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914B1 - 곡물 저장고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914B1
KR100666914B1 KR1020050076475A KR20050076475A KR100666914B1 KR 100666914 B1 KR100666914 B1 KR 100666914B1 KR 1020050076475 A KR1020050076475 A KR 1020050076475A KR 20050076475 A KR20050076475 A KR 20050076475A KR 100666914 B1 KR100666914 B1 KR 10066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torage bin
temperature
side wal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077A (ko
Inventor
임병찬
Original Assignee
임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찬 filed Critical 임병찬
Publication of KR2006012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08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건축물 내부에 저장빈을 두어 저장빈 내벽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빈의 측벽을 낙엽송 재질로 함으로써 좀과 같은 벌레의 번식을 막을 수 있는 곡물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고에 있어서, 외부 건축물과, 상기 외부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외부 건축물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지게 설치된 낙엽송 재질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부에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평평하게 설치된 다공성의 바닥판과, 다공성 관체로서 하단부의 입구가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송풍관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과,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물, 저장빈, 저장고

Description

곡물 저장고{GRAIN STORAGE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저장빈 측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외부 건축물
20 저장빈
21 측벽
22 기둥
23 판넬
25 바닥판
27 송풍관
29 보강빔
30 송풍수단
40 투입수단
50 배출수단
60 교반수단
70 쿨링수단
80 온도감지수단
본 발명은 곡물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건축물 내부에 저장빈을 두어 저장빈 내벽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빈의 측벽을 낙엽송 재질로 함으로써 좀과 같은 벌레의 번식을 막을 수 있는 곡물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벼, 보리 등의 곡물은 일정한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되어 저장빈에서 저장된다. 곡물의 저장은 저장빈에 투입된 고수분 함량의 곡물과 저수분 함량의 곡물을 교반 혼합시키고, 상온의 공기 또는 미약한 공기를 곡물 내부로 송풍하여 곡물을 일정 수분함량까지 건조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장기간 저장된 곡물은 필요시에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저장빈은 철재 또는 콘크리트재 벽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철재나 콘크리트재 벽으로 형성된 종래의 저장빈의 경우에는 벽의 단열성이 떨 어지기 때문에 하절기나 동절기에 저장빈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로 저장빈의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저장빈은 벽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결로의 문제점이 더욱 크다.
뿐만 아니라 철재나 콘크리트재 벽으로 형성된 종래의 저장빈의 경우에는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좀과 같은 해충의 번식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건축물의 내부에 저장빈을 위치시켜 저장빈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이고, 저장빈의 벽을 단열성 재질의 낙엽송으로 구성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엽송에 의해 해충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곡물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고에 있어서, 외부 건축물과, 상기 외부 건축물 내부에서 상기 외부 건축물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지게 설치된 낙엽송 재질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내부에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평평하게 설치된 다공성의 바닥판과, 다공성 관체로서 하단부의 입구가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 송풍관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과,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상기 저장빈의 측벽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기둥과, 이웃하는 상기 기둥 사이에서 양단부 각각이 이웃하는 기둥 각각에 결합된 낙엽송 판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상기 저장빈 측벽의 기둥은 보강빔으로 상기 외부 건축물의 측벽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상기 저장빈의 내부로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과, 상기 저장빈의 내부로부터 곡물을 취출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저장빈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상기 외부 건축물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수단과, 상기 저장빈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의 온도와 상기 외부 건축물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곡물의 온도에 따라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송풍하고, 상기 쿨링수단은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고의 저장빈 측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외부 건축물(10), 저장빈(20), 송풍수단(30), 투입수단(40), 배출수단(50), 교반수단(60), 쿨링수단(70), 및 온도감지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건축물(10)은 바닥(11)에 측벽(12)을 세우고 지붕(13)으로 둘러싸인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저장빈(2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저장빈(20)을 상기 외부 건축물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저장빈(20)의 측벽(21)이나 지붕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저장빈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방지된다. 상기 지붕(13)에는 환기장치(15)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빈(20)은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쌀과 같은 곡물이 저장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빈(20)은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떨어지게 설치된 낙엽송 재질의 측벽(21)과, 상기 측벽(21)의 내부에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으로부터 떨어져 평평하게 설치된 다공성의 바닥판(25)과, 다공성 관체로서 하단부의 입구(27a)가 상기 외부 건축물의 바닥(11)과 상기 바닥판(25)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벽(21)의 내면에 고정된 송풍관(2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은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으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은 두고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이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과 외부 건 축물(10)의 바닥(11) 사이의 공기층과,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과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은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기둥(22)을 설치하고, 이웃하는 기둥(22) 사이를 낙엽송 판넬(23)로 막아 형성된다. 상기 낙엽송 판넬(23)은 그 양단부 각각이 상기 이웃하는 기둥(22)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이웃하는 기둥(2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곡물이 투입되면 저장빈(20)의 측벽(21)에는 상당한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빈(20) 측벽(21))의 기둥(22)은 보강빔(29)으로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에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상기 측벽(21)이 H빔인 기둥(22)의 홈에 낙엽송 판넬(23)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은 지지부재(26)에 지지되어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으로부터 떨어져 평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25)은 상기 송풍수단(30)에 의해 상기 바닥판(25)의 하부로 송풍된 공기가 저장빈(20)의 내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통공(25a)이 형성된 다공성의 판재이다.
