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138A - 필름 센서 - Google Patents

필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138A
KR20130054138A KR1020120116122A KR20120116122A KR20130054138A KR 20130054138 A KR20130054138 A KR 20130054138A KR 1020120116122 A KR1020120116122 A KR 1020120116122A KR 20120116122 A KR20120116122 A KR 20120116122A KR 20130054138 A KR20130054138 A KR 2013005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ntistatic layer
lay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331B1 (ko
Inventor
구니아키 이시바시
아키코 스기노
츠요시 지바
마사쿠니 후지타
다카시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12Contactless testing by capacitive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시인성이 우수함과 함께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더하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센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필름 센서 (1) 는 편광 필름 (2) 과, 대전 방지층 (3) 과, 정전 용량 센서 (4) 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정전 용량 센서는 투명 필름 (5) 과, 그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투명 전극 패턴 (6) 과, 그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투명 필름 (5) 의 일방측에 형성된 접착층 (7) 을 갖고 있다. 대전 방지층 (3) 은 편광 필름 (2) 과 투명 필름 (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투명 필름 (5) 에 합착되어 있다. 이 대전 방지층 (3) 의 표면 저항값은 1.0 × 109 ∼ 1.0 × 1011 Ω/□ 이다.

Description

필름 센서{FILM SENSOR}
본 발명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 등의 접촉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필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광 필름의 편측에 정전 용량 센서를 구비하는 필름 센서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이 필름 센서는 상면에 전도성층이 구비된 전도성 필름과, 상기 전도성층 상에 구비된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 상에 구비된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름 센서를,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의 표면에 첩착 (貼着) 함으로써 시인성이 우수한 입력 표시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81810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필름 센서에서는 편광 필름 등이 정전기에 의해 대전되면, 정전 용량 센서에 오작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이 우수함과 함께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더하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필름 센서는 편광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정전 용량 센서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는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고, 상기 투명 필름은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투명 전극 패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은 1.0 × 109 ∼ 1.0 × 1011 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 필름이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접착층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후, 상기 대전 방지층이 상기 투명 필름의 타방측에 형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 방지층은 계면 활성제, 알칼리 금속염, 다가 알코올, 도전성 미립자 및 도전성 폴리머 중 어느 것을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 금속염이 비스(트리플루오로알칸술포닐)이미드알칼리 금속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필름이 대전 방지층과 투명 전극 패턴 사이에 배치 되어 있고,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이 1.0 × 109 ∼ 1.0 × 1011 Ω/□ 이다.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정전기 등에서 기인하는 편광 필름의 대전이 억제된다. 또, 정전 용량 센서가 투명 전극 패턴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서 생기는 전기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에 의하면, 대전 방지층이 접착층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대전 방지층에 포함되는 성분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대전 방지 기능이 장기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우수함과 함께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더하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장기에 걸쳐 지속되는 필름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과 필름 센서에서 발생하는 오작동 및 대전 방지성 (표시 불량)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의 필름 센서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는 도 1 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 센서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 필름 (2) 과 대전 방지층 (3) 과 정전 용량 센서 (4) 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정전 용량 센서는 투명 필름 (5) 과 그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투명 전극 패턴 (6) 과 그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투명 필름 (5) 의 일방측에 형성된 접착층 (7) 을 갖고 있다.
대전 방지층 (3) 은 편광 필름 (2) 과 투명 필름 (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투명 필름 (5) 에 합착되어 있다. 이 대전 방지층 (3) 의 표면 저항값은 1.0 × 109 ∼ 1.0 × 1011 Ω/□ (ohms per square) 이다. 또, 투명 필름 (5) 은 대전 방지층 (3) 과 투명 도체 패턴 (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필름 (5) 이 대전 방지층 (3) 과 접착층 (7)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대전 방지층 (3) 과 접착층 (7) 이 투명 필름 (5) 의 두께의 분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전 용량 센서는 그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했을 때에, 투명 전극 패턴과 손가락이 형성하는 미약한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 전극 패턴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정전기를 띤 편광 필름이 있으면, 정전 용량 센서에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편광 필름의 대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투명 전극 패턴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층 (예를 들어, 표면 저항값이 1.0 × 109 Ω/□ 미만인 도전층) 을 형성하면, 이번에는 정전 용량 센서에 원하는 전기 용량 (capacitance) 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과 그 배치 위치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을 특정값으로 함으로써 정전 용량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던 것이다.
