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694A -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 Google Patents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694A
KR20130053694A KR1020110119259A KR20110119259A KR20130053694A KR 20130053694 A KR20130053694 A KR 20130053694A KR 1020110119259 A KR1020110119259 A KR 1020110119259A KR 20110119259 A KR20110119259 A KR 20110119259A KR 20130053694 A KR20130053694 A KR 2013005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tape
repair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437B1 (ko
Inventor
신종순
이찬영
유선균
신현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가기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가기록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가기록원)
Priority to KR102011011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종이 베이스 상에 도포된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테이프는 고서, 고기록물, 책, 서류, 그림 등 종이기록물을 열화 없이 안전하게 보존,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Paper-adhesive tape for restore and preserve paper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책, 서류, 그림 등 종이기록물을 열화 없이 안전하게 보존 및 복원하기 위한 점착 종이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기록물은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산이고, 현재와 미래를 재조명하는 정보로서의 활용성 가치, 역사적 가치 등으로 영구 또는 반 영구 보존되어야 한다. 기록물의 대부분은 문, 도서류로서 종이로 만들어져 있으며 종이의 재료성분에 따라 수십 년에서 천년 이상까지 보존되고 있다.
최근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중요 종이 기록물의 약 7%가 훼손 및 열화 되어 복원이 필요로 되고 있으며 국가기록원 1997년 자료에 의하면 국가 공공 기관 및 도서관 등 35개 기관을 대상으로 국내 문, 도서류의 보존 상태실태조사에서 보존상태가 열악한 자료의 구성비는 1910년 이전 27.3%, 일제시대 18.2%, 해방~1970년 59.1%, 1971년 이후 1% 이하로 나타났다. 열화 및 훼손 유형은 황변, 부스러짐, 닳아 헤짐, 오염, 곰팡이, 기타(찢어짐, 파손, 이물질 부착)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황변과 부스러짐이 42.9%~53.3%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산성도(pH 4.0~4.8)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오염, 곰팡이, 기타에 의한 훼손도 3.6%~18.2%로 기록물의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이 훼손 기록물의 대부분은 1920~1960년도에 생산된 기록물로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의 과학적 보존 관리 자료 보고서에서 도서의 훼손 유형은 황변 37%, 부스러짐 2.5%, 미생물 및 충해 7.6%, 기타 12%(찢어짐, 파손, 이물질부착)로 국내의 중요한 문, 도서류 등이 심각한 훼손에 직면해서 정밀 복원이 필요시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정밀 복원 방법으로는 배점, 리프 케스팅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고도의 기술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에 의해 수작업으로 복원되므로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며 복원기간도 장기간 요구된다. 비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질 경우 원본을 훼손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된다. 그밖에 화학적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산성으로 열화 된 도서를 중화 처리하여 종이 기록물이 색상이나 탄성, 내구성을 회복시켜 기록물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대량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미 훼손된 기록물은 복원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훼손이 심하지 않은 기록물을 간편하게 수선 및 보수하여 더 이상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은 기록물의 예방적 보존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보존기술이 발전된 미국, 일본, 유럽에서는 예방적 보존을 위한 기록물을 간편하게 수선 및 보수하는데 필수적으로 보수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가(25000원/0.2 lbs)로 판매되어 사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점착 테이프는 기재, 점착제, 이형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양면 테이프(Double coat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 coated tape), 무기재 테이프(Adhesive transfer tape)로 나눠지는데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가 되고 있는 기록물 수선용 테이프는 단면 테이프로 되어 있다.
점착제의 종류로는 고무형, 실리콘형, 핫멜트형, 아크릴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이용한 점착제와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를 이용한 핫멜트 타입의 점착제를 이용한 테이프의 시장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아크릴형은 기능성 단량체를 이용하여 용도에 맞추어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후성, 내유성이 우수하며 중합체를 부분 가교시킴으로써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릴형은 그 우수한 성질 때문에 공업용 접착 테이프로써 그 용도가 넓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포장용에 이르기까지 사용범위가 다양하다.
우수한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점착력, 택크(tackiness) 및 응집력의 균형을 잡아가며 가장 바람직한 물성치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아크릴 점착제 제조에 있어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독립 변수들은 각 단량체의 배합비율, 용매의 종류, 경화제 첨가량 및 중합조건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아크릴점착제의 기본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아크릴 에스테르이다. 아크릴 점착제로써 적당한 당량체는 4-17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레이트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성 단량체를 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기록물의 보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기록물을 장기 보존 및 보수하기 위한 방법들을 활발히 연구하였다.
