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94B1 -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094B1
KR101043094B1 KR1020090126043A KR20090126043A KR101043094B1 KR 101043094 B1 KR101043094 B1 KR 101043094B1 KR 1020090126043 A KR1020090126043 A KR 1020090126043A KR 20090126043 A KR20090126043 A KR 20090126043A KR 101043094 B1 KR101043094 B1 KR 10104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elt
water
steam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모
김배홍
이석우
남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로터리밸브를 통한 분진의 배출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로터리밸브와, 로터리밸브에 연결설치되어 분진과 물을 혼합하는 퍼그밀, 퍼그밀에 연결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으로 연장되어 물과 혼합된 분진을 배출하는 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밸브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밸브쪽으로 에어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노즐에 연결되는 에어호스, 상기 에어호스에 연결되어 에어호스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노즐, 송풍기, 수차, 스팀, 골파기봉, 혼합봉

Description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DEVICE FOR DISCHARGING DUST OF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설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포집된 분진을 보다 쾌적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 처리설비에 설치되는 집진기(dust collector)는 철광석 및 부원료를 수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처리하는 장치로, 각 공정별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원료의 특성상 원료 자체에는 미분이 다량으로 포함되며 하역작업에서 수송작업 및 원료의 가공처리 작업인 파쇄공정과 연관공정까지의 수송작업 중 분진 및 비산먼지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중 집진기에 의해 포집된 분진은 집진호퍼 하단에 설치된 로터리를 통해 퍼그밀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 퍼그밀은 분진에 물을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으로 적재하여 불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처리과정에서 종래에는 잔류 수분 및 분진의 압착으로 로타리밸브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분진의 불출이 자주 중단되었다.
또한, 퍼그밀에서 분진과 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분진이 혼합되지 않고 물 위에 떠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분진 및 비산먼지의 방지효과가 저하되어 환경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물이 과다하게 첨가하게 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분진에 다량의 수분을 함유시켜 죽광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죽광은 수송 원료탄 상부에 적재되어 운반되므로 슈트 및 설비를 막아 설비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로터리밸브를 통한 분진의 배출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된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미세분진을 물과 보다 빠르고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된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미세분진과 물 혼합시 물의 과다 사용에 따른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물과 혼합되어 배출되는 분진을 원료탄과 더불어 원활하게 수송될 수 있도록 된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로터리밸브와, 로터리밸브에 연결설치되어 분진과 물을 혼합하는 퍼그밀, 퍼그밀에 연결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으로 연장되어 물과 혼합된 분진을 배출하는 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밸브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밸브쪽으로 에어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노즐에 연결되는 에어호스, 상기 에어호스에 연결되어 에어호스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분배탱크와, 분배탱크로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를 강제 송급하기 위한 송풍기, 이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퍼그밀에 연결되는 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차의 회전축에 상기 송풍기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물의 흐름을 수차의 날개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퍼그밀에 연결설치되고 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수관상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퍼그밀에 연결설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관과, 상기 스팀관에 연결되어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라인, 스팀라인 상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을 통한 물의 분사량과 스팀관을 통한 스팀 분사량은 4:6 정도일 수 있다.
이에 미세한 고온 스팀 입자에 의해 분진과 물이 빠르게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장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과 슈트를 통해 배출된 분진을 섞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에서 이송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 전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 지지대 하단에서 밸트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에 골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골파기봉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이송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 후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 지지대 상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은 밸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회동바, 회동바의 일측 선단에 밸트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젖기 위한 혼합봉, 상기 회동바의 타측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회동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밸트의 폭방향 양쪽 선단쪽에 위치하는 수직봉과, 수직봉에 설치되어 밸트 폭방향 선단쪽으로 치우쳐진 원료탄과 분진을 안쪽으로 유도하는 모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이송컨베이어의 밸트와 함께 회전되는 리턴롤러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의 외주부와 상기 작동바 선단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링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저장호퍼의 로터리 밸브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스팀과 물을 병용하여 분진과 혼합함으로써 보다 적은 물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신속하고 고르게 효율적으로 물을 분진과 혼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비산 유출되는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설비의 부하와 원료의 손실을 방지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되는 분진이 수송되는 원료탄과 혼합되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후공정에서 배합설비가 막히는 등의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 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설비의 배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집진설비의 배출장치는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호퍼(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로터리밸브(110)와, 로터리밸브(110)에 연결설치되어 분진과 물을 혼합하는 퍼그밀(120), 퍼그밀(120)에 연결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상으로 연장되어 물과 혼합된 분진을 배출하는 슈트(124)를 포함한다.
