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736A -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736A
KR20130052736A KR1020127030597A KR20127030597A KR20130052736A KR 20130052736 A KR20130052736 A KR 20130052736A KR 1020127030597 A KR1020127030597 A KR 1020127030597A KR 20127030597 A KR20127030597 A KR 20127030597A KR 20130052736 A KR20130052736 A KR 2013005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olding composition
alkyl
g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180B1 (ko
Inventor
토마스 에켈
부르크하르트 튀르머
베라 타쉬너
디터 비트만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5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7Screws provided with kneading disc-like elements, e.g. with oval-shap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876Feeding, melting, plasticising or pumping zones, e.g. the melt itself
    • B29C2948/92895Barrel or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08K5/526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유동 거동 이외에 탁월한 기계적 특성 및 특별히 우수한 매끈한 표면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그라프트 중합체로 제조된 내연성 성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 화합물은 얇은 벽 두께 및 고-광택 표면을 가진 성형품을 위한 사출 성형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은 A) 65.0 내지 82.0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4.0 내지 11.0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중합체, C) 14.0 내지 24.0 중량부의 하나 이상의 인-함유 방염제를 함유하고, 여기서 성분 A 내지 C의 중량부의 합이 100 중량부가 되고, 그라프트 단량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유리 형태로 첨가되고 그라프트 베이스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중합체의 총 함량이 전체 성형 화합물을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이다.

Description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EASY-FLOWING POLYCARBONATE/ABS MOLDING COMPOUNDS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A GOOD SURFACE}
본 발명은 우수한 유동 특성 이외에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특별히 우수한 무-결함 표면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그라프트 중합체의 내연성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얇은 벽 두께 및 고-광택 표면을 가진 성형품을 위한 사출 성형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EP 0 363 608에서는 방염 첨가제로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함유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올리고머 포스페이트의 중합체 혼합물을 서술하고 있다. 특정 분야의 용도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 특히 용접 강도, 유동 특성 및 특히 표면 품질의 수준은 충분하지 못하다.
EP 0 704 488에서는 특정 비율의 양으로 특정 그라프트 베이스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스티렌-함유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성형 조성물을 서술하고 있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인 화합물을 사용하여 내연성이 임의로 부여될 수 있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유동 특성 및 표면 품질이 어떤 목적하는 용도에서는 충분하지 못하지만, 매우 우수한 노치 충격 강도를 갖는다.
EP 747 424에서는 방염제로서 50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가진 포스페이트 화합물 및 2,300 내지 11,000의 분자량을 가진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서술하고 있고, 다수의 열가소성 수지가 목록으로 기재되어 있다. 성형 조성물의 유동 특성은 고 분자량의 인 화합물에 의해 크게 손상된다.
EP 754 531에서는 정밀 부품에 적합한 강화 PC/ABS 성형 조성물을 서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BPA 유형의 올리고포스페이트가 또한 방염제로서 사용된다. 고 충전제 함량은 기계적 특성 및 유동 특성에 큰 역효과를 미친다.
EP 755 977에서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25% 미만의 고무 함량을 가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8% 미만의 함량을 가진 올리고머 포스페이트의 중합체 혼합물을 서술하고 있다. 제한된 방염제 함량으로 인해, 유동 특성 및 내연성은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원하는 우수한 표면 품질의 징후가 전혀 없다.
EP 1 003 809에서는 특정 입자 크기를 가진 그라프트 베이스와 올리고머 인 화합물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PC/ABS 성형 조성물을 서술하고 있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특히 증가된 탄성 응력 하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특성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그의 유동 특성, 그의 내연성 및 그의 표면 품질은 어떤 분야의 용도에서는 충분하지 못하다.
EP 0 983 315에서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 인 화합물와 조합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그라프트 중합체 및 방염제의 성형 조성물을 서술하고 있다. 이들 성형 조성물은, 특히 얇은 벽 두께를 가진 성형품에서 유동 특성 및 내연성이 충분하지는 못하지만, 높은 열 변형 온도 및 탁월한 기계적 특성 (노치 충격 강도 및 용접 강도)를 갖는다.
EP 1 165 680에서는 한정된 사슬 길이를 갖는 올리고머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인장 강도, 용접 강도)을 가진 내연성 PC/ABS 성형 조성물을 서술하고 있다. 방염제 및 그라프트 중합체에 대해 선택된 양의 범위는 매우 폭넓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유동 특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 품질의 특성 조합은 서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유동 특성 이외에,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노치 충격 강도 및 용접 강도, 및 매우 우수한 무-결함 표면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성형 조성물은 또한 얇은 벽 두께 (< 1.5 ㎜)에서도 우수한 내연성을 가져야 한다.
