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949B1 -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949B1
KR101213949B1 KR1020110061586A KR20110061586A KR101213949B1 KR 101213949 B1 KR101213949 B1 KR 101213949B1 KR 1020110061586 A KR1020110061586 A KR 1020110061586A KR 20110061586 A KR20110061586 A KR 20110061586A KR 101213949 B1 KR101213949 B1 KR 10121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pulley
lowering
latch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1006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6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unauthorised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햇빛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코드를 상승 코드 및 하강 코드로 분리하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상승 코드 또는 하강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원위치 상승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속하여 쉽게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강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승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이 이루어짐은 물론,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조작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APPARATUS HAVING A SAFETY CORD}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햇빛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코드를 상승 코드 및 하강 코드로 분리하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상승 코드 또는 하강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원위치 상승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속하여 쉽게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각종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라인드 원단을 구비하고, 이를 상부의 권취봉에 말아 올려서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창문을 막아주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양측에 구동측 브라켓과 종동측 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권취봉에는 블라인드 원단이 감겨지고, 그 하단에는 웨이트가 고정되어 웨이트 무게에 의해서 권취봉으로부터 블라인드 원단이 하부로 풀려서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측 브라켓의 내부에는 권취봉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코드 풀리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코드 풀리에는 당김 코드가 감겨져서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일측을 당기면 코드 풀리를 통하여 권취봉이 회전되고,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에 감겨서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타측을 당기게 되면 코드 풀리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권취봉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으로부터 풀리고 하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김 코드는 무한 궤도형으로 상기 코드 풀리에 감겨 있는 것으로서, 그 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당김 코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 아이들이 집안에서 종종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를 하면서 하부로 늘어진 블라인드 원단의 뒷쪽에 숨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 어린 아이들의 목에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당김 코드가 감기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목 감김 안전사고는 매우 치명적인 것이어서, 어린아이들이 놀다가 당김 코드가 목에 끼인 상태로 넘어지게 되면, 쉽게 질식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롤 블라인드 장치의 당김 코드는 종종 실내에서 뛰어다니는 어린 아이나, 또는 심신이 허약한 노약자들이 쉽게 하부로 늘어진 무한궤도형의 코드에 걸려서 넘어지게 되어 크게 다치는 안전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당김 코드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당김 코드를 높게 위치시켜서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못하는 위치에 위치시켜서 혹시라도 어린아이들 또는 노약자들이 코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이와 같이 당김 코드의 하단을 분리시켜서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어린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높게 위치시키게 되면, 블라인드 원단을 적절한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당 업계에서는 심각하게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 및 하강 속도가 일정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빠르게 하강시켜서 햇볕을 차광하기가 쉽지 않고,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려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로 인하여 힘이 약한 사용자는 쉽게 동작시키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코드 하단을 분리시키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도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단이 분리된 안전 코드의 일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코드으로서 사용하고, 타측은 블라인드 원단을 당기는 상승 코드로서 사용하며,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강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승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이 이루어짐은 물론,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조작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어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주기어와 브라켓의 사이에서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를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는 제1 기어의 일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제1 기어가 회전하고, 제2 기어를 통해 주기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주기어가 장착된 중심축 상에서 상기 제1 기어를 중심으로 상기 하강 풀리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승 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 풀리의 외면에는 상승 코드가 감기며, 상기 상승 풀리는 제1 기어의 타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와 함께 제1 기어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를 통해 주기어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작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하강 풀리 사이에는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와, 상기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측에서 상기 제1 래치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래치와 다수의 제1 포올들은 상기 하강 풀리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주기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 작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상승 풀리 사이에는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와, 상기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측에서 상기 제2 래치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와 다수의 제2 포올들은 상기 상승 풀리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주기어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복귀부는 하강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상기 하강 풀리의 제1 고리 홈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타측 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들이 제1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를 하강 풀리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복귀부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상기 상승 풀리의 제3 고리 홈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타측 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들이 제2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를 상승 풀리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구동 슬리브의 둘레에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는 구동 슬리브의 제1 외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가 