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770A - 조리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리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770A
KR20130056770A KR1020110122528A KR20110122528A KR20130056770A KR 20130056770 A KR20130056770 A KR 20130056770A KR 1020110122528 A KR1020110122528 A KR 1020110122528A KR 20110122528 A KR20110122528 A KR 20110122528A KR 20130056770 A KR20130056770 A KR 2013005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oking
induction
hol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513B1 (ko
Inventor
한윤교
성민욱
Original Assignee
(주)루메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메로 filed Critical (주)루메로
Priority to KR102011012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5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47B2031/02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being dockable to a stationary refrigeration and heat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음식을 올려놓고 먹게 되는 테이블에서 인덕션을 사용하여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리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 테이블은 상판의 중앙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걸쳐지는 받침판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인덕션을 안치시키되 상기 인덕션의 상부 높이가 구멍의 내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인덕션의 하측을 씌워주는 보호판을 설치하되 상기 보호판에는 측방향으로 통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인덕션에 올려지는 조리 용기는 상판의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리용 테이블{TABLE FOR COOKING}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음식을 올려놓고 먹게 되는 테이블에서 인덕션을 사용하여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리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음식점에서 조리가 가능한 테이블에 앉은 채로, 반 조리 되거나 조리가 안 된 음식을 테이블에서 익혀먹고 있으나, 기존의 조리용 테이블에는 대부분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조리기를 사용하고 있다.
테이블에 가스조리기를 설치하는 경우 테이블의 상부에 놓아두게 되므로, 가스조리기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을 경우 조리용기의 높이가 높아져 음식물 취식에 곤란함을 겪는 한편 테이블에서 가스조리기가 쉽게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가스조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내 냉방부하를 높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산소를 연소시키게 되므로, 실내 공기청정도를 낮추게 되는 한편 조리시간의 조절과 화력의 조절이 쉽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가스조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 공급이 파이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관계로 음식점의 테이블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스 파이프 공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고, 이러한 위치 이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휴대용 가스레인지도 조리용 테이블의 위치이동의 문제만 해결할 뿐 나머지 문제는 그대로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조리용 테이블에서 가스조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조리용기의 높이가 높아지고, 냉방부하가 증가되며, 화력의 조절이 쉽지 않고, 조리용기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실내 일산화탄소가 증가되는 문제와 함께 테이블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시키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 테이블에 전기를 사용하는 인덕션을 설치함으로서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 테이블은 상판의 중앙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걸쳐지는 받침판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인덕션을 안치시키되 상기 인덕션의 상부 높이가 구멍의 내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인덕션의 하측을 씌워주는 보호판을 설치하되 상기 보호판에는 측방향으로 통기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인덕션에 올려지는 조리 용기는 상판의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 테이블의 중앙에 구멍을 낸 후 상기 구멍에 함몰되는 형태로 인덕션을 설치함으로써 테이블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냉방 부하를 줄이는 한편 일산화탄소의 배출을 방지하고, 조리용기가 함몰된 구멍에 끼워진 채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움직임이 방지되는 한편 조리용기의 높이가 낮아 음식물 섭취가 용이하며, 전기를 사용하는 관계로 조리용 테이블의 세팅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조리시간과 화력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판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덕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이드판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조리를 하며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 테이블의 상판 중앙에 구멍을 낸 후 상기 구멍에 함몰되는 형태로 인덕션을 설치하고, 상기 인덕션의 상부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인덕션에 올려진 조리 용기는 인덕션의 구동에 따라 조리를 하게 되고,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고 냉방 부하를 높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리용 테이블(10)은 상판(20)과, 받침대(30), 인덕션(40), 보호판(50)과 제어판넬(7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상판(20)은 사각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각체 형태를 갖고 중앙에 구멍(21)을 관통되게 뚫어주고, 받침대(30)는 상기 구멍(21)에 걸쳐진 채로 설치되는 한편 받침대(30)의 내측으로 인덕션(40)이 받쳐지게 하고, 인덕션(40)은 받침대(30)의 내측으로 받쳐진 상태에서 상판이 구멍(21)의 내측에 함몰된 상태로 설치되며, 보호판(50)은 상기 상판(20)의 하측에서 인덕션(40)의 외측을 보호하는 것이고, 제어판넬(70)은 상기 인덕션(40)의 조리시간과 화력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판(20)과 보호판(50) 등은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판(20)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21)은 상하부가 관통되게 하되 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로 제작하여도 무리가 없으나, 구멍(21)을 통하여 인덕션(40)의 상부에 조리용기(90)의 바닥이 닿도록 놓은 후에는 조리용기(90)의 외측과 구멍(21)의 내측 사이를 통하여 열기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판(20)에 형성된 구멍(21)에 끼워지는 받침대(30)는 상측으로 상판(20)의 상측에 걸쳐지는 걸음부(31)가 형성되는 한편 하측에는 안쪽으로 절곡되어 인덕션(40)을 받치는 받침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30)의 받침부(32)에는 인덕션(40)을 올려놓되 받침부(32)에 별도의 받침판을 올려놓고 그 위에 인덕션(40)을 올려놓아도 무방하나, 상기 인덕션(40)의 상면은 구멍(21)의 내측에 함몰된 상태로 놓이게 한다.