상기 저장빈(20)의 송풍관(27)은 상기 바닥판(25)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송풍관(27)은 몸체에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통공(27a) 수개가 형성된 관체로서 상기 바닥판(25)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단부의 입구(27b)가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바닥판(25)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수단(30)은 송풍기(31)와 공기를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덕트(32)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수단(20)에 의해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의 통공(25a)과 상기 송풍관(27)의 통공(27a)를 통하여 저장빈(20)의 내부에 담긴 곡물(1)의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송풍수단(30)은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송풍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수단(40)은 외부에서 상기 저장빈(20)의 내부로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수단(40)은 곡물을 부어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1)와, 상기 투입구(41)로 부어져 투입된 곡물을 저장빈(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 버킷 이송장치(42)와, 상기 체인 버킷 이송장치(42)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곡물을 상기 저장빈(20)의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이프 체인 컨베어(43), 및 상기 파이프 체인 컨베어(43)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이 상기 저장빈(2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빈(20)의 상부에서 상기 파이프 체인 컨베어(43)에 연결된 투입관(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투입관(4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곡물이 저장빈(20)의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상기 저장빈(20)의 상부에는 균분기(4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저장빈의 내부로부터 곡물을 취출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이 배출되도록 개폐되는 게이트(51)가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51)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배출관(53)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 체인 컨베어(52)가 상기 게이트(51)로부터 상기 배출관(53)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저장빈(20)의 바닥판(25)에 남은 곡물을 완전히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는 스위프 오거(54,sweep aug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수단(60)은 상기 저장빈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쿨링수단(70)은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온도감지수단(80)은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의 온도와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풍수단(30)은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쿨링수단(70)은 상기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작동된다.
한편,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빈(20)으로 투입되는 곡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에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수단(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고는 외부 건축물의 내부에 저장빈을 위치시켜 저장빈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이고, 저장빈의 벽을 단열성 재질의 낙엽송으로 구성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엽송에 의해 해충의 번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곡물 저장고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고에 있어서,
    외부 건축물(10)과,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에서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으로부터 떨어지게 설치된 낙엽송 재질의 측벽(21)과, 상기 낙엽송 재질의 측벽(21)의 내부에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으로부터 떨어져 평평하게 설치된 다공성의 바닥판(25)과, 다공성 관체로서 하단부의 입구가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바닥판(25)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낙엽송 재질의 측벽(21)의 내면에 고정된 송풍관(27)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저장빈(20)과,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바닥(11)과 상기 바닥판(2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빈(20)의 측벽(21)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기둥(22)과,
    이웃하는 상기 기둥922) 사이에서 양단부 각각이 이웃하는 기둥(22) 각각에 결합된 낙엽송 판넬(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빈 측벽(21)의 기둥(22)은 보강빔(29)으로 상기 외부 건축물(10)의 측벽(12)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빈(20)의 내부로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40)과,
    상기 저장빈(20)의 내부로부터 곡물을 취출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50)과,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수단(70)과,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의 온도와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곡물의 온도에 따라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송풍하고,
    상기 쿨링수단(70)은 상기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수단(70)과,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의 온도와 상기 외부 건축물(10)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곡물의 온도에 따라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송풍하고,
    상기 쿨링수단(70)은 상기 온도감지수단(80)에 의해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고.
