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716A -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00716A KR20030000716A KR1020010036794A KR20010036794A KR20030000716A KR 20030000716 A KR20030000716 A KR 20030000716A KR 1020010036794 A KR1020010036794 A KR 1020010036794A KR 20010036794 A KR20010036794 A KR 20010036794A KR 20030000716 A KR20030000716 A KR 20030000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ger
- storage
- humidity
- humidity control
- control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토굴을 이용한 생강 저장고가 아닌 지상에 설치한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는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단열 저장고, 단열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벽, 단열 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습도조절벽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팬, 습도조절벽 내부인 보습실의 과잉 수분을 보습실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생강 저장고 내부를 항상 고습도 상태로 유지하여 생강의 보관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의 보관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토굴을 이용한 생강 저장고가 아닌 지상에 설치한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은 열대성 작물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생강은 10℃ 이하의 온도에서는 저온장해 현상이 발생하고 15℃ 이상에서는 생강이 발아하는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90% 이하의 습도조건 하에서는 표면이 건조되어 곰팡이가 다량 발생하고 생강의 조직감이 약해져서 상품성을 소실하게 된다. 따라서 생강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의 유지가 필수적인데, 특히 습도를 90% 이상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는 저장고 내부를 항상 고습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저장고 내부에 습도조절벽을 설치하여 생강의 보관에 적절한 습도를 공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근경으로 이집트, 이라크 등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유사 이전부터 재배되어 오고 있으며, 특유의 향기와 맛을 지니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향신료 중의 하나이다.
생강의 재배지역은 우리 나라를 비롯한 인도, 중국,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호주, 일본, 필리핀 등의 아열대 지역이며, 이중 인도가 전체 생산량의 1/2정도 차지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생강은 충남 서산지역과 전북 익산지역이 최대 주산지로서 1997년 기준으로 재배면적 3,625ha에서 총 생산량 32,700천톤, 재배면적 10ha당 소득액이 2,822천원, ㎏당 도매시장 가격이 3,820원으로 재배면적과 생산 농가수에 비하면 매우 수익성이 높은 고소득 작물이다.
국내 생강의 재배작형은 4월 초순에 정식하고 11월 초순에 수확하는 형태가 주된 재배 작형이며, 생강은 15℃ 이상의 온도에서는 발아와 위조현상에 의하여 상품성을 소실하며 10℃ 이하의 외기 온도에서는 저온장해를 발생하여 부패가 촉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11월 초순의 초겨울 날씨에 수확되는 국내 생강은 수확 직후 지하 5∼8m 깊이의 토굴속에 전량 저장하고 있는데, 특히 동절기의 저온장해를 받지 않기 위하여 토굴을 밀폐시킨 후 다음해 봄에 거의 전량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체계적인 생강의 관리방법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성의 예측이 불가하여 계통출하 및 출하조절이 불가능하다. 더불어 토굴의 구조는 토굴붕괴를 우려하여 입구 폭이 1m 정도, 깊이가 5∼8m로 매우 깊기 때문에 입·출고시 추락사고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거나 과도한 노동력이 집중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입출고 작업시 운반과정에서 생강 조직의 손상에 의한 부패율의 촉진우려가 상당히 존재하며 특히 저장중 생강의 부패가스에 의한 가스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도 매년 1∼2명씩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국내 생강 산지에서는 기존의 토굴저장을 대체할 수 있는 저장시설 및 생강 저장방법의 개선 또는 생강 저장기술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는 실정이나, 지금까지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국내외 관련 기술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단열 저장고, 단열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벽, 단열 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 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가습파이프, 습도조절벽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팬, 습도조절벽으로부터 배출된 과잉 수분을 보습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바닥구조를 포함한 생강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저장고 내부를 항상 고습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적절한 생강 보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의 바닥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 및 종래의 생강 저장고에 생강 저장시 생강 중량 감소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 및 종래의 생강 저장고에 생강 저장시 생강 부패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 및 종래의 생강 저장고에 생강 저장시 생강 경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저장고 11 : 습도조절벽
