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565A - 토크 센서 - Google Patents

토크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565A
KR20130059565A KR1020110125601A KR20110125601A KR20130059565A KR 20130059565 A KR20130059565 A KR 20130059565A KR 1020110125601 A KR1020110125601 A KR 1020110125601A KR 20110125601 A KR20110125601 A KR 20110125601A KR 20130059565 A KR20130059565 A KR 2013005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housing
torque sensor
magnet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780B1 (ko
Inventor
우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80B1/ko
Priority to EP12168924.4A priority patent/EP2600129A3/en
Priority to US13/483,911 priority patent/US8939038B2/en
Priority to JP2012195963A priority patent/JP6042667B2/ja
Priority to CN201210496297.6A priority patent/CN103134628B/zh
Publication of KR2013005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센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에 따라 자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자기소자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보스; 및 상기 고정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 플럭스를 가이드 하여 자기장을 집중하는 콜렉터(collector);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보스는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열 융착되어, 상기 콜렉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크 센서{Torque Index Sensor}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동력으로 보조하는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보조 조향장치를 유압을 이용한 장치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동력의 손실이 적고 정확성이 우수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속센서,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장치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힘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나 조향각 뿐만 아니라, 조향각속도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향축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앵글센서를 사용하고, 조향 토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크센서를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TAS)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향각이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토크 앵글 센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장이나 오작동의 확률이 높아, 인덱스 센서(Index Sensor) 방식의 토크 인덱스 센서(Torque Index Sensor: TIS)가 사용되기도 한다.
토크 센서의 일반적인 구성은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41468호(2011. 04. 21. 공개)에 기재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제1축에 작용하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로서, 규정된 회전 각 및/또는 규정된 회전 각 범위에 관하여 제1축의 각 위치를 검출 및/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 각 인덱스 유닛을 구비하는 센서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토크 센서에는 마그네트의 자기 플럭스(flux)를 집중시키기 위한 부품으로 콜렉터(collector)가 마련된다. 이 콜렉터는 하우징에 고정되는데, 만일 콜렉터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느슨하게 되면, 콜렉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거리가 불균일해지면서, 센서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동식 조향장치(EPS)에 적용되는 토크센서의 경우, 상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인 80 내지 125℃에서 동작하므로,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콜렉터를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신뢰성이 보장되는 콜렉터 고정구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1468호(2011.04.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온에서도 콜렉터가 이탈됨 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토크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센서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에 따라 자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자기소자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보스; 및 상기 고정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 플럭스를 가이드 하여 자기장을 집중하는 콜렉터(collector);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보스는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열 융착되어, 상기 콜렉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콜렉터는, 상기 콜렉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콜렉터는, 상기 제 1 자기소자를 중심으로 2개가 한 쌍이 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콜렉터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자기소자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인덱스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 2 자기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공은, 상기 콜렉터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콜렉터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면 접촉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용 보스가 콜렉터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한 후 열 융착 되므로, 토크 센서가 장기간 고온 상태에서 동작하더라도, 콜렉터가 이탈됨 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의 주요 구성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크 센서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의 주요 구성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는 하우징(1), 스테이터(10), 마그네트(20), 인쇄회로기판(3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보스(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10)에는 상기 고정 보스(2)가 관통 결합하는 통공(12)을 가지는 콜렉터(11)가 마련된다.
하우징(1)은 토크 센서의 외곽을 구성하는 것으로, 수지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금속재질과 같이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은 미도시된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 상에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회전축의 회전에 장애를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 보스(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보스(2)는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1개와, 양단에 대칭으로 2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10)는 투스(tooth)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에 상기 마그네트(20)의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콜렉터(11)가 마련된다.
상기 콜렉터(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10)의 상측 및 하측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20)의 자기 플럭스를 가이드 하여 자기장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콜렉터(11)에는, 상기 고정 보스(2)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공(12)은 2개가 마련되되, 상기 하우징(1)과 면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콜렉터(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보스(2)는 상기 통공(12)을 통과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융착되어 나사 머리 형상의 헤드(2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드(2a)는, 상기 콜렉터(11)를 상기 하우징(1)의 내면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콜렉터(11)를 하우징(1)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통공(12)을 통과한 고정 보스(2)를 핫 프레스 하면,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 보스(2)는 납작하게 눌리면서 헤드(2a)를 형성하면서 상기 콜렉터(11)와 밀착된다. 상기 헤드(2a)는, 상기 콜렉터(11)를 상기 하우징(1)의 내측면으로 가압하여 면 접촉 상태로 고정한다.