회전하고, 구동 슬리브가 연결된 권취봉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하강 풀리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구동 슬리브의 둘레에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상승 풀리는 구동 슬리브의 제2 외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와 함께 타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가 회전하고, 구동 슬리브가 연결된 권취봉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작동부는 상기 구동 슬리브와 하강 풀리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구동 슬리브의 제1 외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와, 상기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측에서 상기 제1 래치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래치와 다수의 제1 포올들은 상기 하강 풀리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 작동부는 상기 구동 슬리브와 상승 풀리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구동 슬리브의 제2 외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와, 상기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측에서 상기 제2 래치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와 다수의 제2 포올들은 상기 상승 풀리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복귀부는 하강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1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제1 코일부는 내측 단부가 상기 하강 풀리의 제1 고리 홈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부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상에 고정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들이 제1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를 하강 풀리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복귀부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2 코일부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제2 코일부는 내측 단부가 상기 상승 풀리의 제3 고리 홈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일부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상에 고정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들이 제2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를 상승 풀리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코드 및 상승 코드는 각각 30 내지 40cm 의 길이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손잡이 고리가 각각 형성된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기존의 무한궤도형이 아닌 각각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각각 하향 당김 작동으로 30 내지 40cm 정도 하강하면 코드 복귀부를 통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며, 재차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강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승 코드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이 이루어짐은 물론,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조작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작동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작동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코드가 아래로 당겨져서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코드가 아래로 당겨진 후, 하강 코드가 상부 측으로 원위치 복귀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코드가 아래로 당겨져서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코드가 아래로 당겨진 후, 상승 코드가 상부 측으로 원위치 복귀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작동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작동부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블라인드 원단(P)을 권취봉(110)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110)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기존의 무한궤도형이 아닌 각각의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강 코드(S1) 및 상승 코드(S2)는 각각 30 내지 40cm 의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끝단에는 손잡이 고리(112a,112b)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잡고서 당기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권취봉(110) 상에서 블라인드 원단(P)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권취부(130)는 권취봉(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132)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주기어(132)는 권취봉(11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134)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권취봉(11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이와 같은 주기어(132)는 그 일측에 스플라인 부(140)를 형성하여 상기 권취봉(110)에 스플라인(spline) 결합하고, 상기 주기어(132)와 권취봉(110)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110)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고, 그 반대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P)을 권취봉(110)에 감아 올린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서 상기 주기어(132)와 권취봉(1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1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150)는 상기 주기어(132)와 브라켓(136)의 사이에서 제1 기어(152)와, 하강 코드(S1)가 감긴 하강 풀리(154)를 상기 중심축(134)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154)는 제1 기어(152)의 일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154)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제1 기어(152)가 회전하고, 제2 기어(156)를 통해 주기어(13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기어(156)는 상기 중심축(134)에 나란하게 브라켓(136) 상에 배치된 제1 축(158)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제1 기어(152)로부터 주기어(132)로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동력전달기어이다.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제1 기어(152)와 하강 풀리(154) 사이에 상기 주기어(132)와 권취봉(110)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16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일방향 클러치(160)는 상기 제1 기어(152)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162)와, 상기 하강 코드(S1)가 감긴 하강 풀리(154) 측에서 상기 제1 래치(162)에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pawl)(164)들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래치(162)와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은 상기 하강 풀리(154)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166)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올(164)들이 제1 래치(162)에 걸려서 제1 래치(162)와 제1 기어(152)를 하강 풀리(154)와 함께 회전시킨다.
즉, 상기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은 상기 하강 풀리(154)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166)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는 각각 제1 래치(162)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 걸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주기어(132)와 권취봉(110)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1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170)는 제1 기어(152)를 중심으로 하강 작동부(150)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주기어(132)가 장착된 중심축(134) 상에서 상기 제1 기어(152)를 중심으로 상기 하강 풀리(154)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승 풀리(174)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 풀리(174)의 외면에는 상승 코드(S2)가 감긴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상승 풀리(174)는 제1 기어(152)의 타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174)와 함께 제1 기어(152)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156)를 통해 주기어(132)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킨다.
