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492A -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492A
KR20130056492A KR1020110122130A KR20110122130A KR20130056492A KR 20130056492 A KR20130056492 A KR 20130056492A KR 1020110122130 A KR1020110122130 A KR 1020110122130A KR 20110122130 A KR20110122130 A KR 20110122130A KR 20130056492 A KR20130056492 A KR 20130056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
compressed air
air supply
accommodating par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2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492A/ko
Publication of KR2013005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s in a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협잡물이 수용되는 협잡물 수용부가 형성되는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협잡물을 낙하시키는 수집 슈트; 상기 수집 슈트와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연통 영역에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 슈트 내의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낙하시키는 협잡물 투입밸브; 상기 협잡물 수용부 영역에 배치되며, 밸브의 동작에 기초하여 협잡물 수용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협잡물을 이송하는 압축공기 공급밸브; 및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서 넓은 면적으로 분사시켜 분사속도를 줄이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압축공기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PNEUMATIC WASTE CONVEYOR HAVING PRESSURIZED AIR INLET OF ANTI-ABRASION STRUCTURE}
본 발명은,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 공급구 면적을 종래보다 확대하는 한편 협잡물 수용부의 원통 접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압축공기 분출속도를 줄이고 압축공기를 원통을 따라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압축공기 공급구를 형성시켜 압축공기 공급구에서 고속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와 협잡물에 의하여 1차 접촉부위가 급속 마모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선회류 작용으로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부분 침착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협잡물 수용부의 급속마모에 의한 파열을 예방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생활하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생활하수나 산업폐수는 하, 폐수처리장에서 처리되는데, 처리장의 주요설비 가운데 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전물인 모래 등의 침사를 제거하기 위한 침사인양기는 정화수단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침사인양기는 통상 사각 형태로 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침사지의 바닥에 쌓인 모래 및 기타 극소량의 이물질을 버킷(bucket)으로 긁어내어 침사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는 침사지에서 침사를 침사저장박스나 침사저장호퍼로 이송하는 방법으로는 플라이트(Flight) 형식의 플라이트 컨베이어, 와이어로프 형식의 침사스킵호이스트, 기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침사저장호퍼 또는 침사저장박스의 내부로 투입 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송방식은 협잡물의 노출로 인한 악취의 발생이나 협잡물의 비산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오염 및 위생상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0-228972호의 '파쇄정량 이송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협잡물 이송장치'에서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침사를 이송하는 방법은 상기 침사인양기의 후단부에 상기 공기압을 이용한 침사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침사 협잡물을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의 밀폐된 이송관을 통하여 외부의 침사저장박스 또는 침사저장호퍼의 내부로 악취발생이나 침사의 비산 등 주변 환경의 오염이 없이 협잡물을 이송하여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 슈트(20)의 하부에 반구상의 협잡물 투입밸브(30)가 구비된 구조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협잡물 수용부(11), 상기 협잡물 수용부(11)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공급관(61)과 압축공기 공급구(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협잡물 수용부(11)의 하부에 이송통로를 좁아지게 한 벤츄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츄리부(14)에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관 형상의 협잡물 이송관(15)이 구성되어 있고, 협잡물 수용부(11)의 외측에 구성한 서포트 지지부(12)의 외측에 서포트(13)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슬러지를 외부의 협잡물 저장탱크로 공기압축기에 의하여 발생된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의하여 협잡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발생이나 슬러지의 비산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오염 없이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고 자유자재로 이송통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협잡물의 이송은 상기 협잡물 투입밸브(30)가 닫히고, 원통형상의 협잡물 수용부(11) 벽체 상부에는 압축공기 공급구(6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의해서 투입된 협잡물이 이송되게 되는데 상기 협잡물 수용부(11)의 돌출된 압축공기 공급구(62)로부터 압축공기가 고속으로 분출되면서 협잡물 중의 침사 등 딱딱한 고형분이 압축공기에 유인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고속으로 분사되는데 이때 협잡물 수용부(11)의 도 2에 도시된 "A" 부위에 집중적으로 충돌하여 부분적인 과도한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의 금속재질로 된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의 상부 벽체부위("A")가 협잡물의 충돌로 단 기간에 파열되어 더 이상 계속해서 협잡물 이송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협잡물 이송장치를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와 협잡물 수용부(11) 사이의 공간에 내마모재를 충진하는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7356호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고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경우 