즉, 구멍(21)에서 돌출되지 않고 함몰되는 곳에 인덕션(40)의 상면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인덕션(40)은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판(20)의 하측면에 설치된 제어판넬(70)에서 조리시간과 화력 등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호판(50)은 상하부가 관통된 사각통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받침대(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상판(20)의 하측에서 인덕션(40)의 하측이나 받침대(30)에 신체의 일부가 닿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판(20)의 하부 외측으로는 가이드판(60)을 사방으로 씌워주게 하되 측면에 위치하는 가이드판(60)에 제어판넬(70)을 설치하는 한편 주문전표 보관함(71)과 수저통 보관함(72)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조리용 테이블(10)에 손님이 앉아 음식을 주문하면, 음식점에서는 조리용기(90)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용 테이블(10)로 이동한 후 구멍(21)의 내측에 함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인덕션(40)에 올려놓고 조리가 될 수 있도록 제어판넬(70)을 조작한다.
제어판넬(70)에서 인덕션(40)의 화력과 조리시간 등을 조절하게 되면, 인덕션(40)은 조리용기(90)에 담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때 인덕션(40)의 사용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일산화탄소의 배출이 방지되는 한편 실내 냉방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인덕션(40)에서 발생되는 열로 조리용기(90)에 담긴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용기(90)의 뚜껑을 열고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인덕션(40)의 온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한편 조리시간도 정확히 맞추어줄 수 있는 것이어서, 최적의 상태로 따스한 음식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스조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의 불꽃을 보고 화력을 조절하고, 시간을 체크하여 가스공급을 차단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인덕션(40)의 화력과 조리시간을 숫자를 보고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로 조리용기(90)에 담긴 음식물의 조리와 조리 후 음식물을 모두 섭취할 때까지의 최적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조리용기(90)는 인덕션(40)의 상부에 놓이게 되나, 인덕션(40)의 상부가 상판(20)의 구멍(21)에 함몰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조리용기(90)의 측면을 밀더라도 조리용기(90)가 구멍(21)에서 이탈하지 않음은 물론 쉽게 넘어지지 않아 기존과 같이 조리용기(90)가 움직이거나 넘어지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조리용기(9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조리용기(90)에 담긴 음식물의 섭취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판(50)은 상판(20)의 하부에 취부되는 한편 인덕션(4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인덕션(40)이 작동하는 도중에 신체의 일부가 인덕션(40)이나 받침대(30)에 닿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고, 상기 보호판(50)의 측면에는 통기구멍(51)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외부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판(20)의 하부 외측으로 가이드판(60)을 설치하되 측면의 가이드판(60)에는 제어판넬(70)과 주문전표 보관함(71) 및 수저통 보관함(72)을 형성함으로써, 제어판넬(70)에서 인덕션(40)의 조리시간과 화력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고, 주문전표 보관함(71)에는 조리용 테이블(10)에서 이루어진 주문내용이 체크된 전표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표를 상판(20)의 상부에 올려놓을 때 발생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고, 수저통 보관함(72)에는 수저통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저통을 상판(20)에 올려놓을 때 발생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테이블(10)에 인덕션(40)을 사용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용 테이블(1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조리용기(90)의 움직임과 넘어짐이 방지되는 한편 가스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방지한다.