또한 이러한 상승 작동부(170)는 제1 기어(152)와 상승 풀리(174) 사이에서 상기 주기어(132)와 권취봉(110)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1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 일방향 클러치(180)는 상기 제1 기어(152)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182)와, 상기 상승 코드(S2)가 감긴 상승 풀리(174)측에서 상기 제2 래치(182)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182)와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은 상기 상승 풀리(174)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186)의 내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은 상기 상승 풀리(174)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186)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는 각각 제2 래치(182)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 걸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170)는 상기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이 제2 래치(182)에 걸려서 제2 래치(182)와 제1 기어(152)를 함께 회전시키고, 제2 기어(156)를 통하여 주기어(132)를 권취봉(110)과 함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한 후,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S1)와 상승 코드(S2)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 코드(S1)와 상승 코드(S2)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키며, 이와 같은 당김과 상승을 반복하는 작동을 통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코드 복귀부(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코드(S1)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코일 스프링(21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제1 코일 스프링(210)은 그 일측 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하강 풀리(154)의 제1 고리 홈(166)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212)의 내벽에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축(134)에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1 코일 스프링(210)은 하강 코드(S1)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하강 코드(S1)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강 풀리(154)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이 제1 래치(162) 상을 반대방향으로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S1)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코드 복귀부(2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코드(S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코일 스프링(220)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제2 코일 스프링(220)은 그 일측 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상승 풀리(174)의 제3 고리 홈(186)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222)의 내벽에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가 상기 중심축(134)에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코일 스프링(220)은 상승 코드(S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 풀리(174)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이 제2 래치(182) 상을 반대방향으로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S2)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먼저,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작동을 통하여 실외 햇빛으로부터 실내를 차광하고자 하는 경우, 하강 작동부(15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하강 작동부(150)의 하강 코드(S1)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에는 하강 코드(S1)가 하강 풀리(154)로부터 풀리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풀리(1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하강 풀리(154)의 회전은 제1 일방향 클러치(160)의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이 하강 풀리(154)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1 래치(162)에 걸려서 제1 래치(162)와 제1 기어(152)를 하강 풀리(154)와 함께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어(152)는 제2 기어(156)를 통해서 주기어(132)의 일측에 치차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기어(156)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주기어(1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주기어(132)에 연결된 권취봉(1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제1 기어(152)의 시계방향 회전은 제1 기어(152)의 타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2 일방향 클러치(180)의 제2 래치(18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제2 래치(182)의 시계방향 회전은 다수의 제2 포올(184)들 내부에서 이들을 지나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승 풀리(174)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상승 풀리(174)의 내측에서 제2 래치(182) 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사용자가 하강 코드(S1)를 하향으로 당기면, 주기어(132)를 통해서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코드 복귀부(200)의 제1 코일 스프링(210)은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때, 상기 제1 코일 스프링(210)은 그것이 위치된 상기 하강 풀리(154)의 제2 고리 홈(212) 내측과, 제1 코일 스프링(210)이 감긴 중심축(134)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하강 코드(S1)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강 풀리(154)를 반대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강 코드(S1)를 그 외주면에 감아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하강 풀리(154)의 반 시계방향회전은 제1 고리 홈(166)의 내측에 위치된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이 제1 래치(162) 상을 지나쳐서 반대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도록 하여 하강 코드(S1)를 그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강 코드(S1)는 사용자가 이를 하방측으로 30 내지 40cm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고,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키면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없이 하강 코드(S1)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며, 재차 하강 코드(S1)를 하방측으로 30 내지 40cm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P)이 최초의 하강위치로부터 또다시 일정거리 하강하고,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키면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없이 하강 코드(S1)가 원래의 위치로 재상승하며, 이와 같은 당김 작동을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로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는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을 통하여 실내로 실외 햇빛을 유입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승 작동부(17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상승 작동부(170)의 상승 코드(S2)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승 코드(S2)가 상승 풀리(174)로부터 풀리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풀리(174)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상승 풀리(174)의 회전은 제2 일방향 클러치(180)의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이 상승 