]의 (4)에서,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을 찜기에 넣고 익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떡볶이용 소스를 중간불로 저어가며 끓여, 걸쭉한 농도의 소스로 만들어 붓거나 찍어 먹을 수 있는 취식용 소스를 준비하여 소박이 떡볶이를 완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1)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여 얻었다.
[실시예 1]의 (1)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한 후에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쌀뜨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여 얻었다.
[시험예 : 관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의 소비자 패널을 선정하여 식감,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구분 맛(풍미) 씹힘성(식감)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7.1 7.1 7.1
실시예 2 6.9 7.0 6.9
실시예 3 7.3 7.7 7.5
실시예 4 7.4 7.8 7.6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소박이 떡볶이로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하여 소비자 패널은 모두 맛(풍미), 씹힘성(식감) 및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높게 평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별도로 익히고 취식용 소스도 별도로 준비하는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하여 거의 유사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물과 쌀뜨물로 농축한 시래기 농축액으로 전처리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 맛(풍미), 씹힘성(식감) 및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해서도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씹힘성(식감)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떡볶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볶이용 가래떡 속에 소를 박음으로써 씹는 식감과 풍미, 그리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재미를 더하고 분식으로서 떡볶이의 부족한 영양을 보충할 수 있으며 보다 고급화된 요리로서 소박이 떡볶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가래떡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을 갈라 칼집을 내는 단계(S2);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의 칼집 속에 소를 넣어 채우는 단계(S3); 및
    상기 소를 채운 떡볶이용 가래떡과 떡볶이용 소스를 이용하여 떡볶이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고,
    상기 S1 단계에서,
    가래떡을 제조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한 떡볶이용 가래떡을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숙성하되,
    상기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 또는 쌀뜨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농축 추출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소는 어묵, 고기 및 치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떡볶이용 가래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 30~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
  4. 삭제
  5. 떡볶이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소박이 떡볶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박이 떡볶이.
KR1020210071192A 2021-06-02 2021-06-02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38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92A KR102388432B1 (ko) 2021-06-02 2021-06-02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92A KR102388432B1 (ko) 2021-06-02 2021-06-02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432B1 true KR102388432B1 (ko) 2022-04-21

Family

ID=8143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192A Active KR102388432B1 (ko) 2021-06-02 2021-06-02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088A (ko) * 2015-11-05 2017-05-15 김향미 속 재료가 함유된 가래떡
KR20170094873A (ko) * 2016-02-12 2017-08-22 (주)산돌식품 우동형 떡볶이 및 그를 포함하는 즉석조리용 떡볶이 세트
KR101802706B1 (ko) 2017-06-01 2017-11-28 김유미 떡볶이 제조 방법
KR101845940B1 (ko) 2018-01-16 2018-04-05 주식회사 마성푸드 시스템 기능성 육수를 이용한 떡볶이의 제조 방법
KR101904342B1 (ko) 2016-12-13 2018-10-05 오정욱 마늘 떡볶이의 제조방법
KR20180119831A (ko) 2017-04-26 2018-11-05 정대건 마늘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088A (ko) * 2015-11-05 2017-05-15 김향미 속 재료가 함유된 가래떡
KR20170094873A (ko) * 2016-02-12 2017-08-22 (주)산돌식품 우동형 떡볶이 및 그를 포함하는 즉석조리용 떡볶이 세트
KR101904342B1 (ko) 2016-12-13 2018-10-05 오정욱 마늘 떡볶이의 제조방법
KR20180119831A (ko) 2017-04-26 2018-11-05 정대건 마늘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KR101802706B1 (ko) 2017-06-01 2017-11-28 김유미 떡볶이 제조 방법
KR101845940B1 (ko) 2018-01-16 2018-04-05 주식회사 마성푸드 시스템 기능성 육수를 이용한 떡볶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w to make soup tteokbokki*(https://blog.naver.com/yummycook/221437806966). 2019.01.09.* *
국물떡볶이 만드는법~ 내마음대로 푸짐하게 만들어요^^*(https://blog.naver.com/yummycook/221437806966).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49670B (zh) 一种方便即食型翘脚牛肉及其制备方法
CN1868334A (zh) 一种猪肉丸子食品的制备方法
KR101658380B1 (ko) 시래기 쌀 만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시래기 쌀 만두
KR20010037759A (ko) 백포도주와 한약재 등을 이용하여 맛과 영양을 증진시킨
CN105077131A (zh) 一种川味红烧调味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00024323A (ko) 한방재료를 사용하는 탕수육 고기 및 탕수육 소스의제조방법
KR20040058758A (ko) 사과를 포함하는 고기 숙성용 양념조성물 및 상기양념조성물로 숙성된 고기
KR100446006B1 (ko) 다목적 장어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749238A (zh) 一种螺蛳粉配料及其制备方法
KR20110112134A (ko)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KR101802181B1 (ko)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CN106805097A (zh) 营养米饭/米粥/米粉/河粉/米糕/米饼及其制作方法
KR102340300B1 (ko) 장어뼈 튀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5287A (ko) 염지양념 및 이를 이용한 오리목살 조리방법
KR102388432B1 (ko) 소박이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3670A (ko) 단호박 노란 짜장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20180083062A (ko) 즉석요리용 황태순대 볶음의 제조방법
KR20180083063A (ko) 즉석요리용 황태순대 전골의 제조방법
KR100884091B1 (ko) 굴비 혼합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
CN110934280A (zh) 一种焖锅麻辣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60069982A (ko) 기능성 프라이드 치킨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365B1 (ko)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879662A (zh) 一种卤猪肉夹馍的制作方法
KR102793226B1 (ko) 코다리 과일강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다리 과일강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