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79B1 -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79B1
KR100960379B1 KR1020080070157A KR20080070157A KR100960379B1 KR 100960379 B1 KR100960379 B1 KR 100960379B1 KR 1020080070157 A KR1020080070157 A KR 1020080070157A KR 20080070157 A KR20080070157 A KR 20080070157A KR 100960379 B1 KR100960379 B1 KR 10096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ipe
chute
yar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317A (ko
Inventor
김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7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집진된 분진의 처리를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고,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코크스 분진 포집 챔버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이 침전되는 침전탱크와, 이 침전탱크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 상기 침전탱크와 이송관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진 침전물을 침전탱크 저부에서 이송관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관의 출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분진 침전물을 외측의 적재함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야적슈트를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70157
침전탱크, 이송관, 이송체인, 스크래퍼, 분사노즐

Description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DUST IN COKE DUST COLLIECTING PLANT}
본 발명은 코크스 제조시 발생되는 코크스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설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는 포집된 분진의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고로조업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코크스오븐에서 먼저 적열처리되어 코크스로 생산된다. 코크스 생산 공정에서 발생되거나 생산된 코크스를 야적, 불출, 수송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코크스 분진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분진을 처리하기 위하여 집진설비가 구비되어 코크스 분진을 포집 처리하게 된다.
종래의 집진 장치는 포집된 더스트를 일단 건식으로 사일로에 저장한 후 최종적으로 물을 혼합하여 분진의 비산을 방지한 상태로 차량을 통해 불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사일로 내의 통기성 확보의 어려움으로 분진의 일시 붕괴 및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진에 혼합하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조절하기 힘듬에 따라 고른 불 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분진의 비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이 혼합된 분진에 의해 최종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잦아 분진 처리가 적체되고 분진이 이송로에서 넘쳐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집진된 분진의 처리를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분진 처리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코크스 분진 포집 챔버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이 침전되는 침전탱크와, 이 침전탱크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 상기 침전탱크와 이송관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진 침전물을 침전탱크 저부에서 이송관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관의 출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분진 침전물을 외측의 적재함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야적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장치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슈트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을 침전탱크 내의 물에 보다 신속하게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부는 상기 침전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슈트 밑에 위치하는 침전날개와, 상기 침전날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침전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침전탱크 내에 비산되는 분진을 침전시키기 위한 비산처리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비산처리부는 침전탱크 상단에서 수면으로 연장되는 격벽과, 격벽쪽 수면 상으로 연장되어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침전탱크와 이송관 저부에 놓여지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양단에 치합되어 치송체인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 상기 구동스프로켓휠에 연결되어 구동스프로켓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이송체인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침전탱크와 이송관의 저면에 놓여져 분진 침전물을 끌기 위한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분진 침전물 배출과정에서 이송관의 야적슈트가 분진 침전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공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공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관과, 공급수관을 따라 상기 야적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의 야적슈트를 향하는 분사관, 이 분사관에 설치되어 물을 야적슈트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공부는 상기 분사관을 분배관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분사관이 회전되어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야적슈트에 고르게 분사되어 야적슈트를 막고 있는 분진 침전물을 제거하고 야적슈트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송체인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휠과,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휠에 치합되는 피동스프로켓휠, 상기 공급수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공급수관을 이동시켜 피동스프로켓휠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스프로켓휠에 치합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사노즐을 상하로 진동시켜 야적슈트의 개공을 촉진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관 내에 고정설치되고 표면에 홀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고정원판과, 상기 분사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원판에 접하며 고정원판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회전원판, 상기 분사관에 기밀을 유지하며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과 상기 분사관 선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분사관이 회전되면 고정원판에 대해 회전원판이 회전되면서 각 원판에 형성된 홀이 연통되거나 막히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물이 유동관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유동관이 밀려나가거나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분사노즐을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공부는 상기 스크래퍼에 축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의 야적슈트를 향하는 개공로드, 상기 개공로드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개공로드를 야적슈트 위로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야적슈트 상부에 이송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개공로드를 야적슈트쪽으로 눌러 진행시키기 위 한 가압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공부는 가압레일의 양단에 에어실린더가 더욱 설치되어 에어실린더의 신축작동에 따라 그 위치가 낮아져 개공로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분진을 침전시켜 이송하여 배출 처리함으로써 분진 처리에 소요되는 작업량을 줄일 수 있으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빈번히 발생되는 슈트의 막힘을 즉시 개공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슈트 막힘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처리장치는 코크스를 야적, 불출, 수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다량의 코크스 분진이 포집된 코크스 분진 포집 챔버(100)에 연결설치되어 포집된 분진을 최종적으로 차량용 적재함에 배출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코크스 분진 포집 챔버(100)는 하단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분진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10)가 설치되며, 이송컨베이어(110)의 출측에는 이송된 분진을 배출시키기 위한 슈트(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처리장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이송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이 침전되는 침전탱크(10)와, 이 침전탱크(10)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11), 상기 침전탱 크(10)와 이송관(11)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진 침전물을 침전탱크(10) 저부에서 이송관(11)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관(11)의 출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분진 침전물을 이송관(11) 외측의 적재함(13)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야적슈트(12)를 포함한다.
