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156A -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156A
KR20130060156A KR1020120136992A KR20120136992A KR20130060156A KR 20130060156 A KR20130060156 A KR 20130060156A KR 1020120136992 A KR1020120136992 A KR 1020120136992A KR 20120136992 A KR20120136992 A KR 20120136992A KR 20130060156 A KR20130060156 A KR 2013006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power supply
post
sub
guid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803B1 (ko
Inventor
오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국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국산업
Publication of KR2013006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16G11/025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e.g. c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전선케이블의 손상 및 파손 발생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메인포스트(10)와, 상기 메인포스트(10)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력 공급용 전선케이블(1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붐(20)과, 상기 가이드붐(20)으로 부터 연장되는 전선케이블(100)의 지지를 위해 중장비(200)에 설치된 서브포스트(30)로 구성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20)의 일단부에는 전선케이블(100)의 꺽임 방지를 위한 케이블 지지구(4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A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HEAVY}
본 발명은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는 대부분 이동을 위한 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경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필요한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종래 이러한 굴삭기 등의 중장비는 건설현장, 주물공장 또는 폐기물 처리업소 내에서 땅파기, 고철을 절단기 또는 압축기로 운반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굴삭기 등 중장비는 원거리를 주행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엔진을 구동하기 위하여 경유와 같은 연료를 사용한다.
그러면 엔진 가동시 소음이 발생이 심하고, 또 연료가 비싸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엔진 가동시 매연 가스 발생으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원이었다. 특히 기름 및 오일 누출로 지반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작업하는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전기를 공급하여 모터로 유압펌프를 구동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개조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는 작업반경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선이 손상되어 전기공급이 중단되거나 전선에 방해를 받아 작업반경내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전선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시소형의 경우에는 굴삭기가 작업반경을 벗어나더라도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선이 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그에 따른 작업능률저하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작업과정에서 중장비의 위치 이동에 따른 유동시 연결부위에서 전선케이블이 꺽이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메인포스트와, 상기 메인포스트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력 공급용 전선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붐과, 상기 가이드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케이블의 지지를 위해 중장비에 설치된 서브포스트로 구성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의 일단부에는 전선케이블의 꺽임 방지를 위한 케이블 지지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구에는 전선케이블의 지지를 위한 지지고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붐은 회동가능하도록 메인포스트와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포스트측에는 리미트스위치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와 대응되는 가이드붐측에는 가이드붐의 각도변화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작동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장비는 상기 서브포스트의 축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포스트는 서브 리미트스위치와 슬립링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슬립링의 외주면에 소정의 원주거리를 가지고 형성되는 브라킷을 벗어나면 경보음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립링은 상기 서브포스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슬립링 측면에 한 쌍의 브러쉬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 양측에는 탄성스프링이 대칭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붐의 일단부에는 중량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중장비용 전력공급장치는, 가이드붐 선단부의 케이블 지지구 구성을 통해 전선케이블의 꺽임이 방지되어 케이블 손상 및 파손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붐의 숙여지는 각도 변화에 따라 경보 및 전원차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 또 다른 확대도를 나타낸 내부 투시도.
도 6은 도 1의 B부 또 다른 확대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서브포스트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서브포스트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살펴보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메인포스트(10)와, 상기 메인포스트(10)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력 공급용 전선케이블(1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붐(20)과, 상기 가이드붐(20)으로 부터 연장되는 전선케이블(100)의 지지를 위해 중장비(200)에 설치된 서브포스트(30)로 구성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20)의 일단부에는 전선케이블(100)의 꺽임 방지를 위한 케이블 지지구(40)가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지지구(40)에는 전선케이블(100)의 지지를 위한 지지고리(41)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붐(20)은 회동가능하도록 메인포스트(10)와 힌지축(1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포스트(10)측에는 외부 접촉 감지를 위한 리미트스위치(1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2)와 대응되는 가이드붐(20)측에는 가이드붐(20)의 각도변화에 따른 리미트스위치(12)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작동구(22,22')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힌지축(11) 양측에는 가이드붐(20)을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13)이 대칭형태로 구성되었다.
또한, 가이드붐(20)의 일단부에는 가이드붐(20)의 후단부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중량추(50)가 구성되었다.
한편, 가이드붐(20)은 다단 구조를 이루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전력 공급장치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중장비(200)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선케이블(100)을 통해 전달받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중장비(200)의 이동에 따라 전선케이블(100)을 가이드하고 있는 가이드붐(20)의 방향 및 각도의 가변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중장비(200)가 메인포스트(10)와 가까운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중량추(50)의 일정 중량 무게에 의해 가이드붐(20)이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중장비(200)의 위치가 점차 멀어짐에 따라 가이드붐(20)이 점차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전선케이블(100)을 가이드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구(40)가 가이드붐(20) 선단부에서 전선케이블(100)을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과정에서 전선케이블(100)이 급격하게 꺽임으로 인한 파손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포스트(10)측에는 리미트스위치(1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2)와 대응되는 가이드붐(20)측에는 가이드붐(20)의 각도변화에 따른 리미트스위치(12)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작동구(22,22')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붐(20)의 상하운동시 리미트스위치(12)의 신호를 작업자에게 전달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정 각도로 가이드붐(20)이 숙여질 경우에는 일측 작동구(22)가 리미트스위치(12)에 접촉됨으로써 1차경보가 발생되고, 가이드붐(20)이 더욱 숙여질 경우에는 타측 작동구(22')가 리미트스위치(12)에 접촉됨으로써 2차적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스템 가동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힌지축(11) 양측에는 탄성스프링(13)이 대칭형태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붐(20)의 상하 회동시 충격이 흡수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 중장비는 상기 서브포스트(30)의 축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포스트(30) 하단에는 서브 리미트스위치(32)와 슬립링(3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슬립링(33)은 상기 서브포스트(3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슬립링(33) 측면에 한 쌍의 브러쉬(31)가 대칭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31)는 상기 슬립링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러쉬(31)는 단부가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슬립링(33)과 접촉하며 상기 중장비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슬립링(33) 외주면과 마찰접촉하면서 미끄러진다.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는 상기 서브포스트(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립링(33)이 상기 서브 포스트의 회전축을 따라 회동운동을 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슬립링(33)의 외주면에는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를 가압하는 브라킷(34)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킷(34)이 가지는 원주거리 내에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장비는 안전한 작업환경에 있다.
따라서, 상기 중장비가 회전하면 상기 슬립링(3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장비는 작업시 허용되는 회전반경을 이탈하는 순간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는 상기 브라킷(34)의 원주거리를 벗어나게 되며, 그 순간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는 상기 브라킷(34)의 가압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는 위험을 알리는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상기 경보음이 울리면 작업자가 위험을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전력공급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메인포스트 11: 힌지축
12: 리미트스위치 13: 탄성스프링
20: 가이드붐 22,22': 작동구
30: 서브포스트 31: 브러쉬
32: 서브 리미트스위치 33: 슬립링
34: 브라킷 40: 케이블 지지구
41: 지지고리 50: 중량추
100: 전선케이블 200: 중장비

