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866B1 -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866B1
KR101312866B1 KR1020110073739A KR20110073739A KR101312866B1 KR 101312866 B1 KR101312866 B1 KR 101312866B1 KR 1020110073739 A KR1020110073739 A KR 1020110073739A KR 20110073739 A KR20110073739 A KR 20110073739A KR 101312866 B1 KR101312866 B1 KR 10131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rd
clutch
single cord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481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1007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8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상승 코드 및 하강 코드를 단일 코드로 형성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단일 코드를 직하부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올리는 상승 코드로서 사용하고, 단일 코드를 앞쪽으로 당겨서 경사진 상태로 하부측으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하강 코드로의 사용시에는 이동 클러치가 주기어에 클러치 치차 결합하여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킬 때에는 이동 클러치가 상승 보조기어에 클러치 치차결합하고, 상승 보조기어와 주기어의 직경차이로 인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쉽게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단일 코드를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 사고와, 노약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APPARATUS HAVING ONE SAFETY CORD}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햇빛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내 사생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상승 코드 및 하강 코드를 단일 코드로 형성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킬 때에는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동작시키고, 상승시킬 때에는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부드럽고 쉽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단일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원위치 상승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속하여 편리하게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Roll Blind)는 각종 건축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차광이나 실내의 조명조절 또는 실내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통상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라인드 원단을 구비하고, 이를 상부의 권취봉에 말아 올려서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창문을 막아주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벽체 등에 고정되는 프레임의 양측에 구동측 브라켓과 종동측 브라켓이 설치되고, 그 각각의 브라켓 사이에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권취봉에는 블라인드 원단이 감겨지고, 그 하단에는 웨이트가 고정되어 웨이트 무게에 의해서 권취봉으로부터 블라인드 원단이 하부로 풀려서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측 브라켓의 내부에는 권취봉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코드 풀리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코드 풀리에는 당김 코드가 감겨져서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일측을 당기면 코드 풀리를 통하여 권취봉이 회전되고,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에 감겨서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타측을 당기게 되면 코드 풀리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권취봉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으로부터 풀리고 하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김 코드는 무한 궤도형으로 상기 코드 풀리에 감겨 있는 것으로서, 그 하단은 아래로 길게 늘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당김 코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 아이들이 집안에서 종종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를 하면서 하부로 늘어진 블라인드 원단의 뒷쪽에 숨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에 어린 아이들의 목에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당김 코드가 감기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당김 코드의 목 감김 안전사고는 매우 치명적인 것이어서, 어린아이들이 놀다가 당김 코드가 목에 끼인 상태로 넘어지게 되면, 쉽게 질식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롤 블라인드 장치의 당김 코드는 종종 실내에서 뛰어다니는 어린 아이나, 또는 심신이 허약한 노약자들이 쉽게 하부로 늘어진 무한궤도형의 코드에 걸려서 넘어지게 되어 크게 다치는 안전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한궤도형으로 늘어진 종래의 당김 코드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당김 코드를 높게 위치시켜서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못하는 위치에 위치시켜서 혹시라도 어린아이들 또는 노약자들이 코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이와 같이 당김 코드의 하단을 분리시켜서 그 길이를 짧게 하고, 어린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에 높게 위치시키게 되면, 블라인드 원단을 적절한 높이로 승하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당 업계에서는 심각하게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려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로 인하여 힘이 약한 사용자는 쉽게 동작시키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56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코드를 하나의 단일 코드로 구성하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 사고와, 노약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코드를 직하부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올리는 상승 코드로서 사용하고, 단일 코드를 앞쪽으로 당겨서 경사진 상태로 하부측으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하강 코드로의 사용시에는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킬 때에는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부드럽고 쉽게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단일 코드를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어는 권취봉과 함께 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중심축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주기어의 일측에서 단일 코드가 감긴 코드 풀리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축 상에서 회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클러치에 인접하여 상기 회전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동 클러치와는 경사면 접촉으로 면접된 하강 조정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단일 코드를 전방측으로 당겨서 하강 조정레버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와 함께 이동 클러치가 상기 주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주기어에 치차 결합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클러치를 주기어 반대 측의 상승 보조기어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밀음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단일 코드를 직하부로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 및 이동 클러치와 함께 상기 상승 보조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을 통하여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을 