이에 본 장치는 별도로 분진에 물을 첨가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며, 물에 침전된 분진을 이송하여 설비 외부의 적재함(13)에 적재함(13)으로써 분진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처리 과정에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전탱크(10)는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통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11) 또한 침전탱크(10)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통설치된다. 이에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은 이송관(11)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송관(11)은 침전탱크(10)의 측면에 상부쪽으로 경사지게 연통 설치되고 최소한 침전탱크(10)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물은 침전탱크(10)에 계속 채워져 있게 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분진 침전물만이 물 밖으로 끌어올려져 배출 처리되게 된다.
상기 이송관(11)은 지면과 이송관(11) 사이에 적재함(13)이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치된다. 지면에 수평한 이송관(11)의 선단쪽 저면에는 야적슈트(12)가 설치되어 밑에 놓여진 적재함(13)에 최종적으로 분진 침전물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11)의 외측에는 적재함(13)이 적재 위치에 있는지의 유무 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4)가 설치되고 야적슈트(12)쪽에는 적재함(13)에 분진 침전물이 가득 채워졌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분진 적출물 검출용 리미트(15) 스위치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함(13)은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적재 위치에 놓여지거나 운반될 수 있도록 암롤카용 적재함(13)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침전탱크(10)와 이송관(11) 저부에 놓여지는 이송체인(20)과, 상기 이송체인(20)의 양단에 치합되어 이송체인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프로켓휠(21)과 피동스프로켓휠(22), 상기 구동스프로켓휠(21)에 연결되어 구동스프로켓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 상기 이송체인(2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침전탱크(10)와 이송관(11)의 저면에 놓여져 분진 침전물을 끌기 위한 스크래퍼(2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체인(20)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침전탱크(10)와 이송관(11) 저부의 양 모서리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휠(21)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회전축에 설치되어 이송관(11)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체인(20)과 치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피동스프로켓휠(22)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탱크(10)의 선단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체인(20)과 치합된다. 상기 이송관(11)의 선단에는 구동모터(23)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휠(21)이 설치되는 회전축과 동력전달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스크래퍼(24)가 놓여져 연결설치된다.
이에 구동모터(23)가 작동되면 구동스프로켓휠(21)이 회전되면서 이에 치합 되어 있는 이송체인(20)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이송체인(20) 사이에 설치된 스크래퍼(24)가 이송체인(20)과 같이 이동되면서 침전탱크(10)에 침전되어 있는 분진 침전물을 긁어 이송관(11)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장치는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120)로부터 배출되는 분진을 바로 물에 침전시킨 다음, 이 침전물인 분진을 이송하여 암롤카의 적재함(13)에 적재하여 운반 처리함으로써 분진 비산의 발생 없이 보다 간편하게 분진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120)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을 침전탱크(10) 내의 물에 보다 신속하게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부와, 침전탱크(10) 내에 비산되는 분진을 침전시키기 위한 비산처리부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침전부는 상기 침전탱크(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슈트 밑에 위치하는 침전날개(30)와, 상기 침전날개(30)의 회전축(31)에 연결되어 침전날개(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2)를 포함한다.
상기 침전부는 침전탱크(10)의 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침전날개(30)가 설치되는 회전축(31)이 수면상에 위치함으로써 침전날개(30)가 수면을 치면서 분진을 침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날개(30)는 회전축(31)의 외주부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회전축(31)은 양단이 베어링블록(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침전탱크(10)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침전날개(30)는 다수개의 리브(33)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 외에 판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32)가 회전작동되면 회전축(31)이 회전되어 침전날개(30)로 낙하된 분진을 회전날개(30)가 수면 아래로 침전시키게 된다. 이에 보다 신속하게 분진을 침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산처리부는 침전탱크(10) 상단에서 수면으로 연장되는 격벽(35)과, 격벽쪽 수면 상으로 연장되어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분사관(36)을 포함한다.
