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935A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935A
KR20130060935A KR1020110127256A KR20110127256A KR20130060935A KR 20130060935 A KR20130060935 A KR 20130060935A KR 1020110127256 A KR1020110127256 A KR 1020110127256A KR 20110127256 A KR20110127256 A KR 20110127256A KR 20130060935 A KR20130060935 A KR 2013006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tray
display panel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874B1 (ko
Inventor
문상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874B1/ko
Priority to US13/537,039 priority patent/US8950594B2/en
Publication of KR2013006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0Vices for clamping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205Vices of the chain or strip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03Combinations of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5/104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one screw and one clamping lever and one fulcrum element
    • B25B5/10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one screw and one clamping lever and one fulcrum element the screw contacting one of the ends of the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2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windows an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트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프레임과, 패널을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클램핑하는 클램핑기구 및, 패널의 규격에 맞게 프레임의 크기를 조정하는 사이즈변경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트레이는, 취급 패널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이를 채용할 경우 공정 상에서 패널이 손상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검사 작업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A tray for flat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패널을 취급 공정 상에서 안전하게 운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 패널이나 액정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할 때에는 해당 패널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검사 공정을 거칠 때 해당 패널을 별도의 보호구 없이 그대로 이송하였는데, 이때 패널이 운반 과정 중 손상을 입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최근 패널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운반 중의 손상 위험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특히 OLED 패널은 액정 패널과 같은 백라이트 유닛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떨어져서 이송 과정 중 파손의 위험이 더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다 안전하게 이송하면서 검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클램핑하는 클램핑기구; 및, 상기 패널의 규격에 맞게 상기 프레임의 크기를 조정하는 사이즈변경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푸쉬레버와, 상기 푸쉬레버가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누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블럭; 상기 한 쌍의 회전블럭에 연결된 푸쉬바; 상기 푸쉬바가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누른 상태와 그 누름을 해제한 상태에서 각각 상기 회전블럭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벨트; 상기 복수의 벨트가 상기 안착부 반대편에서 상기 패널에 밀착되도록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패널의 단부가 닿는 부위에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의 재질은 우레탄과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의 조각편이 연결된 형태이며, 상기 사이즈변경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 조각편을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바와, 상기 복수 조각편을 상기 슬라이드바에 대해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조각편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바를 압착하며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한 변에 이송 레일을 타고 굴러갈 수 있는 이송용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이송용 롤러와 대향되는 변에는 상기 이송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상기 패널과의 전기신호 연결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는, 취급 패널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이를 채용할 경우 공정 상에서 패널이 손상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검사 작업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에 구비된 클램핑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에 구비된 사이즈변경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이즈변경기구에 의해 프레임의 규격을 가변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트레이의 클램핑기구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는, 패널(10)이 안착될 안착부(110)가 마련된 프레임(100)과, 상기 패널(10)을 안착부(1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클램핑기구(200), 그리고 패널(10)의 규격에 따라 프레임(10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사이즈변경기구(3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패널(10)이 지지되는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조각편(101,102,103,104,105)들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00)을 여러 개의 조각편(101,102,103,104,105)으로 만든 이유는 상기 사이즈변경기구(300)를 이용해 그 크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이즈변경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프레임(100)의 내측에 마련된 안착부(110)에 상기 패널(10)의 가장자리부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기구(200)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패널(10)을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는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마련된 지지블럭(2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푸쉬레버(210)와, 이 푸쉬레버(210)가 상기 안착부(110) 방향으로 패널(10)을 누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안착부(110)에 패널(10)을 안착시킨 후 상기 푸쉬레버(2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레버(210)가 패널(10)을 안착부(110) 쪽으로 누르게 되므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램핑기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상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패널(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20)의 탄성력 작용 범위는 상기 푸쉬레버(210)가 프레임(100) 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멈추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토글스위치처럼 푸쉬레버(210)가 수직을 넘어가는 순간에 반대편으로 넘어가 프레임(100)에 밀착되게 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즉, 푸쉬레버(210)로 안착부(110) 상의 패널(10)을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만 있으면, 그 회전범위는 자유롭게 변경해도 무방하다. 