이에 포집된 분진 및 미세먼지는 호퍼(100) 하단의 로터리밸브(110)를 통해 퍼그밀(120)로 배출된다. 상기 퍼그밀(120)에로 유입된 분진은 퍼그밀(120) 내에 설치된 패들(paddle)(122)에 의해 물과 함께 혼합된다. 물과 혼합된 분진은 퍼그밀(120) 출측에 설치된 슈트(124)를 통해 낙하되어 슈트(124) 하부에 위치한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위로 배출된다. 이에 분진은 최종적으로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과 함께 이송처리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 집진호퍼(100)에서 로터리밸브(110)로 분진의 흐름을 유도하여 로터리밸브(11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집진호퍼(100)의 내측에서 로터리밸브(110)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밸브(110)쪽으로 에어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노즐(10)과, 상기 각 노즐(10)에 연결되는 에어호스(12), 상기 에어호스(12)에 연결되어 에어호스(12)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에 분사노즐(10)을 통해 서서히 유출되는 에어에 의해 분진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분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10)은 4개가 구비되어 로터리밸브(110) 상부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노즐(10)의 개수와 설치 간격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호스(12)는 집진호퍼(100)를 통해 상기 각 노즐(10)과 연결된다. 상기 각 에어호스(12)는 공급부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각 에어호스(12)가 연결되는 분배탱크(20)와, 분배탱크(20)로 에어라인(22)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를 강제 송급하기 위한 송풍기(24), 이 송풍기(2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24)는 내부에 로터(26)가 구비되어 로터의 회전운동에 따라 기체를 압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퍼그밀(120)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동부는 상기 퍼그밀(120)에 연결되 는 수관(도 1의 40 참조)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차(32)의 회전축(34)에 상기 송풍기(24)의 로터(26)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 내에는 물의 흐름을 수차(32)의 날개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36)이 더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수관(40)에 장착되는 소켓형 구조물로, 수관(40)에 설치되어 수관(40)의 일부를 이룬다. 이에 물은 하우징(30)에 일방향으로 흘러 나가게 된다.
이에 하우징(3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수차(32)를 회전시켜 이 수차(32)의 회전축에 설치된 로터(26)를 회전시키게 된다.
로터(26) 회전에 따라 송풍기(24)의 측면으로 유입된 외기는 배출구(28)를 통해 분출되어 배출구와 연결된 에어라인(22)을 따라 분배탱크(20)로 송급된다. 따라서 본 장치는 집진호퍼(100) 내의 분진이 보다 원활하게 로터리밸브(110)를 통해 상기 퍼그밀(120)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장치는 퍼그밀(120)로 유입된 분진을 물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혼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퍼그밀(120)에 연결설치되고 수관(40)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42)과, 상기 수관(40)상에 설치되는 밸브(44), 상기 퍼그밀(120)에 연결설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관(52)과, 상기 스팀관(52)에 연결되어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라인(50), 스팀라인(50) 상에 설치되는 밸브(54)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본 장치는 퍼그밀(120)로 물과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에 의한 상승 접촉 작용을 통해 분진을 보다 빠르게 수분과 혼합할 수 있게 된다.
