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479A - 연료전지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479A
KR20130050479A KR1020110115562A KR20110115562A KR20130050479A KR 20130050479 A KR20130050479 A KR 20130050479A KR 1020110115562 A KR1020110115562 A KR 1020110115562A KR 20110115562 A KR20110115562 A KR 20110115562A KR 20130050479 A KR20130050479 A KR 2013005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inner pipe
isolation space
fuel cell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정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원 filed Critical 정강원
Priority to KR102011011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479A/ko
Publication of KR2013005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2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c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격리 공간(140)을 포함하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소음기{MUFFLER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구동원으로 기계류에 부착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계류는 연료전지를 구동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계, 원동기계, 차량을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전지는 애노드극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와 캐소드극에 공급되는 산화 가스가 전해질막에서 발전 반응하면서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수분은 발전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연료 가스 및 산화 가스와 함께 배기계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가스는 500-2000Hz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기류음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기류음을 제거하기 위해 소음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이너 파이프와 아웃 파이프 사이에 유리 섬유가 충전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너 파이프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유리 섬유로 배기가스 및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리 섬유에는 내부에 다량의 불균일한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공간에 배기가스의 고주파 입력파가 전달되면, 다량의 불균일한 공간에서 주파수 손실이 발생하여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연료전지의 발전 반응 시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발전 반응시 생성된 수분이 많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수분이 소음기 내에 구비된 유리 섬유를 젖게 하여 흡음 효과를 저하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소음기의 정상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며, 응축수가 소음기 내에 장시간 남게 될 경우 부식이 발생하여 소음기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장착되어 소음기 내부의 수분이 쉽게 배출되면서도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110)와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상기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격리 공간(140)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상기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110)와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상기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제 1 격리 공간(140a)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상기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며, 상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흡음부(150)의 각 사이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의 하부에 수분 배출부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 수분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측 파이프 상부측에 구비된 격리 공간을 통해 흡음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기의 흡음 효과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격리 공간의 격벽 및 격리 공간과 흡음부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마련하고, 흡음부를 복수 개로 분리시키는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며, 분리되는 부분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천공면의 증가로 인한 흡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료전지용 소음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료전지용 소음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내측 파이프(110), 외측 파이프(120), 수분 배출부(130), 격리 공간(140), 흡음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내측 파이프(110)로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격리 공간(140)을 포함하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에는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주에 돌출되도록 수분 배출부(130)가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는 연결구(131)가 구비되어 수분 저장소(132)와 연결되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연결구(131)를 통해 수분 저장소(132)에 흘러 내려갈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은 도시 생략된 수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수분 배출구는 수분 배출부(1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내측 파이프(110)의 상부 외주에는 격리 공간(14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격리 공간(140)은 내측 천공(111)을 통해 내측 파이프(110)와 연결되어 수분이 흡음부(15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천공면으로 인한 단면적의 증가로 흡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천공(111)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에 격리 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하부측 외주와 격리 공간(140)의 외주에는 외측 파이프(120)의 내주로 흡음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음부(150)는 흡음 효과를 갖는 흡음재(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가 충진될 수 있고, 격리 공간(140)과의 격벽(150a)은 복수의 천공이 마련되어 있어 천공을 통해 배기가스 소음이 흡음부(150)로 전달됨으로써, 정상적인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수의 천공면으로 인한 단면적의 증가로 흡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용 소음기의 하부에 수분 배출부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 수분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측 파이프 상부측에 구비된 격리 공간을 통해 흡음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기의 흡음 효과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격리 공간의 격벽 및 격리 공간과 흡음부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마련함으로써, 천공면의 증가로 인한 흡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부가 복수 개 구비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내측 파이프(110), 외측 파이프(120), 수분 배출부(130), 격리 