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132A -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132A
KR20130051132A KR1020110116310A KR20110116310A KR20130051132A KR 20130051132 A KR20130051132 A KR 20130051132A KR 1020110116310 A KR1020110116310 A KR 1020110116310A KR 20110116310 A KR20110116310 A KR 20110116310A KR 20130051132 A KR20130051132 A KR 2013005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information
unit
drive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116B1 (ko
Inventor
송현식
이백행
신동현
정진범
김병훈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1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60L2240/642Slope of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8Traffic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 차량 속도에 따라 입력되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사용 패턴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전자별로 기록하는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ESTIMATING AVAILABLE DRIVING DISTANCE OF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 등을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고갈과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자동차 개발의 요구와, 이차전지시스템의 급격한 발전 속도에 따라 전기자동차 양산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내연기관에서 운전자는 계기판의 연료 탱크에 남은 연료의 양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예측하는 것과 유사하게,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또한 배터리의 잔존용량(State of Charge: SOC)을 바탕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게이지 눈금 혹은 퍼센트(%)로 표시되는 것 뿐 아니라, 앞으로의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며, 현재 이러한 요구에 따라 트립 컴퓨터 등이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10-2002-0003764호(이하, '선행문헌') 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부하의 사용률을 검출하는 사용 부하율 검출부와; 자동차의 평균 차속에 따른 주행 가능거리를 계산하는 평균차속/거리 계산부와; 수개의 메인 밧데리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충전량을 계산해 내는 메인 밧데리 충전량 계산부와; 상기 메인 밧데리 충전량 계산부에서 출력되는 SOC값과 사용 부하율 검출부로 부터 출력되는 사용 부하율 및 평균차속/거리 계산부로 부터 출력되는 현재 평균차속 대비 주행거리를 입력받아 소정의 수식을 통해 주행가능거리를 환산하여 VFD에 숫자로 표시해 주는 트립 컴퓨터; 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시스템들의 대부분은 평균주행 거리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함으로써, 정확한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BMS를 통해 입력된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 가속 및 감속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운행 정보 등을 바탕으로 정확한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운전자별로 시트의 배치상태를 입력받아 설정하며, 입력되는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운전자를 판별함으로써,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손쉽게 계산하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 차량 속도에 따라 입력되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사용 패턴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전자별로 기록하는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운전자 판별부가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된 경우, 상기 운전자 판별부가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시트의 배치상태에 따른 운전자를 판별하는 단계; (c)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가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d)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가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와,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에 기록되어 있는 운전자 중, 상기 운전자 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e) 운행 정보 생성부가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f)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가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판단결과,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가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BMS를 통해 입력된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 가속 및 감속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운행 정보 등을 바탕으로 정확한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 정보 생성부 즉,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사용될 경우,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등의 정보와,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주행 가능 여부, 장거리 여행 시의 충전 횟수 등을 가늠케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S)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출력부(100), 운전자 판별부(200),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500), 운행 정보 생성부(600),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 및 보정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 입출력부(100)는 조작신호를 포함한 운전자의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산출 및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한 주행 가능 거리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입출력부(100)는 키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포함된 장치일 수도 있으며, 입력부와 출력부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운전자 판별부(200)는 운전자별로 시트의 배치상태를 입력받아 설정하며, 입력되는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운전자를 판별한다.
이때, 운전자 판별부(200)는 IMS(Intelligent Memory Seat)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이전 마지막 탑승 운전자로 판별한다.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는 배터리의 잔존용량(State of Charge:SOC)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잔존용량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으로부터 입력된 잔존용량(State of Charge:SOC)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SOH(State of Health)가 될 수도 있다.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는 차량 속도에 따라 입력되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사용 패턴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전자별로 기록한다.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500)는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와,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에 기록되어 있는 운전자 중,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를 통해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한다.
운행 정보 생성부(600)는 GPS, 고도센서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지는 전자지도 장치로서, GPS 신호를 기반으로 고도를 포함한 현재 위치좌표를 전자지도를 통해 생성하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운행 정보 생성부(600)는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등의 정보와,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판단결과,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한다.
한편,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속도와 전장 부하 사용량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실시간으로 추정한다.
보정부(800)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보정부(800)는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300)를 통해 급가속 및 급정거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하거나,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도로의 급경사 및 급강하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할 경우, 보정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한다. 이때, 보정부(800)는 급격한 주행거리 보정이 필요한 경우, 운전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점진적으로 보정하도록 한다.
한편, 보정부(800)는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만을 이용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시스템(S)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에 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판별부(200)는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제S1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된 경우, 운전자 판별부(200)는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시트의 배치상태에 따른 운전자를 판별한다(S20).
또한,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는 배터리의 잔존용량(State of Charge:SOC) 정보를 산출하며(S30),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500)는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와,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에 기록되어 있는 운전자 중,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를 통해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한다(S40).
운행 정보 생성부(600)는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등의 정보와,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S50).
뒤이어,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제S60 단계의 판단결과,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한다(S70).
뒤이어, 보정부(800)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한다(S80).
즉, 보정부(800)는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300)를 통해 급가속 및 급정거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하거나,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도로의 급경사 및 급강하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할 경우, 보정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한다.
한편, 제S10 단계의 판단결과,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 판별부(200)는 이전 마지막 탑승 운전자로 판별하고, 제S3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90).
그리고, 제S60 단계의 판단결과,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는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속도와 전장 부하 사용량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실시간으로 추정한다(S100).
이후, 보정부(800)는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300)를 통해 급가속 및 급정거 등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할 경우, 보정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주행 패턴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한다(S11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100: 신호 입출력부 200: 운전자 판별부
300: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 400: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
500: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 600: 운행 정보 생성부
700: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 800: 보정부

