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034A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3034A KR20130053034A KR1020110118502A KR20110118502A KR20130053034A KR 20130053034 A KR20130053034 A KR 20130053034A KR 1020110118502 A KR1020110118502 A KR 1020110118502A KR 20110118502 A KR20110118502 A KR 20110118502A KR 20130053034 A KR20130053034 A KR 201300530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vehicle
- emergency
- locking
- relief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차량의 운행 상태가 출입문의 비상 개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위한 비상 완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하여 차량 출입문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는,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도어 개폐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구비된 비상완해수단의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한 조작자의 작동력을 입력받는 완해작동기; 상기 완해작동기와 비상완해수단 간에 연결되어 잠금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전달수단; 및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완해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완해제어기는 상기 운행 상태에 따른 신호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완해작동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 상태에 따라 출입문의 비상 완해가 가능하거나 불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시에 출입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완해장치의 작동이 차량이 정지되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이동되는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오조작이나 장난, 또는 고장 등으로 인해 출입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사람을 한꺼번에 이동시키는 대형 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 전철, 기차 등의 차량에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출입구에는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슬라이드 방식이나 회동 방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주로 도시 철도 운행에 사용되는 전철 차량의 출입문은 각 출입구에 유압 또는 전동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통상 롤러에 의해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행거에 각 도어가 거치되고, 모터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행거가 수평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에 출입문이 열릴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므로, 폐쇄 위치에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비정상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겨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해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할 때,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승객이나 승무원 등이 직접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상 완해장치가 설치된다. 이 비상 완해장치는 통상 레버나 핸들과 같은 조작기구를 구비하며, 이를 손으로 작동시키면 도어 잠금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해 도어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비상 완해장치는 비상시에 승객들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조작기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조작 방법도 간단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장난이나 범죄 등 바람직하지 못한 목적을 가진 사람에 의해 완해장치가 작동되어 불필요하게 출입문이 개방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출입문이 의도치 않게 개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면 차량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 운행에 저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운행 중에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승객이 차량 외부로 추락하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차량의 운행 상태가 출입문의 비상 개방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위한 비상 완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하여 차량 출입문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도어 개폐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닫혀진 도어가 폐쇄 위치에 고정되도록 잠금 동작하고 도어 개방 시에는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수단, 비상 시에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도어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하여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비상완해수단을 구비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있어서, 상기 비상완해수단의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한 조작자의 작동력을 입력받는 완해작동기; 상기 완해작동기와 비상완해수단 간에 연결되어 잠금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전달수단; 및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완해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완해제어기는 상기 운행 상태에 따른 신호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완해작동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는, 상기 완해작동기와 동축 상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외주부에 와이어 권취부가 구비된 회전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력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와이어권취부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비상완해수단에 연결된 작동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완해작동기 또는 회전휠에 구멍, 홈,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해제어기의 스톱퍼에 회전위치 또는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구멍, 홈,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멈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는, 차량의 이동 여부 또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차량이 정지되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해제어기가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일정 속도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해제어기가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감지수단으로서, 차량의 차륜, 차축, 모터의 출력축, 주행모터와 차축 간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또는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GPS수신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완해제어기는 상기 모터와 스톱퍼 간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웜 및 상기 웜과 맞물리고 상기 스톱퍼와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의 닫힘 위치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후크, 상기 도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도어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후크와 서로 걸려 도어가 잠기게 하는 가동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완해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력에 의해 상기 가동후크를 상기 고정후크로부터 분리되도록 회동 또는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동후크는 상기 고정후크를 향해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상완해수단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후크를 가압하여 고정후크와 이격되게 하는 비상완해캠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에는 외측면이 경사진 잠금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후크는 일측에 상기 