타측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단일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단일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일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당겨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단일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단일 코드를 직하방으로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거나, 단일 코드를 전방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풀리는 그 내측면에 다수의 포올이 고정되는 원형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포올들은 각각 상기 이동 클러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일방향 걸림턱에 그 끝단이 걸리며, 상기 이동 클러치의 일방향 걸림턱 방향은 코드 풀리의 회전방향 측으로 상기 포올들이 걸리도록 형성되어, 단일 코드에 의해서 상기 코드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도 코드 풀리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클러치는 그 양측면 테두리에 각각 다수의 클러치 치차들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클러치 치차들은 상기 중심축상에서 이동 클러치가 좌우로 이동하면, 일측의 클러치 치차가 상기 주기어의 클러치 치차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 타측의 클러치 치차가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클러치 치차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클러치의 내주면은 상기 중심축상에 장착된 슬라이더의 원형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그 내주면이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육각 단면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밀음 스프링은 그 일측이 권취봉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이동 클러치의 일측을 지지하여 이동 클러치가 항상 상승 보조기어측에 치차결합하도록 구성된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강 조정레버는 상기 중심축의 원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부측 회전관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내주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중첩 결합되며, 상기 회전관은 판재형 레버를 통하여 그 하단에 걸림 바가 단일 코드의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일 코드가 걸림 바를 전방측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관이 중심축의 원통부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원통부의 일측에 마련된 경사면이 그 회전작동 중에 상기 이동 클러치의 슬라이더에 마련된 경사면을 중심축 상에서 밀어서 상기 이동 클러치가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분리되고, 밀음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주기어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간의 결합을 이루고, 상기 단일 코드가 걸림 바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는 밀음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와 함께 주기어로부터 상승 보조기어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간의 결합을 이루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승 작동부의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은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치차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측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일측이 치차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의 제3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주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치차 결합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주기어측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직경은 상기 주기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주기어로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상승 보조기어의 회전수보다 주기어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대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상승시키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복귀부는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상기 코드 풀리의 원형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단일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포올들이 이동 클러치의 일방향 걸림턱 경사면을 타고 공회전하여 단일 코드를 코드 풀리 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블라인드 원단을 승하강시키는 당김 코드를 하나의 단일 코드로 구성하고, 이를 직하부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올리는 상승 코드로서 사용하고, 단일 코드를 앞쪽으로 당겨서 경사진 상태로 하부측으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을 내리는 하강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일 코드를 무한궤도형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 사고와, 노약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에 의하면, 하강 코드로의 사용시에는 이동 클러치가 주기어에 클러치 치차 결합하여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킬 때에는 이동 클러치가 상승 보조기어에 클러치 치차결합하고, 상승 보조기어와 주기어의 직경차이로 인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쉽게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코드가 일단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단일 코드를 사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반복적으로 승하강시키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중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작동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하강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작동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의 상승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원단(W)을 권취봉(110)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110)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권취봉(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112)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110)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W)이 하강하고, 상기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W)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권취부(120)는 주기어(112)가 권취봉(110)과 함께 브라켓(12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중심축(124)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기어(112)는 이후에 설명되는 이동 클러치(140)의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서 권취봉(11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중심축(1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2)에 고정된 측으로 원형 단면의 회전부(126a)와, 이러한 회전부(126a)에 인접하여 육각 단면의 고정부(126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13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하강 작동부(130)는 도 2에 분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클러치(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동 클러치(140)는 상기 주기어(112)의 일측에서 단일 코드(152)가 감긴 코드 풀리(15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축(124) 상에서 회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상기 코드 풀리(150)는 그 외주면에 끈형의 단일 코드(152)가 감겨지는 데, 이와 같은 단일 코드(152)는 사용자가 하부 측으로 잡아당길 만큼의 길이로 사전에 코드 풀리(150)의 외주면에 감겨진다.