12 : 보습실 13,13' : 가습파이프
15 : 보습실 출입문 16 : 저장고 출입문
17 : 온도조절팬 18 : 생강 보관용기
21 : 바닥면 22 : 자갈층
23 : 흙 또는 모래층 24 : 나무판
25 : 배수관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생강 저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본 발명의 저장고는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단열 저장고(10), 단열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벽(11), 습도조절벽으로 구분된 보습실 내의 가습파이프(13'), 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팬(17) 또는 단열저장고의 단열판에 부착된 온도조절팬(17), 단열 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13)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생강 저장고 외부에는 상기 가습파이프를 통해 가습공기를 분무할 수 있는 수원(水原)으로서 물탱크가 존재하나 도면에서는 이를 생략하였으며, 한편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 규모가 적은 경우 상기에서 가습파이프(13)(13') 대신 가습기를 사용하여 가습공기를 보습실 또는 습도조절벽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열저장고는 특별한 것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창고 제작에 사용하는 자재에 단열재를 도포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의 단열 저장고 내부에는 가습파이프(13)로부터 나오는 가습공기를 흡수한 후 과잉의 가습공기를 생강 보관용기(18)가 있는 보습실(12) 내부로 배출하여 보습실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의 습도조절벽(11)이 있고, 습도조절벽 내부 보습실 안에는 최초로 생강을 보습실 내부에 입고하기전이나 또는 입고초기에 보습실을 사전가습하여 보습실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의 가습파이프(1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온도조절팬(17)은 히트 펌프(heat pump)를 내장하고 있으며, 온도조절팬는 단열저장고(10)와 습도조절벽(11)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보습실(12) 내부에 설치하여 보습실의 내부의 공기 흐름을 억제함으로써 생강의 저장 중 증산작용에 의한 중량감소나 위조현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 온도조절팬의 역할은 보습실 내부의 온도를 생강의 보관에 적절한 10∼15℃로 유지하는 것이다.
습도조절벽으로 구분된 보습실(12)에는 보습실 출입문(15)을 설치하여 단열 저장고의 출입문(16) 개폐에 따른 보습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또한 보습실에는 다수의 생강 보관용기(18)를 구비하여 생강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생강 보관용기는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생강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습도조절벽은 과습한 환경에서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습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뛰어난 보습력을 지니고 있는 황토씨트, 황토벽돌 또는 목재와 같이 보습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하여 보습실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은 생강을 저장하는 보습실(12) 바닥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습실 바닥의 최저부는 콘크리트, 벽돌 또는 시멘트로 바닥면(21)을 구비하고 바닥면 상부에 자갈층(22)을 배치하고, 자갈층 위를 모래 또는 흙(23)으로 덮은 다음나무판(24)을 깔아 보습실 내에 흙과 나무에 의한 조습작용을 이용하는 한편 보습실 바닥의 최저부 일측에는 배수관(25)이 구비되어 과잉의 수분이 습도조절벽 및 바닥면을 통하여 배수관(25)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는 생강 이외에도 고구마, 채소류, 배추, 무우, 양파와 같이 습도가 높은 곳에서 보관해야 하는 농산물을 넣어 생강 이외의 농산물 보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를 이용하여 생강을 보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생강을 보습실 내부에 입고하기 전이나 또는 입고초기에 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가습파이프(13')를 이용하여 보습실 내부를 생강 보관에 적절한 상대습도로 조절한 후 가습공기의 공급을 중단한다.
보습실 내부의 사전 가습이 끝난 후 생강을 생강 보관용기에 넣어 보습실에 이들을 보관하면서 단열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13)를 통해 가습공기를 습도조절벽에 분무하여 습도조절벽 내에 함유된 과잉의 수분이 보습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보습실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보습실 내의 온도조절은 온도조절팬을 이용한다. 즉 히트 펌프를 내장한 온도조절팬은 보습실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가 15℃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면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콘트롤러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온도조절팬을 작동시켜 보습실 내부의 공기를 보습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저장고 외부의차가운 공기를 보습실 내로 유입시켜 공기의 순환에 의해 보습실의 온도를 조절하여 발아와 위조현상에 의한 생강의 상품성 소실을 억제한다.