또 본 발명자들은 투명 필름이 대전 방지층과 투명 전극 패턴 사이에 배치 됨으로써,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장기에 걸쳐 지속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종래의 필름 센서와 같이, 편광 필름과 투명 전극 패턴을 매립하는 접착층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편광 필름에 인접하여 대전 방지층을 배치한 경우에도, 그 성분 (대표적으로는 대전 방지제) 이 상기 접착층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름 센서 (1) 의 각 구성 요소의 상세를 이하에 설명한다.
(편광 필름)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은 그 편광 필름에 입력하는 광을 서로 직교하는 2 개의 편광 성분으로 분리하고, 일방의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고, 타방의 편광 성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면내에 흡수축과 투과축을 갖는다. 상기 흡수축은 입사하는 광을 최대로 흡수하는 방향이고, 상기 투과축은 광을 최대로 투과하는 방향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흡수축과 상기 투과축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기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2 색성 원소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연신 필름이다. 또,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연신 필름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연신 필름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 ∼ 30 ㎛ 이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닛토 전공 주식회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전 방지층은 편광판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 80 ㎛ 이다. 상기 대전 방지층의 단위 면적당 표면 저항값은 1.0 × 109 ∼ 1.0 × 1011 Ω/□ (ohms per square) 이다.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이 1.0 × 109 Ω/□ 미만이면 정전 용량 센서의 오작동이 생기고, 한편 표면 저항값이 1.0 × 1011 Ω/□ 를 초과하면 표시 불량이 생긴다. 본 발명의 필름 센서는 이와 같은 대전 방지층을 사용함으로써 정전 용량 센서에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한다. 이 대전 방지층은 대전 방지제를 분산시킨 감압 접착제 (PSA) 를 편광 필름에 첩착함으로써 형성해도 되고, 임의의 코팅제 혹은 용제에 혼합하거나, 또는 원액인 채로 편광 필름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대전 방지층을 대전 방지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대전 방지층과 정전 용량 센서 사이에는 별도의 다른 접착층이 형성된다.
대전 방지층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 도전성 미립자 및 도전성 폴리머 중 어느 것을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으로서 비스(트리플루오로알칸술포닐)이미드알칼리 금속염 (Bis(trifluoroalkanesulfonyl)imide alkaline metal salt) 을 함유한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예를 들어 토쿄 화성 공업 주식회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술폰산계 화합물 등의 음이온성 내지 양쪽성 계면 활성제,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화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미립자로는 도전성의 카본 블랙 (CB) 이나 카본 나노 튜브 (C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는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피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은 상기 대전 방지제의 종류나 함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적절히 증가 혹은 감소시킬 수 있다.
(정전 용량 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전 용량 센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나타내는 투명 필름과 그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투명 전극 패턴과 그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그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는다.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은 통상적으로 투명 필름의 단부에 형성된 인회선 (도시 생략)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대전 방지층과 투명 전극 패턴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편광 필름과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는 접착층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편광 필름에 인접하여 대전 방지층을 적층한 경우라도, 상기 대전 방지층의 성분 (대표적으로는 대전 방지제) 이 상기 접착층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필름 센서는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장기에 걸쳐 지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명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가시광 영역 (380 ㎚ ∼ 780 ㎚) 의 어느 파장 λ 에 대해 λ/4 의 면내 위상차값을 갖는다. 상기 투명 필름이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투명 필름의 파장 590 ㎚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은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이다. 상기 투명 필름이 가시광 영역의 어느 파장 λ 에 대해 λ/4 의 면내 위상차값을 갖는 경우, 이러한 투명 필름의 파장 590 ㎚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값은 바람직하게는 127.5 ㎚ ∼ 167.5 ㎚ (590/4 = 147.5 ㎚ (허용 범위 ±20 ㎚)) 이다.
상기 투명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는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시클로올레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상기 투명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 200 ㎛ 이다. 상기 투명 필름은 그 표면에 접착 용이층이나 하드 코트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투명 필름은 예를 들어 닛폰 제온 주식회사나 테이진 화성 주식회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은 대표적으로는 투명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도전체는 가시광 영역 (380 ㎚ ∼ 780 ㎚) 에서 투과율이 80 % 이상이고, 또한 표면 저항값이 500 Ω/□ 이하인 재료를 말한다. 상기 투명 도전체는 바람직하게는 인듐주석 산화물, 인듐아연 산화물, 산화인듐-산화아연 복합 산화물이다.