놀랍게도, 전술한 특성은 특히 유효한 그라프트 중합체를, 예를 들어 SAN과 같은 그라프트-온 쉘(grafted-on shell) 단량체의 유리 중합체의 가능한 가장 낮은 함량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수득되는 것으로 현재 밝혀졌다. 본원에서, 그라프트 중합체 및 방염제의 함량은 유동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최적의 조합을 얻도록 선택된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한편 그라프트-온 쉘 단량체의 유리 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구성된 성형 조성물은 우수한 용접 강도 및 최적의 표면 코스메틱과 조합한, 개선된 기계적 특성, 예컨대 높은 노치 충격 강도에 의해 구별된다. 높은 함량의 방염제로 인해, PC/ABS 혼합물은 탁월한 내연성 및 특히 우수한 유동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65.0 내지 8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80.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73.0 내지 78.0 중량부,
B)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중합체 4.0 내지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부, 및
C) 하나 이상의 인-함유 방염제 14.0 내지 2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 중량부
(여기서, 성분 A 내지 C의 중량부의 합은 100 중량부가 됨)를 포함하는 내연성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첨가제 D)는 임의로 0.05 내지 15.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 이외에,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을 0.0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 이외에,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를 0.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 이외에, 예를 들어 입체 장애 페놀, 포스파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르가녹스(Irganox)® B900을 0.01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성분 A
성분 A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DE-AS 1 495 626, DE-A 2 232 877, DE-A 2 703 376, DE-A 2 714 544, DE-A 3 000 610 및 DE-A 3 832 396 참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DE-A 3,007,934 참조).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디페놀과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과의,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젠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임의로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모노페놀을 사용하고, 임의로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인 분지화제, 예를 들어 트리페놀 또는 테트라페놀을 사용하는 계면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디페놀과,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용융 중합 공정에 의한 제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디페놀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디페놀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 내지 C5-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임의로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추가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아릴렌, 또는
화학식 II 또는 III의 라디칼이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02
<화학식 III>
Figure pct00003
B는 각 경우에 C1 내지 C12-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로민이고,
x는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는 1 또는 0이며,
R5 및 R6은 각각의 X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는 수소 또는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내고,
X1은 탄소를 나타내며,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되, 단 하나 이상의 X1 원자 상에서 R5 및 R6은 동시에 알킬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C1-C5-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C5-C6-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이들의 핵 상의 브로민화 및/또는 핵 상의 염소화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페놀-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피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 및 이들의 디- 및 테트라브로민화 또는 염소화 유도체, 예컨대 예를 들어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 프로판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페놀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페놀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사슬 종결제는, 예를 들어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또는 2,4,6-트리브로모페놀 뿐만 아니라 장쇄 알킬페놀, 예컨대 DE-A 2 842 005에 따른 4-[2-(2,4,4-트리메틸펜틸)]-페놀, 4-(1,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또는 알킬 치환기에서 총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 예컨대 3,5-디-tert-부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및 2-(3,5-디메틸헵틸)-페놀 및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사용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특정 디페놀의 몰의 합을 기준으로 0.5 몰% 내지 10 몰%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2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8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00 내지 32,000 g/몰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 (Mw,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한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됨)을 갖는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디페놀의 합을 기준으로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인 화합물,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페놀 기를 갖는 화합물 0.05 내지 2.0 몰%를 도입함으로써 분지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 기재인 것을 사용한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둘다 적합하다. 또한, 히드록시아릴옥시 말단 기를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 (사용된 디페놀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 중량%를 성분 A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공지되어 있거나 (US 3 419 634)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폴리디오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도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폴리디오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DE-A 3 334 782에 기재되어 있다.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이외에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한 또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한 기타 디페놀, 특히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 프로판을, 디페놀의 몰의 합을 기준으로 15 몰% 이하로 포함하는 비스페놀 A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페닐 에테르 4,4'-디카르복실산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의 이산(diacid) 디클로라이드이다.
1:20 내지 20:1의 비의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이산 디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있어서,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을 또한 이관능성 산 유도체로서 함께-사용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있어서 가능한 사슬 종결제에는, 상기 언급한 모노페놀 이외에, 또한 그의 클로로탄산 에스테르, 및 C1 내지 C22-알킬 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산 클로라이드, 및 지방족 C2 내지 C22-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가 있다.