또한 이와 같은 코드 풀리(150)는 그 내측면에 다수의 포올(154)이 고정되는 원형 내벽(156)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포올(154)들은 각각 상기 이동 클러치(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일방향 걸림턱(142)에 그 끝단이 걸리며, 상기 이동 클러치(140)의 일방향 걸림턱(142)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풀리(150)의 회전방향 측으로 상기 포올(154)들이 걸리도록 형성되며, 단일 코드(152)에 의해서 상기 코드 풀리(150)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140)도 코드 풀리(15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코드 풀리(150)의 다수의 포올(154)들과, 이동 클러치(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일방향 걸림턱(142)의 걸림 관계가 도 3에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드 풀리(150)는 단일 코드(152)에 의해서 당겨지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포올(154)들을 통하여 이동 클러치(140)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만일, 코드 풀리(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포올(154)들은 이동 클러치(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못한다.
이와 같은 이동 클러치(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 테두리에 각각 다수의 클러치 치차(144a,144b)들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이동 클러치(140)는 중심축(124) 상에서 이동한다.
즉 상기 이동 클러치(140)는 그 내주면이 상기 중심축(124) 상에 장착된 슬라이더(160)의 원형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160)는 그 내주면이 중심축(124)의 육각 단면의 고정부(126b)에 끼워져서 상기 중심축(124)의 육각 단면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124)상에서 이동 클러치(140)가 슬라이더(160)를 통해서 좌우로 이동하면, 일측의 클러치 치차(144a)가 주기어(112)의 클러치 치차(112a)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 반대측으로 이동하면 타측의 클러치 치차(144b)가 상승 보조기어(170)의 클러치 치차(170a)에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이동 클러치(140)는 주기어(112) 또는 상승 보조기어(170)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124)에는 이동 클러치(140)에 인접하여 밀음 스프링(180)이 끼워지는데, 이와 같은 밀음 스프링(180)은 그 일측이 권취봉(110)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이동 클러치(140)의 일측을 지지하여 이동 클러치(140)가 항상 상승 보조기어(170) 측에 클러치 치차(144b,170a) 결합하도록 탄력적으로 밀고 있다.
또한 상기 하강 작동부(130)는 이동 클러치(140)에 인접하여 상기 중심축(124)의 회전부(126a)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동 클러치(140)와는 경사면 접촉으로 면접된 하강 조정레버(19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하강 조정레버(190)는 사용자가 상기 단일 코드(152)를 전방측으로 당겨서 하강 조정레버(190)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150)와 함께 이동 클러치(140)가 상기 주기어(11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강 조정레버(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124)의 회전부(126a)에 회전가능하도록 상부측 회전관(192)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관(192)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의 내주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중첩 결합되며, 상기 회전관(192)은 판재형 레버(194)를 통하여 그 하단에 걸림 바(196)가 단일 코드(152)의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단일 코드(152)를 걸림 바(196)의 전방측으로 당기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바(196)가 당겨지면서 상기 하강 조정레버(190)의 회전관(192)이 중심축(124)의 회전관(192)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회전관(192)의 일측에 마련된 경사면(198)이 그 회전작동중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클러치(140)의 슬라이더(160)에 마련된 경사면(164)을 중심축(124) 상에서 밀어서 상기 이동 클러치(140)가 상승 보조기어(170)로부터 분리되고, 밀음 스프링(180)을 압축시키면서 주기어(112) 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144a,112a) 간의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걸림 바(196)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음 스프링(180)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60)와 함께 주기어(112)로부터 상승 보조기어(170) 측으로 이동하여 주기어(112)와는 치차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상승 보조기어(170)와 클러치 치차(144a,170a) 간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을 타측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2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200)는 상기 주기어(112)에 치차 결합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10)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클러치(140)를 주기어(112) 반대 측의 상승 보조기어(170) 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밀음 스프링(180)을 구비하며, 상기 단일 코드(152)를 직하부로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150) 및 이동 클러치(140)와 함께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가 회전하고,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10)들을 통하여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을 타측 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상승 작동부(200)의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10)들은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72)에 치차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122)의 제2축(2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기어(216)와, 상기 제1 기어(216)의 상부측에서 상기 제1 기어(216)에 일측이 치차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122)의 제3축(21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주기어(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16)에 치차 결합하는 제2 기어(2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승 작동부(200)는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의 기어(172)의 직경이 상기 주기어(112)의 기어(11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로부터 주기어(112)로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상승 보조기어(170)의 회전수보다 주기어(112)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대시켜서 블라인드 원단(W)의 무게감을 줄여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상기 단일 코드(15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고, 사용자가 당김 작동을 중단하면 상기 단일 코드(152)를 최초의 위치로 