반대로 보습실 내부의 온도센서가 10℃ 이하로 온도를 감지하면 콘트롤러에 현재 저온이라는 신호를 보내로 이러한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는 온도조절팬에 내장된 히트 펌프를 작동시켜 뜨거운 공기를 보습실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보습실의 온도를 10∼15℃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비교예,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로서,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샌드위치 패널로 제조된 단열 저장고(10) 내부에 두께 15㎝의 황토벽돌로 단열 저장고 안쪽으로 습도조절벽(11)을 상부 및 측면에 설치하여 습도조절벽 안쪽에 생강을 저장할 공간인 보습실(12)을 구비하고 보습실 내부로 플라스틱 콘테이너 박스(내용량 15㎏)의 생강 보관용기(18)에 생강을 보관하였다.
생강을 보습실 내부에 보관하기 전 습도조절벽 내부에 구비된 가습파이프(13')를 이용하여 보습실에 사전 가습을 실시한 후 생강 보관에 적절한 습도가 되면 사전가습을 중단하고 보습실 내부의 생강 보관용기에 생강을 보관한다.
생강을 보관용기에 넣은 다음 단열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13)를 이용하여 습도조절벽에 가습공기를 분무함으로써 보습실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온도조절팬(17)을 이용하여 보습실의 온도를 10∼15℃으로 유지하였다.
<비교예>
생강의 지상 저장고에서 습도조절벽의 저장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대조구로서 종래 생강을 저장하는 방법인 지하 5m의 토굴 내부에 생강을 저장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강 중량감소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저장한 생강의 품질측정 항목으로서 중량감소율의 변화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에서처럼 비교예의 토굴저장고에 생강을 저장하는 재래식 방법에서는 저장 기간이 최대 150일 동안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장 중의 중량감소율도 저장 90일의 3.6%에서 저장 150일 후 약 11.3%로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습도조절벽을 이용한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에서 생강을 저장한 경우는 270일 동안 저장 1개월의 -0.6%의 중량감소율에서 저장 240일의 -0.8%로 저장기간 동안 중량이 오히려 증가하거나 초기의 중량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저장기간도 270일 동안으로 재래식인 저장방법보다 약 2배 가까이 연장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강 부패율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저장한 생강의 품질측정 항목으로서 생강 부패율의 변화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생강의 부패에는 곰팡이에 의한 부패와 세균성 미생물에 의한 짓무름 현상이 대표적이다. 도 4(b)에서처럼 재래식인 방법으로 생강을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60일경부터 곰팡이에 의한 부패현상과 세균성 부패균에 의한 짓무름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저장 150일 째에 전체 저장량의 약 75%가 부패된 반면 습도조절벽을 설치한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에서는 저장고 내부의 상대습도가 100% 가까이 유지되는 관계로 곰팡이의 생육은 거의 미약하였으나 세균성 부패균에 의한 짓무름 현상이 저장 240일 째에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생강의 저장방법은 수확직후 동절기의 저온장해를 받지 않기 위하여 수확 직후 어떠한 처리도 없이 전량 토굴저장되는 데, 토굴의 구조적 특성상 입고과정에서 많은 상처부위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상처부위는 생강의 표면에 부착되어 되어 있는 토양미생물의 주요 침입경로가 되기 쉽다. 또한 생강저장 중 곰팡이 의한 부패율은 발아율의 진행경향과 같이 한번 발생하기 시작하면 전구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저장관리가 신중하여야 한다. 특히 생강의 부패율은 저장환경의 상대습도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재래식 방법에서 곰팡이의 발생이 우세하였던 것은 토굴내부의 상대습도가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으며 개발방법에서는 인위적인 상대습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곰팡이의 생육조건을 초과하는 습도범위에서 생강을 저장하기 때문에 부패율이 억제된 것으로 이해된다.