참조부호 211은 패널(10)과 직접 접촉하는 압박부재를 나타내며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이즈변경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조각편(101,102,103,104,105)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바(310)와, 상기 조각편(101,102,103,104,105)에 형성된 체결홀(100a)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바(310)에 압착되며 체결되는 체결볼트(32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조각편(101,102,103,104,105)을 상기 슬라이드바(310)를 이용하여 서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면서 전체적인 프레임(100)의 크기를 조정하고, 그 상태에서 체결수단인 상기 체결볼트(320)를 체결홀(100a)에 체결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상측 그림과 같이 큰 사이즈 상태로 있던 프레임(100)을, 상기 체결볼트(320)를 풀어서 각 조각편(101,102,103,104,105)을 슬라이드바(310)를 따라 모이게 한 후 다시 체결시키면, 하측 그림과 같이 작은 사이즈의 프레임(100)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도 4의 상측 그림은 프레임(100)의 변경 가능한 최대 사이즈를, 하측 그림은 최소 사이즈를 도시한 것이며, 이 범위 안에서 상기 사이즈변경기구(300)를 조절하여 다양한 패널(10)의 규격에 맞게 프레임(100)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패널(10) 검사 공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패널(10)을 그와 규격이 맞게 조정된 프레임(100)에 안착하여 견고하게 클램핑한 후, 검사 공정의 이송 레일(20)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작업자(1)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액정 패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OLED 패널도 상기 트레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패널(10)의 손상 위험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부호 120은 프레임(100)에 안착된 패널(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나타낸다. 즉, 프레임(100)에 안착된 패널(10)과 이 접속부(120)를 프레임(100)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검사 공정에서는 이 접속부(120)에 신호선을 연결하여 패널(10)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트레이를 이용하여 패널(10)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120)를 이용하여 패널(10)의 검사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1)가 이송 레일(20) 상에서 패널(10)의 앞뒷면을 자유롭게 볼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실시예의 트레이를 기본 구조로 하여 그로부터 변형이 가능한 실시예들을 예시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처럼 프레임(100)과 사이즈변경기구(300) 및 클램핑기구(50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즈변경기구(300)를 조정하여 패널(10) 규격에 맞게 프레임(100) 크기를 조정하고 거기에 패널(10)을 안착하여 클램핑기구(500)로 견고하게 클램핑한 후 검사 공정 등에 투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핑기구(500)가 제1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푸쉬레버(210)가 패널(10)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구조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긴 바(bar) 형태의 푸쉬바(510)가 패널(10)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7a 및 도 7b가 이 클램핑기구(500)의 구조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상에 한 쌍의 회전블럭(5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한 쌍의 회전블럭(520)에 상기 푸쉬바(51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7a와 같이 푸쉬바(510)가 들려진 상태에서 패널(10)을 안착부(110)에 얹어놓고, 도 7b와 같이 회전블럭(520)을 회전시키면 상기 푸쉬바(510)가 패널(10)을 눌러서 안착부(110) 상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푸쉬바(510)가 도 7a와 같은 언로킹 상태나 도 7b와 같은 로킹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 안 되므로, 고정핀(530)을 고정블럭(540)을 통해 회전블럭(520)에 끼워 넣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트레이도 패널(10)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여 취급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도 클램핑기구(600)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푸쉬레버(210)나 푸쉬바(510)로 패널(10)을 눌러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벨트(612)를 체결구(620)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프레임(100)에 설치된 복수의 벨트(612)를 체결구(620)를 이용하여 서로 묶음으로써 상기 안착부(110) 반대편에서 패널(10)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패널(10)은 벨트(612)에 의해 구속되어 안착부(1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지지된다. 따라서, 패널(10)을 푸쉬부재 뿐 아니라 이러한 벨트(612)를 이용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트레이가 이송 레일(20: 도 5 참조)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변경시킨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 9a는 트레이 프레임(100)의 상면 쪽을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하면 쪽을 도시한 것인데, 먼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하면에는 상기 이송 레일(20)을 타고 잘 굴러갈 수 있도록 이송용 롤러(7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편인 상면에는 도 9a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7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이송 레일(20)을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710)와 이송용 롤러(720)와 매칭되는 모양으로만 만들어주면, 본 실시예의 트레이를 이용하여 패널(10)을 보다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동시키며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로서, 프레임(100)의 안착부(110)에 복수 개의 완충부재(800)를 설치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즉, 패널(10)의 단부가 프레임(100)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취급 과정에서 자꾸 충돌을 일으키면 파손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 접촉 부위에 완충부재(800)를 설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 완충부재(800)로는 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10)을 보다 더 안전하게 지지하여 혹시 모를 충격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모든 실시예들의 프레임(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0)를 설치하여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패널 20...이송 레일
100...프레임 101,102,103,104,105...조각편
110...안착부 120...접속부
200,500,600...클램핑기구 210...푸쉬레버
211...압박부재 220...스프링
230...지지블럭 300...사이즈변경기구
310...슬라이드바 320...체결볼트
400...손잡이 510...푸쉬바
520...회전블럭 530...고정핀
540...고정블럭 611,612...벨트
620...체결구 710...슬라이드 가이드
720...이송용 롤러 800...완충부재

Claims (12)

  1.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클램핑하는 클램핑기구; 및,
    상기 패널의 규격에 맞게 상기 프레임의 크기를 조정하는 사이즈변경기구;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푸쉬레버와,
    상기 푸쉬레버가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누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블럭;
    상기 한 쌍의 회전블럭에 연결된 푸쉬바;
    상기 푸쉬바가 상기 패널을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누른 상태와 그 누름을 해제한 상태에서 각각 상기 회전블럭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벨트;
