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950A -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950A
KR20130049950A KR1020110115022A KR20110115022A KR20130049950A KR 20130049950 A KR20130049950 A KR 20130049950A KR 1020110115022 A KR1020110115022 A KR 1020110115022A KR 20110115022 A KR20110115022 A KR 20110115022A KR 20130049950 A KR20130049950 A KR 2013004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storage
humidity
artificial
artificial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223B1 (ko
Inventor
최정희
정문철
김동만
이호준
김병삼
서정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2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7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을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저장하는 생강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온항습저장고 내에서 대량으로 생강을 저장할 때에 적재 위치나 생강의 외부 노출에 따른 생강의 표면건조를 방지할 수 있고,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생강의 입출고 작업시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급작스런 변화에 대하여 완충작용 및 생강 표면 상처부위의 코르크 층을 두껍게 하여 생강의 짓무름 발생율 및 곰팡이 발생율을 낮추고, 표면경도를 높게 유지하여 생강의 저장기간을 1년 가까이 연장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Storage method for ginger using artificial soil}
본 발명은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가습하면서 저장하는 생강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이집트, 이라크 등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유사 이전부터 재배되어 온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근경으로, 특유의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향신료 중의 하나이다.
생강의 재배지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인도, 중국,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호주, 일본, 필리핀 등의 아열대 지역이며, 이중 인도가 전체 생산량의 1/2정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강생산은 충남 서산, 당진지역이 최대 주산지이고, 그 다음은 전북 완주, 익산지역이다.
생강의 재배작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4월 초에 정식하고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수확하는 형태가 주된 작형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생강 저장방법은 생강을 흙이 묻어 있는 채로 수확하여 줄기를 절단한 후 즉시 항온 및 항습이 잘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는 토굴 속에서 저장하고 있다.
토굴저장방법은 생강을 산물로 적재한 채 흙이나 비닐로 덮어서 생강의 습도를 조절하면서 장기간 저장하게 되고, 토굴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은 경험적으로 대개 13 ℃, 상대습도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토굴저장방법에서는 저장초기에 호흡작용이 왕성한 생강의 호흡열을 발산할 수 없기 때문에 품온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아가 상당히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토굴저장조건이 상당한 과습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확 시 줄기절단 작업이나 입고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손상 부위의 연약한 조직으로 토양미생물이 침입하여 부패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은 실정이어서 기존 토굴 저장시 저장 5개월 동안 부패율이 10 내지 50 %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토굴저장방법은 동절기의 저온장해를 받지 않기 위하여 토굴을 밀폐시킨 후 다음해 봄에 거의 전량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체계적인 생강의 관리방법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성의 예측이 불가하여 계통출하 및 출하조절이 불가능하다. 더불어 토굴의 구조는 토굴붕괴를 우려하여 입구 폭이 1m 정도, 깊이가 5 내지 8 m로 매우 깊기 때문에 입출고 작업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거나 과도한 노동력이 집중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입출고 작업시 운반과정에서 생강 조직의 손상에 의한 부패율의 촉진우려가 상당히 존재하며 특히 저장중 생강의 부패가스에 의한 가스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도 매년 1~2명씩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국내 생강 산지에서는 기존의 토굴저장을 대체할 수 있는 저장시설 및 생강 저장방법의 개선 또는 생강 저장기술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국특허 제0449006호로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단열 저장고, 단열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벽, 단열 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습도조절벽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팬, 습도조절벽 내부인 보습실의 과잉 수분을 보습실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생강 저장고 내부를 항상 고습도 상태로 유지하여 생강의 보관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생강 저장고에 대하여 특허받은 바 있다. 