기록물 보수 및 수선의 결정요인은 1) 수선될 부분의 형태, 2) 수선될 부분의 크기, 3) 수선될 기록물 위의 활자의 수, 4) 수선될 대상의 다른 처리의 형태 등에 따라 보수용 안전 테이프의 종류 및 처리 방법이 선택이 된다.
셀룰로오스가 주요 구성요소인 종이 기록물은 중성 부근에서는 안정성이 있지만, 산성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는 특징이 있다(아래그림 참조). 최근 대기오염의 증가로 공기 중에는 SO2나 NOx 등과 같은 산성 유해가스등이 다량 존재한다. 이러한 산성 유해가스들은 수분과 반응하여 기록물에 유해한 산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산은 종이 섬유간 화학결합을 끊거나 첨가된 불순물과 결합하여 색상변화, 섬유분해, 건조화 등을 유발시켜 종이의 내구성을 잃게 하며, 외형적으로 황변, 부스러짐, 닳아 헤짐 등이 나타나게 한다.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테이프로 훼손된 부분을 수선할 경우 온도와 습도, 빛 등에 의해 접착부분이 열화되어 접착부분도 떨어지고, 기록물도 훼손되기 때문에 장기간 보존을 요하는 중요 종이 기록물에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열화되지 않으면서 장기간 기록물을 보존할 수 있는 중요 종이기록물 보수용 테이프가 필요하다.
중요 종이 기록물 보수용 테이프로 사용되는 베이스로는 높은 인장강도와 터프니스(toughness)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특히 온 습도 및 빛에 의해 열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열화안정성이 우수한 알칼리성 종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수용 테이프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종이베이스를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누어 제조할 수 있다. 하나는 기록물 표지에 사용되는 두꺼운 형태의 테이프로 높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평량이 30-50g/㎡ 인 불투명 종이가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글씨가 기록된 부분이 손상되었을 경우 글씨가 보이면서 훼손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도록 평량이 10-50g/㎡ 인 반투명한 종이를 사용한다.
보수용 테이프를 제조하는데 중요한 또 하나의 구성 요소로는 점착제가 있다. 보수용 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응집력 및 순간 점착능력 외에 온도 및 습도조절이 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열화하지 않고 수선대상 종이기록물에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 또한 기록물에 잘못 부착하여 제거가 필요할 때 쉽게 제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테이프의 대부분은 충분한 점착능력 및 열화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단 테이프가 부착이 되면 잘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에 분산이나 용해가 용이한 점착 물질들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DE-PS 2,214,293과 2,236,575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아크릴산 알카리염, 필리비닐 메틸에테르를 포함하는 분산이 가능한 점착제를; USP 3,096,202에서는 폴리올 또는 폴리알킬글리콜 에테르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물로 구성된 점착제를; USP 3,441,430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산-알콕시알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점착제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점착제는 수용성 또는 물에서 분리를 할 수 있지만 적절한 열화 안정성은 가지고 있지 않다. 또 수용성 형태의 점착제는 높은 습도에서 점착성이 느슨하게 되고, 분산형태의 점착제는 너무 강하게 점착이 되어 다시 분산할 경우에 수선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 특성이 우수하면서 기록물의 보존특성 유지, 열화 안정성, 재처리 시 원본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가역기능, 훼손을 가속화시키는 역기능 등에 대한 안전성을 만족하는 점착제를 이용한 보수용 종이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 베이스 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산화마그네슘 입자와 무기입자가 5㎛ 이하의 입자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기본수지가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이 pH 7.5~9.5의 약알칼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분산액 상태로 종이 베이스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소제로서 수용성 알칼리염 형태의 선형 폴리아크릴산(분자량, 3,000-20,000);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혹은 옥틸벤질프탈레이프(C4-C8)와 같은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유화제로서 알킬페놀 폴리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이 베이스가 평량 10~50 g/㎡의 중성 합성지, 트레이싱지 또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열화(105℃에서 10일 유지)와 가온 가습 열화(80 C,65%에서 7일유지) 후 pH가 7.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이형지 위에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종이 베이스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베이스 위에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이형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는 점착제의 열화안정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점착능력과 응집력을 보유하면서도 기존의 보수용 테이프에 비해 장시간 접착 후에도 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제거하는 가역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라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는 종이 베이스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상에는 이형지가 접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분산액 상태로 종이 베이스에 도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한다.