이에 침전탱크(10) 내에서 비산되는 분진은 격벽(35)에 의해 차단되고 에어분사관(36)을 통해 수면상으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발생되는 물보라에 의해 침전처리된다.
이하, 본 장치에 의한 분진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진 포집 챔버(100)로 포집된 코크스 분진은 이송컨베이어(110)의 슈트(120)를 통해 본 장치의 침전탱크(10)의 수면으로 낙하된다.
이와같이 자유낙하한 분진은 침전탱크(10) 내에 수면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침전되기 시작한다. 이때, 구동모터(32)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31)이 회전되어 회전축에 설치된 침전날개(30)가 분진이 접하는 수면을 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한 분진을 더욱 빠르게 침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낙하과정에서 침전탱크(10) 내부에서 분진이 비산될 수 있는 데, 이와 같이 침전탱크(10) 내부에서 비산되는 분진은 침전탱크(10) 내부로 연장설치된 에어분사관(36)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침전탱크(10) 내부에서 비산되는 분진은 일차적으로 격벽(35)에 의해 막혀 격벽과 수면 사이로 진행된다. 그리고 격벽과 수면 사이로 에어분사관(36)을 통해 에어가 분사됨에 따라 수면에서 물보라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에 의해 발생된 물보라가 격벽을 통과하는 분진의 침전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진은 침전탱크(10) 바닥으로 침전되어 가라앉게 된다. 침전탱크(10)에 가라앉은 분진 침전물은 스크래퍼(24)에 의해 이동되어 배출 처리된다.
즉, 이송관(11)에 설치된 구동모터(23)가 구동되면 구동스프로켓휠(21)이 회전되면서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22) 사이에 걸려져 있는 이송체인(2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체인(20)의 이동에 따라 이송체인(20)에 설치된 스크래퍼(24)가 침전탱크(10) 바닥에 가라앉은 분진 침전물을 끌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11)은 침전탱크(10)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송관(11)을 따라 이동한는 과정에서 분진 침전물은 수면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수분이 최대한 제거된다.
스크래퍼(24)에 의해 밀려 이송되는 분진 침전물은 침전탱크(10) 연통되어 있는 이송관(11)으로 밀려온 후 이송관(11)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야적슈트(12)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야적슈트(12) 아래에는 적재함(13)이 놓여져 있어서 상기와 같이 야적슈트(12)를 통해 배출되는 분진 침전물은 적재함(13)에 적재된다. 상기 야적슈트(12)는 분진 침전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차례로 개방되어 야적슈트(12)에 차례로 적재처리된다. 적재함(13)에 분진 침전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검출용 리미트 스 위치(15)가 분진 침전물을 검출하게 되고 이 검출신호에 따라 적재를 완료하게 된다.
분진 침전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구동모터(23)가 정지되어 스크래퍼(24)에 의한 분진 침전물 이송이 일시 중지되고, 적재함(13)을 새로운 적재함(13)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적재함(13)은 암롤카에 의해 운반되는 것으로 분진 침전물이 가득 채워진 적재함(13)은 암롤카에 의해 처리 장소로 이송되며, 새로운 적재함(13)이 야적슈트(12) 밑에 위치하게 된다. 새로운 적재함(13)이 정 위치에 놓여져 리미트 스위치(14)에 검출되면 이 검출신호에 따라 다시 본 장치가 구동되어 분진 침전물의 배출 처리작업이 다시 시작된다.
한편, 본 장치는 개공부(40)가 구비되어 상기한 분진 침전물 배출과정에서 이송관(11)의 야적슈트(12)가 분진 침전물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경우 개공부의 작동에 의해 야적슈트(12)를 막고 있는 분진 침전물을 처리하게 된다.