그러나 위 생강 저장고는 플라스틱 콘테이너 박스에 생강을 저장하고, 그 박스를 여러층 적재하여 생강을 저장하는 것으로, 박스 상부의 표면에 노출된 생강과 박스 속의 생강과 온도 및 습도의 편차가 존재할 수 있고, 특히 대량의 박스가 저장고 내에 적재될 경우 외부로 노출된 박스의 생강과 내부에 적재된 박스의 생강의 온도 및 습도의 편차, 특히 습도의 편차가 심해져서, 생강 표면이 건조해지거나 저장고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1866호의 경우 채취된 생강을 생강 저장봉지에 넣고 밀봉하는 단계; 상기 생강 저장봉지의 일 측에 지름이 3 mm 내지 10 mm 크기의 구멍을 뚫는 단계; 상기 생강 저장봉지를 기울여, 상기 구멍을 뚫은 일 측이 상기 생강 봉지의 타 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저장부에 기울여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부의 온도를 10 내지 15℃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강을 장기간 저장하는 생강 저장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생강을 저장봉지에 담아 구멍을 뚫더라도 90% 이상의 습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고, 따라서 생강의 표면이 건조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곰팡이에 의한 부패가 발생하기 쉽고, 생강을 저장봉지에 저장하므로 생강 저장에 넓은 면적의 창고가 필요하거나 또는 별도의 선반이 적재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가습하면서 저장함으로써, 항온항습저장고 내에서 대량으로 생강을 저장할 때에 적재 위치나 생강의 외부 노출에 따른 생강의 표면건조를 방지할 수 있고,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생강의 입출고 작업시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급작스런 변화에 대하여 완충작용 및 생강 표면 상처부위의 코르크 층을 두껍게 하여 생강의 짓무름 발생율 및 곰팡이 발생율을 낮추고, 표면경도를 높게 유지하여 생강의 저장기간을 1년 가까이 연장할 수 있게 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온항습저장고 내에서 생강의 짓무름 발생율 및 곰팡이 발생율을 낮추고, 표면경도를 높게 유지하여 생강의 저장기간을 1년 가까이 연장할 수 있는 생강의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강의 저장방법은,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가습하면서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인공토의 공극률은 3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상기 인공토의 평균입자크기는 3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인공토는 질석, 부석, 진주암 및 난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암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난석은 흙 또는 암석을 포함하는 난석 원료 조성물을 소성하여 기공을 팽창시켜 제조한 인공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하는 과정은 생강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인공토를 포장용기에 추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하는 과정은 생강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미리 흡수시킨 인공토를 포장용기에 추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인공토에 흡수시킨 물에는 항균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혼합물을 포장용기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항온항습저장고의 저장온도는 12 내지 14 ℃이고, 상대습도는 92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생강을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와 혼합한 후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저장하기 전,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은, 채취한 생강을 개구되어 통풍이 가능한 포장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포장용기에 인공토를 첨가하여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포장용기에 담긴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를 마친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은, 채취한 생강과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생강과 인공토의 혼합물을 개구되어 통풍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담는 단계; 상기 포장상자에 담긴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를 마친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 상기 인공토에 흡수시킨 물에는 항균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은, 항온항습저장고 내에서 대량으로 생강을 가습하면서 저장할 때에 적재 위치나 생강의 외부 노출에 따른 생강의 표면건조를 방지할 수 있고,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생강의 입출고 작업시 발생하는 온도 및 습도의 급작스런 변화에 대하여 완충역할을 하여 생강의 짓무름 발생율 및 곰팡이 발생율을 낮추고, 표면경도를 높게 유지하여 생강의 저장기간을 1년 가까이 연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a는 항온항습저장고 외부의 모습이고, 도 1b는 항온온항습저장고의 실험을 진행중인 내부의 모습이다.
도 2a는 실시예 1에서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한 후 전처리를 마친 상태의 포장상자에 담긴 채로 항온항습저장고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고, 도 2b는 실시예 2에서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한 후 전처리를 마친 상태의 포장상자에 담긴 채로 항온항습저장고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다.
도 3a는 비교예 1에서 생강을 전처리 없이 마대자루에 담아 항온항습저장고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고, 도 3b는 비교예 2에서 생강을 전처리한 후 마대자루에 담아 항온항습저장고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고, 도 3c는 비교예 3에서 생강을 전처리한 후 인공토와 혼합하지 않고 포장상자에 담아 항온항습저장고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고, 도 3d는 생강을 전처리한 후 마대에 담아 토굴에 보관중인 상태의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생강을 전처리한 후의 중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생강을 전처리한 후의 호흡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시예 1, 도 6b는 실시예 2, 도 6c는 비교예 1, 도 6d는 비교예 2, 그리고 도 6e는 비교예 3의 생강의 코르크층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하여 그 두께를 측정한 사진이다.
생강은 보통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수확하여 흙이 묻은 상태에서 저장을 하는데, 토굴이 아닌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저장할 경우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가습하면서 저장한다.