공간(140),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분 배출부(130)와 격리 공간(14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격리 공간(140)을 포함하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하부측 외주와 격리 공간(140)의 외주에는 외측 파이프(120)의 내주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는 흡음 효과를 갖는 흡음재(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흡음부(151a), 제 2 흡음부(151b), 제 3 흡음부(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흡음부(151a)와 격리 공간(140)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격벽(152a)은 복수의 천공이 마련되어 있어 천공을 통해 배기가스 소음이 제 1 흡음부(151a)로 전달됨으로써, 정상적인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수의 천공면으로 인한 단면적의 증가로 흡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격리 공간(140) 및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에는 제 2 흡음부(151b)와 제 3 흡음부(151c)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흡음부(151b)와 제 3 흡음부(151c)는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격리 공간(140)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2 흡음부(151b)의 사이에는 제 2 격벽(152b)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3 흡음부(151c)의 사이에는 제 3 격벽(152c)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 2 격벽(152b) 및 제 3 격벽(152c)은 각각 제 1 흡음부(151a)와 인접하는 부분에만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격리 공간(140)으로 전달되는 수분이 제 2 흡음부(151b) 및 제 3 흡음부(151c)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료전지용 소음기의 하부에 수분 배출부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 수분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측 파이프 상부측에 구비된 격리 공간을 통해 흡음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기의 흡음 효과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격리 공간의 격벽 및 격리 공간과 흡음부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마련하고, 흡음부를 복수 개로 분리시키는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함으로써, 천공면의 증가로 인한 흡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부가 복수 개 구비되고 격리 공간이 복수 개 구비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내측 파이프(110), 외측 파이프(120), 수분 배출부(130), 복수의 격리 공간(140a, 140b, 140c),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분 배출부(13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제 1 격리 공간(140a)을 포함하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흡음부(150)의 각 사이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하부측 외주와 제 1 격리 공간(140a)의 외주에는 외측 파이프(120)의 내주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는 흡음 효과를 갖는 흡음재(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흡음부(151a), 제 2 흡음부(151b), 제 3 흡음부(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흡음부(151a)와 제 1 격리 공간(140a)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1-1 격벽(152a/1)은 복수의 천공이 마련되어 있어 천공을 통해 배기가스 소음이 제 1 흡음부(151a)로 전달됨으로써, 정상적인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수의 천공면으로 인한 단면적의 증가로 흡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격리 공간(140) 및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에는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은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격리 공간(140a)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2 격리 공간(140b)의 사이에는 제 1-2 격벽(152a/2)이 구비되고, 제 1 격리 공간(140a)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3 격리 공간(140c)의 사이에는 제 1-3 격벽(152a/3)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 1-2 격벽(152a/2) 및 제 1-3 격벽(152a/3)은 각각 제 1 흡음부(151a)와 인접하는 부분에만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격리 공간(140a)으로 전달되는 수분이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2 격리 공간(140b)과 제 2 흡음부(151b)의 사이에는 제 2 격벽(152b)이 구비될 수 있고, 제 3 격리 공간(140c)과 제 3 흡음부(151c)의 사이에는 제 3 격벽(152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격벽(152b) 및 제 3 격벽(152c)은 각각 복수의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이 구비됨으로써, 제 1흡음부(151a)에 수분이 전달(흡수)될 경우에도 제 2 흡음부(151b) 및 제 3 흡음부(151c)에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고, 그 격벽들(152a/2, 152a/3, 152b, 152c)에 구비된 다수의 천공면으로 인해 흡음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용 소음기의 하부에 수분 배출부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 수분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측 파이프 상부측에 구비된 격리 공간을 통해 흡음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기의 흡음 효과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격리 공간의 격벽 및 격리 공간과 흡음부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마련하고, 흡음부를 복수 개로 분리시키는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며, 분리되는 부분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천공면의 증가로 인한 흡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흡음부가 복수 개 구비되고 격리 공간이 복수 개 구비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음기는 내측 파이프(110), 외측 파이프(120), 수분 배출부(130), 복수의 격리 공간(140a, 140b, 140c),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151d, 15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분 배출부(13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즉,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제 1 격리 공간(140a)을 포함하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흡음부(150)의 각 사이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하부측 외주와 제 1 격리 공간(140a)의 외주에는 외측 파이프(120)의 내주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151d, 151e)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151d, 151e)는 흡음 효과를 갖는 흡음재(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151d, 151e)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흡음부(151a), 제 2 흡음부(151b), 제 3 흡음부(151c), 제 4 흡음부(151d), 제 5 흡음부(151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흡음부(151a)와 제 1 격리 공간(140a)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1-1 격벽(152a/1)은 복수의 천공이 마련되어 있어 천공을 통해 배기가스 소음이 제 1 흡음부(151a)로 전달됨으로써, 정상적인 흡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수의 천공면으로 인한 단면적의 증가로 흡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격리 공간(140) 