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221Y1 - 차량용 배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221Y1
KR200415221Y1 KR2020060004365U KR20060004365U KR200415221Y1 KR 200415221 Y1 KR200415221 Y1 KR 200415221Y1 KR 2020060004365 U KR2020060004365 U KR 2020060004365U KR 20060004365 U KR20060004365 U KR 20060004365U KR 200415221 Y1 KR200415221 Y1 KR 200415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vehicle
exhaust pip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주
Original Assignee
윤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주 filed Critical 윤석주
Priority to KR2020060004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 F01N1/08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using vanes arranged on gas flow path or gas flow tubes with tangentially directed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flared outlets, e.g. of fish-tai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kinet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exhaust evacuation or circulation, or reducing back-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차량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켜 엔진의 출력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에 갭을 갖는 차량용 배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내측면 중 바닥에 급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에는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를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기구멍을 마련하며,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차량용 배기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기가스의 대기저항을 줄이므로 배기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배기시켜 엔진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머플러, 배기구, 배기관, 테일파이프, 블레이드.

Description

차량용 배기구{An exhaust pipe for a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배기구가 설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차량용 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의 구조와 그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기구 200 : 배기관
210 : 급기구멍 300 : 테일파이프
400 : 테일캡 410 : 흡기구멍
500 : 날개관 510 : 블레이드
본 고안은 차량용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차량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켜 엔진의 출력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을 반복하므로 그 동력을 얻게 되며, 이중에서 배기행정에 따라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대략 3∼5kg/㎠의 압력과 600℃ 정도의 온도로 배기되기 때문에 소음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소음기는 통상 배기량의 15∼20배 정도의 용적으로 설계되므로 공기 저항이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므로 출력의 5∼10%가 감소되는 폐단이 발생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차량용 배기구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2는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배기구(10)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M)의 일측에는 테일파이프(20)가 형성되고, 이러한 테일파이프(20)의 내부에는 배기관(3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배기구(10)는 배기관(30)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기가스를 배기하는 과정에서, 배기관(30)의 단부에서 대기저항이 발생되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의 엔진출력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 3은 종래의 다른 차량용 배기구(10)를 나타낸 것으로, 배기관(30)에 형성된 제1,2고정베인(40)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다시 유입하여 재 배기시키므로 배기가스의 오버랩(Overlap)을 방지하고,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차량용 배기구(10)는 배기관(30) 내에 제1,2고정베인(40)이 너무 크게 형성되므로 배기가스의 흐름을 저해하여 엔진의 출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도 2에서 도시한 종래의 차량용 배기구(10)는 도 1의 차량용 배기구(10)와 마찬가지로 배기관(30)의 단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대기저항을 해소하지 못하므로 배기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가일층 신속하고 원활한 배기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가스의 대기저항을 줄이므로 배기가스를 보다 신속하게 배기시켜 엔진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관은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에 갭을 갖는 차량용 배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내측면 중 바닥에 급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에는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를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기구멍을 마 련하며,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에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100)는 크게 배기관(200), 테일파이프(300), 테일캡(400), 날개관(5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기관(200)은 엔진의 폭발행정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를 차량 외부로 배기시키는 관으로서, 통상의 머플러에 연결 설치되며, 내측면 중 바닥에는 다수의 급기구멍(210)을 형성한다.
테일파이프(300)는 배기관(200)의 단부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배기관(200)을 커버하면서 배기관(200)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테일캡(400)은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다수의 흡기구멍(410)을 형성하여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흡기구멍(410)을 테일캡(400)의 단부 중 상부에 형성한 이유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대기와 충돌할 때에 대부분 대류 현상에 의해 위로 상승하기 때문이 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와 대기와의 저항이 테일캡(400)의 상부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는 흡기구멍(410)을 통해 대부분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배기관(200) 단부의 대기저항을 크게 줄이게 된다.
날개관(500)은 배기가스의 배출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둘레에 다수의 블레이드(510)를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하고, 배기관(200)과 테일캡(400) 사이에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한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날개관(500)의 블레이드(510)에 의해 소용돌이와 같은 기류 형태로 배기되며, 이러한 기류의 발생은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배기가스를 급기구멍(210)을 통해 배기관(200)의 내부로 재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발행정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구(100)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기되는데, 이때 배기관(200)에는 날개관(500)을 통해 다수의 블레이드(510)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배기되는 배기가스에 소용돌이와 같은 기류를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51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소용돌이치듯 배기관(200)의 외부로 배기되므로 소용돌이 기류가 갖는 강한 기류의 특성상 대기 속으로 용이하게 배기되며, 이에 따라 배기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차량의 출력을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100)는 테일캡(400)의 단부 중 상부에 다수의 흡기구멍(410)을 형성하므로 배기구(100)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 중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를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배기가스는 배기관(200)의 내측에 형성된 급기구멍(210)을 통해 배기관(200) 내로 흡입시켜 외부로 배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배기구(100)의 단부는 배기가스의 대기저항이 크게 줄어들게 되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의 출력향상을 가일층 도모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는 배기관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통해 소용돌이와 같은 기류를 발생시키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에 따른 대기저항을 줄여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이에 따라 차량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용 배기구는 흡기구멍과 배기구멍을 통해 대기저항을 받 는 배기가스를 배기관 내부로 유입시켜 재 배기시키므로 배기가스의 배출에 따른 대기저항을 줄여 배기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시키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출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배기관과 테일파이프 사이에 갭을 갖는 차량용 배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00)은 내측면 중 바닥에 급기구멍(210)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에는 대기저항을 받는 배기가스를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기구멍(410)을 마련하며,
    상기 배기관(200)의 내부에는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블레이드(51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멍(410)은 테일파이프(300)의 안쪽에 설치되는 테일캡(400)의 상부에 다수 형성하므로 배기관(200)과 테일파이프(300) 사이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10)는 배기관(299)과 테일캡(400) 사이에 설치되는 날개관(500)의 둘레에 상기 블레이드(510)를 다수 절곡 형성하므로 배기관(200)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구.
KR2020060004365U 2006-02-16 2006-02-16 차량용 배기구 KR200415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65U KR200415221Y1 (ko) 2006-02-16 2006-02-16 차량용 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65U KR200415221Y1 (ko) 2006-02-16 2006-02-16 차량용 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221Y1 true KR200415221Y1 (ko) 2006-04-28