풀리(174)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2 래치(182)에 걸려서 제2 래치(182)와 제1 기어(152)를 상승 풀리(174)와 함께 일체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어(152)는 제2 기어(156)를 통해서 주기어(132)에 치차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기어(15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기어(15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주기어(13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권취봉(110)의 반 시계방향 회전을 통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이와 같은 제1 기어(15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제1 기어(152)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1 일방향 클러치(160)의 제1 래치(16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제1 래치(16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다수의 제1 포올(164)들을 지나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강 풀리(154)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하강 풀리(154)의 내측에서 제1 래치(162) 만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사용자가 상승 코드(S2)를 하향으로 당기면, 주기어(132)를 통해서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코드 복귀부(200)의 제2 코일 스프링(220)은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때, 상기 제2 코일 스프링(220)은 그것이 위치된 상기 상승 풀리(174)의 제4 고리 홈(222) 내측과, 제2 코일 스프링(220)이 감긴 중심축(134)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 풀리(174)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승 코드(S2)를 그 외주면에 감아서 상승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상승 풀리(174)의 시계방향회전은 제3 고리 홈(186)의 내측에 위치된 다수의 제2 포올(184)들이 제2 래치(182) 상을 지나쳐서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S2)를 그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상승 코드(S2)는 사용자가 이를 하방측으로 30 내지 40cm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키고,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키면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없이 상승 코드(S2)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며, 재차 상승 코드(S2)를 하방측으로 30 내지 40cm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P)이 최초의 상승위치로부터 또다시 일정거리 상승하고,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을 해제시키면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없이 상승 코드(S2)가 원래의 위치로 재상승하며, 이와 같은 당김 작동을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로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에 비하여 구조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며,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기존의 무한궤도형이 아닌 각각의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권취봉(310) 상에서 블라인드 원단(P)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3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권취부(330)는 권취봉(3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 슬리브(332)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332)는 권취봉(31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334)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310)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P)이 하강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P)을 감아 올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권취부(330)는 구동 슬리브(332)의 일측에 스플라인 부(340)를 형성하여 상기 권취봉(310)에 스플라인(spline) 결합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310)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고, 그 반대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P)을 권취봉(310)에 감아 올린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상기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서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3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350)는 상기 구동 슬리브(332)의 둘레에 하강 코드(S1)가 감긴 하강 풀리(35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354)는 구동 슬리브(332)의 제1 외면(332a)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354)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332)를 회전시키고, 구동 슬리브(332)가 연결된 권취봉(3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하강 풀리(354)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3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 일방향 클러치(360)는 상기 구동 슬리브(332)의 제1 외면(332a)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362)와, 상기 하강 코드(S1)가 감긴 하강 풀리(354) 측에서 상기 제1 래치(362)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래치(362)와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은 상기 하강 풀리(354)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366)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332)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은 상기 하강 풀리(354)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366)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는 각각 제1 래치(362)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 걸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350)는 상기 하강 코드(S1)의 당김 작동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이 제1 래치(362)에 걸려서 구동 슬리브(332)를 권취봉(310)과 함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상기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3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370)는 상기 하강 풀리(354)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구동 슬리브(332)의 둘레에서 상승 코드(S2)가 감긴 상승 풀리(37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승 풀리(374)는 구동 슬리브(332)의 제2 외면(332b)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374)와 함께 타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332)가 회전하고, 구동 슬리브(332)가 연결된 권취봉(310)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승 작동부(370)는 구동 슬리브(332)와 상승 풀리(374)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332)와 권취봉(310)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3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 일방향 클러치(380)는 상기 구동 슬리브(332)의 제2 외면(332b)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382)와, 상기 상승 코드(S2)가 감긴 상승 풀리(374) 측에서 상기 제2 래치(382)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2 래치(382)와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은 상기 상승 풀리(374)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386)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332)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키게 된다.
