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342A -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342A
KR20130057342A KR1020110123197A KR20110123197A KR20130057342A KR 20130057342 A KR20130057342 A KR 20130057342A KR 1020110123197 A KR1020110123197 A KR 1020110123197A KR 20110123197 A KR20110123197 A KR 20110123197A KR 20130057342 A KR20130057342 A KR 2013005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unting
main body
mis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554B1 (ko
Inventor
김배남
김영철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1012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미스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이동 중에도 쉽게 조작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저장 탱크;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하향 유도하는 유로; 상기 유로의 끝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 하향 유도되는 액상 물질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판; 상기 초음파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일측은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거치 기구가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 각도 조정이 쉬워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미스트 분출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MIST GENERATION APPARATUS HAVING HOLD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미스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이동 중에도 쉽게 조작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5708호(2010년04월06일 공개, 발명의 명칭 "휴대용 초음파 미스트 발생장치")에는 휴대용의 미스트 발생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문헌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는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고 있으며, 액체 수용 탱크와, 상기 탱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액체를 초음파 진동시키고, 그 액면으로부터 액주를 분출시키고, 상기 액주에 의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액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액주를 충돌시키고, 그 높이를 제한하고, 상기 액주 방울을 상기 액주의 주위로 인도하고, 상기 액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액주 방울을 상기 액면으로 낙하시키는 돔상의 커버와, 상기 탱크에 접속된 노즐과, 에어를 상기 탱크에 보내는 팬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미스트를 보내고, 이것을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커버는 평면에서 보아 다각형상의 것으로, 다수의 코너를 가지고, 상기 액주 방울이 상기 각 코너로부터 낙하되도록 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059479호(2011년08월19일 등록, 발명의 명칭"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에는 미용을 위한 휴대용의 미스트 발생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문헌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면서 액체 형태의 화장수가 채워지는 화장수 탱크, 상기 화장수 탱크의 내측과 연결됨과 더불어 일단이 케이스 바깥으로 노출되어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케이스 바깥 방향으로 내뿜는 분사 노즐, 상기 케이스 바깥면에 설치되어 케이스 바깥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수단, 및 상기 화장수 탱크에 채워진 액체 형태의 화장수를 진동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기체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기체 형태로 변환된 화장수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분사 노즐 바깥으로 내보내는 화장수 기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미스트 발생 장치는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는 미스트 분출공에 잔류하는 액상 물질이 얼어 이의 즉시 사용이 어렵고, 이의 작동 조작이 2단계로 이루어져 그 사용이 불편하며, 차량에의 안전한 거치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 사용에 있어 불편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5708호 (2010년04월06일 공개, 발명의 명칭 "휴대용 초음파 미스트 발생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059479호 (2011년08월19일 등록, 발명의 명칭"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의 거치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미스트 분출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스트 발생 조작이 쉬우면서도 단일 조작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이동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스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스트 발생 조작의 반복 없이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미스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저장 탱크;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하향 유도하는 유로;
상기 유로의 끝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 하향 유도되는 액상 물질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판;
상기 초음파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일측은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량 거치 기구는, 일측에는 상기 미스트 본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에는 구형의 볼(ball)이 형성되어 있는 미스트 본체 홀더; 상기 미스트 본체 홀더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볼(ball)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홀더;와 상기 볼 홀더를 씌우는 볼 홀더 캡; 및 상기 볼 홀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량 거치부는, 일측은 상기 볼 홀더에 결합되고 타측은 갈고리 형상의 거치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그와, 상기 레그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치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를 갖는 거치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레그의 몸통에는, 상기 레그의 몸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진입홈이 외주면 양편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진입홈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그 몸통의 길이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이동부에는, 상기 거치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편에 상기 레그의 몸통에 형성되어 있는 진입홈으로 양편이 진입하여 상기 길이 방향 후방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거치 이동부는, 상기 거치 고정부쪽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거치 이동부의 후방에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편이 지지되는 거치 이동부의 후방과 레그 몸통에 상기 압축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는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판, 