잠금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고정후크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잠금롤러가 구비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잠금롤러가 상기 잠금돌기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이동 여부나 이동 속도와 같은차량 운행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운행 상태가 출입문의 비상 개방에 적합한 경우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위한 완해작동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완해작동기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시에 기존과 같이 용이하게 출입문을 수동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고속주행 시와 같이 개방에 부적합 상태에서 출입문이 의도치 않게 열리거나 불순한 의도의 조작자에 의해 열리는 것 등을 방지하여 비정상적인 출입문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완해 불가 조작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를 완해 가능 조작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완해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도어 잠금장치의 일례를 잠금 동작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를 완해 동작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에서 비상완해캠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를 완해 가능 조작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비상 완해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완해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도어 잠금장치의 일례를 잠금 동작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를 완해 동작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도어 잠금장치에서 비상완해캠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는 차량의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200), 이 본체(2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작동휠(210), 상기 작동휠(210)과 결합된 완해작동기(220), 상기 본체(200)에 고정 설치된 완해제어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면에 오목한 수용공간(201)이 구비되고, 이 수용공간(201)의 내부에 상기 완해작동기(220)가 설치된다. 상기 완해작동기(220)는 대략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향하는 면에 돌출된 파지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휠(210)은 축(211)을 통해 상기 완해작동기(220)와 결합되어 상기 축(211)을 중심으로 완해작동기(22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작동휠(210)의 외주부에는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의 비상완해기구와 연결된 작동와이어(미도시)가 감겨지는 와이어권취부(213)가 구비되어 작동휠(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상기 작동와이어를 통해 비상완해기구로 전달되어 완해동작 및 복귀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비상완해기구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작동휠(210)의 일측에는 걸림부(212)가 구비된다. 이 걸림부(212)는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작동에 따라 작동휠(21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홈, 구멍,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휠(2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완해제어기(230)는 볼트(202)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200)에 결합된 케이스(231), 이 케이스(2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정/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41), 이 모터(24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2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웜(243), 이 웜(243)과 치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웜기어(244), 및 이 웜기어(244)와 연결되어 일체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톱퍼(234)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241)와 웜(243) 간에는 전달 동력의 감속, 방향 전환 등을 위한 기어모듈(24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234)는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휠(21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인가하는 것으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212)와 걸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형성된 멈치부(233)를 구비한다. 이 멈치부(233)는 상기 걸림부(212)와 대응되는 홈, 구멍,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톱퍼(23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웜기어(244)의 회전축(245)이 케이스(231)의 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245)에 상기 스톱퍼(234)가 결합되어 케이스(231)의 외부에 스톱퍼(234)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스톱퍼(234)의 회전중심부는 케이스(231)의 내부에 위치된 웜기어(244)의 회전축(245)에 결합되고, 상기 멈치부(233)가 구비된 스톱퍼(234)의 외측 일부만 케이스(231)에 형성된 절개부 등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웜(243) 및 웜기어(244)는 모터(241)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톱퍼(234)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기어, 풀리 및 벨트 등과 같은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의 종류에 따라, 모터(241)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외부 하중에 의해 스톱퍼(234)가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웜(243) 및 웜기어(244)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회전 위치 유지를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부호 251은 상기 모터(241)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한 전원 및 신호 입력선이 접속되는 접속부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 완해장치가 구비된 차량 출입문 개폐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차량 출입문 개폐장치는 지하철 전동차와 같이 한 쌍의 도어(미도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구조의 것을 예시한 것으로,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부가 구비된 이송스크류(10), 상기 이송스크류(10)의 각 나선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도어가 결합되어 이송스크류(10)의 회전에 따라 도어를 열림 또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유닛(11), 양측 슬라이딩유닛(11)이 닫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고정력을 제공하는 잠금장치(12, 16), 도어의 자동 개방 시 상기 잠금장치(12, 16)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캠(30), 및 비상 시에 도어의 수동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장치(12, 16)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상완해캠(20)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고, 이송스크류(10)의 중앙부는 축지지유닛(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잠금장치(12, 16)는 상기 축지지유닛(19)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후크(16)와 상기 슬라이딩유닛(11) 측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가동후크(1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후크(16)는 양측 단부에 외측면이 경사지고 서로 마주하는 면이 수직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잠금돌기(17)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후크(12)는 피봇축(13)에 의해 시이소오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유닛(11)에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잠금돌기(17)의 경사면을 타고 고정후크(16)의 내측으로 진입이 가능하되 진입된 후에는 잠금돌기(17)의 수직면에 걸려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롤러(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롤러(15)가 설치된 반대측 단부는 스프링(14)에 의해 외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 지지된다.