당겨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코드 복귀부(230)는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232)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232)은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코드 풀리(150)의 원형 내벽(156)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라켓(122)의 일측에 고정되어 단일 코드(152)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고, 코드 풀리(150)가 회전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단일 코드(152)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232)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풀리(150)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코드 풀리(150)의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포올(154)들은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됨으로써 이동 클러치(140)의 일방향 걸림턱(142)의 경사면(142a)을 타고 공회전하여 단일 코드(152)를 코드 풀리(150) 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단일 코드(152)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짧게 위치시키고, 코드 풀리(150)에 당길 길이만큼 사전에 감아둔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코드(152)를 전방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키거나, 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코드(152)를 직하방으로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키고 블라인드 원단(W)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키는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키고자 한다면, 단일 코드(152)를 걸림 바(196)의 전방측으로 당겨서 걸림 바(196)를 앞으로 당긴 다음, 단일 코드(152)를 경사진 상태로 하방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걸림 바(196)를 전방으로 당긴 상태로 단일 코드(152)를 당기게 되면, 하강 조정레버(190)의 회전관(192)이 중심축(124)의 회전부(126a)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회전관(192)의 일측에 마련된 경사면(198)이 그 회전작동 중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클러치(140)의 슬라이더(160)에 마련된 경사면(164)을 중심축(124) 상에서 좌측으로 밀어서 상기 이동 클러치(140)가 상승 보조기어(170)로부터 분리되고, 밀음 스프링(180)을 압축시키면서 주기어(112) 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144a,112a) 간의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일 코드(152)를 하부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당기면 코드 풀리(150)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포올(154)들을 통해서 이동 클러치(14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동 클러치(140)는 주기어(112)에 클러치 치차(144a,112a)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권취봉(110)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W)은 권취봉(110)이 코드 풀리(150)의 회전수에 대해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 원단(W)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블라인드 원단(W)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코드(152)의 복귀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에는 코드 복귀부의 코일 스프링(232)을 통하여 복귀된다.
즉 단일 코드(152)가 전방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당겨지면, 코드 풀리(150)가 회전하면서 코일 스프링(232)을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232)은 그 타단이 브라켓(1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드 풀리(15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이와 같인 축적된 코일 스프링(232)의 탄성 복원력은 사용자가 단일 코드(152)의 전방 하부로의 당김 상태를 해제시키면, 코드 풀리(150)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코드 풀리(150)의 내측에 구비된 다수의 포올(154)들은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됨으로써 이동 클러치(140)의 일방향 걸림턱(142)의 경사면(142a)을 타고 공회전하여 단일 코드(152)를 코드 풀리(150) 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코드 풀리(150)의 역회전작동중에는 이동 클러치(140)가 역회전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일 코드(152)의 전방 하부측으로의 경사진 당김 작동을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로 블라인드 원단(W)이 하강하면 사용자는 단일 코드(152)의 당김 작동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단일 코드(152)의 하향 당김작동을 중단하면 상기 걸림 바(196)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므로, 이동 클러치(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음 스프링(180)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60)와 함께 주기어(112)로부터 상승 보조기어(170) 측으로 이동하여 주기어(112)와는 치차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상승 보조기어(170)와 클러치 치차(144b,170a) 간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160)는 하강 조정레버(190)에 대해 경사면(164,198) 결합을 하게 되고, 하강 조정레버(190)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 그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키는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키고자 한다면, 단일 코드(152)를 직하방으로, 즉 걸림 바(196)와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하부측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단일 코드(152)를 직하부로 당기게 되면, 코드 풀리(150)가 회전하면서 다수의 포올(154)들을 통해서 이동 클러치(14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동 클러치(140)는 상승 보조기어(170)에 클러치 치차(144b,170a)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동력전달기어(210)를 통하여 주기어(112)와 권취봉(1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의 회전으로 이에 맞물린 제1 기어(21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216)에 맞물린 제2 기어(220)가 상승 보조기어(17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기어(220)에 맞물린 주기어(112)가 그 반대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의 기어(172)의 직경은 주기어(112)의 기어(11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승 보조기어(170)로부터 주기어(112)로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상승 보조기어(170)의 회전수보다 주기어(112)의 역회전수를 감속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대시켜서 블라인드 원단(W)의 무게감을 줄여서 부드럽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코드(152)의 복귀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에는 코드 복귀부(230)의 코일 스프링(232)을 통하여 복귀된다.