협잡물의 이송은 상기 협잡물 투입밸브(30)가 닫치고, 원통형상의 협잡물 수용부(11) 벽체 상부에는 압축공기 공급구(6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의해서 투입된 협잡물이 이송되게 되는데 상기 돌출된 압축공기 공급구(62)로부터 압축공기가 고속으로 분출되면서 협잡물 수용부(11)의 내부 원주를 따라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협잡물 이송해야 되는데 돌출된 압축공기 공급구(62)로부터 분출되 압축공기는 그러지 못하여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경우 부분 침적이 발생하여 협잡물을 이송한 후에도 협잡물 수용부(11)에 잔존하는 협잡물이 발생하여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에 복수의 압축공기 공급구(62)를 구비하는 방안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3507호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마모 부위가 증대되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932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73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3507호
상기 목적은, 압축공기 공급구 면적을 종래보다 확대하는 한편 협잡물 수용부의 원통 접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압축공기 분출속도를 줄이고 압축공기를 원통을 따라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압축공기 공급구를 형성시켜 압축공기 공급구에서 고속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와 협잡물에 의하여 1차 접촉부위가 급속 마모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선회류 작용으로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부분 침착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협잡물 수용부의 급속마모에 의한 파열을 예방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협잡물이 수용되는 협잡물 수용부가 형성되는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협잡물을 낙하시키는 수집 슈트; 상기 수집 슈트와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연통 영역에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 슈트 내의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낙하시키는 협잡물 투입밸브; 및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서 넓은 면적으로 분사시켜 분사속도를 줄이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압축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구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어 선회류의 공기 흐름(air flow)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압축공기 챔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는 상기 협잡물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압축공기에 대한 회전 와류를 형성하는 스파이럴 가이드(spiral guid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가이드는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측벽에 결합되는 다수의 서포트; 및 상기 다수의 서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수용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공기 공급구 면적을 종래보다 확대하는 한편 협잡물 수용부의 원통 접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압축공기 분출속도를 줄이고 압축공기를 원통을 따라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압축공기 공급구를 형성시켜 압축공기 공급구에서 고속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와 협잡물에 의하여 1차 접촉부위가 급속 마모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선회류 작용으로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부분 침착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협잡물 수용부의 급속마모에 의한 파열을 예방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시스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의 확대 구조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압축공기 공급구 영역의 횡단면 구조도.
도 6은 협잡물의 투입 및 이송, 그리고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른 제어테이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른 시스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의 확대 구조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압축공기 공급구 영역의 횡단면 구조도, 도 6은 협잡물의 투입 및 이송, 그리고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른 제어테이블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이송장치(100)는 주변 장치들, 예컨대 공기압축기(200), 압축공기 저장탱크(300) 및 협잡물 저장탱크(400)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공기압축기(200)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 저장탱크(300)로 보내면 압축공기 저장탱크(300)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협잡물 이송장치(100)로 공급하고, 협잡물 이송장치(100) 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기초하여 협잡물 이송장치(100)로 투입되는 협잡물(WASTE)은 협잡물 이송관을 통해 협잡물 저장탱크(400)로 이송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협잡물의 이송에서 저장까지 모두가 배관(P1~P3)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분뇨, 축산 폐기물, 하수 슬러지 등 기피 물질의 이송에 적합하고 악취 발생을 차단하여 친환경적으로 사용하기에 좋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협잡물은, 침사 및 하수처리 협잡물, 비롯하여, 각종 스크린 협잡물, 탈수슬러지 케이크, 분뇨, 축산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협잡물 이송장치(100)는,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 수집 슈트(120), 협잡물 투입밸브(130), 협잡물 수용부(111), 그리고 압축공기 공급구(162)를 포함할 수 있다.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는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협잡물이 수용되는 협잡물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협잡물 수용부(111)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협잡물 수용부(111) 내로 투입된 협잡물이 공기압에 의해 이송될 때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협잡물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된 후에, 도 3에 도시된 협잡물 저장탱크(400)로 향할 수 있다.