Claims (8)

  1.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메인포스트(10)와, 상기 메인포스트(10)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력 공급용 전선케이블(1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붐(20)과, 상기 가이드붐(2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케이블(100)의 지지를 위해 중장비(200)에 설치된 서브포스트(30)로 구성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20)의 일단부에는 전선케이블(100)의 꺽임 방지를 위한 케이블 지지구(4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구(40)에는 전선케이블(100)의 지지를 위한 지지고리(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20)은 회동가능하도록 메인포스트(10)와 힌지축(1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포스트(10)측에는 리미트스위치(12)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2)와 대응되는 가이드붐(20)측에는 가이드붐(20)의 각도변화에 따른 리미트스위치(12)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작동구(22,2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는 상기 서브포스트(30)의 축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포스트(30)는 서브 리미트스위치(32)와 슬립링(33)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 리미트스위치(32)가 상기 슬립링(33)의 외주면에 소정의 원주거리를 가지고 형성되는 브라킷(34)을 벗어나면 경보음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33)은 상기 서브포스트(3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슬립링(33) 측면에 한 쌍의 브러쉬(31)가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1) 양측에는 탄성스프링(13)이 대칭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붐(20)의 일단부에는 중량추(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KR1020120136992A 2011-11-29 2012-11-29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KR101276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025 2011-11-29
KR20110126025 2011-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156A true KR20130060156A (ko) 2013-06-07
KR101276803B1 KR101276803B1 (ko) 2013-06-20

Family

ID=4885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992A KR101276803B1 (ko) 2011-11-29 2012-11-29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5625B2 (en) 2019-09-03 2024-05-07 Nodum Industries Ltd. Cable suppo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79B1 (ko) * 2017-02-06 2019-05-14 (주)이엘케이엔지니어링 용접기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2604A1 (en) 1998-04-14 1999-10-21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ositions
KR20040089008A (ko) * 2004-09-03 2004-10-20 천중태 연약지반의 다짐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5625B2 (en) 2019-09-03 2024-05-07 Nodum Industries Ltd. Cabl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803B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369B1 (ko) 전기를 이용한 실내작업용 포크레인
KR100727305B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포크레인의 전원공급장치
WO2012115567A1 (en) Mobile crane
KR101276803B1 (ko)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JP2008056411A (ja) 昇降機類におけるカウンターウエイトの昇降警報装置
JP3209342U (ja) 移動式クレーン
KR200387785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4494287B2 (ja) 発電機搭載作業機械
KR200387784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18184783A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ブラケット
JP2012052298A (ja) 油圧ユニット
JP5046138B2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US20170051473A1 (en) Machine counterweight installation and removal
KR20090033606A (ko) 소 선회식 굴삭기의 옵션배관 고정장치
JP2015145307A (ja) 補巻ロープ掛け替え方法
KR101448863B1 (ko)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한 건설중장비
KR200468587Y1 (ko)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KR101568676B1 (ko)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RU98017U1 (ru) Экскаватор карьерный гусеничный
CN214243587U (zh) 一种卷扬副支撑结构、卷扬装置和作业机械
JP2011006902A (ja) 建設機械
CN201161905Y (zh) 用于高空作业平台的具有变幅保护作用的变幅机构系统
US10352023B2 (en) Power connection device
KR200406621Y1 (ko)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
JP5135273B2 (ja) 電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リ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