즉, 퍼그밀(120)로 분사된 미세 고압 스팀의 작은 알갱이는 퍼그밀(120)로 유입된 미세한 분진과 함께 비산되면서 접촉되며 액화된다. 이에 스팀의 입자와 미세 분진 사이의 접촉이 보다 빠르고 폭넓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세 분진에 보다 빠르게 수분이 첨가되고 이렇게 수분이 침투된 미세분진은 낙하하며 패들(122)에 의해 물과 함께 교반된다. 이와같이 퍼그밀(120) 내부로 물과 더불어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미세 분진과 물의 혼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 분사량에 대한 스팀 분사량은 4:6 이상일 수 있다. 즉, 스팀관(52)을 통한 스팀 분사량은 물과 스팀의 전체 분사량에 대해 최소 6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과 스팀의 분사량을 100g으로 하였을 때 스팀의 분사량은 60g 또는 그 이상이고 물의 분사량은 40g 또는 그 이하가 된다. 스팀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상기 범위 이하가 되어 물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미세 분진이 물에 혼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미세 분진이 흐르는 물 위에 떠서 이송되어 다음 공정 이송시 비산현상으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물과 혼합된 분진은 퍼그밀(120) 출측으로 이동되어 슈트(124)를 통해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상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상에 적재된 원료탄 과 슈트(124)를 통해 배출된 분진을 섞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는 상기 슈트(124)의 하단에서 이송컨베이어(200)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124) 전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60)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210)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62), 지지대 하단에서 밸트(210)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210) 상에 적재된 원료탄에 골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골파기봉(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200)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124) 전에 위치한다는 것은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이 슈트(124)를 지나기 전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와같이 상기 골파기봉(64)은 슈트(124)쪽으로 이동되는 원료에 여러 줄의 골을 형성함에 따라 슈트(124)로부터 낙하되는 물 혼합 분진이 상기 골 안쪽으로 투입되어 밸트(210)에 적재된 마른 원료탄과 보다 잘 섞여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이송컨베이어(200) 설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62)의 양 선단에는 포스트(60)에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홀더(66)가 설치된다. 이에 지지대(62)는 포스트에 가이드홀더를 매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60) 상에는 상기 가이드홀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재(67)가 설치되어 지지대가 소정 높이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62) 상에는 체결바(68)가 수직설치되며, 이 체결바에 끼워지는 무게판(69)이 지지대(62) 상에 놓여져 지지대를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무게판(69)은 얇은 판구조물로 적정 무게에 맞춰 적층시켜 사용한다. 상기 무게판(69)은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의 부하나 밀도 등에 따라 설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에 원료탄의 부하나 밀도 등에 따라 무게판 설치개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지지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에 설치된 골파기봉(64)은 적절한 하중으로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에 꽂아져 원료탄에 적정한 깊이로 골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혼합부는 상기 골로 낙하된 분진과 원료탄을 고르게 섞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
즉,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는 이송컨베이어(200)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124) 후에 위치하여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80)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210)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82), 지지대 상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은 밸트(210)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회동바(84), 회동바(84)의 일측 선단에 밸트(210)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210)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좌우로 휘저어 주기 위한 혼합봉(86), 상기 회동바(84)의 타측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작동바(88), 상기 작동바(88)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회동바(84)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200)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124) 후에 위치한다는 것은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이 슈트(124)를 지난 다음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와같이 상기 혼합봉(86)은 좌우로 유동하면서 골이 형성된 원료탄을 휘저 어 원료탄으로 골을 덮게 된다. 이에 골 안쪽으로 투입된 물 혼합 분진이 원료탄에 의해 덮여져 서로 혼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와 함께 회전되는 리턴롤러(220)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90)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는 피동베벨기어(92), 상기 피동베벨기어(9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94), 상기 회전원판(94)의 외주부와 상기 작동바(88) 선단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링크바(96)를 포함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94)이 회전되면 회전원판(94)의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 링크바(96)가 작동바(88)를 당기거나 밀게 된다. 따라서 작동바(88)에 결합된 각 회동바(84)가 지지대(82)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어 회동바(84)에 설치된 혼합봉(86)이 원료탄을 좌우로 휘저어 주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이송컨베이어(200) 설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밸트(210)의 폭방향 양쪽 선단쪽에 위치하는 수직봉(87)과, 수직봉에 설치되어 밸트(210) 폭방향 선단쪽으로 치우쳐진 원료탄과 분진을 안쪽으로 유도하는 모음판(89)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음판(89)은 밸트(210)의 내측을 향하는 판 구조물로, 밸트(210)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밸트(210)의 폭방향 선단쪽으로 치우쳐진 원료탄 및 분진은 상기 모음판에 걸려 밸트(210) 안쪽으로 유도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진설비에 포집된 미세 분진은 집진호퍼(100)의 하단에 설치된 로터리밸 브(110)를 통해 퍼그밀(120)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집진호퍼(100) 내측에 설치된 노즐(10)이 로터리밸브(110)쪽으로 에어를 흘려보냄으로써 분진이 에어와 함께 로터리밸브(110)로 흘러나가게 된다.