한편,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에는 압축공기 저장탱크(30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부로 분사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의 경우, 압축공기 공급구(62, 도 2 참조)가 엘보 형태로 돌출되어 협잡물 수용부(11)의 내벽을 타격하는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협잡물 수용부(11)의 내벽("A") 방향으로 고속 분사되면서 협잡물을 유인 협잡물과 같이 내벽을 연속적으로 타격하고, 이로 인해 협잡물 수용부(11)의 특정부위인 내벽("A")부위에 급속 마모가 발생하여 종래에는 파열로 인하여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가 손상을 입는 단점이 초래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적용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일측에는 압축공기 저장탱크(300) 쪽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협잡물 수용부(111)로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공급관(161)이 마련되고, 압축공기 공급관(161)의 말단부, 즉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측벽에 압축공기 챔버(163)를 갖는 압축공기 공급구(162)가 협잡물 수용부(11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종래 구조와는 달리, 압축공기 공급구(162)는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 공급관(161)과 연통되며, 압축공기 공급관(161)으로부터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부에서 5배 이상의 넓은 면적으로 분사시켜 분사속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압축공기 공급구(162)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벽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게 함으로서 벽면을 따라 선회류의 공기 흐름(air flow)을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처럼 압축공기가 고속으로 분출되면서 협잡물을 유인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벽 일정부위("A", 도 2 참조)를 향해 집중해서 타격함으로써 그 일정부위("A")가 급속 마모되어 파열시키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어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협잡물 수용부(111) 내로 주입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선회류 흐름에 의해 점착성이 높아 협잡물 수용부(111)에 침착된 협잡물을 용이하게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벽에는 압축공기의 선회류를 조장하는 스파이럴 현상의 스파이럴 가이드(spiral guide, 170)가 더 형성된다.
스파이럴 가이드(170)는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벽에 형성되되 협잡물 수용부(111)로 분사된 압축공기의 선회류 작용을 증진 시켜 벽면에 침착된 고점도의 협잡물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협잡물 수용부(111)에 협잡물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이송장치(100)의 이송량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스파이럴 가이드(170)를 단순화시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스파이럴 가이드(170)는 협잡물 수용부(111)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연속 배열의 형태는 돌출형의 돌기 형상일 수도 있고, 아니면 홈의 형상일 수도 있다. 어떠한 형상일지라도 스파이럴 가이드(170)가 형성되면 압축공기에 대한 선회류를 도와주기 때문에 협잡물이 침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하방으로 낙하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구조에서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측벽에는 다수의 서포트 지지부(112)가 마련되고, 서포트 지지부(112)들에는 서포트(113)가 각각 연결되어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고 있다.
서포트(113)를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에 직접 용접시킬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처럼 서포트 지지부(112)를 마련하게 되면 용접 연결 부위가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다.
서포트(113)들 사이, 즉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하부 영역에는 협잡물 수용부(111) 내의 협잡물을 협잡물 저장탱크(400)로 이송시키는 배관으로서, 벤츄리부(114)와 협잡물 이송관(115)이 마련된다. 벤투리부(114)와 협잡물 이송관(115)은 해당 위치에서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 협잡물 이송관(115)과 달리 벤투리부(114)는 협잡물의 이송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암축공기에 의한 협잡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겸한다.