10 : 조리용 테이블 20 : 상판
21 : 구멍 30 : 받침판
40 : 인덕션 50 : 보호판
60 : 가이드판 70 : 제어판넬
90 : 조리용기

Claims (1)

  1. 조리용 테이블(10)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20)에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21)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21)에는 받침판(30)이 걸쳐지게 끼우되 상기 받침판(30)의 상부에는 상판(20)에 걸쳐지는 걸음부(31)가 형성되는 한편 하측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받침부(32)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30)의 받침부(32)에는 인덕션(40)을 설치하되 상기 인덕션(40)의 상부 높이가 구멍(21)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상판(20)의 하측에는 인덕션(40)의 외측을 씌워주는 보호판(50)을 설치하되 상기 보호판(50)에는 측방향으로 통기구멍(51)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20)의 하부 측면으로 가이드판(60)을 설치하되 측면의 가이드판(60)에는 인덕션(40)을 제어하는 제어판넬(70)을 설치하는 한편 주문전표와 수저통을 넣게 되는 주문전표 보관함(71)과 수저통 보관함(72)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테이블.
KR1020110122528A 2011-11-22 2011-11-22 조리용 테이블 KR10130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528A KR101304513B1 (ko) 2011-11-22 2011-11-22 조리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528A KR101304513B1 (ko) 2011-11-22 2011-11-22 조리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70A true KR20130056770A (ko) 2013-05-30
KR101304513B1 KR101304513B1 (ko) 2013-09-05

Family

ID=4866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528A KR101304513B1 (ko) 2011-11-22 2011-11-22 조리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869A (ko) 2014-08-14 2016-02-24 이미경 음식물 가열장치를 구비한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572U (ko) 2014-06-13 2015-12-24 (주)에스앤에프아이 인덕션 식탁
KR101667025B1 (ko) 2015-12-24 2016-10-1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용 전자 테이블 장치
CN105996463A (zh) * 2016-05-31 2016-10-12 吴艳 一种碳锅桌
KR102008062B1 (ko) 2017-09-22 2019-08-06 이현호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주문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90Y1 (ko) * 2002-05-20 2002-08-05 신상철 가정용 식탁 구조
KR20040098197A (ko) * 2003-05-14 2004-11-20 이상열 가스버너를 구비하는 접이식 지각을 갖는 가정용식탁테이블 구조
KR200442696Y1 (ko) * 2007-12-17 2008-12-05 이한창 인덕션레인지용 구이판 설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869A (ko) 2014-08-14 2016-02-24 이미경 음식물 가열장치를 구비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513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179B2 (ja) 焼き器
KR101304513B1 (ko) 조리용 테이블
CA3028520C (en) Cooking range
CN203195483U (zh) 电磁煎烤装置
KR101226468B1 (ko) 구이 용기
US9383108B2 (en) Removable oven for grill
US9822982B2 (en) Modular portable cooking system
US20130092695A1 (en) Cookware
CN21098981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20130063061A (ko) 이중 구조의 다용도 조리 용기
CN202521663U (zh) 一种改进的电磁炉
CN220489230U (zh) 一种双层隔热炉架
KR200420729Y1 (ko) 대형 솥 거치대
CN218583219U (zh) 一种双层聚能隔热炉架
KR101291085B1 (ko) 연료절약용 용기받침대
KR20110008897U (ko) 높이 조절용 화로 구이기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JP2003259989A (ja) ロースターの加熱構造
KR101725184B1 (ko) 공간 절약형 통합 주방 조리대
CN205988103U (zh) 带烹饪功能的家用餐桌
JP3148006U (ja) 燃焼ボック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調理用テーブル
KR200450330Y1 (ko) 휴대용 가스렌지
JP5603137B2 (ja) 加熱調理器
JP2022189675A (ja) 携帯ロケットストーブ調理器具
JP3169546U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