상기 잠금해제캠(30)은 상기 이송스크류(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후크(12)를 밀어내어 상기 잠금롤러(15)가 고정후크(16)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즉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가압부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해제캠(30)과 가동후크(12)가 직접 접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마멸을 방지하고 보다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해제캠(30)의 가압부에 해제롤러(31)가 장착되고, 이 해제롤러(31)와 접하는 가압블록(18)이 상기 가동후크(12)에 구비된다.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비상완해캠(20)은 상기 이송스크류(10)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후크(12)를 밀어내어 잠금이 해제되도록 돌출된 가압부(22)가 구비된다. 또한, 타측에는 상기 작동휠(210)과 연결된 작동와이어가 체결되는 와이어결합부(21)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휠(2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장치(12, 16)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압부(22) 역시 마모의 방지 및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블록(18)을 통해 가동후크(12)를 밀어내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동와이어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잠금장치(12, 16)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비상완해캠(2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으로서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본 발명의 조절 장치에 의해 출입문의 비상 완해가 가능 또는 불가 상태로 조절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해작동기(220)의 조작이 완해제어기(230)에 의해 제한된 상태를 기준으로, 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완해작동기(220)의 조작이 제한된 상태일 때, 상기 비상완해캠(20)에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만이 작용되어 비상완해캠(20)이 도어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잠금장치(12, 16)의 잠금 및 해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스크류(10)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자동 개폐와 그에 따른 자동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닫음 명령이 입력되면 모터에 의해 이송스크류(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딩유닛(11)이 도어의 닫힘 위치로 이동되고,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가동후크(12)의 잠금롤러(15)가 고정후크(16)의 잠금돌기(17)를 타고 고정후크(16) 내측의 잠금 위치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가동후크(12)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므로, 고정후크(16) 내측의 잠금위치에 진입된 잠금롤러(15)의 이탈이 방지되어 잠금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어 개방 신호가 전달되어 모터에 의해 이송스크류(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딩유닛(11)이 도어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며, 개방동작이 시작될 때 상기 잠금해제캠(30)이 회전되면서 가압부(22)가 가동후크(12)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잠금롤러(15)가 고정후크(16)의 외부로 이탈되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닫힘 및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완해작동기(220)를 회전시켜 상기 비상완해캠(20)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완해작동기(220)에 의한 비상완해캠(20)의 작동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른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이 정지된 상태이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저속 운행하는 등 도어의 개방에 적합한 상태일 때에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41)가 구동되어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스톱퍼(233)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휠(210) 및 완해작동기(220)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승무원이나 승객 등의 사용자가 완해작동기(220)를 손으로 돌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완해작동기(220)를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켜 작동휠(210)이 작동와이어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작동와이어를 통해 와이어결합부(21)가 상부로 당겨져 비상완해캠(20)이 회전된다. 이때, 비상완해캠(20)이 회전하면서 가압부(22)가 가동후크(12)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전술한 잠금해제캠(30)에 의한 잠금해제와 유사하게 잠금롤러(15)가 고정후크(16)의 외부로 이탈되어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완해작동기(220)를 도 1과 같이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면, 작동휠(210)이 작동와이어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와이어를 통해 가해졌던 작동력이 해제되어 비상완해캠(20)이 스프링에 의해 잠금장치(12, 16)의 잠금 및 해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전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달리,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차량의 운행 상태가 도어의 비상 개방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상기 완해제어기(23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24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퍼(233)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휠(210)의 걸림부(212)와 서로 걸리는 위치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휠(210) 및 완해작동기(220)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장난이나 범죄 등 바람직하지 못한 목적을 가진 사람에 의해 비상완해장치가 작동되어 불필요한 출입문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차량 운행 방해 및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작동을 위한 차량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차량의 이동 여부 또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이동 여부나 속도 외에도 다양한 운행 조건들이 상응하는 검출수단을 통해 입력되어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감지수단으로서, 차량의 차륜, 차축, 모터의 출력축, 주행모터와 차축 간의 구동축 등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GPS수신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감지수단은 차량의 메인제어부에 연결되어 이 메인제어부로부터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접속부(25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동감지수단이 직접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접속부(251)와 연결되거나 완해제어기(230)에 내장되어 직접 모터(241)에 이동감지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완해제어기(23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모터(241)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하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스톱퍼를 구비하여, 이 스톱퍼의 회전 또는 이동에 따라 상기 완해작동기(220) 또는 작동휠(210)의 회전을 인가하거나 제한하도록 작동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해제어기(230)의 스톱퍼가 모터(241)의 구동에 따라 전진 및 후퇴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휠(210) 또는 완해작동기(220)에 상기 스톱퍼가 전진하면서 삽입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홈이나 구멍 등의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해작동기(220) 역시 예시된 원형의 회전손잡이 형태뿐 아니라 레버, 버튼 등 기계적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통상의 기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해 조절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된 가동후크(12), 고정후크(16), 잠금해제캠(30), 비상완해캠(20)을 구비한 도어 잠금 및 비상 완해 구조 뿐 아니라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기능을 갖는 다양한 통상의 자동 개폐 도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해 조절장치는 전술한 모터 및 이송스크류(10)를 구비한 전기식 개폐 도어 시스템 뿐 아니라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이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유체 압력식 개폐 도어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이송스크류 11 : 슬라이딩유닛
12 : 가동후크 15 : 잠금롤러