생강의 저장온도는 1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 ℃로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발아되고,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저온 장해에 의해 부패되어 짓무름이 발생한다.
생강의 저장습도는 상대습도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2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 %로서,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생강의 표면이 건조되어 곰팡이가 다량 발생하고 생강의 조직감이 약해져 상품성이 소실된다. 또한 항온항습저장고의 상대습도가 100 %를 초과하면 과량의 수분이 생강 표면에 침투되어 생강을 짓무르게 만들어 부패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채취한 생강을 항온항습저장고에 넣어 가습하면서 저장하기 전, 마대나 개구되어 통풍이 가능한 포장상자와 같은 포장용기에 먼저 생강을 넣은 후 그 위 인공토를 들이붓는 과정만으로 입자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인공토가 생강과 생강 사이의 공극에 들어가면서 자연스레 혼합될 수 있고, 미리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한 후 포장용기에 담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생강과 혼합되는 인공토는 미리 수분을 흡수시킨 인공토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미리 물을 인공토에 흡수시키지 않더라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가습하면서 저장되므로, 그 가습 과정에서 인공토가 수분을 흡수하여, 생강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가습하면서 저장함으로써 생강을 수분을 함유한 인공토로 피복되게 함으로써, 항온항습저장고에 생강이 대량으로 적재되었을 때 생강이 보관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온도와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항온항습저장고 내에 저장된 생강 중에서 일부라도 일단 짓무름이나 곰팡이가 발생할 경우 그 확산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므로,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짓무름이나 곰팡이가 처음 발생하는 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것이 저장기간의 연장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또한 인공토는 습도조절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부피에 비하여 가볍기 때문에 많은 생강을 피복하면서도 혼합물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고, 생강의 출고 작업시 생강의 표면에 상처를 남기지 않고 생강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채취한 생강과 인공토의 혼합비율은 생강이 인공토에 충분이 둘러싸일 정도의 양으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인공토 100 중량부에 1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8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중량부 혼합한다.
항온항습저장고에 생강을 보관할 때 포장용기로는 마대 또는 일정크기로 개구되고 통풍이 가능한 포장상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생강을 보통 일정량씩 마대자루에 나누어 담고, 생강이 담긴 마대자루를 적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정크기로 개구되고 통풍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생강을 담고 포장상자를 적재하는 것이 대량적재에 따른 생강의 짓눌림이나 표면 상처를 예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장상자에 넣고 포장상자를 적재하므로, 포장상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유지가 가능해져서, 생강 표면이 건조해지거나 과습환경에 의해 짓무름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강과 혼합하는 인공토는 건조된 것을 사용해도, 항온항습저장고의 내부 습도에 의해 물을 흡수하면서 습도 조절의 완충작용을 하지만,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초기에 함께 혼합된 생강으로부터 수분을 빼앗아 생강의 표면을 건조시킬 가능성을 낮추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공토의 공극률은 3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인 것으로, 공극률이 상기 하한치 미만에서는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양이 적어 습도 변화에 따른 완충능력이 낮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인공토가 부서지기 쉽고, 인공토 공극에서 물이 흘러내린다.
본 발명의 인공토의 평균입자크기는 3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4 ~ 1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m로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입자가 너무 커서 생강의 구석구석까지 고루 인공토가 혼합되기 어렵고,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공극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수분 함유율이 낮다.
본 발명의 인공토는 질석, 부석, 진주암 및 난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암석이다.
질석은 알루미늄 ·마그네슘·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로서, 화산암 계통이 마그마 상태에서 가스가 빠지면서 형성된 무기질 소재로 다공질이어서 흡수력이 좋고 비중 및 질량이 상당히 가벼운 다공성 암석이다.
부석은 마그마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압력이 갑자기 감소한 결과로 마그마 중의 휘발성 성분이 빠져 나가서 수많은 기공이 생긴 것으로 외관상 비중이 작아서 물에 뜰 만큼 가벼운 암석이다.
진주암은 실리카를 많이 함유하는 유문암질 용암의 분출에 의해 생성되는 광물로, 흡수성, 가벼운 중량, 화학적인 불활성, 저밀도, 공극률 및 내화성을 가진다. 주로 고온에서 소성하여 팽창시켜 사용한다.