상기 개공부(40)의 구조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40)는 이송관(11) 내부로 연장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관(41)과, 상기 공급수관(41)을 따라 야적슈트(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분배관(42), 상기 분배관(42)에 설치되어 야적슈트(12)를 향하는 분사관(43), 상기 분사관(43)에 연결되어 공급된 고압의 물을 야적슈트(12)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공부(40)는 상기 분배관(4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사관(43)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분사관(43)이 회전되어 분사관(43)에 설치된 분사노즐(44)을 통해 물이 야적슈트(12)에 고르게 분사되어 야적슈트(12)를 막고 있는 분진 침전물을 제거하고 야적슈트(12)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수관(41)은 이송관(11) 내부로 설치되어 이송관(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놓여진다. 상기 공급수관(41)을 따라 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분배관(42)이 연통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송체인(2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휠(50)과, 상기 분사관(43)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휠(50)에 치합되는 피동스프로켓휠(51), 상기 공급수관(41)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공급수관(41)을 이동시켜 피동스프로켓휠(51)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스프로켓휠에 치합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프로켓휠(50)은 이송관(11)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체인(20)에 치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동스프로켓휠(51)은 구동스프로켓휠(5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구동스프로켓휠과 직교하여 치합된다. 이에 이송체인(20)이 회전되면 이송체인(20)에 걸려있는 구동스프로켓휠(50)이 연동되어 회전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실린더(52)는 이송관(1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송관(11)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상기 공급수관(41)의 측면에 부착설치되어 이송관(11)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급수관(41)은 구동실린더(52)의 신축작동에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관(41) 사이에는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연결호스(5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44)은 중간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끝단이 중심축에서 벗어나서 하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회전부에 의해 분사관(43)이 회전하게 되면, 분사관(43)에 설치된 분사노즐(44)의 끝단이 원을 그리면서 고압의 물을 하방향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분사관(43)은 분배관(42)과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관(43)은 베어링(54)을 매개로 상기 분배관(42)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관(43)과 분배관(42)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55)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사노즐(44)을 상하로 진동시켜 야적슈트(12)의 개공을 촉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관(42) 내에 고정설치되고 표면에는 물이 유통되는 홀(61)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고정원판(60)과, 상기 분사관(43)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원판(60)에 접하며 고정원판(60)과 대응되는 위치에 물 유통을 위한 홀(63)이 형성된 회전원판(62), 상기 분사관(43)에 기밀을 유지하며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분사노즐(44)이 설치되는 유동관(64), 상기 유동관과 상기 분사관(43) 선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65)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관(43) 선단에는 탄성스프링(65)의 하단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태의 시트부재(66)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이 유동관(64) 내측과 상기 시트부재 사이에서 탄력설치된다.
도 6은 상기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62)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62)은 각각 분배관(42)과 분사관(43)을 가로 막으며 설치되어 분배관(42)으로 공급된 물은 고정원판(60)에 형성된 홀(61)과 회전원판(62)에 형성된 홀(63)을 통해서만 분사관(43) 내로 유입된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관(43)이 회전되면 고정원판(60)에 대해 회전원판(62)이 회전되면서 고정원판(60)에 형성된 홀(61)과 회전원판(62)에 형성된 홀(63)이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이 경우 고정원판(60)에 형성된 홀(61)은 회전원판(62)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된다. 계속 회전원판(62)이 회전되어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62)에 형성된 각 홀(61,63)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62)의 홀(61,63)은 상호 연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원판(60)과 회전원판(62)에 형성된 각 홀이 연통되거나 막히게 되면, 고압의 물이 홀을 통해 유동관(64)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따라서 유동관(64)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유동관(64)이 밀려나가거나 탄성스프링(6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44)을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야적슈트(12)쪽으로 분사노즐(44)을 통해 물을 고압으로 분사함과 더불어 분사노즐(44)을 회전시키고 상하로 움직여 야적슈트(12)에 막혀있는 분진 침전물을 타격함으로써 막혀있는 야적슈트(12)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공부(7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개공부(70)는 물 대신 기구에 의한 물리적인 타격에 의해 막힌 야적슈트(12)를 개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공부는 상기 스크래퍼(24)에 축결합되는 가이드부재(71)와, 상기 가이드부재(7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11)의 야적슈트(12)를 향하는 개공드로(72), 상기 개공드로(72)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73)와 상기 가이드부재(71)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개공드로(72)를 야적슈트(12) 위로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스프링(74), 상기 야적슈트(12) 상부에 이송체인(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개공드로(72)를 야적슈트(12)쪽으로 눌러 진행시키기 위한 가압레일(7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공부는 가압레일(75)의 양단에 에어실린더(76)가 더욱 설치되어 에어실린더(76)의 신축작동에 따라 그 위치가 낮아져 개공드로(7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1)는 원통형태의 부재로 측면에 스크래퍼(24)와의 축결합을 위한 링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24)에는 상기 링크와 결합되는 소켓이 설치된다. 이에 상기 링크와 소켓을 맞물리고 볼트를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볼트를 축으로 하여 스크래퍼(24)에 대해 가이드부재(71)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공드로(72)는 원통형 몸체로 상기 가이드부재(7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공드로(72)의 하단은 포크 형태로 두 개로 갈라지고 각 선단은 갈고리 형태로 굽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개공드로(72)가 야적슈트(12) 위를 지나면서 갈고리형태의 선단이 마치 쟁기처럼 야적슈트(12)를 막고 있는 분진 침전물을 긁어 내어 야적슈트(12)를 개공시키게 된다.