사슬 종결제의 양은, 각 경우에 페놀계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그리고 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의 몰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몰%이다.
하나 이상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또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 (이 문맥에서는 DE-A 2 940 024 및 DE-A 3 007 934 참조)에 의해 선형 또는 분지형이 될 수 있고, 선형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분지화제는, 예를 들어 (사용된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몰%의 양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인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예컨대 트리메스산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르산 트리클로라이드,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피로멜리트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몰%의 양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인 페놀, 예컨대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또는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이다. 페놀계 분지화제는 디페놀과 함께 초기에 도입될 수 있으며; 산 클로라이드 분지화제는 산 디클로라이드와 함께 도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중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유닛의 함량은 원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르보네이트 기의 함량은 에스테르 기 및 카르보네이트 기의 합을 기준으로 100 몰% 이하, 특히 8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및 카르보네이트 함량 둘다 중축합물 중에 블럭 형태로 또는 랜덤 분포로 존재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B
그라프트 성분 B는, 예를 들어 고무-탄성 특성을 가진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기본적으로 2 이상의 다음의 단량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클로로프렌, 부타-1,3-디엔, 이소프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알콜 성분에서 1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가진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즉 예를 들어 문헌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Houben-Weyl), vol. 14/1, Georg Thieme-Verlag, Stuttgart 1961, p.393-406] 및 [C.B. Bucknall, "Toughened Plastics", Appl. Science Publishers, London 1977]에 기재된 바와 같은 중합체. 바람직한 중합체 B는 부분 가교되고 2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초과, 특히 60 중량% 초과의 겔 함량 (톨루엔 중에서 측정됨)을 갖는다.
겔 함량은 25℃에서 적합한 용매 중에서 측정된다 (문헌 [M. Hoffmann, H. Kroemer, R. Kuhn, Polymeranalytik I und II, Georg Thieme-Verlag, Stuttgart 1977]).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 B는
B.1) 하기 B.2) 상의,
B.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핵 상에서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50 내지 95 중량부, 및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C1-C4-알킬 또는 페닐에 의해 N-치환된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5 내지 50 중량부
의 혼합물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부, 및
B.2) 고무-함유 그라프트 베이스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부
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라프트 베이스는 -1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폴리부타디엔 고무 기재 그라프트 베이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는 중간 온도점으로서 Tg의 정의 (탄젠트 방법)로써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표준 DIN EN 61006에 따른 동적 시차 열분석 (DSC)에 의해 측정된다.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 B는, 예를 들어 스티렌 및/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 그라프팅된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고무; 즉 DE-OS 1 694 173 (= US 3 564 077)에 기재된 유형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DE-OS 2 348 377 (= US 3 919 35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또는 알킬스티렌으로 그라프팅된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또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텐 또는 폴리이소프렌이다.
특히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 B는 하기 II 상에서 하기 I의 그라프팅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I.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특히 20 내지 40 중량% (그라프트 생성물 기준)의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특히 20 내지 40 중량%의 혼합물 (이는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 (혼합물 기준)의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중량% (혼합물 기준)의 스티렌으로 이루어짐),
II. 그라프트 베이스로서 50 중량% (II 기준) 이상의 부타디엔 라디칼과,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특히 50 내지 80 중량% (그라프트 생성물 기준)의 부타디엔 중합체.
상기 그라프트 베이스 II의 겔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톨루엔 중에서 측정됨)이고, 그라프팅 G 정도는 0.15 내지 0.55이고, 그라프트 중합체 B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은 0.05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이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I는 1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일가 알콜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이다.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 및 프로필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베이스 II는, 부타디엔 라디칼 이외에, II를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의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알콜 성분에서 1 내지 4개의 C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및/또는 비닐 에테르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그라프트 베이스 II에는 바람직하게 순수 폴리부타디엔이 포함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그라프팅 단량체는 그라프팅 반응 동안에 그라프트 베이스 상에서 완전히 그라프팅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중합체 B는 또한 그라프트 베이스의 존재 하에 그라프팅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 (즉, 0.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 내지 1.5 중량%)의, 그라프팅 단량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유리 형태로 첨가되고 그라프트 베이스, 예를 들어 유리 SAN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중합체의 총 함량을 갖는다. 이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은 급격하게 악화된다.
그라프팅 정도 G는 그라프트-온 그라프팅 단량체 대 그라프트 베이스의 중량비를 나타내고 무차원이다.