상기 가열부 또는 이 둘 모두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면 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슬라이딩되는 본체의 슬라이딩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거치 기구가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그 각도 조정이 쉬워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미스트 분출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의 액상 물질이 중력에 의해 유로에 자동적으로 채워지므로 펌프 등의 고장 등에 의해 미스트 발생이 저지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진동판의 전면에 장착되는 가열부에 의해 겨울과 같은 혹한기에도 초음파 진동판에 잔류하는 방향제, 보습제, 졸음방지용액 등의 액상 물질이 빠르게 해동되어 즉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커버의 내림 조작에 의해서 가열부의 가열과 초음파 진동판의 진동이 동시에 이루어져 차량의 이동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차량 거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차량 거치 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는 차량에의 거치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차량에의 거치를 위해 거치 이동부를 후퇴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의 작동 중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판과 가열부의 상호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발생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차량 거치 기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차량 거치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5에는 차량에의 거치 전 모습이, 도 6에는 차량에의 거치를 위해 거치 이동부를 후퇴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의 작동 중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진동판과 가열부의 상호 관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는 본체(10),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저장 탱크(12),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판(14), 초음파 진동판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15), 슬라이드 커버(20) 및 필요에 따른 차량 거치 기구(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발생 장치의 몸통을 이루며, 본체(10)의 상부에는 액체 저장 탱크(12)가 배치된다.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탱크(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스트 발생 부위의 후방으로 유체가 하향 유도되게 경사져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액체 저장 탱크(12)의 주변으로는 청색 LED를 장착하여 이의 장착 주변에 청량감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액체 저장 탱크(12)는 본체(1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액체 저장 탱크(12)의 이와 같은 장착 방식은 액상 물질의 충전과 교체 측면에서 유리하다. 액체 저장 탱크(12)에는 미스트 발생 대상 액체로서, 예를 들어 보습제, 방향제, 졸음방지용액 등의 채워진다. 이외에도, 액체 저장 탱크(12)에는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액상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액체 저장 탱크(12)의 하부에는 액체 저장 탱크(12)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하향 유도하는 유로(1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로(13)의 끝에는 상기 액체 저장 탱크(12)로부터 하향 유도되는 액상 물질을 초음파 진동시켜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판(14)이 장착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판(14)은 액체 저장 탱크(12)로부터의 미스트화된 액상 물질을 분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출공을 갖는다.
초음파 진동판(14)의 전방에는 초음파 진동판(14)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공이 겨울철 등의 혹한기 환경 하에 얼었을 때 이의 해동을 돕는 초음파 진동판 가열용의 가열부(15)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가열부(15)는 상기 초음파 진동판(14)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에 잔류하는 미스트 발생 대상으로서의 액상 물질이 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초음파 진동판(14)을 가온 또는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열부(15)는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판(14)의 중앙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공과 중첩되지 않게 초음파 진동판(14)의 테두리 부분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열부(15)는 자체적으로 또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열선으로 구성된 가열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초음파 진동판(14)과 가열부(15)의 결합 방식은 나사식의 결합 방식 또는 별도의 부착 수단에 의한 부착 등의 다양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열부(15)의 작동은 초음파 진동판(14)의 작동과 연계되어 동시에 작동되거나 초음파 진동판(14)의 작동 바로 전에 작동될 수 있다. 이들의 작동은 후술되어 있는 작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초음파 진동판(14) 및/또는 가열부(15)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16)에 의한 전원에 의해 작동되며, 이러한 전원으로는 건전지 타입의 배터리, 충전형 내장 배터리 또는 차량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DC 전원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형 내장 배터리는 USB 포트 등으로 공급되어 충전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판(14) 및/또는 가열부(15)는 상기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의해 직접 작동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의 전면에 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초음파 진동판(14)을 외부로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20)의 개방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커버(20)가 슬라이딩되는 본체(10)의 슬라이딩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7)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17)로부터 감지된 신호는 스위칭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상기 초음파 진동판(14) 및/또는 가열부(15)가 작동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커버(20)가 슬라이딩되는 본체(10)의 슬라이딩면에 센서(17)가 장착되어 있으나, 슬라이드 커버(20)의 슬라이딩면에 센서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17)의 종류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작동이 편리하고 고장 발생이 덜한 자력 센서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의 개방 조작을 감지하여 초음파 진동판(14) 및/또는 가열부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 제어하는 센서(17)와 스위칭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여 작동 제어부로 언급된다. 물론, 상기한 센서(17)와 스위칭부 이외의 다른 제어 및 작동 수단도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작동 제어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스트 발생 장치의 본체(10)를 파지하여 이를 차량의 내부, 예를 들어 에어컨 등의 송풍구에 거치하여 이의 사용을 돕는 차량 거치 기구(30)가 마련된다.