에어는 에어라인(22)을 통해 분배탱크(20)로 보내지고 이 분배탱크(20)에서 각 에어호스(12)를 통해 노즐(10)로 공급된다. 노즐(10)로 공급된 에어는 노즐(10)을 통해 서서히 분출되어 분진의 배출 통로를 지속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분진이 로터리밸브(110) 상에서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의 공급은 수관(40)을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게 된다. 수관(40)을 따라 공급되는 물은 하우징(30) 내의 수차(32)를 지나면서 수차(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수차(32)의 회전축에 연결된 로터(26)가 회전되고, 이 로터(26)의 회전력에 의해 외기가 송풍기(24) 내부로 유입되어 에어라인(22)으로 송급되는 것이다.
상기 로터리밸브(110)를 통해 배출된 분진은 퍼그밀(120)에서 물과 혼합된다. 물은 수관(40)에 연결된 분사관(42)을 통해 퍼그밀(120)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물과 함께 스팀라인(50)을 통해 스팀이 공급된다. 스팀은 스팀라인(50)에 연결된 스팀관(52)을 통해 퍼그밀(120) 내로 분사된다. 이에 미세 분진은 스팀에 의해 물과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혼합된다.
퍼그밀(120)에서 물과 혼합된 분진은 슈트(124)를 통해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상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에 적재된 건조 원료탄은 슈트(124)를 지나기 전에 골파기봉(64)에 의해 여러 줄의 골이 형성된다.
즉, 밸트(210)가 이동하게 되면 밸트(210)의 원료탄은 골파기봉(64)을 지나면서 골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골이 형성된 상태로 슈트(124)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슈트(124)를 통해 배출되는 물 혼합 분진의 상당량은 골파기봉(64)에 의해 형성된 골의 안쪽으로 낙하된다.
이와같이 밸트(210)에 적재된 원료탄에 골을 형성하고 그 골 안쪽으로 물 혼합 분진이 낙하된 상태에서 밸트(210)는 계속 이동된다. 그리고 슈트(124) 후단에서 건조 원료로 골을 덮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송컨베이어(200)의 밸트(210) 이동에 따라 밸트(210)를 받쳐 지지하고 있는 리턴롤러(220)에 연결된 구동베벨기어(90)기 회전된다. 이에 구동베벨기어(90)에 맞물려 있는 피동베벨기어(92)가 회전되고, 피동베벨기어(92)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원판(94)이 회전된다.
회전원판(94)의 회전력은 링크바(96)를 통해 작동바(88)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94)이 회전되면 링크바(96)를 매개로 연결된 작동바(88)가 링크바(96) 이동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되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작동바(88)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회동바(84)가 지지대(82)에 대해 좌우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바(84)의 선단에 설치된 혼합봉(86)이 원료탄을 좌우로 휘저어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트(210)가 진행하는 상태에서 혼합봉(86)이 좌우로 왕복이동함으로써 혼합봉(86)은 원료탄에 형성된 골을 좌우로 덮고 혼합하게 된다. 이에 골 안쪽으로 낙하된 물 혼합 분진이 마른 원료탄에 의해 덮이면서 서로 혼합된다.
