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79B1 - 용접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용접기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79B1
KR101978179B1 KR1020170016260A KR20170016260A KR101978179B1 KR 101978179 B1 KR101978179 B1 KR 101978179B1 KR 1020170016260 A KR1020170016260 A KR 1020170016260A KR 20170016260 A KR20170016260 A KR 20170016260A KR 101978179 B1 KR101978179 B1 KR 10197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eeder
post
cabl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294A (ko
Inventor
이은왕
Original Assignee
(주)이엘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케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엘케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1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7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무게가 무거운 용접케이블과 피더기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용접 작업시 용접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기용 스탠드{STAND FOR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용접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가 무거운 용접케이블과 피더기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용접 작업시 용접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용접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의 선박건조 과정에서, 선체 블록의 하부에 러그나 기타 다양한 부착물을 붙이기 위하여 오버헤드 자세의 용접이 빈번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오버헤드 용접을 사람에 의해 수행할 경우, 용접 토치를 들고 계속적으로 팔을 위쪽으로 뻗어 장시간 작업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감을 가중시켰으며, 작업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오버헤드 용접작업의 특성상 작업자는 용접토치를 파지한 팔을 일정한 자세로 장시간 유지하거나, 팔을 미세하게 이동해야 하나, 용접케이블의 무게에 의해 작업자의 자세가 불안정하여 작업품질의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CO2 용접을 하는데 있어, 통상 용접기본체에 연결되는 피더기를 사용자가 직접 들고 이동하면서 용접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피더기는 모재릴과, 모터가 탑재되기 때문에 무게가 매우 무겁고, 때문에 작업자는 이동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피더기는 통상 지상에 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연결케이블과, 용접케이블이 지상에 펼쳐지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으로는 "용접기 지지장치가 장착된 용접기(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86616호)"가 있는데, 이러한 선행문헌은 용접토치 부분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술된 피더기와 용접케이블의 무게에 의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866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무게가 무거운 용접케이블과 피더기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용접 작업시 용접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용접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작업 높이에 따라 용접케이블이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도가 가변되는 용접기용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용접토치가 결합된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용접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부에 이동수단이 결합되는 포스트;와, 용접 모재릴과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용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포스트에 고정되는 피더기;와, 상기 포스트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제 1붐대;와, 제 1붐대에 수평 연장되어 피더기에 연결된 용접케이블을 연결하여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제 2붐대;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사선으로 연장된 제 1붐대와 연결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더기는 용접기본체의 연결케이블과 결합되어, 피더기에 연결된 용접케이블과 연설되고, 용접모재가 권취된 모재릴을 결합시키기 위한 릴샤프트가 구비되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피더기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에 고정되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피더기는 포스트에 고정된 힌지봉에 힌지결합되어 전/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포스트에는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더기의 최대 전/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포스트는 두개의 상호 삽입되는 2개의 포스트로 분리 구성되고, 탄성돌기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붐대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연결 단부에는 무게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스탠드에 따르면, 무게가 무거운 용접케이블과 피더기의 이동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높이에 따라 용접케이블이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용접 모재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케이블이 지상에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케이블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의 구성도,
도 3은 피더기의 각도조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포스트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제 1붐대의 각도조절은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무게가 무거운 용접케이블(31)과 피더기(3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용접 작업시 용접케이블(31)이 꼬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용접기용 스탠드(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 용접기는 용접가스탱크(210)와 연결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연결케이블(32)로 연결되는 피더기(30)와, 상기 피더기(30)에 연결되는 용접케이블(3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피더기(30)와 용접케이블(3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피더기(30)에 결합되는 용접케이블(31)을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오버 헤드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스탠드(100)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포스트(10)와, 피더기(30)와, 제 1,2붐대(40,50)와, 지지대(60) 및 탄성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10)는 하부에 이동수단(2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지상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상기 피더기(30)는 용접기의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 모재릴(33)과 컨트롤러(36)를 탑재하기 위해 포스트(10)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피더기(30)는 용접기 본체의 연결케이블(32)과 결합되어, 피더기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과 연설되고, 용접모재가 권취된 모재릴(33)을 결합시키기 위한 릴샤프트(34)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피더기(30)는 모터(M)가 탑재되어 송급롤러(35)를 회전시킴에 의해 모재릴(33)에 권취된 모재를 용접토치(311)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붐대(40)는 상기 포스트(10)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피더기(30)에 결합된 용접케이블(31)을 작업자의 상부까지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붐대(40)는 상기 포스트(10)에 선회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붐대(50)는 상기 제 1붐대(40)에 수평 연장되어 피더기(30)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을 연결하여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기능 한다.
상기 지지대(60)는 포스트(1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 1붐대(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탄성수단(70)은 일정한 장력으로 상기 지지대(60)의 상단부와 사선으로 연장된 제 1붐대(40)와 연결되어 용접케이블(31)의 무게에 의해 제 1붐대(4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포스트(10)에 결합된 이동수단(20)에 의해 피더기(30)를 소망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 2붐대(50)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됨으로써, 용접 작업시 용접케이블(31)이 지상에 밟히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됨으로써, 오버 헤드 용접작업을 장시간에 걸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더기(30)에 결합된 용접케이블(31)은 제 1붐대(40)와 제 2붐대(50)를 통해 가이드 됨으로써 급격히 꺽이는 구간을 없애 모재의 공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스탠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피더기의 각도조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포스트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제 1붐대의 각도조절은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피더기(30)는 전/후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스트(1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제 1붐대(40) 역시 포스트(1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피더기(30)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1)가 더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피더기(30)는 포스트(10)에 고정된 힌지봉(111)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11)와의 간격만큼 전/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피더기(30)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의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케이블(31)이 당겨지면 피더기(30)의 전단이 상향으로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포스트(10)에는 도 3의 (C)와 같이, 나사 결합되는 너트(12)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더기(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결국, 피더기(30)의 최대 전/후 각도 변경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포스트(10) 역시 상호 삽입되는 2개의 포스트(10)로 분리 구성되고, 탄성돌기(13)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상기 제 1붐대(40)는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연결 단부에는 무게추(41)가 결합되어 제 1붐대(4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작업자가 포스트(10)의 높이 보다 높은 지점에서 용접할 경우, 용접케이블(31)이 급격히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작업자로 하여금 용접케이블(31)의 무게를 가감하여 보다 편리하게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포스트 11: 플레이트 111: 힌지봉
12: 너트 13: 탄성돌기
20: 이동수단
30: 피더기 31: 용접케이블 311: 용접토치
32: 연결케이블 33: 모재릴
34: 릴샤프트 35: 송급롤러
36: 컨트롤러
40: 제 1붐대 41: 무게추
50: 제 2붐대
60: 지지대
70: 탄성수단
100: 용접기용 스탠드 M: 모터
200: 본체 210: 용접가스탱크