즉, 상기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은 상기 상승 풀리(374)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386)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측 단부는 각각 제2 래치(382)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 걸리도록 배치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370)는 상기 상승 코드(S2)의 당김 작동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이 제2 래치(382)에 걸려서 구동 슬리브(332)를 권취봉(310)과 함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한 후,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S1)와 상승 코드(S2)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4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강 코드(S1)와 상승 코드(S2)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키며, 이와 같은 당김과 상승을 반복하는 작동을 통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코드 복귀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코드(S1)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410)의 제1 코일부(412)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410)의 제1 코일부(412)는 내측 단부가 상기 하강 풀리(354)의 제1 고리 홈(366)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368)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부(412)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336)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420)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 코드(S1)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354)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이 제1 래치(362) 상을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S1)를 하강 풀리(354) 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복귀부(400)는 상승 코드(S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410)의 제2 코일부(41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코일 스프링(410)의 제2 코일부(414)는 내측 단부가 상기 상승 풀리(374)의 제3 고리 홈(386)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388)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일부(414)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336)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420)상에 고정되어 상기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374)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이 제2 래치(382) 상을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S2)를 상승 풀리(374)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에 구비된 코드 복귀부(4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에 구비된 코드 복귀부(200)와는 다르게, 하나의 코일 스프링(410)의 일측에 제1 코일부(412)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2 코일부(414)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410)이 하강 작동부(350)의 제1 일방향 클러치(360)와, 상승 작동부(370)의 제2 일방향 클러치(380)의 외측에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410)의 제1 코일부(412)는 하강 작동부(350)에 연계되어 동작하고, 코일 스프링(410)의 제2 코일부(414)는 상승 작동부(370)에 연계되어 동작하며, 그 기본적인 기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에 구비된 코드 복귀부(20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먼저,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작동을 통하여 실외 햇빛으로부터 실내를 차광하고자 하는 경우, 하강 작동부(35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하강 작동부(350)의 하강 코드(S1)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에는 하강 코드(S1)가 하강 풀리(354)로부터 풀리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풀리(3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하강 풀리(354)의 회전은 제1 일방향 클러치(360)의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이 하강 풀리(354)와 함께 회전하면서 구동 슬리브(332)의 제1 래치(362)에 걸려서 구동 슬리브(3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구동 슬리브(332)에 연결된 권취봉(3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하강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구동 슬리브(332)의 시계방향 회전은 제2 일방향 클러치(380)의 제2 래치(38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제2 래치(382)의 시계방향 회전은 상승 작동부(370)의 다수의 제2 포올(384)들 내부에서 이들을 지나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승 풀리(374)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상승 풀리(374)의 내측에서 제2 래치(382) 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사용자가 하강 코드(S1)를 하향으로 당기면, 구동 슬리브(332)를 통해서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코드 복귀부(400)의 제1 코일부(412)는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때, 상기 제1 코일부(412)는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하강 코드(S1)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354)를 반대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하강 코드(S1)를 그 외주면에 감아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하강 풀리(354)의 반 시계방향회전은 다수의 제1 포올(364)들이 제1 래치(362) 상을 지나쳐서 반대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도록 하여 하강 코드(S1)를 그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는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작동을 통하여 실내로 실외 햇빛을 유입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승 작동부(37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상승 작동부(370)의 상승 코드(S2)를 하부측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승 코드(S2)가 상승 풀리(374)로부터 풀리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풀리(374)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은 상승 풀리(374)의 회전은 제2 일방향 클러치(380)의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이 상승 풀리(374)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2 래치(382)에 걸려서 구동 슬리브(332)를 반 시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시킨다.