및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에는 제 2 흡음부(151b) 및 제 5 흡음부(151e)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 2 흡음부(151b) 및 제 5 흡음부(151e)는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격리 공간(140a)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2 흡음부(151b)의 사이에는 제 1-2 격벽(152a/2)이 구비되고, 제 1 격리 공간(140a) 및 제 1 흡음부(151a)와 제 5 흡음부(151e)의 사이에는 제 1-3 격벽(152a/3)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 1-2 격벽(152a/2) 및 제 1-3 격벽(152a/3)은 각각 제 1 흡음부(151a)와 인접하는 부분에만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격리 공간(140a)으로 전달되는 수분이 제 2 흡음부(151b) 및 제 5 흡음부(151e)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2 흡음부(151b) 및 제 5 흡음부(151e)의 외측에는 각각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은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흡음부(151b)와 제 2 격리 공간(140b)의 사이에는 제 2 격벽(152b)이 구비될 수 있고, 제 5 격벽(152e)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격벽(152b) 및 제 5 격벽(152e)은 각각 복수의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격리 공간(140b)의 인접하는 외측에는 제 3 흡음부(151c)가 구비되고, 제 3 격리 공간(140c)의 인접하는 외측에는 제 4 흡음부(151d)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격리 공간(140b)과 제 3 흡음부(151c)의 사이에는 제 3 격벽(152c)이 구비될 수 있고, 제 3 격리 공간(140c)과 제 4 흡음부(151c)의 사이에는 제 4 격벽(152d)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격벽(152c) 및 제 4 격벽(152d)은 각각 복수의 천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흡음부(151a, 151b, 151c, 151d, 151e) 사이에 제 1 격리 공간(140a), 제 2 격리 공간(140b) 및 제 3 격리 공간(140c)이 구비됨으로써, 제 1 흡음부(151a)에 수분이 전달(흡수)될 경우에도 제 2 흡음부(151b), 제 3 흡음부(151c), 제 4 흡음부(151d) 및 제 5 흡음부(151e)에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고, 그 격벽들(152a/2, 152a/3, 152b, 152c, 152d, 152e)에 구비된 다수의 천공면으로 인해 흡음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용 소음기의 하부에 수분 배출부를 구비하여 배기가스 내 수분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측 파이프 상부측에 구비된 격리 공간을 통해 흡음부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기의 흡음 효과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파이프와 격리 공간의 격벽 및 격리 공간과 흡음부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마련하고, 흡음부를 복수 개로 분리시키는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며, 분리되는 부분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천공면의 증가로 인한 흡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내측 파이프 120 : 외측 파이프
130 : 수분 배출부 140 : 격리 공간
150 : 흡음부

Claims (9)

  1.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110)와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상기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격리 공간(140)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상기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50)는, 분리시키는 각각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격벽 중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격벽에는, 상기 흡음부의 외측으로 인접하는 부분에만 상기 복수의 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5. 내측 파이프(110)와 외측 파이프(12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하단부와 연결구(13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수분 저장소(132)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구(131)를 통해 흘러 내려오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3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의 가로 직경선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만 구비되며 상기 내측 파이프(110)와 상기 외측 파이프(120)의 사이에 충진된 흡음부(150)와 상기 내측 파이프(110)를 이격시켜 상기 내측 파이프(110)로부터의 수분 전달을 차단하는 제 1 격리 공간(140a)을 포함하며,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상기 내측 파이프(110)에는 내측 천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격리 공간(140) 및 흡음부(150)의 사이에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격벽(150a)이 구비되며,
    상기 흡음부(150)는 복수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흡음부(150)의 각 사이에 별도의 격리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50)는, 상기 별도의 격리 공간을 통해 분리시키는 각각의 격벽에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150)는, 상기 제 1 격리 공간(140a)과 그 상부에 구비된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으로 다른 흡음부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격리 공간은, 상기 제 1 격리 공간(140a)과 그 상부에 구비된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으로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격벽 중 상기 격리 공간(140)에 인접하는 격벽에는, 상기 제 1 흡음부(151a)의 외측으로 인접하는 부분에만 상기 복수의 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음기.
KR1020110115562A 2011-11-08 2011-11-08 연료전지용 소음기 KR20130050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62A KR20130050479A (ko) 2011-11-08 2011-11-08 연료전지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62A KR20130050479A (ko) 2011-11-08 2011-11-08 연료전지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79A true KR20130050479A (ko) 2013-05-16

Family

ID=4866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562A KR20130050479A (ko) 2011-11-08 2011-11-08 연료전지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4854B2 (ja) 燃料電池用消音器
KR101306818B1 (ko) 연료전지용 배기소음기
WO2013078927A1 (zh) 一种消音器
JP618468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ノイズを低減するための消音器
JP201314337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内で、気液分離機能を提供するハイブリッド消音器
JP2011204574A (ja) 電池パック
KR20130050479A (ko) 연료전지용 소음기
KR101537120B1 (ko) 복합형 배기가스 소음기
KR100728137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CN111979705B (zh) 消声器及衣物处理装置
CN214504988U (zh) 一种填充不锈钢丝排汽消声器
JP2008151413A (ja) ダクト部品
CN204991124U (zh) 一种低噪音消声器
JP2005216751A (ja) 消音器
CN103280214B (zh) 一种混合动力车辆消音器
JP2007324014A (ja) 燃料電池の排出ガス処理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6744B1 (ko) 선박 기관용 소음기
KR101829253B1 (ko) 머플러의 구조
CN104088692A (zh) 一种消声器组件
CN109639033A (zh) 一种低噪音矢量电机
CN105201592A (zh) 一种汽车排气消声器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CN203867675U (zh) 一种消声器组件
JP2006120455A (ja) 燃料電池用マフラ
JP2015206314A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