평균 입자 크기 d50은 각 경우에 50 중량%의 입자가 놓여 있는 상하 직경이다. 이는 초원심분리 측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문헌 [W. Scholtan, H. Lange, Kolloid, Z. und Z. Polymere 250 (1972), 782-796]).
추가로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 B는, 또한 예를 들어
(a) 그라프트 베이스로서, B를 기준으로 20 내지 9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b) 그라프팅 단량체로서, B를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단독- 또는 공중합체 ((a)의 부재 하에 형성된 이들은 25℃ 초과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음)의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중합체 B의 아크릴레이트 고무 (a)는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a)를 기준으로 40 중량% 이하의 다른 중합가능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중합가능한 아크릴산 에스테르에는 C1-C8-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부틸, n-옥틸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및 이들 단량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가교를 위해, 하나보다 많은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가진 단량체를 공중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의 예로는 3 내지 8개의 C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3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갖는 불포화 일가 알콜 또는 2 내지 4개의 OH 기 및 2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포화 폴리올, 예컨대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다불포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트리비닐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예컨대 디- 및 트리비닐벤젠; 뿐만 아니라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및 디알릴 프탈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3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함유하는 헤테로고리형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고리형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비닐 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및 트리알릴벤젠이다.
가교 단량체의 양은 그라프트 베이스 (a)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특히 0.05 내지 2 중량%이다.
3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기를 갖는 고리형 가교 단량체의 경우, 상기 양을 그라프트 베이스 (a)의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에, 그라프트 베이스 (a)를 제조하는 기능을 임의로 할 수 있는 바람직한 "다른" 중합가능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비닐 C1-C6-알킬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이다. 그라프트 베이스 (a)로서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60 중량% 이상의 겔 함량을 갖는 유화 중합체이다.
추가로 적합한 그라프트 베이스는, 특허 DE 37 04 657, DE 37 04 655, DE 36 31 540 및 DE 36 31 539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그라프팅-활성 부위 및 40% 이상의 겔 함량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실리콘 고무이다.
성분 C
본 발명에 따른 맥락에서 인-함유 방염제 C는 바람직하게 모노- 및 올리고머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아민 및 포스파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군 중 하나 또는 다수로부터 선택되는 몇몇 성분들의 혼합물을 방염제로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할로겐-비함유 인 화합물은 또한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할로겐-비함유 인 화합물과의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모노- 및 올리고머 인산 또는 포스폰산 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V의 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V>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알킬, 또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20-아릴 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이는 각 경우에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로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 내지 30을 나타내고,
X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방향족 라디칼, 또는 2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이는 OH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8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페닐-C1-C4-알킬을 나타낸다. 상기 방향족 기 R1, R2, R3 및 R4는 각각 할로겐 기 및/또는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로민 및/또는 C1 내지 C4-알킬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라디칼은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및 그의 상응하는 브로민화 및 염소화 유도체이다.
화학식 V에서 X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방향족 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디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식 V에서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이 1이다.
q는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정수 값을 나타내고, 혼합물의 경우에는 0.8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0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60의 평균 값을 나타낸다.
X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05
또는 그의 염소화 또는 브로민화 유도체이고, 특히 X는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또는 디페닐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X가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식 V의 인 화합물은, 특히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 옥틸 포스페이트, 디페닐 2-에틸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가교 올리고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가교 올리고포스페이트이다.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 화학식 V의 올리고머 인산 에스테르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Va에 따른 비스페놀 A-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가 성분 C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Va>
Figure pct00006
성분 C에 따른 인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예를 들어, EP-A 0 363 608, EP-A 0 640 655 참조), 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18, p. 301 et seq. 1979];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12/1, p.43]; [Beilstein vol. 6, p. 177]).
다른 화학 구조 및/또는 동일한 화학 구조 및 다른 분자량을 가진 포스페이트 혼합물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C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구조 및 다른 사슬 길이를 가진 혼합물을 사용하고, 언급된 q 값은 평균 q 값이다. 평균 q 값은 적합한 방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G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 인 화합물의 조성 (분자량 분포)을 측정하고, 그로부터 q의 평균 값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WO 00/00541 및 WO 01/18105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포스포네이트아민 및 포스파젠을 방염제로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방염제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서로 간의 혼합물로 또는 다른 방염제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첨가제 D
조성물은 통상의 중합체 첨가제, 예컨대 방염 상승작용제, 점적방지제 (예를 들어, 실리콘 및 아라미드 섬유의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 물질 부류의 화합물), 윤활제 및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 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 및 유기 대전방지제, 예컨대 폴리알킬렌 에테르, 알킬술포네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함유 중합체) 및 염료, 안료, 충전제 및 강화 물질, 특히 유리 섬유, 미네랄 강화 물질 및 또는 탄소 섬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또는 PTFE-함유 조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분말 또는 응고된 혼합물로서의 PTFE와 스티렌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성분 B와의 마스터배치를 점적방지제로서 사용한다.