수집 슈트(120)는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협잡물 수용부(111)와 연통되며, 협잡물 수용부(111)로 협잡물을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집 슈트(120)는 도시된 것처럼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협잡물 투입밸브(130)는 수집 슈트(120)와 협잡물 수용부(111)의 연통 영역에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수집 슈트(120) 내의 협잡물을 협잡물 수용부(111)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투입밸브(130)가 도 4의 실선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수집 슈트(120)와 협잡물 수용부(111)의 연통 영역을 차폐하기 때문에 협잡물이 투입되지 않지만, 투입밸브(130)가 도 4의 점선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수집 슈트(120)와 협잡물 수용부(111)의 연통 영역이 열리기 때문에 이곳을 통해 협잡물이 협잡물 수용부(111)로 낙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 이송장치(100)는 협잡물 투입, 협잡물 투입밸브(130)의 닫침, 압축공기의 공급, 협잡물을 협잡물 저장탱크(400)로 이송되는 단계의 사이클 운전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 공급구(162) 면적을 종래보다 확대하는 한편 협잡물 수용부(111)의 원통 접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켜 압축공기 분출속도를 줄이고 압축공기를 원통을 따라 선회류가 형성되도록 압축공기 공급구(162)를 형성시켜 압축공기 공급구(162)에서 고속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와 협잡물에 의하여 1차 접촉부위가 급속 마모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선회류 작용으로 점도가 높은 협잡물의 부분 침착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협잡물 수용부(111)의 급속마모에 의한 파열을 예방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협잡물 이송장치 110 :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
111 : 협잡물 수용부 112 : 서포트 지지부
113 : 서포트 114 : 벤츄리부
115 : 협잡물 이송관 116 : 협잡물 이송관
120 : 수집 슈트 130 : 협잡물 투입밸브
161 : 압축공기 공급관 162 : 압축공기 공급구
170 : 스파이럴 가이드 200 : 공기압축기
300 : 압축공기 저장탱크 400 : 협잡물 저장탱크

Claims (4)

  1. 내부에 협잡물이 수용되는 협잡물 수용부가 형성되는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협잡물을 낙하시키는 수집 슈트;
    상기 수집 슈트와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연통 영역에 배치되며,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 슈트 내의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수용부로 낙하시키는 협잡물 투입밸브;
    상기 협잡물 수용부 영역에 배치되며, 밸브의 동작에 기초하여 협잡물 수용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협잡물을 이송하는 압축공기 공급밸브; 및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부에서 넓은 면적으로 분사시켜 분사속도를 줄이고,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압축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구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되어 선회류의 공기 흐름(air flow)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이송장치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압축공기 챔버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에는 상기 협잡물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압축공기에 대한 회전 와류를 형성하는 스파이럴 가이드(spiral guide)가 협잡물 수용부의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방지구조의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KR1020110122130A 2011-11-22 2011-11-22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KR20130056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30A KR20130056492A (ko) 2011-11-22 2011-11-22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130A KR20130056492A (ko) 2011-11-22 2011-11-22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492A true KR20130056492A (ko) 2013-05-30

Family

ID=4866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130A KR20130056492A (ko) 2011-11-22 2011-11-22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371A (zh) * 2014-11-03 2015-03-25 无锡泓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设置有三级异物分离的气力输送系统
KR101671849B1 (ko)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
KR200489350Y1 (ko) * 2018-12-26 2019-06-05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압축공기를 이용한 비 마모구조의 협잡물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371A (zh) * 2014-11-03 2015-03-25 无锡泓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设置有三级异物分离的气力输送系统
KR101671849B1 (ko) 2016-09-30 2016-11-0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 장치
KR200489350Y1 (ko) * 2018-12-26 2019-06-05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압축공기를 이용한 비 마모구조의 협잡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9369A (zh) 熔渣排出系统
KR20130056492A (ko) 마모 방지구조 압축공기 공급구를 갖는 공기압 협잡물 이송장치
US10124968B2 (en) Simplified submerged chain conveyor for bottom ash conversions
US9593850B2 (en) Bottom ash dewatering system using a remote submerged scraper conveyor
CN201808842U (zh) 煤斗吹煤装置
CN206616685U (zh) 一种带固液分离站的预制泵站
CN203613079U (zh) 污泥除杂物除砂砾制浆一体化装置
CN1103439C (zh) 炉渣处理系统和炉渣处理方法
CN110681673A (zh) 水循环垃圾处理设备及其垃圾处理工艺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CN102220232B (zh) 机械出料酸化厌氧罐
CN207372019U (zh) 一种垃圾预处理沥水装置
KR100960379B1 (ko)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KR101142088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
CN208377958U (zh) 一种分类垃圾用高效运输的输送装置
CN108382794B (zh) 一种螺旋提升机
WO20161154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watering bottom ash using a remote submerged scraper conveyor
US201501922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watering Bottom Ash Using A Remote Submerged Scraper Conveyor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JP4981734B2 (ja) 沈砂池
JP5854822B2 (ja) 揚砂輸送装置
CN205815238U (zh) 固液分离吸污设备
KR200354039Y1 (ko) 공기압을 이용한 침사이송장치의 상부 파열방지구조
CN107555742A (zh) 污泥湿法除杂装置和污泥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