이와같이 물 혼합 분진과 마른 원료탄이 서로 고르게 혼합됨으로써 후공정에서 물 혼합 분진에 의해 설비가 막히는 등의 설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설비의 배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에에 따른 집진설비의 배출장치에서 에어 발생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설비의 배출장치에서 슈트(124)로부터 배출되는 분진과 원료탄의 혼합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즐 22 : 에어라인
24 : 송풍기 30 : 하우징
32 : 수차 36 : 유도판
40 : 수관 50 : 스팀라인
60,80 : 포스트 62,82 : 지지대
64 : 골파기봉 69 : 무게판
84 : 회동바 86 : 혼합봉
88 : 작동바 89 : 모음판
90 : 구동베벨기어 92 : 피동베벨기어
94 : 회전원판 96 : 링크바

Claims (7)

  1.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로터리밸브와, 상기 로터리밸브에 연결설치되어 분진과 물을 혼합하는 퍼그밀, 상기 퍼그밀에 연결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으로 연장되어 물과 혼합된 분진을 배출하는 슈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밸브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밸브쪽으로 에어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노즐에 연결되는 에어호스, 상기 에어호스에 연결되어 에어호스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분배탱크와, 분배탱크로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를 강제 송급하기 위한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퍼그밀에 연결되는 수관 일측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차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차의 회전축에 상기 송풍기를 연결한 구조의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그밀에 연결설치되고 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수관상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퍼그밀에 연결설치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관과, 상기 스팀관에 연결되어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라인, 스팀라인 상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을 통한 물의 분사량에 대해 스팀관을 통한 스팀 분사량은 4:6 이상인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를 통해 배출된 분진을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과 섞기 위한 혼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에서 이송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 전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 지지대 하단에서 밸트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에 골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골파기봉을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이송컨베이어 진행방향에 대해 슈트 후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의 밸트 폭방향 양 측에 수직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밸트 상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 지지대 상에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 고 양단은 밸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회동바, 회동바의 일측 선단에 밸트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밸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휘저어 주기 위한 혼합봉, 상기 회동바의 타측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를 왕복이동시켜 상기 회동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이송컨베이어의 밸트와 함께 회전되는 리턴롤러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의 외주부와 상기 작동바 선단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링크바를 포함하는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KR1020090126043A 2009-12-17 2009-12-17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KR10104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3A KR101043094B1 (ko) 2009-12-17 2009-12-17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3A KR101043094B1 (ko) 2009-12-17 2009-12-17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094B1 true KR101043094B1 (ko) 2011-06-21

Family

ID=444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43A KR101043094B1 (ko) 2009-12-17 2009-12-17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8800A (zh) * 2012-06-14 2012-09-26 四川石棉巨丰粉体有限公司 一种集中破碎供料系统
CN116812599A (zh) * 2023-05-31 2023-09-29 山东交通学院 一种煤矿用具有降尘功能的输送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94U (ko) * 1997-07-26 1999-02-25 김종진 집진기 퍼그밀의 더스트 믹싱장치
KR20050019462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의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94U (ko) * 1997-07-26 1999-02-25 김종진 집진기 퍼그밀의 더스트 믹싱장치
KR20050019462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의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8800A (zh) * 2012-06-14 2012-09-26 四川石棉巨丰粉体有限公司 一种集中破碎供料系统
CN116812599A (zh) * 2023-05-31 2023-09-29 山东交通学院 一种煤矿用具有降尘功能的输送带
CN116812599B (zh) * 2023-05-31 2023-11-14 山东交通学院 一种煤矿用具有降尘功能的输送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8152B (zh) 分离器旋转供给器以及使用它的方法
US20160250657A1 (en) Paint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inting installation
US20100223802A1 (en) Continuous drying apparatus
US5609836A (en) DCR transportable treatment unit
KR101043094B1 (ko) 집진설비의 분진 배출장치
CN105948431A (zh) 一种污泥干化全自动生产线
KR101560225B1 (ko) 기류식 분쇄장치
US20100226722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Processes Involved with Hydrating Particulate Material
CN209599652U (zh) 一种用于粉碎机的进料装置
KR101398308B1 (ko) 집진 더스트 처리장치
US8292085B2 (en) Run-of-mine coal separator
JP4768316B2 (ja) 土粉砕装置
KR101493855B1 (ko) 원료 공급장치
KR101268710B1 (ko) 수처리용 분체 저장공급장치
JPWO2004101185A1 (ja) 廃棄パン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100118096A (ko) 우드칩 및 톱밥 겸용 제조장치
CN1209198C (zh) 破碎设备
KR200163064Y1 (ko) 집진기의 더스트 배출장치
CN108450984A (zh) 养牛用饲料加工装置
US92338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receive and discharge bulk materials
CN114029328A (zh) 一种土壤修复系统
KR102009175B1 (ko)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KR101156189B1 (ko) 축분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연료 공급장치
KR101203739B1 (ko)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US7946516B1 (en) Feed chute for vertical roller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