점적방지제로서 사용되는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높은 분자량을 갖고, -30℃ 초과, 일반적으로는 100℃ 초과의 유리 전이 온도,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6, 특히 70 내지 76 중량%의 플루오린 함량, 0.05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20 ㎛의 평균 입자 직경 d50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1.2 내지 2.3 g/㎤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공지되어 있다 (문헌 ["Vinyl and Related Polymers" by Schildknech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62, page 484-494]; ["Fluorpolymers" by Wall, Wiley-Interscience,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volume 13, 1970, page 623-654];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1970-1971, volume 47, no. 10 A, October 1970, Mc Graw-Hill, Inc., New York, page 134 and 774]; ["Modern Plastics Encyclopedia", 1975-1976, October 1975, volume 52, no. 10 A, Mc Graw-Hill, Inc., New York, page 27, 28 and 472]; 및 US 3 671 487, 3 723 373 및 3 838 092 참조).
이들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는 촉매,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술페이트를 사용하여, 7 내지 71 ㎏/㎠의 압력하 및 0 내지 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성 매질 중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US 2 393 967 참조). 사용 형태에 따라, 이들 물질의 밀도는 1.2 내지 2.3 g/㎤일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는 0.05 내지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0.0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10 ㎛의 평균 입자 직경, 및 1.2 내지 1.9 g/㎤의 밀도를 갖는다.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 D는 100 내지 1,000 ㎛의 평균 입자 직경 및 2.0 g/㎤ 내지 2.3 g/㎤의 밀도를 갖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적합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분말은 상업적으로 수득가능한 제품이고, 예를 들어 듀폰(DuPont)으로부터 상품명 테플론(Teflon)® 하에 입수가능하다.
입체 장애 페놀 및 포스파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이르가녹스(Irganox)ⓒ B900 (바스프(BASF))는 바람직하게 성분 D에 따른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이형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첨가제 D로서 임의로 다른 첨가제 D와 조합해서 0.5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의 충전제 및/또는 강화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강화 물질은 유리 섬유이다. 강화 작용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충전제로는 유리 비드, 운모, 실리케이트, 석영, 활석, 이산화티탄, 규회석이 있다.
성분 A 내지 C 및 임의로 공지된 추가의 첨가제 D, 예컨대 안정화제, 염료, 안료, 윤활제 및 이형제, 충전제 및 강화 물질, 핵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특정 구성성분들을 공지된 방식으로 혼합하고 혼합물에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통상의 기구, 예컨대 내부 혼련기, 압출기 및 이축-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배합 또는 용융 압출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혼합을 수행한 후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통상의 기구로 용융 배합 또는 용융 압출을 실시하는, 성분 A 내지 C 및 임의로 첨가제 D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개별 구성성분의 혼합은 공지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특히 약 20℃ (실온)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모든 유형의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성형품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될 수 있는 성형품의 예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 예컨대 TV 및 HiFi 장비용 임의 유형의 하우징 부품, 커피 머신, 혼합기, 오피스 기기, 예컨대 모니터 또는 프린터, 또는 건설 부문용 커버 시트 및 자동차 부문용 부품. 이들은 또한 매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 공학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성형 조성물은, 사용된 플라스틱의 노치 충격 강도, 유동선 강도, 내연성 및 표면 품질에 대한 요구사항이 특별히 높은 얇은-벽 성형품 (예를 들어, 데이터 기술 하우징 부품, TV 하우징)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추가 형태의 가공처리는 취입 성형에 의한 또는 미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열성형에 의한 성형품의 제조이다.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및 시험
표 1에 목록으로 기재한 출발 물질을 이축-스크류 압출기 (ZSK-25)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Werner und Pfleiderer)) 상에서 225 rpm의 회전 속도 및 260℃의 기기 온도에서의 20 ㎏/h의 처리량으로 배합하고 그래뉼화한다. 마무리된 그래뉼을 사출 성형 기기 상에서 처리하여 상응하는 시험 견본 (용융 온도 240℃, 금형 온도 80℃, 용융 전방 속도 240 ㎜/s)을 제공한다.