Claims (5)

  1. 용접토치(311)가 결합된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용접기용 스탠드에 있어서,
    하부에 이동수단(20)이 결합되는 포스트(10);
    용접 모재릴(33)과 컨트롤러(36)를 탑재하고, 용접케이블(31)을 연결하기 위해 포스트(10)에 고정되는 피더기(30);
    상기 포스트(10)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제 1붐대(40);
    제 1붐대(40)에 수평 연장되어 피더기(30)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을 연결하여 용접케이블(31)이 작업자의 상부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제 2붐대(5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대(60);
    상기 지지대(60)에 연결되어 사선으로 연장된 제 1붐대(40)와 연결되는 탄성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더기(30)는 용접기 본체의 연결케이블(32)과 결합되어, 피더기(30)에 연결된 용접케이블(31)과 연설되고, 용접모재가 권취된 모재릴(33)을 결합시키기 위한 릴샤프트(34)가 구비되고,
    상기 피더기(30)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포스트(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피더기(30)는 포스트(10)에 고정된 힌지봉(111)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11)에 의해 제한된 각도범위 내에서 전/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스트(10)에는 나사 결합되는 너트(12)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더기(30)와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더기(30)의 최대 전/후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는 상호 삽입되는 2개의 포스트로 분리 구성되고, 탄성돌기(13)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스탠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붐대(40)는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연결 단부에는 무게추(4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스탠드.
KR1020170016260A 2017-02-06 2017-02-06 용접기용 스탠드 KR10197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60A KR101978179B1 (ko) 2017-02-06 2017-02-06 용접기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60A KR101978179B1 (ko) 2017-02-06 2017-02-06 용접기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294A KR20180091294A (ko) 2018-08-16
KR101978179B1 true KR101978179B1 (ko) 2019-05-14

Family

ID=6344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60A KR101978179B1 (ko) 2017-02-06 2017-02-06 용접기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355A (ja) * 2005-02-23 2006-09-07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ヒューム吸引トーチスタンド
KR101276803B1 (ko) * 2011-11-29 2013-06-20 주식회사 3국산업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KR101477342B1 (ko) * 2012-05-30 2014-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용가재 송급 보조 장치
KR101529228B1 (ko) * 2014-07-04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470A (ja) * 1994-03-11 1995-09-26 Babcock Hitachi Kk 溶接用ワイヤ送給装置
KR200460522Y1 (ko) * 2010-10-20 2012-05-25 송영대 H빔 가용접용 터닝 보조받침대
KR20140001346U (ko) * 2012-08-27 2014-03-07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오버헤드 용접용 스탠드
KR101686616B1 (ko) 2016-04-12 2016-12-14 주식회사 가람 용접기 지지장치가 장착된 용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355A (ja) * 2005-02-23 2006-09-07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ヒューム吸引トーチスタンド
KR101276803B1 (ko) * 2011-11-29 2013-06-20 주식회사 3국산업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KR101477342B1 (ko) * 2012-05-30 2014-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용가재 송급 보조 장치
KR101529228B1 (ko) * 2014-07-04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294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4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welding and gouging operations
JP6467097B1 (ja) モノレール式ゴンドラ
JP6009229B2 (ja) 溶接機
KR20170134107A (ko) 티그용접 토치 어셈블리 및 티그 자동용접장치
CN101786194A (zh) 手控送丝tig逆变焊机
KR101978179B1 (ko) 용접기용 스탠드
KR101496226B1 (ko)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작업용 곤도라
KR101084575B1 (ko) 자동 용접장치
CN211248735U (zh) 一种二氧化碳气体保护焊辅助悬空架
US3501613A (en) Support apparatus
KR101506112B1 (ko) 용접 토치 높이 조절장치
KR20180004626A (ko) 수직 및 수평 자동용접장치와 수평 자동용접장치
CN201807819U (zh) 手控送丝tig逆变焊机
KR101620712B1 (ko) 철근 공급장치
KR101455475B1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KR20140002934U (ko) 자동용접 장치
US10994973B2 (en) Wire pulling wincher
CN113889916A (zh) 一种配电线路多功能紧线作业平台
JP2019023130A (ja) クレーン
CN208749114U (zh) 一种卸料平台的拼接装置
JP7012925B2 (ja) 溶接支援システム
JP3077178U (ja) 溶接クライマーの安全装置
CN220860532U (zh) 一种安全带悬挂结构
JP4855067B2 (ja) 溶接機用吊下装置
CN217840921U (zh) 预应力锚索钢绞线安全防护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