본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알칼리성 물질인 산화마그네슘 입자는 점착제의 열화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조성물중 그 함량이 0.05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열화안정성이 다소 불충분하고, 5.0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열화안정성 향상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점착제 조성물에서 무기입자는 수분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켜 물에 의해 테이프가 가역적으로 제거되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합하는 것이다. 점착제에 분산된 상기한 무기입자는 친수성 성질 및 미세기공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보수용 종이테이프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의 양을 증가시켰을 때 수분을 흡수하여 점착제가 쉽게 종이기록물에서 분리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본 조성물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무기입자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산화티탄이다.
본 점착제 조성물중 무기 입자의 함량이 0.1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물에 의해 가역적으로 제거되는 성능이 다소 미흡하고, 5.0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성능의 향상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마그네슘 입자와 무기입자는 점착제 조성물에 잘 분산될 수 있도록 입자 사이즈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가 기본수지를 한다. 바람직한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는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이며, 이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혼합수지로서 점착능력과 응집력이 목적하는 테이프의 점착제의 제조에 가장 잘 부합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소제로서 수용성 알칼리염 형태의 선형 폴리아크릴산(분자량, 3,000-20,000);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혹은 옥틸벤질프탈레이프(C4-C8)와 같은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혼합수지 분산액은 종이나 호일 위에서 건조 후에는 낮은 수분 흡수 능력을 보이지만, 상기한 가소제를 배합하면 점착 물질이 물에 의해 분리되는 성질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유화제로서 알킬페놀 폴리글리콜에테르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화제를 배합하면 수분흡수능력과 함께 점착제의 재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점착제 조성물은 pH 7.5~9.5의 약알칼리성으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도의 약알칼리성 점착제 조성물은 열화안정성을 제공하고 산성화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완충한다.
본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도 점착테이프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기타 통상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내박리성과 태크를 보강하기 위한 첨가제인 태키화이어(tackifier), 습윤제(wetting agent), 소포제(defoamer), 증점제(thickener)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종이 베이스로는 평량 10~50 g/㎡의 트레이싱지, 중성 합성지 또는 한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는 이형지 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종이 베이스를 접합하는 방법; 또는 종이 베이스 위에 상기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이형지를 접합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부틸아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혼합수지로되는 아크릴계 점착성 수지 93중량부, 로진 5.5중량부, 폴리에테르 0.5중량부, 미네랄오일 0.5중량부 및 소수성 폴리에테르 0.5중량부를 함유하는 기본수지조성물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입자크기 0.5㎛의 산화마그네슘 입자 및 입자크기 0.5㎛의 이산화티탄을 균일하게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기본수지조성물 98.5 98.5 99.5 99.0
산화마그네슘 0.5 1.0 0.5 -
이산화티탄 1.0 0.5 - 1.0
합계 100.0 100.0 100.0 100.0
2. 종이 베이스의 열화특성시험
종이베이스를 가온가습열화시험기를 사용하여 80℃의 온도와 상대습도 65%에서 7일간 노화시험후 변색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한지, 라이언코트지, 트레이싱지 및 중성합성지는 열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루지, 화이트스케치 페이퍼는 변색되었다.
3. 점착 테이프의 풀질특성 분석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에 따라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으로 코팅된 이형지 위에 도포한 후 열풍건조시켜 15㎛ 두께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열화특성 및 투과율이 우수한 트레이싱지를 접착시켜 점착제가 이형지에서 베이스 종이로 전이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점착테이프를 제조한 후 접착강도, 파단강도, 가열성 점착력 및 열화안정성을 테스트하였다.