KR1020050076475A 2005-05-23 2005-08-19 곡물 저장고 KR100666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57 2005-05-23
KR20050014457 2005-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077A KR20060121077A (ko) 2006-11-28
KR100666914B1 true KR100666914B1 (ko) 2007-01-10

Family

ID=377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475A KR100666914B1 (ko) 2005-05-23 2005-08-19 곡물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81B1 (ko) * 2007-06-22 2008-06-13 주식회사 두손 평형함수율 표를 이용한 사일로 제습 냉각 제어시스템
CN104620784B (zh) * 2015-02-16 2016-08-24 依长志 一种用于果菜保鲜的恒温窖
CN104996106B (zh) * 2015-08-31 2017-03-29 淄博博大钢板仓有限公司 双层锥底粮仓
CN109168664B (zh) * 2018-09-26 2023-05-09 合肥弘恩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钢板仓内壁防结露装置
KR102241033B1 (ko) * 2019-12-16 2021-04-16 신흥기업 주식회사 곡물 저장시설용 냉각시스템
CN111512798B (zh) * 2020-04-20 2023-10-24 湖州市储备粮管理有限公司 一种仓外制冷控温的粮仓以及控温方法
CN111802455A (zh) * 2020-07-01 2020-10-23 中山莱客咖啡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花梨咖啡豆的储存方法
CN112154787A (zh) * 2020-09-16 2021-01-01 三原远方物流有限公司 一种土豆储存用仓储库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40A (ko) * 1999-02-02 1999-05-25 김용현 누적혼합상온통풍방식을채용한농가용곡물건조저장장치
KR20030000716A (ko) * 2001-06-26 2003-01-06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KR20030086119A (ko) * 2002-05-03 2003-11-07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겨울철 자연 냉기를 이용한 곡물 냉각, 고품질 저장방법및 그 장치
JP2004305146A (ja) 2003-04-09 2004-11-04 Yamamoto Co Ltd 穀物貯蔵タンク
KR200366921Y1 (ko) 2004-07-26 2004-11-10 주식회사 두손 사일로의 이중 타공벽
JP2004350594A (ja) 2003-05-29 2004-12-16 Yamamoto Co Ltd 穀物貯蔵タン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40A (ko) * 1999-02-02 1999-05-25 김용현 누적혼합상온통풍방식을채용한농가용곡물건조저장장치
KR20030000716A (ko) * 2001-06-26 2003-01-06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생강 저장고와 이를 이용한 생강 저장방법
KR20030086119A (ko) * 2002-05-03 2003-11-07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겨울철 자연 냉기를 이용한 곡물 냉각, 고품질 저장방법및 그 장치
JP2004305146A (ja) 2003-04-09 2004-11-04 Yamamoto Co Ltd 穀物貯蔵タンク
JP2004350594A (ja) 2003-05-29 2004-12-16 Yamamoto Co Ltd 穀物貯蔵タンク
KR200366921Y1 (ko) 2004-07-26 2004-11-10 주식회사 두손 사일로의 이중 타공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077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914B1 (ko) 곡물 저장고
NO995270L (no) Vakuumtank til bruk ved hõndtering av borekaks for olje- og gassbrønner
US20060116068A1 (en) Structural roof venting system for grain bin and associated method
CN105009836A (zh) 一种恒温防潮粮仓
CN107421282A (zh) 一种新型谷物干燥室
CN1139777C (zh) 一种干燥装置
CN206785056U (zh) 高效通风密封保温圆筒仓
JP2009101276A (ja) 汚泥乾燥装置及び汚泥乾燥方法
KR200433241Y1 (ko) 공기층 단열공간을 갖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사일로
RU2631032C1 (ru) Зернохранилище
CN215454099U (zh) 防鼠仓
CN2404844Y (zh) 粮仓
KR200415632Y1 (ko) 겨울철 자연냉기를 이용한 곡물저장시설
CN204326660U (zh) 一种大型粮仓
CN103190254B (zh) 一种用于农户湿粮处理的通风仓
JP7061676B2 (ja) スラリーを収集及び除去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0190438Y1 (ko) 경사판이 내장된 곡물 건조저장빈
CN2440313Y (zh) 储粮仓
CN205922108U (zh) 粮仓侧面负压式通风系统
KR200199119Y1 (ko)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누적혼합식 곡물 건조저장기
JP2001261093A (ja) サイロ
CN212436449U (zh) 一种农村粮食中转粮仓
CN216673921U (zh) 原粮通风干燥循环仓
CN2089141U (zh) 粮食仓库抗压组合通风笼
CN217487001U (zh) 一种浅圆仓地槽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