    상기 복수의 벨트가 상기 안착부 반대편에서 상기 패널에 밀착되도록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구;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패널의 단부가 닿는 부위에 완충부재가 설치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재질은 우레탄과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의 조각편이 연결된 형태이며,
    상기 사이즈변경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 조각편을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바와,
    상기 복수 조각편을 상기 슬라이드바에 대해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조각편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바를 압착하며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한 변에 이송 레일을 타고 굴러갈 수 있는 이송용 롤러가 설치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이송용 롤러와 대향되는 변에는 상기 이송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설치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패널과의 전기신호 연결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손잡이가 더 구비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KR1020110127256A 2011-11-30 2011-11-3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KR102006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56A KR102006874B1 (ko) 2011-11-30 2011-11-3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US13/537,039 US8950594B2 (en) 2011-11-30 2012-06-28 Tray for flat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256A KR102006874B1 (ko) 2011-11-30 2011-11-3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35A true KR20130060935A (ko) 2013-06-10
KR102006874B1 KR102006874B1 (ko) 2019-08-05

Family

ID=4846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256A KR102006874B1 (ko) 2011-11-30 2011-11-3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50594B2 (ko)
KR (1) KR102006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402B (en) * 2012-11-30 2015-05-27 Control Tech Ltd A mount for electrical equipment
CN107640400B (zh) * 2017-09-14 2019-05-24 南京宝丽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回收平板显示屏包装盒
CN111362000B (zh) * 2020-03-09 2021-08-31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搬运安装机构
CN112188789B (zh) * 2020-09-29 2022-03-11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图形发生器安装结构及液晶面板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558A (ko) * 2004-06-14 2005-12-19 (주)미래컴퍼니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 기판의 4변 에지를 가공하는장치 및 방법
KR20070117188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90117294A (ko) * 2008-05-09 2009-11-12 김현숙 기판에서 전자부품을 제거 및 장착하기 위한 기판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488A (en) * 1987-02-09 1988-07-26 Northern Telecom Limited Circuit board carrier
US5161789A (en) * 1991-08-27 1992-11-10 Rogers Winston L Universal clamping device
US5501436A (en) * 1994-03-30 1996-03-26 Miller; Dennis K. Substrate retention fixture
US5456402A (en) * 1994-04-04 1995-10-10 Transition Automation, Inc. Flexible fixture for SMT board
US5785307A (en) * 1995-12-14 1998-07-28 Chung; Henry Printed circuit board fixture
US5820013A (en) * 1996-07-01 1998-10-13 Innovative Soldering Technologies Adjustable support apparatus for wave solde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US6209859B1 (en) * 1999-10-10 2001-04-03 Henry Chung Universal reflow fixture
US6799714B2 (en) * 2003-03-06 2004-10-05 James Gleason Circuit board pallet with component arm
TWI273000B (en) * 2003-09-30 2007-02-11 Asustek Comp Inc Fix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TWI228955B (en) * 2003-09-30 2005-03-01 Asustek Comp Inc An adjustable fixture of frame shape
US6986210B1 (en) * 2004-02-17 2006-01-17 Conway Dave P Adjustable cutting template
KR20050105598A (ko) 2004-04-30 2005-1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운반용 트레이
KR100711875B1 (ko) * 2005-07-29 2007-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표시장치 제조용 석영 플레이트 지지장치
JP5281874B2 (ja) 2008-11-21 2013-09-04 サイデック株式会社 検査用搬送トレイ
KR101095512B1 (ko) 2009-11-02 2011-12-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제조용 처킹 트레이
JP5731838B2 (ja) 2010-02-10 2015-06-10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トレイ式基板搬送システム、成膜方法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558A (ko) * 2004-06-14 2005-12-19 (주)미래컴퍼니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 기판의 4변 에지를 가공하는장치 및 방법
KR20070117188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90117294A (ko) * 2008-05-09 2009-11-12 김현숙 기판에서 전자부품을 제거 및 장착하기 위한 기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874B1 (ko) 2019-08-05
US20130134112A1 (en) 2013-05-30
US8950594B2 (en)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874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트레이
JP664751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解体装置
KR101773639B1 (ko)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및 수납체 및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운반 차량
KR100795939B1 (ko) 시트 파지장치
JP2012131549A (ja) 梱包容器および梱包体
CN114727487A (zh) 印刷电路板用夹具
KR102582732B1 (ko) 스크라이빙 장치
JP5745994B2 (ja) 組立装置
KR20190093878A (ko) 스크류 수평 자동체결시스템
JP2010111399A (ja) ガラス板梱包体の側方押え装置
CN102832156A (zh) 基板传送手和包括基板传送手的基板传送装置
US10525558B2 (en) Chuck body, machine center, and method for gripping a work object to be processed
KR20210123115A (ko) 흡착위치 및 크기조절가변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흡착장치
KR101548698B1 (ko) 유리판 이송 팔레트
KR20160002285A (ko) 자동 와셔 압입 장치
JP6295061B2 (ja) ガラス板保持具及びガラス板搬送装置
KR101664321B1 (ko) 연료전지 스택 체결 장치
KR100863083B1 (ko) 유리판 적재용 파레트
KR20210000842A (ko)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정 장치
KR101199500B1 (ko) 유리패널을 수직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KR10072839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팔레트
TWI589881B (zh) Carrier locating mechanism of electronic components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equipment for its application
KR101174861B1 (ko) 디스플레이 글래스 테스트기판의 교체장치
CN102500652A (zh) 一种汽车覆盖件表面质量检测装置
JP4374748B2 (ja) ガラス板搬送用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