시험 견본 특성의 특성 평가를 위해 다음의 방법을 이용했다.
유동성은 ISO 11443 (용융 점도)에 따라 측정했다.
용접 강도 anF는 양 측면 상에서 사출 성형된 80×10×4 ㎜ 크기의 시험 바 상에서 ISO 179/1eU에 따라 측정했다.
노치 충격 강도 aK는 한 측면 상에서 사출 성형된 80×10×4 ㎜ 크기의 시험 바 상에서 ISO 180/1A에 따라 측정했다.
열 변형 온도는 한 측면 상에서 사출 성형된 80×10×4 ㎜ 크기의 시험 바 상에서 DIN ISO 306 (비캣(Vicat) 연화점, 50 N 적재량 및 120 K/h의 가열 속도를 이용한 방법 B)에 따라 측정했다.
용융 유동성 (MVR)은 5 ㎏의 플런저 적재량을 가지고 240℃의 온도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 부피 유속 (MVR)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연소 특성은 127×12.7×1.0 ㎜ 크기의 바 상에서 UL 94V에 따라 측정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
성분 A
27,5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Figure pct00007
(표준물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에서 GPC에 의해 측정됨)을 갖는 비스페놀 A 기재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B1
그라프트 중합체가 대략 15%의 유리 가용성 SAN을 함유하는, 57 중량% (ABS 중합체 기준)의 특정 가교 폴리부타디엔 고무 (평균 입자 직경 d50 = 0.35 ㎛)의 존재 하에, 27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73 중량%의 스티렌의 혼합물 43 중량% (ABS 중합체 기준)를 유화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ABS 중합체. 겔 함량은 72%이다.
성분 B2
벌크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130,000 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GPC에 의해 측정됨)을 갖는 77 중량%의 스티렌 및 23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성분 C
비스페놀 A 기재 올리고포스페이트
Figure pct00008
성분 D
D1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CFP 6000 N, 듀폰
D2 : 윤활제/이형제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D3 : 포스파이트 안정화제, 이르가녹스® B900 (80% 이르가포스(Irgafos)® 168 및 20% 이르가녹스® 1076의 혼합물; 바스프 아게; 루드빅샤펜 소재 / 이르가포스® 168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 이르가녹스® 1076 (2,6-디-tert-부틸-4-(옥타데칸옥시카르보닐에틸)페놀)
Figure pct00009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 특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노치 충격 강도 및 용접 강도, 및 특히 우수한 무-결함 표면의 매우 유리한 특성 조합을 나타내고, 상기 성형 조성물은 본원에서 1.0 ㎜에서 측정된, 얇은 벽 두께 (< 1.5 ㎜)에서도 우수한 내연성을 갖는다.
유리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첨가 또는 존재는 2 중량%의 함량부터 용접 강도 및 노치 충격 강도에서의 상당한 강하에 이르게 하고,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한 밖의 방염제 함량은 내연성, 잔염 시간 또는 유동 특성에 역효과를 미친다.

Claims (15)

  1. A)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65.0 내지 82.0 중량부,
    B)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중합체 4.0 내지 11.0 중량부, 및
    C) 하나 이상의 인-함유 방염제 14.0 내지 24.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내연성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이며,
    여기서 성분 A 내지 C의 중량부의 합이 100 중량부가 되고, 그라프팅 단량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유리 형태로 첨가되고 그라프트 베이스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중합체의 총 함량이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인 내연성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를 5.0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및 성분 C)를 15.0 내지 2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를 5.0 내지 9.0 중량부의 함량으로, 및 성분 C)를 15.0 내지 18.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B.1) 하기 B.2) 상의,
    B.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핵 상에서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50 내지 95 중량부, 및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C1-C8-알킬 아크릴레이트,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C1-C4-알킬 또는 페닐에 의해 N-치환된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 5 내지 50 중량부
    의 혼합물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부, 및
    B.2) 고무-함유 그라프트 베이스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부
    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베이스 B.2의 고무로서 디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인-함유 방염제 (D)가 하기 화학식 V의 방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화학식 V>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알킬, 또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 C6 내지 C20-아릴 또는 C7 내지 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이는 각 경우에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로민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q는 0.80 내지 5.00을 나타내고,
    X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방향족 라디칼, 또는 2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이는 OH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8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7. 제1항에 있어서, 방염제에서 X가 페닐, 비페닐렌 및 비스페닐이소프로필리덴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성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팅 단량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유리 형태로 첨가되고 그라프트 베이스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중합체의 총 함량이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1.5 중량% 미만인 성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방염 상승작용제, 점적방지제, 윤활제 및 이형제, 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및 염료, 안료, 충전제 및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 D)가 0.05 내지 15.0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성분 D)가 하나 이상의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을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성분 D)가 하나 이상의 이형제를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0.3 내지 0.8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성분 D)가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를 전체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0.06 내지 0.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고, 안정화제가 입체 장애 페놀 및 포스파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4.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제1항에 따른 성형 조성물의 용도.