동시에 이와 같은 구동 슬리브(33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권취봉(310)의 반 시계방향 회전을 초래하여 상기 블라인드 원단(P)을 상승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구동 슬리브(33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제1 일방향 클러치(360)의 제1 래치(36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와 같은 제1 래치(36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하강 작동부(350)의 다수의 제1 포올(364)들 내부에서 이들을 지나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강 풀리(354)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하강 풀리(354)의 내측에서 제1 래치(362) 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300)는 사용자가 상승 코드(S2)를 하향으로 당기면, 구동 슬리브(332)를 통해서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코드 복귀부(400)의 제2 코일부(414)는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때, 상기 상승 코드(S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374)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승 코드(S2)를 그 외주면에 감아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상승 풀리(374)의 시계방향회전은 다수의 제2 포올(384)들이 제2 래치(382) 상을 지나쳐서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도록 하여 상승 코드(S2)를 그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밑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300)는 상기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기존의 무한궤도형이 아닌 각각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각각 30 내지 40cm를 갖춤으로써 하향 당김 작동으로 30 내지 40cm 정도 하강하면 코드 복귀부(400)를 통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며, 재차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블라인드 원단(P)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300)에 의하면,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3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하강 코드(S1)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P)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상승 코드(S2)의 당김시에는 블라인드 원단(P)의 상승이 이루어짐은 물론,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하강 코드(S1) 또는 상승 코드(S2)를 조작하여 블라인드 원단(P)을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하강 코드(S1)와 상승 코드(S2)를 각각 와이어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 또는 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약간의 구조적인 변경을 통하여 동등한 기능 및 작용효과를 얻도록 변형가능하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300: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110,310: 권취봉
112a,112b: 손잡이 코드 130,330: 권취부
132,332: 구동 슬리브 134,334: 중심축
136,336: 브라켓 140,340: 스플라인 부
150,350: 하강 작동부 154,354: 하강 풀리 160,360: 제1 일방향 클러치 180,380: 제2 일방향 클러치
200,400: 코드 복귀부 P: 블라인드 원단
S1: 하강 코드 S2: 상승 코드

Claims (10)

  1.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어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주기어와 브라켓의 사이에서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를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는 제1 기어의 일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제1 기어가 회전하고, 제2 기어를 통해 주기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주기어가 장착된 중심축 상에서 상기 제1 기어를 중심으로 상기 하강 풀리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승 풀리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 풀리의 외면에는 상승 코드가 감기며, 상기 상승 풀리는 제1 기어의 타측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와 함께 제1 기어가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를 통해 주기어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작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하강 풀리 사이에는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와, 상기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측에서 상기 제1 래치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래치와 다수의 제1 포올들은 상기 하강 풀리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주기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작동부는 상기 제1 기어와 상승 풀리 사이에는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제1 기어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와, 상기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측에서 상기 제2 래치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와 다수의 제2 포올들은 상기 상승 풀리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주기어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귀부는 하강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1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상기 하강 풀리의 제1 고리 홈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타측 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들이 제1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를 하강 풀리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귀부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제2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일측 단부가 상기 상승 풀리의 제3 고리 홈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타측 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들이 제2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를 상승 풀리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6.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중심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구동 슬리브의 둘레에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하강 풀리는 구동 슬리브의 제1 외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하강 풀리와 함께 일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가 회전하고, 구동 슬리브가 연결된 권취봉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하강 풀리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구동 슬리브의 둘레에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상승 풀리는 구동 슬리브의 제2 외면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상승 풀리와 함께 타측방향으로 구동 슬리브가 회전하고, 구동 슬리브가 연결된 권취봉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하강 코드와 상승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 코드 또는 상승 코드를 하방으로 당기고 상방으로 원위치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작동부는 상기 구동 슬리브와 하강 풀리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작동만을 허용하는 제1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구동 슬리브의 제1 외면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제1 래치와, 상기 하강 코드가 감긴 하강 풀리측에서 상기 제1 래치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1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래치와 다수의 