상기 개공드로(7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플랜지(74,77)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부의 플랜지(73)는 스프링(74)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고, 하단부의 플랜지(77)는 개공드로(72)가 가이드부재(71)로부터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의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공드로(72)의 상단에는 가압레일(7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주행롤러(78)가 더욱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공드로(72)와 상기 스크래퍼(24)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탄성바(79)가 연결설치된다. 이에 상기 개공드로(72)가 쟁기처럼 침전 분진물을 개공하는 과정에서 개공드로(72)에 걸리는 진동을 탄성바(79)가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바(79)는 예컨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 선단에는 후크가 설치되어 개공드로(72)와 스크래퍼(24)에 설치된 용이하게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레일(75)은 이송체인(20)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는 판구조물이다. 상기 가압레일(75)의 양 선단은 이송체인(2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에어실린더(76)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에어실린더(76)의 신축작동에 따라 작동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76)는 이송관(11)의 측면쪽에 치우쳐져 설치되므로 이송관(11)의 중앙쪽에 위치하는 가압레일(75)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로드(80)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장치를 통한 분진 침전물 이송 과정에서 야적슈트(12)가 침전 분진물에 의해 막힌 경우에는 에어실린더(76)가 작동되어 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에어실린더(76)가 축소작동되면 에어실린더(76)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로드(80)를 매개로 연결된 가압레일(75)이 아래로 이동되어 작업 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체인(20)이 진행되면 이송체인(20)의 스크래퍼(24)에 설치되어 있는 개공드로(72)의 상단이 아래로 하강되어 있는 가압레일(75)에 닿아 눌려진 상태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개공드로(72)의 선단에는 주행롤러(78)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주행롤러는 가압레일(75)을 따라 주행되어 개공드로(7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개공드로(72)가 가압레일(75)에 의해 아래로 눌려짐에 따라 개공드로(72)는 가이드부재(71)에 대해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고, 따라서 개공드로(72) 하단이 야적슈트(12)쪽으로 내려와 야적슈트(12)에 막혀져 있는 분진 침전물을 붕괴시키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레일(75)은 야적슈트(12) 상에만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와 같이 야 적슈트(12) 아래로 눌려져 이동되는 개공드로(72)는 야적슈트(12)를 지나면서 위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는 가압레일(75)에 의해 개공드로(72)가 눌려지면서 개공드로(72)와 가이드부재(71)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74)이 탄력적으로 압축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가압레일(75)이 끝남에 따라 개공드로(72)의 누름상태가 해제되어 탄성스프링(7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개공드로(72)가 위로 이동복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개공드로(72)는 야적슈트(12)의 분진 침전물을 개공한 후 다시 원 위치로 들어올려져 복귀된 상태로 이송체인(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의 개공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로 도 3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로 도 4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의 일 구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10)

  1. 코크스 분진 포집 챔버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이 침전되는 침전탱크와,
    상기 침전탱크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
    상기 침전탱크와 이송관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진 침전물을 침전탱크 저부에서 이송관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관의 출측에 설치되어 이송된 분진 침전물을 외측의 적재함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야적슈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슈트로부터 낙하되는 분진을 침전탱크 내의 물에 보다 신속하게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부는 상기 침전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슈트 밑에 위치하는 침전날개와, 상기 침전날개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침전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침전탱크와 이송관 저부에 놓여지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양단에 치합되어 치송체인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스프로켓휠(21)과 피동스프로켓휠(22), 상기 구동스프로켓휠(21)에 연결되어 구동스프로켓휠(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이송체인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침전탱크와 이송관의 저면에 놓여져 분진 침전물을 끌기 위한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탱크 내에 비산되는 분진을 침전시키기 위한 비산처리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비산처리부는 침전탱크 상단에서 수면으로 연장되는 격벽과, 격벽쪽 수면 상으로 연장되어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에어분사관을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야적슈트가 분진 침전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공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개공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관과, 