이와 같이 단일 코드(152)를 일단 당긴 후에 코드 복귀부(230)를 통하여 복귀시키고, 재차 하부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작동 과정은 상기 블라인드 원단(W)의 하강시, 코드 복귀부(230)가 동작하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블라인드 원단(W)을 승하강시키는 단일 코드(152)를 하나로 구성하고, 이를 직하부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W)을 올리는 상승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고, 단일 코드(152)를 앞쪽으로 당겨서 경사진 상태로 하부측으로 당기면 블라인드 원단(W)을 내리는 하강 코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일 코드(152)를 무한궤도형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코드 길이를 짧게 하여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원활하게 블라인드 원단(W)의 승하강 작동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사용에 관련하여 어린 아이들의 목 감김 사고와, 노약자들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100)는 하강 코드로의 사용시에는 이동 클러치(140)가 주기어(112)에 클러치 치차(144a,112a) 결합하여 1:1 기어비 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W)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블라인드 원단(W)을 상승시킬 때에는 이동 클러치(140)가 상승 보조기어(170)에 클러치 치차(144b,170a) 결합하고, 상승 보조기어(170)와 주기어(112)의 직경차이로 인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W)의 무게감을 줄여서 쉽게 상승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단 단일 코드(152)가 하부측으로 당겨진 다음에는 자동으로 코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단일 코드(152)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블라인드 원단(W)을 승하강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00: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110: 권취봉
112: 주기어 120: 권취부
124: 중심축 130: 하강 작동부
140: 이동 클러치 142: 일방향 걸림턱
142a: 경사면 112a,144a,144b,170a: 클러치 치차
150: 코드 풀리 152: 단일 코드
154: 포올(Pawl) 156: 원형 내벽
170: 상승 보조기어 180: 밀음 스프링
190: 하강 조정레버 164,198: 경사면
200: 상승 작동부 210: 동력전달기어
214: 제2축 216: 제1 기어
218: 제3축 220: 제2 기어
230: 코드 복귀부 232: 코일 스프링
W: 블라인드 원단

Claims (6)

  1. 블라인드 원단을 권취봉에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권취봉으로부터 풀어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롤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권취봉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주기어는 권취봉과 함께 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중심축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일측 방향 회전으로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이 하강하고,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의 타측 방향 회전으로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올리는 권취부;
    상기 주기어의 일측에서 단일 코드가 감긴 코드 풀리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심축 상에서 회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클러치에 인접하여 상기 회전축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동 클러치와는 경사면 접촉으로 면접된 하강 조정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단일 코드를 전방측으로 당겨서 하강 조정레버를 회전시키고, 그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와 함께 이동 클러치가 상기 주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키는 하강 작동부;
    상기 주기어에 치차 결합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클러치를 주기어 반대 측의 상승 보조기어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밀음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단일 코드를 직하부로 당기면 상기 코드 풀리 및 이동 클러치와 함께 상기 상승 보조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을 통하여 상기 주기어와 권취봉을 타측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는 상승 작동부; 및
    상기 단일 코드가 하향 당김 작동으로 하강하면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단일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축적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일 코드를 최초의 위치로 당겨서 상승 복귀시키는 코드 복귀부;를 포함하여 단일 코드를 어린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단일 코드를 직하방으로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을 상승시키거나, 단일 코드를 전방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당겨서 블라인드 원단을 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풀리는 그 내측면에 다수의 포올이 고정되는 원형 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포올들은 각각 상기 이동 클러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일방향 걸림턱에 그 끝단이 걸리며, 상기 이동 클러치의 일방향 걸림턱 방향은 코드 풀리의 회전방향 측으로 상기 포올들이 걸리도록 형성되어, 단일 코드에 의해서 상기 코드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도 코드 풀리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클러치는 그 양측면 테두리에 각각 다수의 클러치 치차들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클러치 치차들은 상기 중심축상에서 이동 클러치가 좌우로 이동하면, 일측의 클러치 치차가 상기 주기어의 클러치 치차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 타측의 클러치 치차가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클러치 치차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클러치의 내주면은 상기 중심축상에 장착된 슬라이더의 원형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그 내주면이 육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육각 단면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밀음 스프링은 그 일측이 권취봉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이동 클러치의 일측을 지지하여 이동 클러치가 항상 상승 보조기어측에 치차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조정레버는 상기 중심축의 원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부측 