제1 포올들은 상기 하강 풀리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작동부는 상기 구동 슬리브와 상승 풀리 사이에서 상기 구동 슬리브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만을 허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의 상승작동만을 허용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구동 슬리브의 제2 외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래치와, 상기 상승 코드가 감긴 상승 풀리측에서 상기 제2 래치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향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제2 포올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와 다수의 제2 포올들은 상기 상승 풀리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 고리 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당김 작동으로 상기 구동 슬리브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귀부는 하강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1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제1 코일부는 내측 단부가 상기 하강 풀리의 제1 고리 홈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코일부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상에 고정되어 상기 하강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1 포올들이 제1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하강 코드를 하강 풀리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귀부는 상승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2 코일부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제2 코일부는 내측 단부가 상기 상승 풀리의 제3 고리 홈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4 고리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일부의 외측 단부는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고정대상에 고정되어 상기 상승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승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제2 포올들이 제2 래치 상을 공회전하여 상승 코드를 상승 풀리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20110061586A 2011-06-24 2011-06-24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1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86A KR101213949B1 (ko) 2011-06-24 2011-06-24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86A KR101213949B1 (ko) 2011-06-24 2011-06-24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949B1 true KR101213949B1 (ko) 2012-12-18

Family

ID=4790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586A KR101213949B1 (ko) 2011-06-24 2011-06-24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9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98B1 (ko) * 2013-05-02 2014-07-24 김정민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2줄 슬림형 롤 블라인드
WO2014178465A1 (ko) * 2013-05-02 2014-11-06 Kim Jung Min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WO2020095724A1 (ja) * 2018-11-07 2020-05-14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66313A (ja) * 2018-07-31 2022-04-28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71219A (ja) * 2018-08-01 2022-05-1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71218A (ja) * 2018-08-01 2022-05-1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78169A (ja) * 2018-07-31 2022-05-24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49A (ja) 2008-11-05 2010-05-20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JP2010242303A (ja) 2009-04-01 2010-10-28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KR100994401B1 (ko) 2010-04-13 2010-11-15 곽재석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049A (ja) 2008-11-05 2010-05-20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JP2010242303A (ja) 2009-04-01 2010-10-28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KR100994401B1 (ko) 2010-04-13 2010-11-15 곽재석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465A1 (ko) * 2013-05-02 2014-11-06 Kim Jung Min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유낙하식 슬림형 롤 블라인드
KR101422998B1 (ko) * 2013-05-02 2014-07-24 김정민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2줄 슬림형 롤 블라인드
JP2022078169A (ja) * 2018-07-31 2022-05-24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7329642B2 (ja) 2018-07-31 2023-08-18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7329643B2 (ja) 2018-07-31 2023-08-18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66313A (ja) * 2018-07-31 2022-04-28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7250975B2 (ja) 2018-08-01 2023-04-0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71218A (ja) * 2018-08-01 2022-05-1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2071219A (ja) * 2018-08-01 2022-05-13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7329646B2 (ja) 2018-08-01 2023-08-18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7199923B2 (ja) 2018-11-07 2023-01-06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JP2020076244A (ja) * 2018-11-07 2020-05-21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WO2020095724A1 (ja) * 2018-11-07 2020-05-14 株式会社ニチベイ 遮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949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89584B1 (ko) 무소음 양방향 클러치를 갖는 롤 블라인드
EP1707735B1 (en) Roller blind
RU2585554C1 (ru) Оконная штора, ее модуль управления и ее способ работы
CA2953344C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6150692B2 (ja) 遮蔽材駆動装置、遮蔽装置
JP4696030B2 (ja) 窓用調光部材昇降装置
KR101213794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13737B1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99397B1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176323B1 (ko)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2015028297A (ja) 遮蔽装置
JP5315009B2 (ja) ブラインド
KR101312866B1 (ko)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JP2011094457A (ja) 遮蔽装置
TWM613462U (zh) 雙向開闔式窗簾
KR101301798B1 (ko)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6313508B2 (ja) 遮蔽装置
JP6795346B2 (ja) 日射遮蔽装置における保持手段を備えたクラッチユニット
JP4729274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KR101422998B1 (ko)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2줄 슬림형 롤 블라인드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KR101289531B1 (ko) 무소음 듀얼롤 블라인드장치
KR101703481B1 (ko) 블라인드 조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