난석은 난의 재배에 사용하는 굵은 입자의 인공토로서 자체적으로 기공이 많고 경량체이면서, 보수성과 배수성 및 통기성이 양호하다. 난석은 흙 또는 암석, 예를 들어 점토, 규조토 또는 황토 등을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여 볼(ball) 형태로 성형한 후 800 내지 1500 ℃에서 소성하여 기공을 팽창시켜 제조할 수 있다. 난석의 제조에는 사익 질석이나 부석, 진주암 또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다공성 부여를 위해 톱밥, 석탄연소재, 다공성 이산화 규소 또는 이를 함유한 물질을 일부 혼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인공토에는 항균물질이 흡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강의 짓무름이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항균물질로는 식품 또는 농산물의 보존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합성이건 천연이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다습한 환경에서 항균활성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수용성 항균물질이 바람직하고, 인공토에 항균물질을 흡착시키는 것과 물을 흡수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수용성 항균물질을 물에 용해시킨 후 인공토에 흡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방법에서는 채취한 생강을 흙이 묻은 채로 바로 항온항습저장고에서 저장할 수 있으나, 채취한 생강을 미리 저장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전처리하는 것이 채취된 생강의 입출고 작업시 생강의 표면에 상처가 났을 때 상처 부위의 코르크 층 두께 형성을 촉진하고, 생강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호흡속도를 감소시켜 생강의 신선도를 연장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생강의 전처리는 2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8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6 ℃에서, 상대습도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한다. 상기 온도의 하한치 미만에서는 상처부위의 코르크층 형성이 충분치 못하고, 온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대습도의 하한치 미만에서는 표면이 건조되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고, 전처리 기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상처부위의 코르크층 형성이 충분치 못하고, 전처리 기간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생강이 발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온항습저장고는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샌드위치 패널로 제조된 단열 저장고 내부에 두께 15㎝의 황토벽돌로 단열 저장고 안쪽으로 습도조절벽을 상부 및 측면에 설치하여 습도조절벽 안쪽에 생강을 저장할 공간인 보습실을 구비한 것으로 한국식품연구원에 설치된 항온항습저장고를 이용하였다. 도 1a는 항온항습저장고 외부의 모습이고, 도 1b는 항온온항습저장고의 실험을 진행중인 내부의 모습이다.
생강은 서산시 부석면에서 수확한 11월 초에 수확한 것을 사용하였고, 짓무름 발생률 및 곰팡이 발생률을 가혹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수확 직후 생강표면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내어 사용하였다.
난석은 황토 및 톱밥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1000 ℃에서 소성하여 제조한 평균입자크기 8 mm이고, 공극률 50%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난석 4 kg에 채취한 생강 7 kg를 혼합하여 가로, 세로 및 높이가 35 x 50 x 40 cm인 상면이 개구된 플라스틱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상자를 항온항습저장고에 적재한 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를 마친 생강은 항온항습저장고에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채취한 생강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 하였다(도 2a).
실시예 2
항균물질로 소르빈산칼륨 3 중량% 및 중탄산나트륨 3 중량% 용해시킨 물에 난석 4 kg을 3시간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채취한 생강 7 kg를 혼합하여 가로, 세로 및 높이가 35 x 50 x 40 cm인 상면이 개구된 플라스틱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상자를 항온항습저장고에 적재한 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를 마친 생강은 항온항습저장고에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도 2b).
실시예 3
항균물질로 소르빈산칼륨 3 중량% 및 중탄산나트륨 3 중량% 용해시킨 물에 난석 4 kg을 3시간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수확한 생강을 전처리 없이 7 kg를 혼합하여 가로, 세로 및 높이가 35 x 50 x 40 cm인 상면이 개구된 플라스틱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상자를 항온항습저장고에 적재한 후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
비교예 1
채취한 생강을 전처리 없이 마대자루에 7 kg을 담아 항온항습저장고에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도 3a).
비교예 2
채취한 생강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 한 후, 마대자루에 7 kg을 담아 항온항습저장고에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도 3b).
비교예 3
채취한 생강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 한 후, 전처리한 생강 14 kg을 가로, 세로 및 높이가 35 x 50 x 40 cm인 상면이 개구된 플라스틱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상자를 항온항습저장고에 적재한 후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하였다(도 3c).