회전관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내주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중첩 결합되며, 상기 회전관은 판재형 레버를 통하여 그 하단에 걸림 바가 단일 코드의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일 코드가 걸림 바를 전방측으로 당기면 상기 회전관이 중심축의 원통부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원통부의 일측에 마련된 경사면이 그 회전작동 중에 상기 이동 클러치의 슬라이더에 마련된 경사면을 중심축 상에서 밀어서 상기 이동 클러치가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분리되고, 밀음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주기어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간의 결합을 이루고, 상기 단일 코드가 걸림 바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이동 클러치는 밀음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와 함께 주기어로부터 상승 보조기어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치차간의 결합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작동부의 다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은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치차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2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측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일측이 치차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의 제3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주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치차 결합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주기어측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상승 보조기어의 직경은 상기 주기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승 보조기어로부터 주기어로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기어비의 감속작동을 통해 상승 보조기어의 회전수보다 주기어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고 회전 토크를 증대시켜서 블라인드 원단의 무게감을 줄여서 상승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귀부는 코일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상기 코드 풀리의 원형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단일 코드의 하향 당김 작동이 해소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풀리를 역회전시키고, 다수의 포올들이 이동 클러치의 일방향 걸림턱 경사면을 타고 공회전하여 단일 코드를 코드 풀리 상에 감아서 최초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20110073739A 2011-07-25 2011-07-25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31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39A KR101312866B1 (ko) 2011-07-25 2011-07-25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39A KR101312866B1 (ko) 2011-07-25 2011-07-25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81A KR20130012481A (ko) 2013-02-04
KR101312866B1 true KR101312866B1 (ko) 2013-09-30

Family

ID=4789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739A KR101312866B1 (ko) 2011-07-25 2011-07-25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96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홈네스터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20060066012A (ko) * 2004-12-11 2006-06-15 윤신영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200439469Y1 (ko) 2007-02-21 2008-04-14 김정민 롤 블라인드
KR200445039Y1 (ko) 2007-11-06 2009-06-24 김정민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396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홈네스터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20060066012A (ko) * 2004-12-11 2006-06-15 윤신영 다축 독립구동 블라인드 장치
KR200439469Y1 (ko) 2007-02-21 2008-04-14 김정민 롤 블라인드
KR200445039Y1 (ko) 2007-11-06 2009-06-24 김정민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81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3213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US9127500B2 (en) Cord-winding device for venetian blind
JP6346352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KR101213949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US7665507B2 (en) Blind
TWI509146B (zh) A shielding device and a clutch for a shielding device
US20170321477A1 (en) One-way driving mechanism for cordless window blind
JP507550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方法及び遮蔽材昇降装置
TW201540932A (zh) 窗簾拉繩阻力裝置
JP2009121232A (ja)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JP3378813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JP2008163578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US20070095486A1 (en) Single cord activation mechanism for collecting a window blind
KR100909039B1 (ko) 롤 회전방식 방충망의 감속장치
KR101213737B1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176323B1 (ko)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99397B1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312866B1 (ko)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213794B1 (ko)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TWM481285U (zh) 窗簾捲收機構與窗簾組
KR101301798B1 (ko) 단일 안전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4729274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TWM613462U (zh) 雙向開闔式窗簾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CN101230775A (zh) 用于窗帘的控制机构的分离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