  15. 제1항에 따른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20127030597A 2010-04-23 2011-04-20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 KR101820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8234.6 2010-04-23
DE201010018234 DE102010018234A1 (de) 2010-04-23 2010-04-23 Leichtfließende Polycarbonat/ABS-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nd guter Oberfläche
PCT/EP2011/056346 WO2011131727A1 (de) 2010-04-23 2011-04-20 LEICHTFLIEßENDE POLYCARBONAT/ABS-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UND GUTER OBERFLÄ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736A true KR20130052736A (ko) 2013-05-23
KR101820180B1 KR101820180B1 (ko) 2018-01-18

Family

ID=4416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597A KR101820180B1 (ko) 2010-04-23 2011-04-20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383709B2 (ko)
EP (1) EP2561015B1 (ko)
JP (1) JP2013525534A (ko)
KR (1) KR101820180B1 (ko)
CN (1) CN103168070B (ko)
BR (1) BR112012027086A2 (ko)
CA (1) CA2796943A1 (ko)
DE (1) DE102010018234A1 (ko)
ES (1) ES2567718T3 (ko)
MX (1) MX2012012273A (ko)
TW (1) TWI519596B (ko)
WO (1) WO20111317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550A (ko) * 2012-04-23 2015-01-14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따뜻하고 다습한 조건 하에서의 저장 후 개선된 표면을 갖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화 중합체
KR20180026441A (ko) * 2015-07-06 2018-03-12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열 변형점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을 갖는 갈바니 응용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1388A1 (de) * 2010-09-24 2012-03-29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Batteriegehäuse auf Polycarbonatbasis II
KR20160073389A (ko) * 2013-10-18 2016-06-24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폴리우레탄 층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9908324B1 (en) 2017-02-27 2018-03-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with overlapping printheads
WO2019197270A1 (en) * 2018-04-09 2019-10-17 Covestro Deutschland Ag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good mechanical properties
CN113801451B (zh) * 2020-06-12 2023-07-14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pc/abs复合材料及其制品
KR20220056953A (ko) * 2020-10-29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금 부착력 및 광 투과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CN114539755A (zh) * 2022-02-25 2022-05-27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3967A (en) 1942-12-24 1946-02-05 Du Pont Process for polymerizing tetrafluoroethylene
DE1495626B1 (de) 1960-03-30 1971-06-09 Bay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estern
US3419634A (en) 1966-01-03 1968-12-31 Gen Electric Organopolysiloxane 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DE1694173A1 (de) 1967-07-22 1971-06-09 Hoechst Ag Thermoplastische Polyesterformmassen
US3838092A (en) 1971-04-21 1974-09-24 Kewanee Oil Co Dustless compositions containing fiberous polytetrafluoroethylene
US3671487A (en) 1971-05-05 1972-06-20 Gen Electric Glass reinforced polyester resins containing polytetrafluoroethylene and flame retardant additives
US3723373A (en) 1971-10-04 1973-03-27 American Cyanamid Co 0.1% to about 2.0% by weight polytetrafluoroethylene emulsio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improved processing characteristics
DE2232877B2 (de) 1972-07-05 1980-04-10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US3919353A (en) 1972-08-03 1975-11-11 Montedison Spa Impact resistant polyesters comprising a crosslinked rubbery polymer
JPS5292295A (en) 1976-01-29 1977-08-03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IT1116721B (it) 1976-04-02 1986-02-10 Allied Chem Copolimero bisfenolo a tereftalato carbonato lavorabili in massa fusa
DE2842005A1 (de) 1978-09-27 1980-04-10 Bayer Ag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S5594930A (en) 1979-01-10 1980-07-18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by improved bulk polymerization process
DE2940024A1 (de) 1979-10-03 1981-04-16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007934A1 (de) 1980-03-01 1981-09-17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carbo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334782A1 (de) 1983-04-19 1984-10-2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diorganosiloxanen mit hydroxyaryloxy-endgruppen
DE3631540A1 (de) 1986-09-17 1988-03-24 Bayer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alterungsbestaendigkeit und guter tieftemperaturzaehigkeit
DE3631539A1 (de) 1986-09-17 1988-03-24 Bayer Ag Alterungsbestaend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guter zaehigkeit
DE3704655A1 (de) 1987-02-14 1988-08-25 Bayer Ag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DE3704657A1 (de) 1987-02-14 1988-08-25 Bayer Ag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NL8802346A (nl) 1988-09-22 1990-04-17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met aromatisch polycarbonaat, styreen bevattend copolymeer en/of entpolymeer en een vlamvertragend middel, daaruit gevormde voorwerpen.
