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496A -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496A
KR20130056496A KR1020110122135A KR20110122135A KR20130056496A KR 20130056496 A KR20130056496 A KR 20130056496A KR 1020110122135 A KR1020110122135 A KR 1020110122135A KR 20110122135 A KR20110122135 A KR 20110122135A KR 20130056496 A KR20130056496 A KR 2013005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hain pulley
strap
return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584B1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1012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584B1/ko
Priority to AU2012203213A priority patent/AU2012203213B2/en
Priority to CN201280057419.XA priority patent/CN103946473A/zh
Priority to CA2777054A priority patent/CA2777054C/en
Priority to PCT/KR2012/002425 priority patent/WO2013077502A1/ko
Priority to US13/509,624 priority patent/US8590592B2/en
Publication of KR2013005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체인 풀리에 연결되어 감겨지고, 하단이 분리되어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겨 내리는 하강 끈을 이루며,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상승 끈을 이루는 안전 끈; 상기 체인 풀리와 권취봉의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상기 권취봉이 회전되도록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양방향 돌기와,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 외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 및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체인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복귀용 풀리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축적시키는 탄성복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복원부재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복귀용 풀리가 체인 풀리를 권취봉의 구동축 둘레에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SOUNDLESS ROLL BLIND APPARATUS HAVING REVERSIBLE CLUTCH}
본 발명은 창문을 통한 햇빛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끈 하단을 분리시키고, 하단이 분리된 당김 끈을 각각 하강 끈 및 상승 끈으로서 사용하며, 작동 소음없이 양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클러치를 내장하여 하강 끈 및 상승 끈 중의 어느 하나가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부드러운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속하여 쉽게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각종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라인드 원단을 구비하고, 이를 상부의 권취봉에 말아 올려서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창문을 막아주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1)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1)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10)의 양측에 구동 브라켓(12)과 종동 브라켓(14)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브라켓(12,14) 사이에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봉(2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권취봉(20)에는 블라인드 원단(30)이 감겨지고, 그 하단에는 웨이트(40)가 고정되어 웨이트(40) 무게에 의해서 권취봉(20)으로부터 블라인드 원단(30)이 하부로 풀려서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브라켓(12)의 내부에는 권취봉(20)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체인 풀리(50)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체인 풀리(50)에는 당김 끈(60)이 감겨져서 이와 같은 당김 끈(60)의 일측을 당기면 체인 풀리(50)를 통하여 권취봉(20)이 회전되고, 블라인드 원단(30)이 권취봉(20)에 감겨서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당김 끈(60)의 타측을 당기게 되면 체인 풀리(50)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권취봉(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30)이 권취봉(20)으로부터 풀리고 하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원단(30)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김 끈(60)은 무한 궤도형으로서, 상기 체인 풀리(50)에 감겨 있는 것으로, 그 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당김 끈(60)은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 아이들이 집안에서 종종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를 하면서 하부로 늘어진 블라인드 원단(30)의 뒷쪽에 숨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 어린 아이들의 목에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당김 끈(60)이 감기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당김 끈(60)의 목 감김 안전사고는 매우 치명적인 것이어서, 어린아이들이 놀다가 당김 끈(60)이 목에 끼인 상태로 넘어지게 되면, 쉽게 질식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롤 블라인드(1) 장치의 당김 끈(60)은 종종 실내에서 뛰어다니는 어린 아이나, 또는 심신이 허약한 노약자들이 쉽게 하부로 늘어진 무한궤도형의 끈에 걸려서 넘어지게 되어 크게 다치는 안전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당김 끈(60)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당김 끈(60)을 높게 위치시켜서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못하는 위치에 위치시켜서 혹시라도 어린아이들 또는 노약자들이 끈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롤 블라인드(1)는 이와 같이 당김 끈(60)의 하단을 분리시켜서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어린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높게 위치시키게 되면, 블라인드 원단(30)을 적절한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당 업계에서는 심각하게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일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원단(30)의 승하강 작동시, 클러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딱딱거리거나 덜거덕거리는 것과 같은 불쾌한 작동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어서 정숙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어려움 문제점도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끈 하단을 분리시키고, 끈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도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단이 분리된 안전 끈의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끈으로서 사용하고,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기는 상승 끈으로서 사용하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일측이 양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일단 하부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끈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을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작동시, 불쾌한 작동 소음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짐으로써 정숙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체인 풀리에 연결되어 감겨지고, 하단이 분리되어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겨 내리는 하강 끈을 이루며,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상승 끈을 이루는 안전 끈;