비교예 4
채취한 생강을 25 ℃, 상대습도 100 %에서 3 일 동안 전처리 한 후, 7 m 깊이의 토굴에 보관하였다(도 3d).
실험예 1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 및 3의 채취한 생강을 3일 동안 전처리하면서 중량의 변화, 전처리 3일 수행 후의 호흡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은 대조군으로 전처리를 하지 않고, 항온항습저장고에 13 ℃, 상대습도 95 %에서 보관했을 때의 중량의 변화와 호흡량, 코르크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중량의 변화는 전처리 전의 평균 중량을 100 %으로 했을 때 상대적인 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전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중량의 변화가 없었고, 비교예 2 및 3에서는 전처리에 의해 중량의 증가율은 0.6 내지 0.8 % 정도 였다. 그러나 인공토와 혼합하여 전처리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각각 2.9 % 및 3.1 % 중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흡량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전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호흡량은 1.38 CO2 mL kg-1 hr-1이었으나, 전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 및 3은 인공토의 혼합여부에 관계없이 0.69 내지 0.74 CO2 mL kg-1 hr-1로서 전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코르크층의 두께는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각각의 코르크 층 확대사진을 도 6a 내지 도 6e에 나타내었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1(도 6c)에 비하여 전처리를 한 비교예 2(도 6d) 및 비교예 3(도 6e)에서는 코르크 층의 두께가 각각 55%와 31% 증가하였으나, 인공토와 혼합하여 전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1(도 6a) 및 실시예 2(도 6b)의 코르크 층의 두께 증가율은 각각 281% 및 296%로 현저히 증가하여 비교예 1의 3배에 달함을 알 수 있다. 코르크 층의 두께 증가는 생강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것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생강을 보관하면서 짓무름 발생율을 표 1에, 곰팡이 발생율을 표 2에, 발아율을 표 3에, 그리고 표면 경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짓무름 발생률, 곰팡이 발생율 및 발아율은 포장용기 내에 적재된 생강 전체 무게에 대한 짓무른 생강, 곰팡이 발생 생강 및 발아된 생강의 무게를 백분율로 각각 나타내었고, 표면 경도는 texturometer로 측정하였다.
보관기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확직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전처리후 0.00 0.00 - - 0.00 0.00 -
1개월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개월 0.00 0.00 0.00 1.35 0.00 0.00 0.00
3개월 0.00 0.00 0.00 2.06 0.95 0.84 12.06
4개월 0.00 0.00 1.77 2.15 1.75 1.24 13.24
5개월 1.64 0.00 2.03 6.52 4.59 3.69 13.04
6개월 2.38 0.94 2.45 10.45 6.94 6.22 23.72
7개월 3.77 2.70 3.57 15.89 15.20 12.56 35.97
보관기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확직후 0 0 0 0 0 0 0
전처리후 0 0 - - 0 0 -
1개월 0 0 0 0 0 0 0
2개월 0 0 0 0 0 0 0
3개월 0 0 0 0.57 0 0 0
4개월 0 0 0 0.96 0 0 5.60
5개월 0 0 0 3.11 1.34 1.45 13.74
6개월 0 0 0 5.30 4.77 2.58 25.64
7개월 0 0 0 10.33 8.94 5.09 32.17
보관기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확직후 0.0 0.0 0.0 0.0 0.0 0.0 0.0
전처리후 0.0 0.0 - - 0.0 0.0 -
1개월 0.0 0.0 0.0 0.0 0.0 0.0 0.0
2개월 0.0 0.0 0.0 0.0 0.0 0.0 0.0
3개월 0.0 0.0 0.0 0.0 0.0 0.0 5.2
4개월 0.0 0.0 0.0 0.0 0.0 0.0 10.6
5개월 0.0 0.0 0.0 0.0 0.0 0.0 32.6
6개월 0.0 0.0 0.0 0.0 0.0 0.0 69.8
7개월 0.0 0.0 0.0 4.5 5.9 5.4 81.2
보관기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수확직후 2.13 2.13 2.13 2.13 2.13 2.13 2.13
전처리후 1.96 2.05 - - 2.07 2.07 -
1개월 2.25 2.15 2.16 2.15 2.20 2.21 2.01
2개월 2.28 2.21 2.24 2.05 2.26 2.21 1.82
3개월 2.29 2.26 2.22 1.96 2.10 2.24 1.66
4개월 2.32 2.25 2.24 1.82 2.13 2.32 1.59
5개월 2.17 2.26 2.27 1.86 2.25 2.24 1.52
6개월 2.11 2.16 2.15 1.72 2.06 2.35 1.40
7개월 2.40 2.33 2.11 1.65 2.13 2.25 1.16

Claims (14)