이러한 차량 거치 기구(30)는 일측은 미스트 발생 장치의 본체(10)를 파지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거치 기구(30)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미스트 본체(10)의 파지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미스트 본체(10)를 다양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구형의 볼(34)이 형성되어 있는 미스트 본체 홀더(31)가 포함된다. 상기 파지부(32)와 상기 볼(34)은 일직선으로 또는 일정한 각도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일정한 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 탑승자가 미스트 발생 장치를 임의적인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또한, 차량 거치 기구(30)에서는, 상기한 미스트 본체 홀더(31)에 형성되어 있는 볼(34)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홀더(36)와 상기 볼 홀더(36)를 씌우는 볼 홀더 캡(38)이 구비된다. 볼 홀더(36)와 볼 홀더 캡(38)은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해, 볼 홀더(36)에 수용된 볼(34)이 볼 홀더 캡(38)의 체결에 따라 보다 확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 거치 기구(30)에서는, 상기 볼 홀더(36)의 후방에,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부(40)가 결합된다.
이러한 차량 거치부(40)는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볼 홀더(36)에 결합되고 타측은 갈고리 형상의 거치 고정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레그(42)와 레그(4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치 고정부(42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를 갖는 거치 이동부(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42)의 몸통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42) 몸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진입홈(43a)이 이의 외주면 양편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그(42)의 몸통에는 상기 진입홈(43a)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그 몸통의 길이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딩홈(43b)이 이의 외주면 양편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입홈(43a)에는 상기 슬라이딩홈(43b) 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어 있는 거치 이동부(44)의 진입 후 이의 이탈이 방지된다.
거치 이동부(4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42)에 마련되어 있는 갈고리 형상의 상기 거치 고정부(42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편에 상기 레그(42)의 몸통에 형성되어 있는 진입홈(43a)으로 양편이 진입하여 상기 길이 방향 후방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43b)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편(45)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 이동부(44)와 레그(42)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거치 이동부(44)에 마련된 슬라이드편(45)이 레그(42)의 진입홈(43a)으로 진입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홈(43b)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 동작하므로 차량 거치 기구(30)를 차량의 내부 원하는 곳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거치 기구(30)의 보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상기 거치 이동부(44)가 상기 거치 고정부(42a)쪽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거치 이동부(44)의 후방에 탄성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48)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압축 스프링(48)이 이탈 없이 보다 확실하게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압축 스프링(48)의 양편이 지지되는 거치 이동부의 후방과 레그 몸통에 상기 압축 스프링(48)이 끼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는 돌기부(47a, 47b)가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2 : 액체 저장 탱크
13 : 유로 14 : 초음파 진동판
15 : 가열부 17 : 센서
20 : 슬라이드 커버 30 : 차량 거치 기구
31 : 미스트 본체 홀더 32 : 파지부
34 : 볼 36 : 볼 홀더
38 : 볼 홀더 캡 40 : 차량 거치부
42 : 레그 42a : 거치 고정부
43a : 진입홈 43b : 슬라이딩홈
44 : 거치 이동부 45 : 슬라이드편
47a, 47b : 돌기부 48 : 압축 스프링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저장 탱크;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의 액상 물질을 하향 유도하는 유로;
    상기 유로의 끝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 탱크로부터 하향 유도되는 액상 물질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판;
    상기 초음파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일측은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치 기구는,
    일측에는 상기 미스트 본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에는 구형의 볼(ball)이 형성되어 있는 미스트 본체 홀더;
    상기 미스트 본체 홀더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볼(ball)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홀더;와 상기 볼 홀더를 씌우는 볼 홀더 캡; 및