상기 체인 풀리와 권취봉의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상기 권취봉이 회전되도록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양방향 돌기와,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 외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 및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체인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복귀용 풀리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축적시키는 탄성복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복원부재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복귀용 풀리가 체인 풀리를 권취봉의 구동축 둘레에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 분리형 안전 끈을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을 당긴 다음,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상기 양방향 돌기들이 체인 풀리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되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양방향 돌기들 사이에서 6개소 위치되며, 상기 복귀용 풀리의 호형 걸림대들은 상기 양방향 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다수의 롤러들이 각각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으로 돌출된 호형 걸림대(192a)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체인 풀리가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가 상기 롤러를 상기 복귀용 풀리의 호형 걸림대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상기 복귀용 풀리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롤러들을 권취봉의 구동축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수의 롤러들이 그 내측에서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회전시키고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각각의 양방향 돌기들이 각각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경사진 전,후방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방 경사면들은 체인 풀리의 회전시 각각 상기 롤러들의 상부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강 끈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들의 각각의 후방 경사면들이 상기 롤러에 밀착하여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정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고, 상기 상승 끈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들의 각각의 전방 경사면들이 상기 롤러에 밀착하여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역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귀 동작부는 탄성복원부재가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 내부에서 육각 중심축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 중심축은 그 일측이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육각 중심축에 끼워 고정된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인 풀리가 회전하여 탄성 복원력이 코일 스프링에 축적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귀용 풀리를 역회전시켜서 체인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도록 구성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귀용 풀리는 그 내주면에 원통형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육각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로 이루어진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끈 하단을 분리시키고, 끈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도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하단이 분리된 안전 끈의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끈으로서 사용하고,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기는 상승 끈으로서 사용하며,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상기 권취봉이 회전되도록 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블라인드 원단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일측이 양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일단 하부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끈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을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양방향 클러치부의 롤러들이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하여 정,역회전시키고,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을 이룸으로써 불쾌한 작동 소음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정숙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측단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면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 원단의 이동없이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서 안전 끈이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서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면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2)의 내측에서 권취봉(110)의 둘레에 블라인드 원단(112)이 감겨서 보관되고, 블라인드 원단(112)의 하단에는 웨이트(114)가 종래와 같이 연결되어 그 자중(自重)에 의해서 블라인드 원단(112)을 하부측으로 당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끈(120)을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권취봉(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하단이 분리된 안전 끈(12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안전 끈(120)은 그 중간 부분이 권취봉(110)을 회전시키는 체인 풀리(130)에 연결되어 감겨지고, 그 하단이 분리되어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112)을 당겨 내리는 하강 끈(122)을 이루고,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112)을 감아 올리는 상승 끈(124)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 끈(120)은 바람직하게는 체인 끈(a chain cord)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체인 끈은 상기 체인 풀리(130)에 결합되어 후방측의 하강 끈(122), 또는 전방측의 상승 끈(124)의 당김 작동으로 체인 풀리(1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강 끈(122)과 상승 끈(124)의 하단에는 각각 손잡이(122a)(124a)가 고정되어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이 체인 풀리(13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손잡이(122a)(124a)는 안전 끈(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예를 들면 클립(Clip)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강 끈(122)과 상승 끈(124)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손잡이(122a)(124a)를 통하여 상기 하강 끈(122)과 상승 끈(124)의 당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체인 풀리(130)와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112)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1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양방향 클러치부(150)는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상기 권취봉(110)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이와 같은 양방향 클러치부(150)는 상기 체인 풀리(13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양방향 돌기(160)와,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16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외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170)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양방향 클러치부(150)는 도 3에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이 체인 풀리(130)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되고, 상기 롤러(170)들은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 사이에서 6개소 위치된다.