투명 전극 패턴의 형상은 빗 형상 이외에, 스트라이프 형상이나 마름모형 형상 등, 용도에 따라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 패턴의 높이는 예를 들어 10 ㎚ ∼ 100 ㎚ 이고, 폭은 0.1 ㎜ ∼ 5.0 ㎜ 이다.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은 투명 필름에, 예를 들어 스퍼터법 또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투명 도전체층을 형성한 후, 투명 도전체층의 표면에 원하는 패턴의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그 후 염산에 침지하여 투명 도전체층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투명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200 ㎛ 이다. 접착층은 시판되는 광학 투명 점착제 (OCA:Optical Clear Adhesive)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품명:LUCIACS (등록 상표) CS9621T) 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투명 필름 (5) 이 대전 방지층 (3) 과 투명 전극 패턴 (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대전 방지층 (3) 의 표면 저항값이 1.0 × 109 ∼ 1.0 × 1011 Ω/□ 이다. 대전 방지층 (3) 의 표면 저항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정전기 등에서 기인하는 편광 필름 (2) 의 대전이 억제된다. 또, 정전 용량 센서 (4) 가 투명 전극 패턴 (6) 과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서 생기는 전기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에 의하면 대전 방지층 (3) 이 접착층 (7) 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대전 방지층 (3) 에 함유되는 대전 방지제가 접착층 (7) 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전 방지층 (3) 의 대전 방지 기능이 장기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더하여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발휘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 센서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먼저, 두께 50 ㎛ 의 폴리시클로올레핀 필름 (닛폰 제온 주식회사, 상품명 「ZEONOR (등록상표)」) 의 일방측에 스퍼터법에 의해 인듐주석 산화물을 퇴적시키고, 두께 20 ㎚ 의 인듐주석 산화물의 비정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체막을 형성하였다. 이 투명 도체막을 140 ℃ 의 가열 오븐 내에서 30 분간 가열 처리하고, 상기 비정질을 결정질막으로 변화시켰다. 상기 인듐주석 참가물의 결정질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의 표면에, 스트라이프상 패턴의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한 후, 투명 도전막을 염산에 침지함으로써 투명 도전막의 불요 부분을 제거하고, 투명 전극 패턴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폴리시클로올레핀 필름의 일방측에 아크릴계 점착제층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LUCIACS (등록 상표) 」) 을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이 매설되도록 적층하여, 정전 용량 센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정전 용량 센서의 폴리시클로올레핀 필름의 타방측 (투명 전극 패턴과는 반대측) 에 표면 저항값이 2.0 × 109 Ω/□ 인 대전 방지층과 편광 필름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PF (등록상표)」) 을 순차 적층하여, 필름 센서를 얻었다. 상기 대전 방지층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을 그 대전 방지층의 총 중량에 대해 7 중량% 분산시킨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필름 센서를 인플레인 스위칭 (In-Plane Switching) 방식의 액정 패널을 갖는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 (Surface Capacitive Type) 터치 패널의 터치 센서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표면 저항값이 2.0 × 1011 Ω/□ 인 터치 패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성의 입력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층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을 그 대전 방지층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분산시킨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두께 25 ㎛) 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표면 저항값이 5.0 × 108 Ω/□ 인 대전 방지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성의 입력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층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을 그 대전 방지층의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분산시킨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두께 25 ㎛) 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표면 저항값이 2.0 × 1011 Ω/□ 인 대전 방지층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성의 입력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대전 방지층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리튬을 그 대전 방지층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분산시킨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 (두께 25 ㎛) 를 사용하였다.
표시 불량의 평가 방법
정전기 방전총 (Electrostatic discharge Gun) 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의 시인측의 표면에 배치된 편광 필름에 정전기를 인가하고,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시 불량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오작동의 평가 방법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육안으로 관찰을 실시하여, 오작동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들 평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 표시 불량이 생기지 않은 경우를 「○」, 표시 불량이 생긴 경우를 「×」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 1 의 실시예 1 및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면적당 표면 저항값이 2.0 × 109 ∼ 8.0 × 1010 Ω/□ 인 대전 방지층을 사용한 필름 센서에서는 편광 필름이 정전기에 의해 대전되어도 액정 패널에 표시 불량을 일으키지 않았다. 또, 정전 용량 센서의 오작동도 생기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 저항값이 1.0 × 109 Ω/□ 미만인 경우에는 정전 용량 센서의 오작동이 생겼다. 또, 상기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이 1.0 × 1011 Ω/□ 를 초과하면, 액정 패널의 표시 불량이 생겼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표면 저항값과 오작동과 대전 방지성 (표시 불량) 은 도 2 와 같은 관계에 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 센서의 구성에 있어서 단위 면적당 표면 저항값을 1.0 × 109 ∼ 1.0 × 1011 Ω/□, 특히 2.0 × 109 ∼ 8.0 × 1010 Ω/□ 로 함으로써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실현하여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센서는 그 용도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Slate PC 라고도 한다) 등의 휴대 단말에 채용 가능하다.
1 … 필름 센서
2 … 편광 필름
3 … 대전 방지층
4 … 정전 용량 센서
5 … 투명 필름
6 … 투명 전극 패턴
7 … 접착층