<시험예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강 경도의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저장한 생강의 품질측정 항목으로서 생강 경도의 변화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c)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생강은 수확 초기에는 조직이 단단하며 탄력이 좋으나 기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 감소와 함께 경도와 탄성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토굴저장하는 재래식 방법에서는 생강의 저장 중 경도변화가 초기치 1148g에서 저장 150일 후 884g으로 급속히 저하하고 있는 반면 습도조절벽을 설치한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에서는 초기치 1356.1g/㎠의 표면 경도에서 저장 60일까지 1212.9g/㎠ 감소하다가 이후부터는 1200g/㎠ 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일정한 수준으로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강 발아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저장한 생강의 품질측정 항목으로서 생강 발아율의 변화를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재래식 방법에서는 저장 60일 경부터 발아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저장 120일경 발아율이 약 70%로서 거의 모든 생강에서 발아되는 현상이 발생한 반면 본 발명의 습도조절벽을 이용한 생강 저장고에서는 저장 180일 까지 발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생강의 발아현상은 주로 온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통 18℃ 이상에서는 발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결과에서는 15℃ 이상의 온도에서도발생우려가 높았다. 생강의 토굴저장 중 발아율이 높게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저장관리가 자연적인 환경에 의존하는 현실적 특성으로 인하여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15℃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거나 또는 동절기가 지난 후 토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는 3∼4월에 집중 발생할 위험이 많이 존재한다. 특히 생강에서 발아가 진행되기 시작하면 전구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표 1.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저장방법에 따른 생강 발아율의 변화
저장기간(일) | |||||||||
0 | 30 | 60 | 90 | 120 | 150 | 180 | 210 | 240 | |
비교예 | 0.0 | 0.0 | 10.0 | 30.0 | 70.0 | 80.0 | - | - | - |
실시예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5.8 | 12.3 |
본 발명의 생강 저장고를 이용하여 생강을 저장하면 저장기간을 기존 토굴저장고의 5개월 보다 2배 정도 연장하는 효과가 있으며, 부패율도 저장 10개월 동안 10% 대로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고 내에 배치된 황토의 우수한 습도 조절능력으로 인하여 생강의 표면건조나 중량손실 등을 발생시키는 증산작용이 억제되고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선도유지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토굴저장과 달리 동절기에도 항상 저장관리가 용이하여 가스 질식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하 조절이 상시 가능하여 일반 농산물과 같이 계통출하 및 물류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 가열 및 냉각기능을 겸비한 단열 저장고,단열 저장고 내부에 설치된 습도조절벽,단열 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습도조절벽 내부에 설치된 가습파이프,습도조절벽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조절팬,보습실의 과잉 수분을 보습실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습도조절벽은 황토씨트, 황토벽돌 또는 목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가습파이프 대신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보습실의 바닥구조는 바닥구조의 최저부에 콘크리트, 벽돌또는 시멘트로 설치되는 바닥면,바닥면 상부에 위치한 자갈층,자갈층 상부의 모래 또는 흙 층,모래 또는 흙 층의 상부에 설치한 나무판 층상기 바닥면 일측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 저장고
- 특허청구범위 제 1항의 생강 저장고 보습실 내부에 생강을 입고하기 전이나 또는 입고초기에 보습실 내부를 사전 가습하여 보습실 내부의 습도를 조정하는 단계와,사전 가습이 끝난 후 단열저장고와 습도조절벽 사이에 설치된 가습파이프를 이용하여 가습공기를 습도조절벽에 분무함으로써 습도조절벽 내에 함유된 과잉의 수분이 보습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보습실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강과 물방울의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가습파이프 대신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의 저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6794A KR100449006B1 (ko) | 2001-06-26 | 2001-06-26 |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6794A KR100449006B1 (ko) | 2001-06-26 | 2001-06-26 |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0716A true KR20030000716A (ko) | 2003-01-06 |
KR100449006B1 KR100449006B1 (ko) | 2004-09-18 |
Family
ID=2771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6794A KR100449006B1 (ko) | 2001-06-26 | 2001-06-26 |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49006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6546B1 (ko) * | 2002-03-13 | 2004-09-01 | 권오혁 | 황토를 이용한 곳간 |
KR100666914B1 (ko) * | 2005-05-23 | 2007-01-10 | 임병찬 | 곡물 저장고 |