또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복귀 동작부(190)의 복귀용 풀리(192)에 마련된 호형 걸림대(192a)들이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방향 클러치부(150)는 상기 다수의 롤러(170)들이 각각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일측으로 돌출된 호형 걸림대(192a)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양방향 클러치부(150)의 구조가 도 4에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체인 풀리(130)는 그 내부면에 양방향 돌기(160)들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되고, 상기 체인 풀리(130)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는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외주면과의 사이에 6개의 롤러(170)들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동작부(190)의 복귀용 풀리(192)가 도 2에 측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단부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귀 동작부(190)의 복귀용 풀리(192)에 마련된 6개의 호형 걸림대(192a)들 사이에 각각의 롤러(170)들이 배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롤러(17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원기둥 형상의 롤러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겨지면, 체인 풀리(130)를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둘레에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112)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120)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19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복귀 동작부(190)는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김으로 체인 풀리(130)가 회전하면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회전하는 복귀용 풀리(192)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축적시키는 탄성복원부재(19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탄성복원부재(19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내부에서 육각 중심축(196)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 중심축(196)은 그 둘레에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이 위치되며, 상기 육각 중심축(196)의 일측 단부는 브라켓(102)에 고정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부재(194)인 코일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육각 중심축(196)에 끼워 고정된 스토퍼(200)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귀용 풀리(192)는 그 내주면이 원통형 슬리브(204)를 통하여 상기 육각 중심축(196)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체인 풀리(130)의 내주면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체인 풀리(130)가 회전하면 원통형 슬리브(204)를 통하여 체인 풀리(130)와 함께 회전하고 탄성 복원력을 코일 스프링에 축적한다.
이와 같은 복귀 동작부(190)는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복원부재(194)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귀용 풀리(192)가 체인 풀리(130)를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둘레에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112)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120)을 원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하단 분리형 안전 끈(120)을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사용자가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을 당기며 복귀 동작부(190)를 이용하여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112)의 높낮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끈(122)을 하방으로 당겨서 체인 풀리(130)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160)가 상기 롤러(170)를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호형 걸림대(192a) 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를 정회전시킨다.
동시에, 상기 롤러(170)들을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수의 롤러(170)들이 그 내측에서 상기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정회전시키고 권취봉(110)을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112)을 하강시키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150)에 구비된 각각의 양방향 돌기(160)들은 각각 상기 체인 풀리(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경사진 전,후방 경사면(162a,162b)들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전,후방 경사면(162a,162b) 중의 후방 경사면(162b)들이 각각 상기 롤러(170)들의 상부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 끈(122)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의 각각의 후방 경사면(162b)들이 상기 롤러(170)에 밀착하여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정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112)을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체인 풀리(130)가 정회전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당겨진 하강 끈(122)의 길이가 상승 끈(124)의 길이보다 길게 하부측으로 늘어지고, 상승 끈(124)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하강 끈(122)은 복귀 동작부(190)를 통하여 자동으로 상승된다.
즉, 상기 체인 풀리(130)가 정회전하면 각각의 양방향 돌기(160)가 상기 롤러(170)를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호형 걸림대(192a)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를 정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는 그 내주면이 원통형 슬리브(204)를 통하여 상기 육각 중심축(196)을 중심으로 정회전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코일 스프링에 축적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강 끈(122)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귀용 풀리(192)가 체인 풀리(130)를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둘레에서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역회전시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풀리(130)의 정회전과는 다르게, 상기 롤러(170)들이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가압하여 파지하지 않고, 체인 풀리(130)의 후방 경사면(162b)을 역방향으로 밀어서 체인 풀리(130)만을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체인 풀리(130)는 역회전하지만,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은 역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12)의 상승 이동없이 체인 풀리(130)만을 통하여 하강 끈(122)을 상승시키고, 상승 끈(124)은 하강시킨다.
