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308A -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308A
KR20130053308A KR1020110119065A KR20110119065A KR20130053308A KR 20130053308 A KR20130053308 A KR 20130053308A KR 1020110119065 A KR1020110119065 A KR 1020110119065A KR 20110119065 A KR20110119065 A KR 20110119065A KR 20130053308 A KR20130053308 A KR 2013005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muffler
tail pipe
tri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철
김동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308A/ko
Publication of KR2013005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flared outlets, e.g. of fish-tai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테일파이프 내측에는 포집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테일트림이 구비되되; 상기 테일파이프의 끝단을 연장 성형시켜 상기 테일트림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어, 머플러와 연결된 테일파이프 및 테일트림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저감시키는 동시에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테일파이프의 배출구조를 통해 테일트림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Tail structure of vehicle muffler}
본 발명은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플러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차단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을 상호 연결하여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고 테일파이프에 배출구조를 적용하여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테일트림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발생되는 배기소음을 저감시켜 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머플러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통과하기 때문에 운전 정지 시에는 대기온도와 머플러 내의 온도 차이에 의해 머플러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액화되어 일정양의 응축수가 머플러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머플러의 바닥면에 모이게 되면, 상기 응축수로 인하여 머플러를 이루고 있는 금속재들이 부식되어 손상되고, 심할 경우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소음기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10)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11)와, 상기 테일파이프(11) 외주면에 장착되는 테일트림(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테일트림(12)은 테일파이프(11) 외주면에 장착되어 머플러(10)로부터 발생되는 배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테일파이프(11) 내측에는 배출홀(13)이 형성되도록 하여 머플러(1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테일트림(12) 측에 포집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파이프(11)와 테일트림(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기의 유동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여 배기소음과 같은 기류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테일파이프(11)에 형성된 배출홀(13)에 의해 테일트림(12)에 포집된 응축수가 다시 테일파이프(11) 측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플러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 차단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테일파이프 내측에는 포집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테일트림이 구비되되; 상기 테일파이프의 끝단을 연장 성형시켜 상기 테일트림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머플러와 연결된 테일파이프 및 테일트림의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저감시키는 동시에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테일파이프의 배출구조를 통해 테일트림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소음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머플러(10)에 테일파이프(100)가 장착되며, 상기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테일트림(110)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테일파이프(100) 내측에는 포집부(10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테일파이프(100)와 테일트림(110)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저감시키는 동시에 머플러(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테일파이프(100)의 배출구조를 통해 테일트림(110)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머플러(10) 끝단에 테일파이프(100)와 테일트림(110)을 포함하는 테일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머플러(10)로부터 발생되는 배기소음과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파이프(100)는 굴절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10)의 끝단에 장착된다.
한편, 머플러(10)에서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통과하기 때문에 대기온도와 머플러(10) 내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머플러(1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테일파이프(100)를 통해 머플러(10)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테일트림(110)은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테일파이프(100)의 끝단과 테일트림(110)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테일트림(110)은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테일파이프(100)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파이프(100)의 끝단을 연장 성형시켜 상기 테일파이프(100)의 끝단이 테일트림(110)의 끝단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테일트림(110)과 테일파이프(10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머플러(10)와 연결된 테일파이프(100) 내측에는 포집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머플러(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포집부(101)를 따라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구비되는 테일트림(110)에 포집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포집부(101)는 곡선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머플러(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테일파이프(100) 내부에 고이지 않고 상기 포집부(101)를 통해 배출되어 테일트림(110) 내부에 포집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곡선 형상으로 절곡된 포집부(101)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가 상기 포집부(101)로 집중되어 응축수의 포집이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소음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머플러(10)에 테일파이프(100)가 장착되며, 상기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테일트림(110)이 구비되되, 상기 테일파이프(100)의 끝단이 테일트림(110)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호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테일파이프(100)와 테일트림(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여 배기의 유동에 대한 간섭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배기소음과 같은 기류음 발생 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테일파이프(100)와 테일트림(110)이 상호 연결됨으로 인해, 테일파이프(100)와 테일트림(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종래기술에 비해 일정 시점부터 배기 기류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테일파이프(100) 내측에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성형된 포집부(101)가 형성되도록 하여 머플러(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가 상기 테일파이프(100) 내부에 고이지 않고 상기 포집부(101)를 따라 테일파이프(100) 외주면에 구비되는 테일트림(110)에 포집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응축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차량의 외관이나 주행 중인 도로의 청결을 저해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는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테일파이프 내측에는 포집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테일트림이 구비되되; 상기 테일파이프의 끝단을 연장 성형시켜 상기 테일트림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됨으로 인해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연결 구조를 통해 저감시키는 동시에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테일파이프의 배출구조를 통해 테일트림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머플러 100 : 테일파이프
101 : 포집부 110 : 테일트림

Claims (3)

  1.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머플러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테일파이프 내측에는 포집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테일트림이 구비되되;
    상기 테일파이프의 끝단을 연장 성형시켜 상기 테일트림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테일파이프와 테일트림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곡선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곡선 형상으로 절곡된 상기 포집부는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KR1020110119065A 2011-11-15 2011-11-15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KR20130053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65A KR20130053308A (ko) 2011-11-15 2011-11-15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65A KR20130053308A (ko) 2011-11-15 2011-11-15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308A true KR20130053308A (ko) 2013-05-23

Family

ID=4866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65A KR20130053308A (ko) 2011-11-15 2011-11-15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3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369A (ko) 차량 배기 파이프용 테일 트림 어셈블리
JP2009138730A (ja) 車両の消音器及びこれを使用した排気装置
KR20120034021A (ko) 건설기계의 배기장치
US8910747B2 (en) Tail pipe assembly for vehicle
JP2009013902A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KR20130053308A (ko) 차량용 머플러의 테일 구조
JP2006112327A (ja) 車両用消音器の水抜き構造
JP5266263B2 (ja) 内燃機関の排気系に接続される消音器
JP6373062B2 (ja) 内燃機関用消音装置
KR20120137155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CN109404109A (zh) 消音器
CN105201592A (zh) 一种汽车排气消声器
JP6423462B2 (ja) マフラ
JP4030489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消音器
KR101104304B1 (ko) 배기파이프용 가스켓
KR200415221Y1 (ko) 차량용 배기구
US11353149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pipe fixing clamp installed in internal structural pipe of sound absorber
KR20120137150A (ko) 차량용 테일 파이프 어셈블리
KR20070079741A (ko) 소음기의 드레인 튜브
CN207776972U (zh) 一种排气管多级内筒结构
CN220452011U (zh) 一种汽车排气消声器结构
CN207278399U (zh) 一种用于消除低频噪声的进气管路结构
KR100925929B1 (ko) 엔진 부밍 소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JP2006161687A (ja) 車両用消音器
CN206017090U (zh) 带有s型降噪结构的活塞式定排量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