점착강도는 ASTM D2979-01 규정에 TE-6001 프로브 태크 테스터(probe tack tester; Sankyo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파단강도는 ASTM D903-49의 규정을 참고하여 180°박리테스트로 측정하였으며,
가역성 점착력은 테이프를 물에 분산시켜 유지시키는 조건에서 24시간 후의 강도 유지성으로 평가하였고,
열화안정성은 가속열화(105℃에서 10일 유지)와 가온 가습 열화(80℃, 65%에서 7일유지) 후 pH와 변색유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제시된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점도(cps) 1800 1680 1500 1400
용해성 가용성 가용성 가용성 가용성
접착강도(gf/25mm) 3.6 3.4 2.5 2.0
가역성점착력 점착 양호 점착 양호 점착 불량 점착 불량
열화시험전 pH 8.5 9.0 8.5 7.5
열화시험후 pH 7.5 8.0 7.5 6.5
열화시험후 변색여부 변색없음 변색없음 변색없음 변색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종이테이프는 열화안정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점착능력과 응집력을 보유하면서도 장시간 접착 후에도 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제거하는 가역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종이 베이스 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마그네슘 입자와 무기입자가 5㎛ 이하의 입자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기본수지가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pH 7.5~9.5의 약알칼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분산액 상태로 종이 베이스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수용성 알칼리염 형태의 선형 폴리아크릴산(분자량, 3,000-20,000);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혹은 옥틸벤질프탈레이프(C4-C8)와 같은 알킬벤질 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알킬페놀 폴리글리콜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베이스가 평량 10~50 g/㎡의 중성 합성지, 트레이싱지 또는 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열화(105℃에서 10일 유지)와 가온 가습 열화(80 C,65%에서 7일유지) 후 pH가 7.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10.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형지 위에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종이 베이스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의 제조방법.
  11.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이베이스 위에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입자 0.05~5.00중량%와; 이산화티탄, 실리카 입자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무기 입자 0.1~5.0중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이형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110119259A 2011-11-16 2011-11-16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KR10132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59A KR101322437B1 (ko) 2011-11-16 2011-11-16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59A KR101322437B1 (ko) 2011-11-16 2011-11-16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94A true KR20130053694A (ko) 2013-05-24
KR101322437B1 KR101322437B1 (ko) 2013-11-11

Family

ID=4866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259A KR101322437B1 (ko) 2011-11-16 2011-11-16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02B1 (ko) * 2022-03-14 2023-06-13 김시철 종이 점착 테이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939B2 (ja) 1993-11-19 2003-08-18 日本無機株式会社 無機ペーパー成形体
KR100482928B1 (ko) 2004-03-29 2005-04-14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고온용 열전도성 감압성 접착 테이프
KR20080056780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디바텍 내수성과 고강도를 지닌 친환경 종이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3608A (ko) * 2007-11-23 2009-05-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스피커 그릴 접착용 양면 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02B1 (ko) * 2022-03-14 2023-06-13 김시철 종이 점착 테이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437B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95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EP1054932B1 (en)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EP0699221B1 (en) Adhesive composition
JP2005534754A (ja) アクリル感圧接着剤
EP0347657A2 (en) Wetness indicating hot-melt adhesives
JPH03149280A (ja) 湿気作動熱融解接着剤シートを備えた接着性物品
JPH09157627A (ja) 水溶性粘着剤組成物
JPH06509827A (ja) 再剥離性グルーステック
CN101085372A (zh) 制备高吸水性水解胶体的方法
KR20170098273A (ko) 산 함량이 낮은 점착부여된 아크릴레이트 감압 접착제
US6844391B1 (en) Adhesives with improved rivet properties and laminates using the same
CN112521884A (zh) 一种双面胶片及其制备方法
US7420009B2 (en) Low-emission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solvent
JPS6227482A (ja) 再湿性ホツトメルト接着剤
KR101322437B1 (ko) 종이기록물 보수용 점착 종이 테이프
CN113242895A (zh) 皮肤粘贴用带或片
DE4430415A1 (de) Permanenter Haftkleber
JP6884072B2 (ja) 粘着剤組成物、積層体、及び表示装置
JP2003336025A (ja) アクリル系のホットメルト型粘着剤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粘着シート
JP4396998B2 (ja) 感圧接着剤及び表面保護材
JP2002539973A (ja) 欠陥のない積層に有用な可塑剤補助接着層形成
KR101988074B1 (ko) 자동차용 접착필름
KR101387644B1 (ko) 초저온 적용성 접착 시트
EP1117529B1 (en) Adhesives with improved properties on a riveted surface
CN114479688A (zh) 可降解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