결과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끈(122)은 상승하고, 상승 끈(124)은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하강 끈(122)을 당기면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의 각각의 후방 경사면(162b)들이 재차 롤러(170)에 밀착하여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파지(把持)하고,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정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112)을 재차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체인 풀리(130)가 재차 정회전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당겨진 하강 끈(122)의 길이가 상승 끈(124)의 길이보다 재차 길게 하부측으로 늘어지고, 상승 끈(124)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하강 끈(122)은 다시 복귀 동작부(190)를 통하여 자동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하강 끈(122)을 하부측으로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112)을 일정 길이 내리고, 당김 상태를 해제하여 하강 끈(122)을 원위치로 올리며, 재차 하강 끈(122)을 당기고 원위치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로 블라인드 원단(112)을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부측으로 내려진 블라인드 원단(112)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전방측의 상승 끈(124)을 당기면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 끈(124)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160)들의 각각의 전방 경사면(162a)들이 상기 롤러(170)에 밀착하여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역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112)을 상승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체인 풀리(130)가 역회전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당겨진 상승 끈(124)의 길이가 하강 끈(122)의 길이보다 길게 하부측으로 늘어지고, 하강 끈(122)은 위로 올라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상승 끈(124)은 복귀 동작부(190)를 통하여 자동으로 원위치 상승된다.
즉, 상기 체인 풀리(130)가 역회전하면 양방향 돌기(160)의 전방 경사면(162a)이 상기 롤러(170)를 상기 복귀용 풀리(192)의 호형 걸림대(192a)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복귀용 풀리(192)는 그 내주면이 원통형 슬리브(204)를 통하여 상기 육각 중심축(196)을 중심으로 역회전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코일 스프링에 축적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은, 복귀용 풀리(192)의 정회전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꼬이면서 반대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끈(124)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귀용 풀리(192)가 체인 풀리(130)를 권취봉(110)의 구동축(114) 둘레에서 정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정회전에서는 상기 롤러(170)들이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가압하여 파지하지 않고, 체인 풀리(130)의 전방 경사면(162a)만을 정방향으로 밀어서 체인 풀리(130)만을 정회전시킨다.
따라서 체인 풀리(130)는 정회전하지만,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은 정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12)의 상승 이동없이 체인 풀리(130)만을 통하여 상승 끈(124)을 상승시키고, 하강 끈(122)은 하강시킨다.
결과적으로 전방의 상승 끈(124)은 상승하고, 후방의 하강 끈(122)은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승 끈(124)을 당기고, 당김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로 블라인드 원단(112)을 최초의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블라인드 원단(112)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끈 하단을 분리시키고, 끈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도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112)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하단이 분리된 안전 끈(120)의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112)을 내리는 하강 끈(122)으로서 사용하고,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112)을 당기는 상승 끈(124)으로서 사용하며,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130)와 함께 상기 권취봉(110)이 회전되도록 하여 블라인드 원단(112)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블라인드 원단(112)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120)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19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의 일측이 양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일단 하부로 당겨진 다음에는 복귀 동작부(190)를 통하여 자동으로 끈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끈(122) 또는 상승 끈(124)을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112)을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양방향 클러치부(50)의 롤러(170)들이 권취봉(110)의 구동축(114)을 파지하여 정,역회전시키고, 블라인드 원단(112)의 승하강을 이룸으로써, 동작시 딱딱거리거나 덜거덕거리는 것과 같은 불쾌한 작동 소음이 전혀 발생하기 않고, 정숙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양방향 돌기(160), 롤러(170) 및 복귀용 풀리(192)의 호형 걸림대(192a)들이 각각 6개소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와는 다르게 4개소 내지 10개소와 같이 다수 개소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종래의 롤 블라인드 10: 프레임
12: 구동 브라켓 14: 종동 브라켓
20: 권취봉 30: 블라인드 원단
40: 웨이트 50: 체인 풀리
60: 당김 끈 100: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102: 브라켓 110: 권취봉
112: 블라인드 원단 114: 웨이트
120: 안전 끈 122: 하강 끈
122a,124a: 손잡이 124: 상승 끈
130: 체인 풀리 150: 양방향 클러치부
160: 양방향 돌기 162a: 전방 경사면
162b: 후방 경사면 170: 롤러
190: 복귀 동작부 192: 복귀용 풀리
192a: 호형 걸림대 194: 탄성복원부재
196: 육각 중심축 200: 스토퍼
204: 원통형 슬리브

Claims (7)

  1.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체인 풀리에 연결되어 감겨지고, 하단이 분리되어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겨 내리는 하강 끈을 이루며,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상승 끈을 이루는 안전 끈;