Claims (5)

  1. 편광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정전 용량 센서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는 투명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투명 전극 패턴과, 상기 투명 전극 패턴을 매설하도록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접착층을 갖고,
    상기 투명 필름은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투명 전극 패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대전 방지층의 표면 저항값은 1.0 × 109 ∼ 1.0 × 1011 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이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대전 방지층과 상기 접착층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상기 투명 필름의 일방측에 형성된 후, 상기 대전 방지층이 상기 투명 필름의 타방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층은 계면 활성제, 알칼리 금속염, 다가 알코올, 도전성 미립자 및 도전성 폴리머 중 어느 것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이 비스(트리플루오로알칸술포닐)이미드알칼리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센서.
KR1020120116122A 2011-11-16 2012-10-18 필름 센서 KR101561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0903 2011-11-16
JP2011250903A JP2013104847A (ja) 2011-11-16 2011-11-16 フィルム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138A true KR20130054138A (ko) 2013-05-24
KR101561331B1 KR101561331B1 (ko) 2015-10-16

Family

ID=4768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22A KR101561331B1 (ko) 2011-11-16 2012-10-18 필름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40736B2 (ko)
EP (1) EP2595036A3 (ko)
JP (1) JP2013104847A (ko)
KR (1) KR101561331B1 (ko)
CN (1) CN103116425B (ko)
TW (1) TWI4907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1754B (zh) * 2014-07-08 2017-02-15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控感应层及触控显示装置的形成方法
JP6627869B2 (ja) 2015-05-13 2020-0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47259A1 (en) 2018-01-26 2019-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ree-dimension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8877A (ja) * 1982-05-31 1983-12-05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座標入力装置
JPH0651121A (ja) * 1992-07-29 1994-02-25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楕円偏光板
JP2003320556A (ja) * 2002-05-01 2003-11-11 Asahi Kasei Corp 表面改質射出成形法
JP2005326167A (ja) * 2004-05-12 2005-11-24 Alps Electric Co Ltd 容量検出型センサ
JP2008047357A (ja) * 2006-08-11 2008-02-28 Brother Ind Ltd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取付構造、電子機器
DE102007057650A1 (de) * 2007-11-28 2009-06-04 H.C. Starck Gmbh Strukturierung von leitfähigen Polymerschichten mittels des Lift-Off-Prozesses
CN101458601B (zh) * 2007-12-14 2012-03-1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KR20100009473A (ko) 2008-07-18 2010-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US7958789B2 (en) * 2008-08-08 2011-06-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apacitive sensor
TW201013708A (en) * 2008-09-30 2010-04-01 Efun Technology Co Lt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application thereof
JP5306059B2 (ja) * 2009-05-29 2013-10-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タッチパネル用基板、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073345B1 (ko) * 2009-10-06 2011-10-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CN102043184B (zh) * 2009-10-09 2013-10-09 Lg化学株式会社 集成触摸偏光板和具有该集成触摸偏光板的触摸面板
KR101309598B1 (ko) 2009-10-09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터치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5527886B2 (ja) * 2010-02-24 2014-06-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201124766A (en) * 2010-01-08 2011-07-16 Wintek Corp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9201259B2 (en) * 2010-03-19 2015-12-0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35425B1 (ko) 2010-03-19 2013-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8707A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US9898121B2 (en) * 2010-04-30 2018-02-20 Synaptics Incorporated Integrated capacitive sensing and displaying
JP5813875B2 (ja) * 2011-08-24 2015-11-17 イノバ ダイナミ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ターン化された透明導体および関連する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4847A (ja) 2013-05-30
EP2595036A2 (en) 2013-05-22
TW201329818A (zh) 2013-07-16
US9140736B2 (en) 2015-09-22
CN103116425B (zh) 2016-09-21
US20130120006A1 (en) 2013-05-16
KR101561331B1 (ko) 2015-10-16
TWI490743B (zh) 2015-07-01
EP2595036A3 (en) 2016-02-24
CN103116425A (zh)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348B1 (ko) 입력 표시 장치
JP4055019B2 (ja)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KR101444132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JP5512624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443689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CN105264468A (zh) 压力检测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12027622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センサおよ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入力機能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2146739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KR20130054138A (ko) 필름 센서
KR20110134573A (ko) 편광판 일체형 내측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JP2014179063A (ja) タッチパネル
EP3032384A1 (en)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same
JP6127251B2 (ja) タッチパネル
JP2016194748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用中間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用中間部材の電気的検査方法
JP2016194746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用中間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102397697B1 (ko) 터치센서
KR20120116280A (ko) 터치 센서 일체형 3차원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WO2015083336A1 (ja) タッチパネル
KR101219497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3차원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