DE4328656A1 (de) 1993-08-26 1995-03-02 Bayer Ag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JPH07278318A (ja) 1994-04-08 1995-10-24 Asahi Chem Ind Co Ltd 難燃性cd−rom帰属部品
DE4434965A1 (de) 1994-09-30 1996-04-04 Bayer Ag Polycarbonat-Formmassen mit verbesserter Zähigkeit
WO1996027600A1 (fr) * 1995-03-07 1996-09-1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TW360681B (en) 1995-06-07 1999-06-11 Gen Electric Phosphate flame retardant polymers
TW386099B (en) 1995-07-26 2000-04-01 Gen Electric Flame resistant compositions of polycarbonate and monovinylidene aromatic compounds
DE19721628A1 (de) 1997-05-23 1998-11-26 Bayer Ag Flammwidrige hochwärmeformbeständige Polycarbonat-Formmassen mit hoher Fließnahtfestigkeit
DE19734659A1 (de) 1997-08-11 1999-02-18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DE19828536A1 (de) 1998-06-26 1999-12-30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DE19914139A1 (de) 1999-03-27 2000-09-28 Bayer Ag Flammwidrig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Formmassen
DE19941821A1 (de) 1999-09-02 2001-03-08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ABS-Blends
EP1956047A4 (en) * 2005-11-28 2009-12-23 Mitsubishi Eng Plastics Corp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BJECT MADE OF IT
DE102005058836A1 (de) * 2005-12-09 2007-06-14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Formmassen
US8168707B2 (en) * 2008-01-15 2012-05-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oldable polyester compositions, processe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550A (ko) * 2012-04-23 2015-01-14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따뜻하고 다습한 조건 하에서의 저장 후 개선된 표면을 갖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화 중합체
KR20180026441A (ko) * 2015-07-06 2018-03-12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열 변형점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을 갖는 갈바니 응용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25534A (ja) 2013-06-20
ES2567718T3 (es) 2016-04-26
TWI519596B (zh) 2016-02-01
US20110263766A1 (en) 2011-10-27
DE102010018234A1 (de) 2012-03-29
TW201200559A (en) 2012-01-01
MX2012012273A (es) 2012-11-16
CN103168070A (zh) 2013-06-19
CN103168070B (zh) 2014-10-29
KR101820180B1 (ko) 2018-01-18
CA2796943A1 (en) 2011-10-27
BR112012027086A2 (pt) 2016-07-26
EP2561015B1 (de) 2016-03-02
WO2011131727A1 (de) 2011-10-27
US8383709B2 (en) 2013-02-26
EP2561015A1 (de)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585B1 (ko) 난연성의 내열성 폴리카르보네이트 abs 성형 조성물
US8822576B2 (en) Flame-retardant PC/ABS compositions having good impact strength, flow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KR101820180B1 (ko)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을 갖는 유동이 용이한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화합물
TWI626274B (zh) 阻燃性聚碳酸酯模塑組成物v
US7790805B2 (en) Impact-modified blends
CN108779324B (zh) 具有改进的耐水解性的聚碳酸酯组合物
CA2894430A1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molding materials ii
KR102136908B1 (ko)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iv
US7319116B2 (en) Flame-resistant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 modified with a graft polymer
KR20010034107A (ko) 폴리카르보네이트-abs 성형 조성물
US8901216B2 (en) Impact-modified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elongation at break
TWI644956B (zh) 阻燃性聚碳酸酯模塑組成物iii
KR102135991B1 (ko)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i
CN111492011A (zh) 聚碳酸酯组合物及由其制备的模制品
KR100580990B1 (ko) 내화성 열안정성 폴리카르보네이트 abs 성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