Family

ID=4176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65U KR200415221Y1 (ko) 2006-02-16 2006-02-16 차량용 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2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00B1 (ko) * 2007-07-2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 차져 배기소음 감소장치
KR102239306B1 (ko) * 2020-06-10 2021-04-12 홍윤기 배기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400B1 (ko) * 2007-07-2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 차져 배기소음 감소장치
KR102239306B1 (ko) * 2020-06-10 2021-04-12 홍윤기 배기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85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hau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MX2007004902A (es) Escape para automoviles.
CA2436993A1 (en) Aero-engine exhaust jet noise reduction assembly
JP2010530040A (ja) 排気ガス圧力除去及び逆流防止装置
KR200415221Y1 (ko) 차량용 배기구
KR100769700B1 (ko) 배압제거 역류방지 장치
KR100743236B1 (ko) 배압제거 역류방지 장치
US20110005857A1 (en) Exhaust system and corresponding connection device for an actuator
KR100925928B1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CN201041063Y (zh) 通用小型四冲程汽油机的二次再燃烧废气净化装置
JP3134510U (ja) 車両用消音器
WO2009112888A1 (en) Ejection exhaust system
KR20110110599A (ko) 자동차 머플러
CN203847212U (zh) 冷凝式散热型消音器
CN201043483Y (zh) 一种消音器
KR200288308Y1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KR100925929B1 (ko) 엔진 부밍 소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JP2005083254A (ja) 汎用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CN208793078U (zh) 一种汽车消声器用橡胶管组件
CN201258774Y (zh) 柴油机消音器
KR101104304B1 (ko) 배기파이프용 가스켓
CN210033583U (zh) 一种惯性排气低温消音器
CN101936236A (zh) 一种带火花塞冷却通道的发动机气缸头
RU129560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AU2006269815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hau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