    상기 체인 풀리와 권취봉의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상기 권취봉이 회전되도록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양방향 돌기와,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 외주면에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들을 구비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양방향 클러치부; 및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으로 체인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복귀용 풀리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축적시키는 탄성복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복원부재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복귀용 풀리가 체인 풀리를 권취봉의 구동축 둘레에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위치 이동없이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는 복귀 동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 분리형 안전 끈을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을 당긴 다음,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상기 양방향 돌기들이 체인 풀리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되고, 상기 롤러들은 상기 양방향 돌기들 사이에서 6개소 위치되며, 상기 복귀용 풀리의 호형 걸림대들은 상기 양방향 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6개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다수의 롤러들이 각각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으로 돌출된 호형 걸림대(192a)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하강 끈 또는 상승 끈이 하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체인 풀리가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양방향 돌기가 상기 롤러를 상기 복귀용 풀리의 호형 걸림대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상기 복귀용 풀리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롤러들을 권취봉의 구동축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다수의 롤러들이 그 내측에서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회전시키고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클러치부는 각각의 양방향 돌기들이 각각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경사진 전,후방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방 경사면들은 체인 풀리의 회전시 각각 상기 롤러들의 상부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하강 끈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들의 각각의 후방 경사면들이 상기 롤러에 밀착하여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정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고, 상기 상승 끈이 당겨지면 상기 양방향 돌기들의 각각의 전방 경사면들이 상기 롤러에 밀착하여 권취봉의 구동축을 파지(把持)하여 상기 체인 풀리와 함께 역회전시켜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동작부는 탄성복원부재가 상기 권취봉의 구동축 내부에서 육각 중심축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 중심축은 그 일측이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육각 중심축에 끼워 고정된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복귀용 풀리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인 풀리가 회전하여 탄성 복원력이 코일 스프링에 축적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귀용 풀리를 역회전시켜서 체인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안전 끈을 원위치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풀리는 그 내주면에 원통형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육각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체인 풀리의 내주면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20110122135A 2011-11-22 2011-11-22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8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35A KR101289584B1 (ko) 2011-11-22 2011-11-22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AU2012203213A AU2012203213B2 (en) 2011-11-22 2012-03-30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CN201280057419.XA CN103946473A (zh) 2011-11-22 2012-03-30 具有无噪音双向离合器的卷帘
CA2777054A CA2777054C (en) 2011-11-22 2012-03-30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PCT/KR2012/002425 WO2013077502A1 (ko) 2011-11-22 2012-03-30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US13/509,624 US8590592B2 (en) 2011-11-22 2012-03-30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35A KR101289584B1 (ko) 2011-11-22 2011-11-22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96A true KR20130056496A (ko) 2013-05-30
KR101289584B1 KR101289584B1 (ko) 2013-07-24

Family

ID=4846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135A KR101289584B1 (ko) 2011-11-22 2011-11-22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0592B2 (ko)
KR (1) KR101289584B1 (ko)
CN (1) CN103946473A (ko)
AU (1) AU2012203213B2 (ko)
WO (1) WO2013077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4883B2 (ja) * 2014-01-30 2017-08-23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用クラッチ装置
AU360867S (en) * 2015-02-20 2015-03-31 Acmeda Pty Ltd Cassette assembly for a blind system
KR101631021B1 (ko) * 2015-03-25 2016-06-15 유상원 블라인드용 구동와이어 안전장치
CA2921529C (en) * 2015-05-01 2023-03-07 Zmc Metal Coating Inc. Bi-directional clutch with return feature
USD871795S1 (en) 2017-04-28 2020-01-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Hem bar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EP3615760A2 (en) 2017-04-28 2020-03-0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ndow treatment mounting bracket