16 : 고정후크 17 : 잠금돌기
18 : 가압블록 19 : 축지지유닛
20 : 비상완해캠 21 : 와이어결합부
22 : 가압부 30 : 잠금해제캠
31 : 해제롤러 200: 본체
210 : 작동휠 211 : 축
212 : 걸림부 213 : 와이어권취부
220 : 완해작동기 230 : 완해제어기
233 : 멈치부 234 : 스톱퍼
241 : 모터 242 : 기어모듈
243 : 웜 244 : 웜기어
12 : 가동후크 15 : 잠금롤러
16 : 고정후크 17 : 잠금돌기
18 : 가압블록 19 : 축지지유닛
20 : 비상완해캠 21 : 와이어결합부
22 : 가압부 30 : 잠금해제캠
31 : 해제롤러 200: 본체
210 : 작동휠 211 : 축
212 : 걸림부 213 : 와이어권취부
220 : 완해작동기 230 : 완해제어기
233 : 멈치부 234 : 스톱퍼
241 : 모터 242 : 기어모듈
243 : 웜 244 : 웜기어
Claims (11)
-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도어 개폐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닫혀진 도어가 폐쇄 위치에 고정되도록 잠금 동작하고 도어 개방 시에는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수단, 비상 시에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도어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하여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비상완해수단을 구비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있어서,
상기 비상완해수단의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한 조작자의 작동력을 입력받는 완해작동기;
상기 완해작동기와 비상완해수단 간에 연결되어 잠금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력전달수단; 및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완해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완해제어기는 상기 운행 상태에 따른 신호 입력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완해작동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해작동기와 동축 상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외주부에 와이어 권취부가 구비된 회전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력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와이어권취부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비상완해수단에 연결된 작동와이어로 이루어진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해작동기 또는 회전휠에 구멍, 홈,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해제어기의 스톱퍼에 회전위치 또는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구멍, 홈,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멈치부가 구비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이동 여부 또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차량이 정지되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해제어기가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일정 속도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완해제어기가 상기 완해작동기를 조작이 불가능하게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차륜, 차축, 모터의 출력축, 주행모터와 차축 간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는 GPS수신기를 구비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해제어기는 상기 모터와 스톱퍼 간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웜 및 상기 웜과 맞물리고 상기 스톱퍼와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의 닫힘 위치 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후크, 상기 도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도어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후크와 서로 걸려 도어가 잠기게 하는 가동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완해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작동력에 의해 상기 가동후크를 상기 고정후크로부터 분리되도록 회동 또는 이동시키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후크는 상기 고정후크를 향해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상완해수단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후크를 가압하여 고정후크와 이격되게 하는 비상완해캠을 구비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에는 외측면이 경사진 잠금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후크는 일측에 상기 잠금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고정후크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잠금롤러가 구비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기 잠금롤러가 상기 잠금돌기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502A KR101300910B1 (ko) | 2011-11-14 | 2011-11-14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502A KR101300910B1 (ko) | 2011-11-14 | 2011-11-14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034A true KR20130053034A (ko) | 2013-05-23 |
KR101300910B1 KR101300910B1 (ko) | 2013-08-27 |
Family
ID=4866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502A KR101300910B1 (ko) | 2011-11-14 | 2011-11-14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9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4471B1 (ko) * | 2014-06-09 | 2014-11-24 | 한국철도공사 |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976B1 (ko) | 2019-12-30 | 2021-03-17 |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 전동차 도어용 비상핸들 캠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4589B1 (ko) * | 2009-04-02 | 2011-05-11 | (주)보체스 |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
AP3252A (en) * | 2009-05-26 | 2015-05-31 | Voces Co Ltd | Electrical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
KR20120039103A (ko) * | 2010-10-15 | 2012-04-25 | (주)소명 |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
KR101262148B1 (ko) * | 2011-06-15 | 2013-05-14 | 한국산업은행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
2011
- 2011-11-14 KR KR1020110118502A patent/KR10130091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4471B1 (ko) * | 2014-06-09 | 2014-11-24 | 한국철도공사 |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0910B1 (ko) | 2013-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335755B (zh) | 车门紧急解锁控制方法和车门系统 | |
KR101262148B1 (ko)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
KR101034590B1 (ko) |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 |
US5730254A (en) | Elevator door restraint device | |
US20180371805A1 (en) | Automobile door lock device | |
JP2012522914A (ja) | 電気式ドアロック装置 | |
KR101383459B1 (ko) |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 |
CN110306886B (zh) | 一种客室门系统车内紧急解锁装置 | |
JP6932849B2 (ja) | 弓形部材保持装置 | |
KR101300910B1 (ko)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
EP3342743B1 (en) |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 |
GB2028104A (en) | Passive seatbelt system | |
KR101185531B1 (ko) |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 |
CN210948105U (zh) | 门锁离合控制装置、车门及汽车 | |
KR20120039103A (ko) |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 |
KR101464471B1 (ko) |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 |
KR101436675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 |
KR20130053032A (ko) | 전기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잠금장치 | |
KR101816914B1 (ko) | 차량 좌석의 안전벨트 연동장치 | |
AU2015217685A1 (en) | Device for unlocking a vehicle door | |
KR20110138039A (ko) |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 |
KR20130024522A (ko) |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 |
CN209990286U (zh) | 一种带报警和二次保险功能的驾驶区防护隔离设施围门锁 | |
KR200398549Y1 (ko) |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 |
JP2004232252A (ja) |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