KR100713843B1 (ko) * | 2004-10-19 | 2007-05-04 | 주식회사 시스텍쳐 | 건축물 벽면용 단열 패널 |
KR100737466B1 (ko) * | 2005-10-20 | 2007-07-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변 스티어링 랙 시스템 |
CN102349400A (zh) * | 2011-09-05 | 2012-02-15 | 山东省农业科学院蔬菜研究所 | 耐低温生姜储藏窖 |
CN103975707A (zh) * | 2014-04-11 | 2014-08-13 | 浙江省嘉兴市农业科学研究院(所) | 一种生姜种姜越冬贮藏的方法 |
CN109264288A (zh) * | 2018-11-02 | 2019-01-25 |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井下硐室的炮泥贮存室 |
CN112314691A (zh) * | 2020-10-28 | 2021-02-05 | 重庆文理学院 | 一种智能化种姜储藏装置及控制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52717A (zh) * | 2019-06-21 | 2019-10-22 | 湖南省蔬菜研究所 | 一种生姜姜种越冬储藏与催芽方法 |
-
2001
- 2001-06-26 KR KR10-2001-0036794A patent/KR1004490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6546B1 (ko) * | 2002-03-13 | 2004-09-01 | 권오혁 | 황토를 이용한 곳간 |
KR100713843B1 (ko) * | 2004-10-19 | 2007-05-04 | 주식회사 시스텍쳐 | 건축물 벽면용 단열 패널 |
KR100666914B1 (ko) * | 2005-05-23 | 2007-01-10 | 임병찬 | 곡물 저장고 |
KR100737466B1 (ko) * | 2005-10-20 | 2007-07-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변 스티어링 랙 시스템 |
CN102349400A (zh) * | 2011-09-05 | 2012-02-15 | 山东省农业科学院蔬菜研究所 | 耐低温生姜储藏窖 |
CN103975707A (zh) * | 2014-04-11 | 2014-08-13 | 浙江省嘉兴市农业科学研究院(所) | 一种生姜种姜越冬贮藏的方法 |
CN109264288A (zh) * | 2018-11-02 | 2019-01-25 |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井下硐室的炮泥贮存室 |
CN109264288B (zh) * | 2018-11-02 | 2024-03-22 |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井下硐室的炮泥贮存室 |
CN112314691A (zh) * | 2020-10-28 | 2021-02-05 | 重庆文理学院 | 一种智能化种姜储藏装置及控制方法 |
CN112314691B (zh) * | 2020-10-28 | 2024-05-24 | 重庆文理学院 | 一种智能化种姜储藏装置及控制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49006B1 (ko) | 2004-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nley et al. | CO2 enrichment increases water‐use efficiency in sorghum | |
Manderscheid et al. | Drought stress effects on wheat are mitigated by atmospheric CO 2 enrichment | |
KR100449006B1 (ko) |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 |
Adams et al. | The effect of periods of high temperature and manipulating fruit load on the pattern of tomato yields | |
Carvalho et al. | Soil moisture in forage cactus plantations with improvement practices for their resilience | |
Akpenpuun et al. | Effect of glazing configuration as an energy-saving strategy in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s for strawberry (Seolhyang sp.) cultivation | |
Kaur et al. | Storage structures for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
Douglas et al. |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edium size charcoal cooler installed in the field for temporary storage of horticultural produce | |
Bethke | Postharvest storage and physiology. | |
Akinro et al. | Crop Water Productivity of Plantain (Musa Sp) in a Humid Tropical Environment. | |
Konopacki et al. | Comparison of vapour pressure deficit patterns during cucumber cultivation in a traditional high PE tunnel greenhouse and a tunnel greenhouse equipped with a heat accumulator | |
CN109618679A (zh) | 一种延长保存期限的红薯保鲜贮藏方法 | |
Wierenga et al. | Yield and quality of trickle-irrigated chile peppers | |
Patel et al. | Water use efficiency of wheat under different irrigation regimes using high discharge drip irrigation system | |
Mehta et al. | Non-refrigerated storage of potatoes | |
JP2007061014A (ja) | 除湿機能付温室装置 | |
Babarinsa et al. | Development of a diffuse light store for “seed” potato storage | |
Czerko et al. |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ge of potato | |
Pinkerton | Commercial mushroom growing | |
Fife | Studies of the diapause in the pink bollworm in Puerto Rico | |
Girma et al. | Comparative study of underground pit grain storage system through use of different lining materials | |
Ajayi et al. | A study of weight loss of stored yam (Dioscorea cayenensis) as affected by the ventilation of the storage locations | |
CN107616005A (zh) | 粮食长期清洁保鲜储存技术 | |
Sidorova et al. | Features of the moisture regime of a model sod-podzolic soil when mulching with spruce litter | |
Nayak et al. | Traditional/Conventional Cooling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