USD874183S1 (en) 2017-05-19 2020-02-04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cover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43401S1 (en) 2017-04-28 2022-02-1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ndow treatment
USD871105S1 (en) 2017-05-03 2019-12-3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Hem bar applied to a window treament
USD883776S1 (en) 2017-09-01 2020-05-1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53148S1 (en) 2020-08-14 2022-05-3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53847S1 (en) 2020-09-04 2022-06-0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62043S1 (en) 2021-02-26 2022-08-3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962044S1 (en) 2021-02-26 2022-08-30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1006611S1 (en) 2022-02-28 2023-12-0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USD1008785S1 (en) 2022-02-28 2023-12-26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Bracket set applied to a window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432A (en) * 1981-03-18 1983-02-08 General Clutch Corp. Bi-directional clutch
JPS59195985A (ja) * 1983-04-20 1984-11-07 株式会社ニチベイ シ−ト巻上げ巻降し装置
US4865109A (en) * 1987-11-30 1989-09-12 Sherman Roger W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shade or the like
US5488983A (en) * 1989-08-30 1996-02-06 Odin Ag Roller assembly for curtains and the like
DE4239507C2 (de) * 1992-11-25 1995-03-23 Benthin Management Gmbh Rolloantrieb
DE4344627C1 (de) * 1993-12-24 1995-05-04 Benthin Ag Rollvorhang
DE29514535U1 (de) * 1995-09-09 1995-10-26 Mhz Hachtel & Co Verbindungsschloß für Perlketten
US5791393A (en) * 1997-03-31 1998-08-11 Judkins; Ren Shade operator
US6129131A (en) * 1997-11-26 2000-10-10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6142211A (en) * 1999-08-10 2000-11-07 Judkins; Ren Shade operator with release brake
ES2306866T5 (es) * 2002-03-20 2012-11-29 Rollease, Inc. Un embrague de toldo de rodillo con engranaje interno
US7128126B2 (en) * 2003-03-04 2006-10-31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CN2635880Y (zh) * 2003-07-17 2004-08-25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升降式窗帘的单向传动装置以及应用该装置的窗帘
CN2775275Y (zh) * 2005-01-18 2006-04-26 江西百胜门控设备有限公司 一种快速离合器
JP4440802B2 (ja) * 2005-02-28 2010-03-24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JP4704772B2 (ja) 2005-02-28 2011-06-22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KR200397916Y1 (ko) * 2005-07-15 2005-10-10 김광덕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CA2675877C (en) * 2007-01-29 2014-05-13 Hunter Douglas Inc.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KR200439469Y1 (ko) 2007-02-21 2008-04-14 김정민 롤 블라인드
JP5117984B2 (ja) * 2008-10-08 2013-01-16 中央発條株式会社 自動閉鎖装置
WO2010120077A2 (ko) * 2009-04-17 2010-10-21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 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KR101152911B1 (ko) * 2009-10-09 2012-06-05 김효정 블라인드의 승강조작장치
US20110108215A1 (en) * 2009-11-10 2011-05-12 Levin Steven J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cord for window cover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584B1 (ko) 2013-07-24
US8590592B2 (en) 2013-11-26
CN103946473A (zh) 2014-07-23
AU2012203213B2 (en) 2014-08-14
US20130255894A1 (en) 2013-10-03
AU2012203213A1 (en) 2013-06-06
WO2013077502A1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84B1 (ko)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US5671793A (en) Combination blind controller
KR101213949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2003184456A (ja) 日除け部材の操作コード
JPS61500858A (ja) 窓覆い吊り下げ用上部枠器具
CA2953344C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3378813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US20140216668A1 (en) Roll blind having safety cord
DE60321765D1 (de) Jalousieaufziehverfahren und Vorrichtung
KR101213737B1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99397B1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176323B1 (ko)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13794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20120007319A (ko) 롤 블라인드용 끈 길이조정장치
EP1574660A2 (en) Corded architectural covering including cord actuator and locking system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KR101301798B1 (ko)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422998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2줄 슬림형 롤 블라인드
KR101422999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TW552344B (en) Brise-soleil device
JP2010112048A (ja) ブラインド
KR101289531B1 (ko) 무소음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KR101312866B1 (ko)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2010261174A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