    상기 볼 홀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치부는,
    일측은 상기 볼 홀더에 결합되고 타측은 갈고리 형상의 거치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그와,
    상기 레그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거치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를 갖는 거치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몸통에는,
    상기 레그의 몸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진입홈이 외주면 양편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진입홈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그 몸통의 길이 방향 후방으로 슬라이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이동부에는,
    상기 거치 고정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편에 상기 레그의 몸통에 형성되어 있는 진입홈으로 양편이 진입하여 상기 길이 방향 후방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 이동부에는, 상기 거치 고정부쪽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거치 이동부의 후방에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편이 지지되는 거치 이동부의 후방과 레그 몸통에 상기 압축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하는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판, 상기 가열부 또는 이 둘 모두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면 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슬라이딩되는 본체의 슬라이딩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초음파 진동판 또는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탱크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KR1020110123197A 2011-11-23 2011-11-23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KR10127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97A KR101277554B1 (ko) 2011-11-23 2011-11-23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97A KR101277554B1 (ko) 2011-11-23 2011-11-23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42A true KR20130057342A (ko) 2013-05-31
KR101277554B1 KR101277554B1 (ko) 2013-06-21

Family

ID=4866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97A KR101277554B1 (ko) 2011-11-23 2011-11-23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2A1 (ko) * 2014-10-28 2016-05-06 (주)네추럴리즘 에어브러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269B2 (ja) * 2008-07-09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ミスト発生装置
KR101133467B1 (ko) * 2009-10-20 2012-04-09 강경호 차량용 거치대
KR101059479B1 (ko) * 2011-02-11 2011-08-25 (주)한동알앤씨 미용을 위한 휴대용 미스트 발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52A1 (ko) * 2014-10-28 2016-05-06 (주)네추럴리즘 에어브러시
US10265716B2 (en) 2014-10-28 2019-04-23 Ya-Man Ltd. Air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554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412B2 (en) Atomizer
US20230381013A1 (en) Rollable device with features aiding soft tissue release and muscle loosening
JP3140444U (ja) 携帯用水分供給器
KR100877000B1 (ko) 메탈 필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수분공급기
US20130082083A1 (en) Fastener driving tool with portable pressurized power source
US20100059602A1 (en) Substance dispenser
JP6914930B2 (ja) 無菌エアゾールミスト化デバイス
EP3072385B1 (en) Battery powered blower
US20140209631A1 (en) Energy saving electric soap dispenser
US20220118373A1 (en) Toy system
KR101277554B1 (ko) 차량 거치형의 미스트 발생 장치
KR100807726B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20130057341A (ko) 미스트 발생 장치
KR101155302B1 (ko) 진동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수분공급장치
JP6096570B2 (ja) 美容器具
KR101323067B1 (ko) 재충전 화장품 충전 시스템
JP2015051194A (ja) 噴霧器
JP5878753B2 (ja) ミスト発生装置
KR200470979Y1 (ko) 호신용 경보기능을 갖는 화장품용기
CN114173916A (zh) 气雾剂容器的搅拌装置、移动体的喷出装置和喷出方法、气雾剂容器的温度调节装置、温度保持装置、温度调节方法和温度保持方法
KR20230108376A (ko) 히든식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충전 시스템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CN116391913A (zh) 超声波雾化设备及其雾化装置
CA2849481C (en) Fastener driving tool with portable pressurized power source
CN114012995A (zh) 超声波切水口及清洗一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