마그네트(20)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스테이터(10)의 내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인쇄회로기판(30)에는 상기 마그네트(3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의 토크 시그널을 감지하는 제 1 자기소자(31)가 설치 된다. 상기 제 1 자기소자(31)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리니어 홀 소자(Linear Hall IC)를 사용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센서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필요할 경우, 미도시된 회전축의 회전 시그널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인덱스 마그네트(4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인덱스 마그네트(40)는,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위치 변경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상기 인덱스 마그네트(40)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자기소자(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자기소자(32)는 상기 인덱스 마그네트(40)의 회전을 펄스 신호로 감지하여, 상기 회전축의 조향각 계산을 위해 인덱스 펄스 시그널을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자기소자(32)는 홀 스위치로 마련되어, 인덱스 펄스 시그널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콜렉터(11)를 하우징(1)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에 일체로 마련된 고정 보스(2)를 콜렉터(11)에 관통 형성된 통공(12)을 통과시킨 후에 열 융착 하기 때문에, 고온 상태에서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콜렉터(11)가 항상 하우징(1)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콜렉터(11)와 마그네트(20)와 항상 일정간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센서 측정값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공(12)을 통과한 고정 보스(2)를 열 융착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게 눌려서 헤드(2a)를 형성하면, 상기 헤드(2a)와 콜렉터(11) 사이의 접촉 면적만큼의 압력으로 상기 콜렉터(11)를 하우징(1) 측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단단하게 결합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하우징 2; 회전축
10; 스테이터 20; 마그네트
30; 인쇄회로기판 31; 제 1 자기센서
32; 제 2 자기센서 40; 인덱스 마그네트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에 따라 자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자기소자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보스; 및
    상기 고정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 플럭스를 가이드 하여 자기장을 집중하는 콜렉터(collector);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보스는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열 융착되어, 상기 콜렉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는 토크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가지는 토크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제 1 자기소자를 중심으로 2개가 한 쌍이 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 대칭으로 설치되는 토크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자기소자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토크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인덱스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제 2 자기소자;를 더 포함하는 토크 센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콜렉터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토크 센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콜렉터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면 접촉 부분에 형성되는 토크 센서.
KR1020110125601A 2011-11-29 2011-11-29 토크 센서 KR10186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01A KR101863780B1 (ko) 2011-11-29 2011-11-29 토크 센서
EP12168924.4A EP2600129A3 (en) 2011-11-29 2012-05-22 Torque sensor
US13/483,911 US8939038B2 (en) 2011-11-29 2012-05-30 Torque sensor
JP2012195963A JP6042667B2 (ja) 2011-11-29 2012-09-06 トルクセンサ
CN201210496297.6A CN103134628B (zh) 2011-11-29 2012-11-28 扭矩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01A KR101863780B1 (ko) 2011-11-29 2011-11-29 토크 센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422A Division KR101968509B1 (ko) 2018-05-28 2018-05-28 토크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65A true KR20130059565A (ko) 2013-06-07
KR101863780B1 KR101863780B1 (ko) 2018-06-01

Family

ID=4619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01A KR101863780B1 (ko) 2011-11-29 2011-11-29 토크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9038B2 (ko)
EP (1) EP2600129A3 (ko)
JP (1) JP6042667B2 (ko)
KR (1) KR101863780B1 (ko)
CN (1) CN10313462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19A (ko) * 2014-01-08 2015-07-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WO2018124723A1 (ko) * 2016-12-28 2018-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WO2019022325A1 (ko) * 2017-07-24 2019-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1137A1 (de) * 2012-10-27 2014-04-3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enso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Sensoreinrichtung
DE102013006379A1 (de) * 2013-04-13 2014-10-1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ensorvorrichtung mit einer Drehmomentsensoreinrichtung und einer Inkrementalsenso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JP6171694B2 (ja) * 2013-08-02 2017-08-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209476B2 (ja) * 2014-03-27 2017-10-04 株式会社ショーワ センサユニット、トルク検出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302710B2 (en) 2014-09-26 2019-05-28 Bour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balancing/cancellation of magnetic interference in a magnetic sensor
KR102288523B1 (ko) * 2014-12-30 202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DE102016211450A1 (de) * 2016-06-27 2017-12-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torlagensensorbaugruppe mit beidseitiger Sensoranordnung und Kupplungsausrücksystem
KR102363168B1 (ko) * 2017-04-25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장치
JP7124566B2 (ja) * 2018-08-29 2022-08-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センサ装置
FR3093181B1 (fr) * 2019-02-25 2021-05-07 Moving Magnet Tech Capteur de position, notamment destiné à la détection de la torsion d'une colonne de direc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183A (ja) * 2002-08-29 2004-03-25 Unisia Jkc Steering System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トルクセンサ