Claims (11)

  1.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
    차량 속도에 따라 입력되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사용 패턴에 따른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운전자별로 기록하는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600);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신호를 포함한 운전자의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산출 및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한 주행 가능 거리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 입출력부(1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자별로 시트의 배치상태를 입력받아 설정하며, 입력되는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운전자를 판별하는 운전자 판별부(200); 및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와,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에 기록되어 있는 운전자 중,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를 통해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하는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는,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이전 마지막 탑승 운전자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좌표를 전자지도를 통해 생성하고,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GPS, 고도센서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지는 전자지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하는 보정부(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800)는,
    상기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300)를 통해 급가속 및 급정거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하거나,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도로의 급경사 및 급강하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할 경우, 보정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8.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에 있어서,
    (a) 운전자 판별부(200)가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된 경우,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가 변경신호를 바탕으로 시트의 배치상태에 따른 운전자를 판별하는 단계;
    (c)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d) 기본 주행가능거리 계산부(500)가 상기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와,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에 기록되어 있는 운전자 중,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를 통해 판별된 운전자에 대한 주행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주행가능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e) 운행 정보 생성부(600)가 현재 운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고도, 경사도, 지도상의 거리, 차량의 평균속도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f)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가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한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판단결과, 목적지 지정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행 가능 거리 추정부(700)가 잔존용량 정보 산출부(300)를 통해 산출된 잔존용량 정보,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생성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h) 보정부(800)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상기 보정부(800)가 주행 패턴 정보 생성부(300)를 통해 급가속 및 급정거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하거나, 상기 운행 정보 생성부(400)를 통해 도로의 급경사 및 급강하에 대한 정보가 소정횟수 이상 발생할 경우, 보정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러한 주행 패턴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가능 거리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시트의 배치상태 변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i) 상기 운전자 판별부(200)가 이전 마지막 탑승 운전자로 판별하고, 상기 (c)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방법.
KR1020110116310A 2011-11-09 2011-11-09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310A KR101270116B1 (ko) 2011-11-09 2011-11-09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310A KR101270116B1 (ko) 2011-11-09 2011-11-09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132A true KR20130051132A (ko) 2013-05-20
KR101270116B1 KR101270116B1 (ko) 2013-05-31

Family

ID=4866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310A KR101270116B1 (ko) 2011-11-09 2011-11-09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1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9802B2 (en) 2014-10-28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data related to vehicle range estimation
CN107664505A (zh) * 2016-07-29 2018-02-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设置导航路径时计算dte的系统和方法
US9969340B2 (en) 2016-08-23 2018-05-1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dually displaying distance to empty of autonomous vehicle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CN109532556A (zh) * 2018-10-19 2019-03-29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续航里程的获取方法及系统
KR20200028116A (ko) 2018-09-06 2020-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가능 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95300A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잔여 주행거리 산출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통합제어 방법
KR102423870B1 (ko) * 2021-03-24 2022-07-21 전재흥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여행 코디네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46B1 (ko) 2018-10-24 2024-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49B1 (ko) * 1997-12-24 2000-05-15 정몽규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거리 표시장치
JP5017398B2 (ja) * 2010-03-09 2012-09-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経路計画装置及び経路計画システム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9802B2 (en) 2014-10-28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data related to vehicle range estimation
CN107664505A (zh) * 2016-07-29 2018-02-0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设置导航路径时计算dte的系统和方法
KR20180013259A (ko) * 2016-07-29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의 경로 설정 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방법
US10168169B2 (en) 2016-07-29 2019-01-0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DTE when setting path of navigation
CN107664505B (zh) * 2016-07-29 2021-11-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设置导航路径时计算dte的系统和方法
US9969340B2 (en) 2016-08-23 2018-05-1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dually displaying distance to empty of autonomous vehicle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28116A (ko) 2018-09-06 2020-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가능 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710598B2 (en) 2018-09-06 2020-07-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ance to empty
CN109532556A (zh) * 2018-10-19 2019-03-29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续航里程的获取方法及系统
CN109532556B (zh) * 2018-10-19 2020-07-03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续航里程的获取方法及系统
KR20220095300A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잔여 주행거리 산출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모터 통합제어 방법
KR102423870B1 (ko) * 2021-03-24 2022-07-21 전재흥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여행 코디네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116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116B1 (ko)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70340B (zh) 一种车辆剩余行驶里程的获取方法、电子设备及车辆
CN107000761B (zh) 用于车辆经济性改进的设备及方法
JP6512230B2 (ja) 電池システムおよび推定システム
US87988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to empty of electric vehicle
JP5875682B2 (ja) 走行パターン評価装置及び走行パターン評価方法
WO2012035667A1 (ja) 走行距離推定装置、走行距離推定方法、走行距離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205805B2 (ja) 車両の目的地到達推定装置
US8560216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guidance to a vehicle based on vehicle characteristics
CN105539446A (zh) 用于预测续航里程的方法和装置
JP6028781B2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CN105571602A (zh) 用于选择路径的方法和装置
CN112534625A (zh) 诊断装置、诊断方法及程序
US11975732B2 (en) In-vehicl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program, and calculation device
JP4890659B1 (ja) 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装置、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方法、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0667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21018096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based on estimated weight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926872B1 (ko) 전기자동차의 잔존주행거리 추정방법
JP4932057B2 (ja) 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装置、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方法、エネルギー消費量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90002986A (ko)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를 위한 주행 부하 대응 제어 방법
JP5387152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CN116729396A (zh) 续航里程的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52965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량 결정 방법
CN113910982A (zh) 电动汽车的出行充电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JP6122935B2 (ja) 推定装置、推定方法、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