공급수관을 따라 상기 야적슈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의 야적슈트를 향하는 분사관, 이 분사관에 설치되어 물을 야적슈트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구동스프로켓휠(50)과,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휠(50)에 치합되는 피동스프로켓휠(51), 상기 공급수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공급수관을 이동시켜 피동스프로켓휠(51)을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스프로켓휠(50)에 치합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분사관을 분배관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더욱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관 내에 고정설치되고 표면에 홀이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고정원판과, 상기 분사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원판에 접하며 고정원판의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회전원판, 상기 분사관에 기밀을 유지하며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과 상기 분사관 선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더욱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야적슈트가 분진 침전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공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개공부는 상기 스크래퍼에 축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관의 야적슈트를 향하는 개공로드, 상기 개공로드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개공로드를 야적슈트 위로 밀어올리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야적슈트 상부에 이송체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개공로드를 야적슈트쪽으로 눌러 진행시키기 위한 가압레일을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부는 가압레일의 양단에 설치되어 가압레일을 상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를 더욱 포함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KR1020080070157A 2008-07-18 2008-07-18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KR10096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57A KR100960379B1 (ko) 2008-07-18 2008-07-18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157A KR100960379B1 (ko) 2008-07-18 2008-07-18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17A KR20100009317A (ko) 2010-01-27
KR100960379B1 true KR100960379B1 (ko) 2010-05-28

Family

ID=4181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157A KR100960379B1 (ko) 2008-07-18 2008-07-18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254B1 (ko) 2012-08-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의 더스트 처리장치
KR20200056718A (ko) 2018-11-15 2020-05-25 황연수 스프레이 건조기를 이용한 분진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28B1 (ko) * 2010-11-10 2012-05-17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의 분진 이송장치
KR101729405B1 (ko) 2015-08-07 2017-04-21 주식회사 포스코 흄덕트 내부의 침전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1243A (en) 1985-02-21 1987-10-20 Firma Carl Still Gmbh & Co. Kg Method for cooling and dedusting dry cooled coke
JPH06271859A (ja) * 1993-03-22 1994-09-27 Sumitomo Metal Ind Ltd 乾式消火コークスの発塵抑制装置
KR950006548B1 (ko) * 1986-11-08 1995-06-16 스틸 오토 게엠베하 고온 코우크의 냉각과 고온 코우크로부터의 먼지제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1243A (en) 1985-02-21 1987-10-20 Firma Carl Still Gmbh & Co. Kg Method for cooling and dedusting dry cooled coke
KR950006548B1 (ko) * 1986-11-08 1995-06-16 스틸 오토 게엠베하 고온 코우크의 냉각과 고온 코우크로부터의 먼지제거 방법 및 장치
JPH06271859A (ja) * 1993-03-22 1994-09-27 Sumitomo Metal Ind Ltd 乾式消火コークスの発塵抑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254B1 (ko) 2012-08-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의 더스트 처리장치
KR20200056718A (ko) 2018-11-15 2020-05-25 황연수 스프레이 건조기를 이용한 분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17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016B (zh) 袋装垃圾处理装置
KR100960379B1 (ko) 코크스 분진 집진설비의 분진 처리장치
US20180155866A1 (en) Mat Washer
CN207698671U (zh) 一种搅拌站骨料输送机
US20180079595A1 (en) Rake Device on Friction-Driven Sweep Conveyor
CN108945968A (zh) 一种避免物料残留的斗式提升机
KR101410681B1 (ko) 고로 비숍 스크러버의 순환폰드 슬러지 침전방지장치
DE102007050315A1 (de)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Schüttgut
CN107218613A (zh) 一种燃煤锅炉的方便清渣的装置
CN109526794A (zh) 一种养鸡舍用鸡粪清理装置
JP6195751B2 (ja) 無端ベルトコンベアの落下物受板の自動ローラー傾動式水洗浄装置
CN111535436B (zh) 一种垃圾清理设备
CN108839882A (zh) 全自动破包上料设备
CN109502377A (zh) 铺料装置及酿造设备
CN204847260U (zh) 带式输送机尾部改向滚筒清扫装置
CN206703282U (zh) 一种新型骨料仓
CN203667623U (zh) 铁路运输自动翻卸系统
CN207091995U (zh) 一种用于落叶收集、碎解的清洁车
CZ279013B6 (en) Gravel exhaustor
US20110089201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toring and discharging a granular matter
KR101127181B1 (ko) 회전식 임펠러 블라스트 장치
KR101323482B1 (ko) 수삼 세척기
CN219057490U (zh) 一种粮食出仓机
CN110411202B (zh) 一种水稻种子晒场使用装置
KR101043094B1 (ko)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