US20040261546A1 (en) * 2002-06-12 2004-12-30 Klaus Wilczek Wide angle, rotation angle sensor
JP2006329685A (ja) * 2005-05-24 2006-12-07 Hitachi Ltd トルクセンサ
KR20090004289A (ko) * 2007-07-07 2009-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090003513U (ko) * 2007-10-11 2009-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10041468A (ko) 2008-07-14 2011-04-21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회전 각 인덱스 검출을 갖는 토크 센서 장치
KR20110055849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962A1 (de) * 2004-01-20 2005-07-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s lenkwinkels und eines an einer lenkwelle ausgeübten drehmoments
CN101341383A (zh) * 2005-10-21 2009-01-07 石通瑞吉控制装置公司 包括磁化轴的传感器系统
JP4871014B2 (ja) * 2006-04-24 2012-02-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5183036B2 (ja) * 2006-06-23 2013-04-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及びヨーク組立体の製造方法
JP4978774B2 (ja) * 2006-11-08 2012-07-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角検出装置の実装構造
JP4273363B2 (ja) * 2006-11-21 2009-06-03 日立金属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装置、回転機、及び回転角度検出法
EP2136212A4 (en) * 2007-03-28 2012-07-25 Ntn Toyo Bearing Co Ltd ROTATION SENSOR
WO2008120739A1 (ja) * 2007-03-29 2008-10-09 Jtekt Corporation トルク検出装置
US7855740B2 (en) * 2007-07-20 2010-12-21 Eastman Kodak Company Multiple component readout of image sensor
FR2919385B1 (fr) * 2007-07-24 2009-10-09 Moving Magnet Tech Mmt Capteur magnetique sans contact de position absolue multitour a arbre traversant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101509509B1 (ko) * 2008-06-11 2015-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101506732B1 (ko) * 2008-08-19 2015-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향용 복합센싱장치
DE102008042791A1 (de) * 2008-10-13 2010-04-1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s Drehwinkels eines drehbaren Teils
JP5513838B2 (ja) * 2009-10-21 2014-06-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9047222A1 (de) * 2009-11-27 2011-06-01 Robert Bosch Gmbh Sensoranordnung zum Ermitteln eines Drehmoments und zur Indexerkennung
FR2953805B1 (fr) * 2009-12-15 2011-12-30 Ratier Figeac Soc Dispositif de pilotage d'un aeronef a elements magneto-sensibles de detection de position angulaire montes hors axe
JP5513902B2 (ja) * 2010-01-12 2014-06-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KR101633127B1 (ko) * 2010-03-30 2016-06-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20027658A (ko) * 2010-09-13 2012-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인덱스 센서
US8448528B2 (en) * 2010-09-27 2013-05-28 Bourns Incorporated Three-piece torque sensor assembly
KR101814804B1 (ko) * 2011-04-15 2018-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1546A1 (en) * 2002-06-12 2004-12-30 Klaus Wilczek Wide angle, rotation angle sensor
JP2004093183A (ja) * 2002-08-29 2004-03-25 Unisia Jkc Steering System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トルクセンサ
JP2006329685A (ja) * 2005-05-24 2006-12-07 Hitachi Ltd トルクセンサ
KR20090004289A (ko) * 2007-07-07 2009-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090003513U (ko) * 2007-10-11 2009-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10041468A (ko) 2008-07-14 2011-04-21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회전 각 인덱스 검출을 갖는 토크 센서 장치
KR20110055849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19A (ko) * 2014-01-08 2015-07-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WO2018124723A1 (ko) * 2016-12-28 2018-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US10814909B2 (en) 2016-12-28 2020-10-27 Lg Innotek Co., Ltd. Torque sensor and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673604B2 (en) 2016-12-28 2023-06-13 Lg Innotek Co., Ltd. Torque sensor
WO2019022325A1 (ko) * 2017-07-24 2019-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센서
US11958555B2 (en) 2017-07-24 2024-04-16 Lg Innotek Co., Ltd. Torqu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129A2 (en) 2013-06-05
CN103134628B (zh) 2017-11-24
KR101863780B1 (ko) 2018-06-01
US8939038B2 (en) 2015-01-27
JP2013113845A (ja) 2013-06-10
US20130133437A1 (en) 2013-05-30
CN103134628A (zh) 2013-06-05
EP2600129A3 (en) 2014-01-29
JP6042667B2 (ja)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9565A (ko) 토크 센서
KR102120313B1 (ko) 토크 인덱스 센서
JP5580427B2 (ja) 操向トルク及び操向角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車両用操向装置
EP2314499B1 (en) Power Steering Device
US9366590B2 (en) Torque sensor for measuring torsion of steering column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288523B1 (ko)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EP2314498B1 (en) Manifold sensing apparatus for steering
KR20090097378A (ko)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20100006435U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102142532B1 (ko) 토크 센서
KR101884229B1 (ko) 토크센서
KR101730547B1 (ko) 토크 앵글 센서모듈
KR101675531B1 (ko)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JP2021084627A (ja) トルク・角度センサ
KR20120133404A (ko) 토크앵글센서
KR101968509B1 (ko) 토크 센서
KR20130044417A (ko) 토크 인덱스 센서
KR200470312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센서
KR200461826Y1 (ko) 토크 앵글 센서 모듈의 인쇄회로기판
KR20130064234A (ko) 토크 센서
KR102441128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JP2012122982A (ja)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470046Y1 (ko) 일렉트릭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KR20160081137A (ko) 토크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각 센싱장치
KR20220087012A (ko) 센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