  1.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가습하면서 저장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의 공극률은 3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의 평균입자크기는 3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는 질석, 부석, 진주암 및 난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암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석은 흙 또는 암석을 포함하는 난석 원료 조성물을 소성하여 기공을 팽창시켜 제조한 인공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하는 과정은 생강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인공토를 포장용기에 추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하는 과정은 생강을 포장용기에 넣은 후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를 포장용기에 추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에 흡수시킨 물에는 항균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을 인공토와 혼합한 후 혼합물을 포장용기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항온항습저장고의 저장온도는 12 내지 14 ℃이고, 상대습도는 92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을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와 혼합한 후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으로 저장하기 전,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12. 채취한 생강을 개구되어 통풍이 가능한 포장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포장용기에 인공토를 첨가하여 생강과 인공토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포장용기에 담긴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를 마친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13. 채취한 생강과 미리 물을 흡수시킨 인공토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생강과 인공토의 혼합물을 개구되어 통풍이 가능한 포장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포장용기에 담긴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20 내지 30 ℃, 상대습도 90 % 이상에서 2 내지 3일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를 마친 인공토와 생강의 혼합물을 항온항습저장고에서 10 내지 15 ℃에서 상대습도 90% 이상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에 흡수시킨 물에는 항균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KR1020110115022A 2011-11-07 2011-11-07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KR10130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22A KR101304223B1 (ko) 2011-11-07 2011-11-07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022A KR101304223B1 (ko) 2011-11-07 2011-11-07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950A true KR20130049950A (ko) 2013-05-15
KR101304223B1 KR101304223B1 (ko) 2013-09-05

Family

ID=4866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022A KR101304223B1 (ko) 2011-11-07 2011-11-07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116B1 (ko) 2014-02-19 2016-01-04 한국식품연구원 건식 열처리를 이용한 엽채류의 저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995A (ko) * 1988-03-11 1989-10-21 민병욱 근채류 및 특수 농산물 저장물질과 방법
KR20020064820A (ko) * 2001-02-03 2002-08-10 강선철 오존가스를 이용한 채소류의 저장방법
KR20100071866A (ko) * 2008-12-19 2010-06-29 (주)보광산업푸드 생강 저장 방법
KR100979255B1 (ko) 2010-05-04 2010-09-01 씨지 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신선 식품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223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2011050485U1 (de) Dämmelement
CN108249956B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砌块的制作方法
CN102822429A (zh) 用于将建筑的内侧与外侧分开的墙
KR101304223B1 (ko) 인공토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
CN108424061B (zh) 一种建筑节能材料及其制备工艺
US20170175394A1 (en) Plant growth media
CN106718271A (zh) 一种多肉植物营养土配方及其栽培方法
CN208857158U (zh) 一种用于大体积薄壁高强度混凝土的保温保湿养护毯
CN103708136A (zh) 一种流动式储青装置
CN108373281A (zh) 一种防渗透气砂的制造方法
JP2009057811A (ja) 屋上保冷に最適な保水・保冷・断熱用パネル
US20040224144A1 (en) Humidity control with solid support
KR20160038323A (ko) 탄소저감제를 포함하는 인공지반 녹화용 인공토 구조
CN205794702U (zh) 一种复合式减震果蔬保鲜垫
KR101444914B1 (ko) 양액재배용 배양토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0716A (ko)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CN111296083A (zh) 一种防霉变的粮食储存方法
KR101890547B1 (ko) 농업용 보온덮개
JP2007077660A (ja) 珪藻頁岩を含有する外壁材、敷設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建物、並びに、珪藻頁岩を含有するとともに内部に機能物質を保持させた機能固形物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2611575B1 (ko) 생수태 재배용 배지
KR100315525B1 (ko) 인공토양
CN102758553A (zh) 一种燕麦仓储装置及方法
JP2866664B2 (ja) 農産物の鮮度保持方法
CN201221214Y (zh) 聚氨酯硬泡作为内贴层的粮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